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교간 평화’ 담론 연구 : ‘세계 종교간 화합과 평화에 관한 유엔 총회 결의문’을 중심으로

        문선애 한국평화종교학회 2017 평화와 종교 Vol.0 No.3

        유엔 총회는 ‘세계 종교간 화합과 평화에 관한 결의문’을 1981년부터 2010년까지 총 11회 에 걸쳐 채택하였다. 1981년에 채택된 최초의 결의문은 ‘종교나 본래 신앙으로 인한 모든 형태 의 비타협적 태도와 차별을 제거하는 선언’이었으며, 이후 2010년 유엔 총회에서 결의된 ‘세계 종교간 화합 주 행사’(World Interfaith Harmony Week) 선포가 그것들이다. 유엔 총회가 이렇게 다수에 걸쳐 결의문을 통과시킨 것은 세계 종교간 화합이 세계 평화와 직결되기 때문이 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유엔 총회의 결의문이 지닌 평화담론은 먼저 종교와 신앙의 자유는 인권에 기초하고 있으면 인권 그 자체임을 분명히 하는 것이었다. 다음 종교간 이해와 대화를 통해 종교간 존중 과 관용의 태도를 증진시킴으로써 종교간 갈등과 차별에 따른 폭력을 제거하는 것이다. 또한 유엔 총회의 결의문이 지닌 평화담론은 종교간 이해와 관용이야말로 세계평화를 이루는 길이 라는 점을 선포하는 것이다. 종교평화 없이 세계평화 없다고 하는 점을 분명히 밝히고 있는 것 이 유엔 총회의 결의문이라는 말이다. UN general meeting have settled the resolution of world religions’ peace and harmony through out 11 meetings from 1981 to 2010. The first resolution ‘abolished all prejudicial and uncompromising deeds that was based on any type faith or religion’ in 1981. Afterward those results have led UN general meeting to proclaim the ‘World Interfaith Harmony Week’ in 2010. UN general meeting had undergone multiple settlement sessions because it is inevitable fact that unity between the world’s religions is directly related to world peace. Such resolution incorporating peace discussions first based on human rights that relates to freedom of religions and faith and of course the human right its self. Its purpose is to reduce the conflict and prejudice among religions by gaining respect and tolerance through understanding and conversation. More importantly the peace resolution declare the point that these understanding and tolerance among religions is eventually leading to the world peace. The resolution from the UN general meeting distinctly proves religious peace must come first for the realization of world peace.

      • KCI등재

        종교적 주체, 평화의 주체로서의 여성

        안연희 한국평화종교학회 2020 평화와 종교 Vol.0 No.10

        이 글은 종교사의 남성중심주의가 여성운동이 궁극적으로 지향해온 ‘평화’에 어떤 문제를 제기하는지 살펴보고, 여성의 종교적 주체성 회복이 여성평화운동의 흐름에 중요한 전기가 될 수 있음을 논하였다. 종교사의 남성중심주의는 종교경전 및 텍스트에서 여성의 목소리와 기록/기억의 결여, 그리고 종교 의례나 지도체제와 같은 종교적 권위의 장에서 여성을 배제함으로써 여성을 차별하고 억압하는 문화의 요인이 되어 왔다. 따라서 남성중심주의, 젠더위계주의가 두드러졌던 종교사 속에서 발휘되지 못하였던 여성의 종교적 주체성은 여성의 공적인 말하기, 권위 있는 기록과 기억의 주체되기, 종교적 지도력 발휘를 통해 회복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전 세계 교단과 조직, 신자들을 이끌고 있는 종교지도자이며, 세계평화여성연합의 창설자이기도 한 한학자 총재의 종교적 언설과 리더십은 그러한 여성의 종교적 주체성 회복에 측면에서 주목할 만하다. 종교적 권위의 장에서 말하는 주체, 실천적 주체로서 드러난 한학자 총재의 종교적 리더십과 평화운동은 종교적 주체로서 평화의 주체가 되는 여성의 모습을 종교사에 회복시키는 의미 있는 사례이다. 이를 통해 종교사 속에서 대상화되고 주변화된 여성이 종교적 주체로서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고, 궁극적 실재관 및 종교교리와 상징에서도 양성평등적인 차원을 회복하여 균형을 맞추는 여성 종교지도자의 모습을 볼 수 있다. 한학자 총재의 종교적 언설과 실천이 보여주는 종교적 주체성은 종교사적으로 중요한 일보라고 평가된다. 또한 이는 여성이 이 시대 평화의 주체로서 이상적 미래와 평화문명을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여성의 적극적 평화운동을 촉진하는 행보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is article examines what issues the androcentrism and gender hierarchy in religious history raises to the “peace” that the women’s movement has ultimately pursued, and discusses that the restoration of female subject in religion can be an turning point in the flow of the women’s peace movement. Androcentrism in religious history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the culture that discriminates against and oppresses women by excluding women from their voices and lack of record/memory in religious scriptures and texts, and from areas of religious authority such as religious rites and leadership systems. come. Therefore, the religious subjectivity of women, which was not exerted in the religious history in which androcentrism and gender hierarchy were prominent, could be restored through women’s public speaking, being the subject of authoritative records and memories, and exerting religious leadership. The religious statements and leadership of co-founder Han Hak-ja, who is currently leading organizations and believers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FFWPU) all over the world, and the founder of Women’s Federation for World Peace(WFWP), are remarkable in terms of the recovery of such women’s religious subjectivity. The religious leadership and peace movement of Han Hak-ja, revealed as a speaking subject and acting subject in the field of religious authority, is a meaningful example of restoring the image of a woman who becomes the subject of peace as a religious subject in religious history. Through this, we can confirm the image of a female religious leader who makes a positive voice as a religious subject, and restores and balances gender equality in the ultimate view of reality and religious doctrines and symbols, escaping from the position of an objectified and marginalized woman in the history of religion. Religious subjectivity shown by these religious statements and practices of Han Hak-ja is an important trajectory in religious history,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 driving force for active peace movements of women who take the lead in realizing an ideal future and a peaceful civilization as the subject of peace.

      • KCI등재
      • KCI등재
      • 통일교회의 평화운동의 현황과 의의

        박상필 한국평화종교학회 2016 평화와 종교 Vol.0 No.1

        인간성을 실현하고 인간적인 삶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전쟁이 없는 소극적 평화를 넘어 적극적 평화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이러한 적극적 평화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국가적 수준이 든, 국제적 수준이든, 제도의 정비를 넘어 평화문화의 정착, 평화사상의 고취, 평화운동의 전개 등 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시민사회의 역할이 중요하고, 여기서 종교단체는 독자적으로, 그리고 NGO의 파트너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글은 통일교회 산하에 결성되어 활동하고 있는 각종 NGO의 평화운동의 현황을 정리하고, 그 운동이 갖는 의의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통일 교회의 산하에는 자유주의 옹호, 남북통일, 자원활동, 인류한가족, 청년 및 청소년 평화운동, 여성 평화운동, 학술활동 등 다양한 형태의 평화운동이 전개되고 있었다. 이러한 평화운동은 전반적으 로 운동영역의 포괄성, 국제적 연대와 지방적 실천, 근대성의 성찰과 종교성 근원에의 기초, 남북 평화통일에 대한 열정 등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앞으로 통일교회 산하 평화운동의 발전을 위해 시민사회 및 NGO 이론에 대한 학습기회의 확대, 종교적 다원성에 기초한 초종교적 화합, 창 의적인 운동방법의 개발 등과 같은 제안을 하였다. It is crucial to achieve active peace rather than passive peace, which means a warless state, to realize true humanity in our lives. To build a state of active peace, on both the national or international level, the settlement of a peace culture, inspiring peace ideals, and the development of peace movements are critical. Therefore, the role of civil society is also critical. Religious organizations, which belong to civil society, can play a key role, both independently and as partners of NGOs.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the peace movements of the Unification Church and explore their meanings. There have been various kinds of peace movements of several NGOs established by the Unification Church, which are related to the topics such as the protection of liberalism, re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s, voluntary activities, the global community, young people’s peace movement, women’s peace movement, and academic activities. These peace movements of the Unification Church overall bore such characteristics as comprehensiveness of movement territories, international solidarity and local practice, introspecting modernity and religiosity, as well as passion for the re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s. I proposed some strategies to further develop the peace movements of the Unification Church: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to learn the theories of civil society and NGOs; harmony of diverse religions based on religious pluralism; development of creative methods of peace movements beyond stereotypes.

      • KCI등재

        분쟁 후 사회의 평화와 화해를 위한 종교의 역할: 북아일랜드 사례를 중심으로

        오기성 한국평화종교학회 2022 평화와 종교 Vol.- No.1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religion in the process of walking toward peace and reconciliation beyond the history of conflict in Northern Ireland as a post-conflict society. In order to examine the role that religion played in the journey for peace and reconciliation in Northern Ireland, this study first looked at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function and analysis of religion in the process of conflict, peace, and reconciliation formation in term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conceptual framework utilized the frameworks of religion as community, religion as a set of teachings, religion as spirituality, religion as practice, and religion as discourse. Second, as an in-depth cause, the Northern Ireland Troubles were examined from conflicts due to religious differences between Catholicism and Protestantism to conflicts involving various causes such as politics, religion, and nationalism. Third, the religious efforts made in Northern Ireland for peace and reconciliation after the Troubles were divided into a contemplative model that focuses more on prayer for the formation of a reconciliation community and a more active reality participation model. In the former case, the activities of Corrymeela, The Irish Council of Churches (ICC), 174 Trust, and Youth Link were examined. In the latter case, I looked at the Christian Renewal Center, Columba Community. In addition, the role of religion in the process of peace and reconciliation in Northern Ireland was analyzed and evaluated through the analytical framework presented above. Finally, This paper tried to present a brief suggestion on the positive role that religion should play in post-conflict society through the above theories and case studies. 이 연구는 분쟁 후 사회로서 북아일랜드의 평화와 화해를 위한 여정에서 종교가 어떤 역할을 수행하였는지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이론적 배경 차원에서 분쟁과 평화, 화해형성 과정에서 종교의 기능 분석을 위한 개념적 틀을 살펴보았다. 개념적 틀은 공동체로서의 종교, 가르침의 집합으로서의 종교, 영성으로서의 종교, 실천으로서의 종교, 담론으로서의 종교라는 틀을 활용하였다. 둘째, 심층적 원인으로서 가톨릭과 개신교라는 종교적 차이로 인한 갈등으로부터 정치, 종교, 민족주의 등 여러 원인이 얽힌 분쟁으로서 북아일랜드 ‘트러블(Troubles)’을 살펴보고, 셋째, 트러블 이후 평화와 화해를 위해 북아일랜드에서 이루어진 종교적 노력을 화해 공동체 형성을 위해 보다 기도에 중점을 두는 관조적인(contemplative) 모델과 보다 활동적인(activist) 현실 참여 모델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전자의 경우에는 코리밀라(Corrymeela), 아일랜드 교회 협의회(The Irish Council of Churches, ICC), 174 Trust, Youth Link의 활동을 살펴보았다. 후자의 경우에는 Christian Renewal Center, Columba Community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앞서 제시한 분석틀을 통해 북아일랜드 평화와 화해 과정에서 종교의 역할을 분석, 평가하였다. 끝으로 이상의 이론 및 사례 고찰을 통해 분쟁 후 사회에서 종교가 수행해야 할 긍정적 역할에 대한 간략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세계평화실현을 위한 종교의 정치적 역할과 과제에 관한 연구: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한반도평화서밋을 중심으로

        임현진 한국평화종교학회 2022 평화와 종교 Vol.- No.13

        Religion should advocate the universal values of mankind and restore publicity. Religion should also play a public role in presenting the right direction to politics. This study examined the political roles and actions that FFWPU has performed by advocating the universal values of world peace and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beyond the growth and development centrism of its religion. FFWPU believes the religious ideal of “One Family under Heavenly Parent, God” as a political theology, and based on this, it has continued to make efforts to establish the world peace and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FFWPU presents an example of religious political participation. FFWPU held the Summit 2022 fo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n recent years under the leadership of FFWPU, world leaders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cademia, and the media, discussed solutions to global issues such as th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world peace, overcoming the climate crisis, solving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and responding to the food crisis. FFWPU has played a role in continuing dialogue with global leaders for the sake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world, pursuing the ideal of “one family under Heavenly Parent, God.” Religion can restore trust of the public people when various religions continue to carry out global public interest activities like FFWPU. Religion should communicate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beyond gains and losses. Religion must uphold universal values. On international issues that politicians cannot properly solve, they should urge corrective actions. In addition, religion should repent for its division and confrontation with each other through COVID-19, and show the right role of religion in our society. 코로나19 방역 위기 상황에서 한국의 종교는 위기를 경험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교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주창하며 정치의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하는 공적 역할을 더욱 정진하며 수행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하늘부모님성회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이 자종교의 성장과 발전 중심주의를 넘어서 세계평화와 한반도평화라는 보편적 가치를 주창하며 수행해온 정치적 역할과 행동을 고찰하였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하늘부모님 아래 인류한가족’의 종교적 이상을 정치신학의 기조로 삼아 실효성 있는 세계평화와 한반도평화 정착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다. 특히 다년간 평화서밋을 주최해 왔으며, 2022년에는 2022 한반도 평화서밋을 개최하면서 한반도 평화와 세계평화, 기후위기 극복, 환경오염 문제 해결, 식량 위기 대응 등 인류가 직면한 과제들을 정치, 경제, 사회, 학술, 언론 등의 각계 지도자들이 합심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공론의 장을 마련했다. 종교의 정치적 참여의 올바른 한 사례라고 할 수 있겠다. 종교는 이해득실을 넘어 서로 소통하면서 협력하고 보편적인 가치를 수호해 나가야 한다. 정치권이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는 국제적 이슈에 대해 바른 목소리를 내며 올바른 행동을 촉구해야 한다. 또한 코로나19를 겪으며 종교가 서로 분열하고 대립해온 것을 참회하고 합심하여 우리 사회에 종교의 바른 역할을 보여주어야 한다. 여러 종교들이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과 함께 글로벌한 공익적 활동을 지속적으로 펼칠 때 종교는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종교기반 평화교육에 대한 고찰

        안연희 한국평화종교학회 2022 평화와 종교 Vol.- No.14

        This study argued that religion-based peace education can contribute to peace education at the global level fundamentally and continuously, and considered the possibility and meaning of religion-based peace education and the issues to be solved. There are various views on the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the public role of religion. For example, the functions of healing and consolation, and social contribution through service and charity are often suggested. Peace education can also be a field that can contribute to the public good and public interest with its unique potential for religions, which are experiencing more crises due to the decline in social trust and reputation,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he corona crisis in some societies. At the same time, religion-based peace education can be a good way for religion to answer contemporary agendas. However, there are necessary conditions for religion-based peace education to serve as a good model for peace education in a meaningful way while complementing other secular peace educations, including public education at the national level, in a multi-religious context. Religion-based peace education needs to have a clearer sense of purpose: education for peace as a universal value, not education for a specific religion. In conclusion, religion-based peace education needs to be established as a comprehensive peace education to ensure universal values beyond the institutional and doctrinal differences of religion. Specifically, it should be based on the concept of ‘peaceful character’ as the ideal of education, and move towards peace education that aims for universal common good through peaceful unification education, peaceful ecological environment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본 논문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심화된 난제들에 대한 근본적인 대안으로서 지구적 차원의 포괄적 평화교육의 지속적 실시가 중요하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그와 관련하여 종교기반 평화교육의 가능성과 의미, 나아가 해결해야 할 점들을 고찰하였다. 종교의 공적 역할의 가능성과 필요성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있고, 종교의 치유와 위로의 기능, 봉사와 자선을 통한 사회적 기여 등이 주로 제시되곤 했다. 이에 더하여 평화교육도 몇몇 사회의 코로나 위기 상황에서 사회적 신뢰도와 평판이 저하되고 더욱 위기를 겪고 있는 종교가 특유의 잠재력으로 공공선과 공익에 기여하면서 동시에 동시대적 의제에 답하는 좋은 방식이 될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 논지이다. 그러나 종교적 평화교육이 국가 차원의 공교육을 비롯한 다른 세속적 평화교육을 보완하면서 평화교육의 좋은 모델로 유의미하게 기여하기 위해서는 선결조건이 있다. 즉 종교기반 평화교육이 특정종교에 대한 교육이 아니라 보편적 가치로서의 평화를 위한 교육이라는 목적의식을 명확히 하고, 구체적인 교육내용도 그에 부합하게 체계화해야 한다. 그렇게 될 때, 종교사상에 입각한 평화교육은 다른 어떤 평화교육보다는 지구적 평화실현을 위해 포괄적이고 근본적인 가치를 지속적으로 교육하는 종교의 공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종교기반 평화교육은 종교의 제도적 교리적 차이를 넘어 보편적 가치를 담보하기 위한 포괄적 평화교육으로 정립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교육의 이상으로서 ‘평화인성’의 개념을 기반으로 하면서, 평화적 통일교육, 생태평화교육 등을 통해 보편적 공공선을 지향하는 평화교육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