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적합한 몸의 선별과 집단 사이의 위계화 — 1950~60년대 한미 해외입양 과정에서의 혼혈아의 몸에 대한 지식 생산과 활용을 중심으로

        민병웅 한국사회사학회 2022 사회와 역사 Vol.- No.135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duction and use of scientific and medical knowledge about Korean ‘mixed-blood’ children for transnational adoption in the 1950~1960s. It analyzes how adoption agencies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ought advice from racial scientists in order to judge the adoptability of ‘mixed-blood’ children in South Korea. Adoption agencies had facilities for orphans and ‘mixed-blood’ children such as orphanages and hospitals. These agencies provided a resource for producing knowledge of ‘mixed- blood’ bodies and information for scientists. On the one hand, racial scientists utilized the transnational adoption procedure to build a database on the bodies of ‘mixed-blood’ children. Across the Pacific, American scientists mobilized their knowledge of ‘mixed-blood’ bodies both to advice adoption agencies and as a strategic tool to promote their political agenda. After World War Ⅱ, American racial scientists underlined anti-racism ideology, renouncing a hypothesis of a hierarchy among different races. By promoting transracial adoption, American scientists hoped to show their new political stance. In conclusion, this paper reveals the blurring of boundaries of disability and mixed-blood categories by analyzing how Korean officials and American scientists produced knowledge about ‘mixed- blood’ children for transnational adoption. In Korea, ‘mixed-blood’ children were categorized as the ‘socially handicapped’, which was sub-category of disability. At the same time, American scientists who collaborated with transracial adoption agencies insisted ‘mixed- blood’ children would be more suitable for adoption than disabled children. In other words, both Korean and American actors thought the ‘mixed-blood’ children were more valuable than the disabled in transnational adoption. In that, they shared the same principle in producing and using their scientific and medical knowledge for ‘mixed-blood’ children: adoptability. 한국 전쟁 이후 한국 사회에는 한국인 여성과 미국인 남성 사이에 태어난 혼혈아들이 증가했다. 기지촌 성노동자의 자녀라는 사실과 이질적인 외모로 인해 혼혈아들은 주변인들로부터 멸시를 경험했다. 한국 정부는 전후 복구와 경제성장을 위한 국민통합에 혼혈아들이 방해가 된다고 판단해 해외입양을 통해 이들에게 들어가는 사회복지비용을 줄이고 정치적 목적을 실현하려고 했다. 그러나 입양 과정은 적합한 입양아를 선별하는 일을 동반했다. 혼혈아들의 인종 정보, 신체적 특징, 건강상태 등은 혼혈아들의 입양을 결정하는 판단 근거였다. 이 글은 1950~60년대 초중반 한미 해외입양 절차 과정에서 혼혈아의 몸에 관한 지식과 정보가 만들어지는 과정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한국과 미국의 해외입양 관계자들과 과학계, 의학계 사이의 협력에 주목한다. 기존 연구들은 해외입양이 한국 전쟁 이후 혼혈아들을 한국 사회에서 배제하기 위한 수단이었고, 한국 사회에 살 가치가 있는 집단을 결정하는 우생학적 성격이 있음을 구조적, 사회 이념적, 제도적 측면에서 강조해왔다. 본 연구는 기존 해외입양 연구들의 문제의식을 확장하여 혼혈아의 몸에 관한 지식과 정보가 해외입양과 학계의 협력을 통해 만들어졌으며, 이 과정에서 해외입양 관계자들과 과학자들에 의해 장애인, 정신질환자들에 비해 더 입양에 적합한 몸으로 판단되었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후보

        혼혈아의 차별적 시선과 대응적 정체성

        변화영(Byun, Hwa-Young) 한국비평문학회 2013 批評文學 Vol.- No.49

        ?불랙 죠?는 1964년 『현대문학』(10월호)에 실린 백인빈의 단편소설이다. 백인빈은 파주를 배경으로 혼혈아와 기지촌 사람들의 삶을 생생하게 형상화 하였다. 1965년 ??사상계??(4월호)에 발표된 ?세끼미?는 전광용의 단편소설로, 이 작품에는 혼혈아의 심리변화가 서울 도심지의 이동 공간을 통해 구체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불랙 죠?와 ?세끼미?에 묘사된 1960년대의 파주 기지촌과 서울 도심지의 모습은 사실에 기반한 것으로 이 같은 공간 묘사를 통해 실제작가 백인빈과 전광용은 내포작가를 내세워 1947년에 탄생한 죠와 마리아의 일상을 사실적으로 재현할 수 있었다. ?불랙 죠?와 ?세끼미?에 등장하는 서술자는 초점화자 죠와 마리아가 자신들이 거주하고 있는 장소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스스로 말하게 할 뿐 개입하지 않는다. 파주의 기지촌으로 이주한 죠에게 아버지가 거주하는 서울의 집은 장소성을 상실했으며, 마리아에게 청파동 집은 부모의 정을 느낄 수 없는 낯선 공간이 되었음을 서술자는 초점화자의 의식을 통해 재현할 뿐이다. 서술자가 자신의 논평을 자제하고 초점화자의 뒤로 숨은 덕분에 죠와 마리아가 장소를 통해 자기를 응시하면서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 일련의 사건들이 객관적으로 전달될 수 있었다. 초점화자들의 자기 응시는 몸을 그 근원으로 하고 있다. 피부색과 외양의 다름으로 ‘우리’에게 버림받거나 차별받은 경험들과 기억들이 고스란히 저장된 몸은 또 하나의 중요한 장소이다. 몸이란 한 개인이 타인들과 관계를 맺는 소통의 기점이자 사회적 자리잡기의 토대라는 점에서 볼 때, 사회적으로 배제되어 차별과 고통 속에서 살아가는 혼혈아들에게 정상적이며 자유로운 관계들을 기대하기 어렵다. 게다가 죠와 마리아를 포함한 혼혈아의 몸은 미국식의 흑백 위계성에 따라 계층화되어 있어 ‘검은’ 피부의 흑인 혼혈아 죠는 ‘하얀’ 피부의 백인 혼혈아 마리아에 비해 장소를 경험하고 이를 통해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 데 한계가 있음이 「불랙 죠」와 「세끼미」를 분석하는 가운데 밝혀졌다. In Korea the problem of mixed―bloods has socially constituted after the Korean war. However the mixed―bloods, especially the half―breeds between the soldier of US army and Korean woman, were born since US army stationed in the Korean Peninsular after its division. They are rejected as ‘others’ or at least not accepted as a member of ‘our’ society within home, school or local society, even by government. In the two short stories of Black Joe written by Baek In―bin, and Seggimi by Jeon Kwaong―yong, it showed that the mixed―bloods is not only a biological problem of an individual but also a social discrimination by the feelings of ‘we’ in Korea. So for them as the mixed―bloods, the only escape way, which novels show, is to be adapted by US citizen or to be a member of half―world or criminal underworld. Bu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mixed―bloods based upon one’s skin color, in coping with his or her biological identity within Korean society. Joe, an black, in Black Joe becomes a violent revenger, while Maria, a white, decides to be an adapted US citizen.

      • KCI등재

        하프, 또 하나의 일본인론 - 현대 일본 인종주의의 ‘전후적’ 기원 -

        박이진(Lee jin, Park) 동아시아일본학회 2021 일본문화연구 Vol.- No.77

        본고는 일본인론과 함께 등장한 하프 담론에 주목하여 현대 일본사회의 인종주의적 특징과 그 굴절 과정을 규명해 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1952년 ‘혼혈아논쟁’ 이후 등장한 혼혈아문제가 정부정책에 의해 외부화되는 프로세스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혼혈아문제의 종언에 이어 유행한 하프 담론이 일본인론의 전제가 되는 단일민족론을 지지하는 또 다른 일본인론으로 기능하였음을 살펴보았다. 하프 담론이 또 다른 일본인론의 기능을 하고 나아가 인종주의적 계층화로까지 확대되는 구도는 혼혈아에 대한 정부정책이 시작된 시점부터 내재되어있던 문제였다. 현대 일본인종주의의 ‘전후적’ 기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비록 정부정책이 종언되며 혼혈아문제가 더 이상 사회문제화 되지 않게 되었지만 1960년대 중후반에 단일민족 신화 위에서 활기를 띠게 된 일본인론은 엄연히 새로운 형태의 인종화전략이었다. 결국 혼혈아문제는 사회 표면적으로 비가시화되었을뿐 끝나지 않은 미해결의 상태로 오히려 심연 속으로 더욱 파고들어 일본적 인종주의와 결합되게 된 것이다. Focusing on the harp discourse that appeared with Nihonjinron(the theories of Japanese cultural or racial uniqueness), this paper has identified the racist characteristics of modern Japanese society and its refraction process. As a research method, the process of externalizing the mixed-race children problem, which emerged after the “mixed-race children debate” in 1952, was examined by government policy. It was also examined that the half-discourse, which began to become popular after the mixed-race child problem was over, functioned as another Nihonjinron that supported the monoethnic theory, which is the premise of Nihonjinron. The structure of the half-discourse functioning as another Nihonjinron and further expanding to racist stratification was a problem that was inherent from the beginning of the government policy for mixed-race children. It can be said to be the “postwar” origin of racism in contemporary Japan. Although the government policy was ended and the mixed-race child problem no longer became a social issue, Nihonjinron, which became active on the myth of a single ethnic group in the mid- to late 1960s, was a distinctly new type of racialization strategy. In the end, the mixed-race child problem has become invisible on the surface of society, but it is unfinished and unsolved. Rather, it penetrates deeper into the abyss and is combined with Japanese racism.

      • KCI등재

        김명인의『동두천』 연작시에 나타난 양가적 장소성 연구

        송지선(Song, Ji-seon) 우리말글학회 2020 우리말 글 Vol.86 No.-

        이 글은 『동두천』 연작시의 지배적 의미인 ‘더러운 그리움’에 나타난 양가성을 논하고자 한다. 그 양가성을 시인이 인식한 동두천의 장소성으로 이해하고, 이러한 의미가 생산된 기반에 혼혈아에 대한 김명인의 타자성과 동질성이 동시에 작용함을 논의한다. 기지촌 혼혈아들에게 동두천 보산리는 어머니의 땅이지만 아버지의 땅은 아니라는 점에서 고향이면서 고향이 아니다. 또한 혼혈아를 바라보는 김명인의 시선도 단일 민족 프레임에 갇힌 타자성과 시인의 고아의식에 따른 동질성이 혼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시인에게 동두천의 장소성은 일관된 정서로 경험되기보다 ‘더러운 그리움’과 같이 양가성으로 경험된다. 동두천의 정치 사회적 의미가 양가적 속성을 이루는 심층이라면, 혼혈아에 대한 김명인의 감정은 표면이 된다. 이에 따라 시인에게 동두천은 ‘더럽지만 그리운’ 장소로 기억 재현된다. 동두천 보산리는 미군기지와 혼혈아의 존재로 한국의 다른 지역과는 확연히 다른 정치, 사회적 특색을 지닌다. 이런 이유로 동두천은 다른 지역에서는 발생할 수 없는 특정 사건을 내재한다. 사건은 상황, 인간에 의해 발생하기 보다는 그 장소가 갖는 여러 사회적 위치가 필연적 조건이 된다. 장소는 인간의 지각과 인식의 기초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경험의 자리로서, 동두천의 독특한 장소성은 시인의 세계인식이 반영된 ‘더러운 그리움’의 전체적 의미를 지배한다. 김명인의 『동두천』 연작시는 미군기지가 주둔하면서 파괴한 동두천의 경관과 인간에 대한 성찰을 담고 있는 것으로, 소외된 장소와 사람을 복원하고자 하는 시인의 문학적 소망이 담겨 있다. 지금은 다문화사회라 하여 혼혈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개선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아직도 기지촌의 혼혈인은 ‘다문화사회의 혼혈인’의 범주에 속하지 못한 사회적 관심 밖의 대상이다. 기지촌의 혼혈인은 한국의 단일 민족 프레임으로만 차별받는 것이 아니라, 가부장적 성윤리 문화에서도 한 번 더 차별받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 안에 있는 기지촌 혼혈인에 대한 차별과 배제의 시선을 성찰하고, 사회의 주변인으로 나와 다르지 않은 그들과 공존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통로가 형성되길 기대한다. This article attempts to discuss the ambivalence that appears in ‘dirty longing’, which is the dominant meaning in the serial poetry of Dongducheon . It interprets such ambivalence to be the placeness of 「Dongducheon」 as perceived by the poet and it argues that the otherness and homogeneity of Kim Myung In regarding half bloods act simultaneously based on the production of that meaning. To military camp town half bloods, Dongducheon Bosanri is their homeland and it is not their homeland as it is the land of their mothers but not the land of their fathers. Also, within the viewpoint of Kim Myung In regarding half bloods exists both otherness trapped within the frame of a homogenous nation and homogeneity that follows the orphan consciousness of the poet. For such reasons, the placeness of Dongducheon is experienced by the poet as ambivalence such as "dirty longing" instead of as coherent sentiment. If the political and social significance of Dongducheon forms the depth of ambivalent attributes, the emotions of Kim Myung In regarding half bloods form the surface. Following this, Dongducheon is remembered and reproduced as a "dirty yet nostalgic" place to the poet. Dongducheon Bosanri possesses polit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that are distinctly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areas of Korea with the existence of a US army base and half bloods. For these reasons, specific events that cannot occur in other areas inherently exist in Dongducheon. Events don"t necessarily occur because of situations or people but rather, the various social positions of their locations become essential conditions. Locations are positions of experience that provide basic environments for human perception and awareness and the unique placeness of Dongducheon dominates the general significance of "dirty longing" that is reflected by the world recognition of the poet. The serial poetry of 「Dongducheon」 by Kim Myung In includes introspection regarding people and the landscape of Dongducheon, which was destroyed as the US army base was stationed there and it includes the literary desires of the poet who wishes to restore neglected places and people. We currently live in a multi-cultural society and social perceptions regarding half bloods are improving. However, half bloods of military camp towns are subjects that exist outside of social interest, unable to belong within the category of "half bloods of a multicultural society". Half bloods of military camp towns are not simply discriminated by Korea"s frame as a homogenous nation but also within patriarchal sexual ethics culture. It is hoped that through this study, serious thought can be given to perceptions of discrimination and the exclusion of military camp town half bloods among "us" and that paths can be formed that search for methods to coexist with them as social outsiders that are no different from us.

      • KCI등재

        한국 혼혈아동을 위한 펄 벅(Pearl Buck)의 민간사회복지활동에 관한 연구: 신문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최소연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21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15 No.2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pand the discussion on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social welfare in Korea by examining the role of Pearl Buck for the first generation of mixed-race people who were the object of cold treatment and exclusion in Korean society in the 1960s. This study conducted a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and analyzed a total of 89 newspaper articles based on the method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As a result of the study, Pearl Buck’s approach to mixed-race children wa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dominant point of view in Korean society at that time, which was to separate and exclude them from mainstream society. In addition to supporting individuals, policy advocacy activities were carried out to ensure that mixed-race children were brought up in a healthy way as a part of Korean society. This study also confirmed that Pearl Buck realized the value of social justice through private social welfare activities, such as making efforts to expand the opportunities for their social participation,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ir strengths and possibilities. Because of her efforts, Peal Buck was called the mother of mixed-race children. Even though there was a crisis to Pearl Buck’s death and the internal conflicts of the Sosa Opportunity Center, the Pearl Buck Foundation inherited the spirit of Pearl Buck, and continued to develop activities for mixed-race childre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1960년대 한국 사회에서 냉대와 배제의 대상이었던 1세대 혼혈인을 위한 펄 벅의 사회복지활동의 태동과 전개 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관련 문헌자료 검토와 신문기사에 관한 담론 분석을 진행하였다. 총 89건에 대한 비판적담론분석 방법을 적용한 결과, 1960년대 혼혈아에 대한 한국 사회의 지배적인 관점이 사회로부터 배제와 격리였다면 펄 벅은 혼혈아가 한국 사회의 구성으로 건전하게 양육되도록 개인에 대한 지원은 물론 정책적 옹호 활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펄 벅은 혼혈아의 강점과 가능성에 주목하면서 사회참여를 확장하기 위해 노력하는 등 사회정의 실현의 가치에 기반하여 민간 사회복지활동을 전개하였으며, 이러한 노력으로 펄 벅은 혼혈아의 어머니로 불렸다. 펄 벅의 사망과 소사희망원의 내홍으로 혼혈아 사업은 중단 위기가 있었지만, 펄벅재단을 통해 혼혈아를 위한 사업이 지속 전개되어 펄 벅의 정신을 계승하고 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펄 벅의 혼혈아를 위한 민간사회복지 활동의 함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분단소설에 나타난 혼혈아의 표상

        변화영(Byun, Hwa-yeong) 한국언어문학회 2013 한국언어문학 Vol.87 No.-

        This article explores and examines how the half-breed, who born after the Korean war, represented in novels of Korean division, that is, <Legacy of the Sun>, <The Half-Breed>, <Royal Tomb and Occupation Forces>, <Black Joe>, <Sseggimi(Half-Breed)>, and<Odd Pairs of Socks>. The body of half-breeds indicates the absence of her/his father, ie. USA army, and the existence of their mother as a foreigner's whore. And it was treated as a kind of disease as a metaphor. Thus we can explain the half-breed who was born as a symbol of modernity and objectified by 'our' public or powerful gaze, only though his/her mother who are subordinate subject or subaltern.

      • KCI등재

        로컬리티 기호로서의 혼혈아 - 오키나와 아메라시안(AmerAsian)의 경우

        조정민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3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34

        In the mainland of Japan, 70% of international marriages are from the union of a foreign wife and a Japanese husband. However, in Okinawa, the case is reversed and 70% of international marriages are between foreign husbands and Japanese wives. Since most of the foreign husbands in Okinawa are American soldiers or affiliated with the military, international marriage in Okinawa does not merely signify a union between a man and a woman of different nationalities but can be interpreted as a social phenomenon that shows a facet of Okinawa, so-called as 'the island of military base.' In addition, the half-bloods born of American men and Okinawa women were perceived as the outcome of 'dominant sex' and were often subjected to discrimination and contempt. There have been some attempts to shed new light on and reassess the talents of these half-bloods. In other words, these attempts sublimate the racial and cultural differences to ‘outstanding entertainment ability’ and turn the half-bloods into commodities. Such attempts to overturn the negative presentation of half-bloods in a drive is likely to produce the result of concealing the structure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m. The mode of discourse on Okinawa half-bloods were divided between the negative and the positive, and in the midst of such discourse, half-bloods were standardized as objects of disgust, pity, sympathy and charm.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attempts by Okinawa half-bloods to define themselves. One prime example can be found in the 'The AmerAsian School in Okinawa' in Ginowan city. Although limited in its will for action related to self-definition of half-bloods through alternative school system and language education, this school, nonetheless,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of half-blood population developing themselves as active subjects. The act of self-definition by half-bloods in Okinawa has important implications in that it exposes the violence and exclusiveness inherent in the dichotomous discourse and encourages honest self-reflection.

      • KCI등재

        1960년대 펄 벅(Pearl S Buck)의 일본방문과 일본의 펄 벅 수용 ― 『대지』의 작가, 혼혈아의 어머니

        楊아람 ( Yang Ah-la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0 大東文化硏究 Vol.110 No.-

        이 글은 미국의 소설가이자 사회활동가인 펄 벅의 일본 번역과 1960년대 일본 방문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펄 벅의 문학은 미국과 일본의 우호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콘텐츠로 활용되었다. 일본에서 펄 벅의 대표작『대지』는 일본인에게 애독되었지만 문학적 텍스트보다는 중국, 미국에 관한 사회문화적 텍스트로 읽혔다. 그런데 1960년대 작가의 네 번에 걸친 방문은 이례적인 것이었다. 1960년은 영화 <쓰나미>제작을 위한 시나리오 작가로서의 방문이었으며 1966, 1967년은 ‘혼혈아 구원’을 위한 방문이었다. 펄 벅의 수용사 고찰은 텍스트의 번역뿐만 아니라 일본에서의 활동도 포괄되어야 한다. 요컨대 일본의 펄 벅 수용 연구는 미국과 일본의 전후사의 맥락 하에서 재구명되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이 글은 텍스트의 번역, 작가의 일본 방문, 사회활동 의제 등을 포괄적으로 고찰하여 미국과 일본의 문화교류·외교 및 문화번역의 한 단면을 다층적으로 접근하는 번역문화사 연구이다. The article examines the social and cultural implications of Pearl Buck' works translation and her visit to Japan in the 1960s. Pearl Buck who won the Nobel Prize for Literature was used as a content to maintain friendly relation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Pearl Buck's The Good Earth was read by the Japanese as a sociocultural text about China and the United States rather than a literary text. However, Her four visits in the 1960s were unusual. She visited as a screen writer for the production of < Tsunami > in 1960 while she visited in 1966 and 1967 were for the relief of mixed-race children. Pearl buck's adoption history consideration should be covered not only the translation of text but also their activities in Japan. In short, Japan's research on accepting Pearl Buck should be restructured in the context of the post-war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and Japan. In this regard, the article is a study of translation and cultural history in which the U.S. and Japan approached one section of cultural exchange, diplomacy and cultural translation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translation of text, her visit to Japan and the agenda of social activities.

      • KCI등재

        특집논문 : 국제결혼과 혼혈의 탄생 -최정희의 <끝없는 浪漫>을 중심으로-

        강진구 ( Jin Gu Kang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1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5

        국경을 초월한 진정한 사랑 또는 국제적인 로맨스로 인식되었던 국제 결혼은 자녀의 출생과 더불어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된다. 혼혈 자녀의 탄생 으로 인해 국제결혼 담론은 개인 간의 사랑에서 민족의 문제-혈통의 문 제-로 초점이 이동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극심한 분열현상을 드러낸다. 여기에는 국제결혼을 순결한 사랑으로 의미화 하고 싶어 하는 욕망과 혼 혈-피의 뒤섞임-에 대한 공포가 숨어있다. 국제결혼에 대한 이와 같은 공포는 8.15해방과 미군의 진주, 그리고 한 국전쟁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에서 태어난 혼혈아의 존재로 인해 더 욱 증폭되었다. 필자는 1950년대 혼혈담론이 국제결혼담론에 미친 영향 을 최정희의 장편소설 <끝없는 浪漫>(1958)과 당시 신문기사들을 중심 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1950년대 혼혈담론은 크게 ①점령자의 성, ② 미국을 숭배하는 여성들의 허영의 씨앗, ③우생학적 열등인자 등으로 부 정적으로 의미화 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혼혈에 대한 부정적 담론으로 인해 ``낭만적 사랑``이라는 국제결혼을 상 징화했던 담론은 점차 그 의미를 잃어가게 되었다. The international marriage had been accepted as the true love across the border or international romance, however, is faced with the new issue with the birth of the child. The birth of the mixed-bloods moves the focus from the love between individuals to the issue of race and lineage in the discourse on international marriage, often resulting in extreme conflict which takes place between the desire to sublimate international marriage into pure love and the fear from mixing bloods. The existence of mixed-bloods who were born through a series of events such as the national liberation of Korea followed by the stationing of US Army and the Korean War added more chaos to the discourse on international marriage.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the discourse on mixed-bloods in the 1950`s upon the discourse on international marriage through Jung-Hi Choi`s full-length novel, Endless Romance(1958) and the newspaper articles at the time. The discourse on mixed-bloods produced negative ideas generally summarized into ① Occupier`s Name, ② Seed of Vanity of Women Worshipping the USA, and ③ Eugenically Inferior Gene. The international marriage used to symbolize romantic love, but it no longer has the foothold and is disappearing due to mixed-bloods.

      • KCI등재

        순혈(純血)’의 환상과 혼혈아의 등장: 김내성의『태풍』과 안도 사칸의『해적이야기 남해의 업화』를 중심으로

        정혜영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23 외국문학연구 Vol.- No.92

        The term ``mixed race'' is not currently used in South Korea. In Japan, Asahi Shimbun decided in January 2004 to avoid using the term ``mixed-race child.'' This is because ``mixed race'' is a term that sets boundaries between humans and otherizes them, and is not appropriate in this era of increasing globalization. The term ``mixed race'' first appeared in Korea during the colonial period, particularly around 1940. In this study, we will examine the reason and meaning behind the full-fledged emergence of the term ``mixed race'' in two novels that feature mixed-race children: ``Typhoon'' (1943) by Kane Raise and ``Pirate Story of the South Seas'' by Ando Sakan. (1939). Around 1940, there was a serious debate going on in Japan about ``maintaining the purity of the race,'' and Kim Nae-sung's ``Typhoon'' and Ahn Tou-hee's ``Inferno in the South Sea'' were very relevant to this era. It was a novel created in which the main character was a mixed-race man who aimed to build a mixed-race empire in this atmosphere. The exploration of the ``mixed-race people'' that appear in these two novels has an important meaning in investigating the substance of the pure-blood ideology that was spread by the Japanese Empire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 addition, the conclusions of these two novels are worth noting in order to clearly understand the origins of racial prejudice and discriminatory perceptions that still persist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