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혼잡통행료 징수와 대중교통 차내 혼잡수준의 관계

        유상균,배기목 대한교통학회 2016 대한교통학회지 Vol.34 No.6

        대중교통을 포함한 연구들에서 사회적 효용 증진은 대중교통서비스 개선 또는 승용차 이용억제책을 통한 대중교통 수요증가에 의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지금까지 대중교통 수요증가는 통행수단의 통행량 변화를 통해 사회적 효용에 영향을 미치고 관찰될 뿐, 대중교통 차내 혼잡도는 고민의 대상이 아니었다. 본 연구는 혼잡통행료 시행으로 증진되는 사회적 효용과 변화되는 대중교통수단 차내 혼잡도를 관찰하고 원인을 규명한다. 본 연구에서 혼잡통행료 시행은 대중교통수단 차내 혼잡도를 증가시키고, 대중교통 전용차로가 없는 경우 대중교통수단 혼잡도는 더욱 심화된다. 주목할 점은 대중교통수단 차내 혼잡도가 도심보다 도심 외곽구역에서 더욱 악화되고, 최선의 혼잡통행료는 차내 혼잡도를 상대적으로 덜 악화시키면서 효용증진 임무를 완수한다. 이러한 결과는 통행자의 직주근접성 변화, 통행횟수 조절, 그리고 혼잡통행료 징수가 가져올 우발적인 왜곡효과 때문으로 해석된다. In studies involving public transport, social welfare improvement is simply explained by the increase in public transport demand. However, the increase in the demand for public transport is mostly observed by the change in the frequency of public transport service, and in-vehicle crowding in public transport has not been an object of concern. This study examines and tries to reveal the cause of the changes of the social welfare and in-vehicle crowding of the changing public transport from imposing congestion pricing. We observe that congestion pricing increases in-vehicle crowding in public transport. This predictable phenomenon is more exacerbated in case of not operating bus-only lane. It should be noted that in-vehicle crowding is more increased in suburban, but in First-best toll system it tends to get worse less than it in other congestion pricing systems. We identify that the change of in-vehicle crowding is affected by the change of proximity of the housing to workplace, the number of commuting trips, and unpredictable distortion effect of the congestion charge.

      • KCI등재

        개별 차량 속도 데이터 기반 교통혼잡비용 추정방법 개선 연구

        김성민,천승훈 한국교통연구원 2019 交通硏究 Vol.26 No.3

        Traffic congestion costs refer to the costs of various types of losses resulting from traffic congestion. The traffic congestion cost is estimated by adding the vehicle operation cost and the time value cost, of which the time value cost accounted for about 80%.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at home and abroad regarding traffic congestion cost estimation, but the traffic congestion cost based on average speed is commonly estimated. However, the following limitations arise when estimating the traffic congestion cost using the average speed. First, when using average speed, errors in congestion judgment may occur. In the case where the actual congestion traffic and the normal traffic flow are mixed, the average speed may be increased by the normal traffic, and thus the traffic may be determined as a non-congestion section even though the actual congestion occurs. Secondly, if conges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verage speed, a dichotomous error is determined that all vehicles have experienced congestion or have not experienced congestion. Third, the error of underestimation occurs when using average speed. Since the average speed is the average value of the normal speed and the congestion speed, the congestion that is generated is offset by the normal speed and the traffic congestion cost must be underestimated. In order to improve the limitations of the average speed-based traffic congestion cost estimation method, this study proposes a traffic congestion cost estimation method based on individual vehicle speed data to estimate traffic congestion more accurately. 교통혼잡비용이란 교통혼잡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형태의 손실을 화폐가치로 환산한 비용을 의미한다. 교통혼잡비용은 차량운행비용과 시간가치비용을 합산하여 추정하고 있으며, 그중 시간가치비용이 약 80%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동안 교통혼잡비용 추정과 관련한 국내·외 다양한 연구가 있었으나, 공통적으로 평균속도에 기반한 교통혼잡비용을 추정하고 있다. 하지만 평균속도를 활용하여 교통혼잡비용을 추정하게 될 시 다음과 같은 한계가 발생한다. 첫째, 평균속도를 사용할 시 혼잡판정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실제 혼잡교통류와 정상교통류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 정상교통류에 의해 평균속도가 높아져 실제 혼잡이 발생하였음에도 비혼잡 구간으로 판정될 수 있다. 둘째, 평균속도에 따라 혼잡 여부가 결정되면 모든 차량이 혼잡을 경험했거나 혼잡을 경험하지 않았다고 판정되는 이분법적 오류가 발생한다. 셋째, 평균속도를 사용할 시 과소 추정의 오류가 발생한다. 평균속도는 정상속도와 혼잡속도의 값이 평균된 값이기 때문에 발생한 혼잡이 정상속도에 의해 상쇄되어 교통혼잡비용이 과소 추정될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평균속도 기반의 교통혼잡비용 추정방법론의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 교통혼잡을 보다 정확히 추정해 낼 수 있는 개별 차량 속도 데이터 기반 교통혼잡비용 추정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혼잡성의 선행변수와 점포혼잡성 및 쇼핑감정의 관계

        박수용(Park Soo-Yong),이상환(Lee Sang-Hwan),이창원(Lee Chang-Won) 한국상품학회 2008 商品學硏究 Vol.26 No.2

          This paper studies on the influence of customers" perceived time pressure, familiarity, and privacy in the department stores on two dimensions of perceived crowding : human and spatial crowding, and tries to identify the relation among two dimensions of perceived crowding, two dimensions of shopping emotions and repatronage intention.<BR>  The result is as follows.<BR>  First, in relation to time pressure, familiarity, privacy and crowding, time pressure influences positively on human crowding and spatial crowding, while familiarity influences positively on human crowding and negatively on spatial crowding. And privacy influences negatively only on spatial crowding. The result shows that customers" perceived psychological time pressure, the familiarity toward stores, and the level of perceived privacy play a significant role in perceiving crowding.<BR>  Second, human crowding and spatial crowding influence two dimensions of shopping emotions: positive shopping emotions and negative shopping emotions. Especially human crowding influences positively on positive shopping emotions while spatial crowding influence positively on negative shopping emotions, which means that shoppers visiting stores feel negative shopping emotions toward spatial crowding, but that shoppers" crowding in stores can arose positive shopping emotions which intrigue interest and liveliness.<BR>  Third, the result shows that shoppers" positive shopping emotions influences positively on repatronage intention. In conclusion, arousing positive shopping emotions results in satisfaction, which increases repatronage intention, and is used as a significant variable to keep patronage.<BR>  Based on the findings, I would like to suggest a few implications to develop marketing strategies in the stores.<BR>  First, consumer behavior under time pressure leads to reduce product search activities, which tends to make customers choose products with past experience to reduce shopping time. So the retailers have to try to cut down time on shopping by displaying products winning popularity and preference, seasonal products, etc. in front of the stores, and providing information or maps of the floor in places good to see.<BR>  In relation to familiarity, the retailers will have to develop strategies which enhance familiarity toward the stores through various promotion activities such as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free sample products or coupons, and sample drinks or taste.<BR>  In relation to privacy, the retailers will have to give priority to secure appropriate shopping space. But if they can"t secure enough physical space, they need to devise psychological strategies. For example, decorating the shopping area with bright-toned colors, comfortable music, partial lighting and fragrance could help to secure psychological personal space.<BR>  Second, the result shows that spatial crowding influences positively on negative shopping emotions, while human crowding influences positively on positive shopping emotions. So, the retailers will have to make shoppers activate by promoting a proper level of human crowding by holding various events or performances, and securing facilities which can attract shoppers. They will also have to reduce shoppers" negative actions resulting from spatial crowding by broadening aisles in the store or making the ceiling look high or using bright lighting or colors.   본 연구는 특정소매점포 내에서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시간압박, 친숙성, 프라이버시가 지각된 혼잡성의 두 가지 차원인 인적, 공간적 혼잡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 지각된 혼잡성의 두 가지 차원과 쇼핑감정의 두 가지 차원, 그리고 재이용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BR>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압박은 혼잡성의 두 가지 차원에 모두 정(+)의 유의한 영향을, 그리고 친숙성은 인적 혼잡성에는 정(+)의 영향, 공간적 혼잡성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프라이버시는 공간적 혼잡성에만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혼잡성의 두 가지차원 중에서 인적혼잡성은 긍정적 쇼핑감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분석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마케팅전략을 수립하기위한 몇 가지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한다면 다음과 같다.<BR>  첫째, 소매점포에서는 시간압박을 느끼는 구매자를 위해 인기선호상품, 계절상품 등의 점두진열이나 매장안내, 매장위치도를 보기 쉬운 장소에 비치하는 등 구매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주고 다양한 촉진활동과 지역사회를 위한 봉사활동 등으로 소매점의 전반적인 이미지상승을 유발시켜 자연스럽게 점포에 대한 친숙성이 높아지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BR>  둘째, 백화점과 같은 소매점포에서는 다양한 이벤트나 공연, 혹은 쇼핑객들을 유인할 수 있는 시설의 유치 등으로 적정수준의 인적혼잡성을 유발함으로써 쇼핑객들에게 활성화 작용을 일으키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공간에 대한 혼잡성으로 인하여 쇼핑객들이 부정적 쇼핑감정을 느끼지 않도록 점포 내 통로를 넓히거나 천장이 높게 보이도록 하고 실내를 밝은 조명이나 색상을 사용해 쇼핑객들의 공간적 혼잡성으로 인한 부정적 행동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모빌리티 빅데이터 기반 도로부문 반복혼잡 심각도 우선순위 분석방법

        이숭봉(LEE, Soongbong),김정민(KIM, Jeongmin),천승훈(CHEON, Seunghoon) 대한교통학회 2021 대한교통학회지 Vol.39 No.2

        교통혼잡 원인 분석 및 해결방안 마련을 위해 모빌리티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모빌리티 데이터는 ITS 인프라 관리 및 제한된 공간적 범위의 한계 극복이 가능하다. 또한, 개별차량의 주행궤적 수집이 가능하여 전국에 대해 객관적이고 일관성 있는 교통모니터링 및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도로구간의 교통혼잡 문제는 국가 경제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제약요소이다. 따라서 도로구간의 교통혼잡 수준을 평가하는 것은 교통관리 및 제어를 위해 중요하다. 기존연구에서 혼잡구간 판단지표는 대부분 단일 평가지표를 활용하였다. 하지만 교통의 복잡성 및 역동성을 고려할 때 다양한 지표를 활용한 평가 방법이 효율적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수집 가능성과 범용적인 활용을 고려하여 속도기반 지표(혼잡강도, 혼잡지속시간, 혼잡구간길이, 병목발생비율, 반복혼잡비율)를 혼잡지표로 설정하였고, 종합점수를 산정하여 우선순위를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반복혼잡 구간 모니터링, 교통정책 의사결정 지원, 도로 인프라 투자, 정책에 대한 사전 · 사후 평가 등 다양한 혼잡개선대책 마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order to analyze the causes of traffic congestion and prepare solutions, studies using mobility data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Mobility data can manage ITS infrastructure and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patial rang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llect the trajectory of individual vehicles, enabling objective and consistent traffic monitoring and analysis across the country. The problem of traffic congestion in the road section is an important constraint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Therefore, assessing the level of traffic congestion on a section of the road is important for traffic management and control. In the previous studies, most of the indicators for congestion section used a single evaluation indicator. However, considering the complexity and dynamics of transportation, an evaluation method using various indicators can be effective. In this study, speed-based indicators (congestion intensity, congestion duration, congestion length, bottleneck rate, congestion rate) were set as congestion indicators in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of data collection and general use. The priority of recurrent congestion severity was evaluated by calculating the composite score using various congestion indicator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help prepare various measures to improve congestion, such as monitoring recurrent congestion sections, support for decision-making on transportation policies, investment in road infrastructure, and pre-post evaluation of policies.

      • KCI등재

        공항 혼잡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스케이프 요인에 관한 연구

        김용희 한국항공경영학회 2022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20 No.4

        Crowding, which refers to the physical and social capacity of resources, has been an important research topic in the tourism field since it influences customers of a certain place. As the competition among airports is getting intensifying, each airport is also needed to focus on improving users’ perception of crowding and satisfaction to gain a competitive edg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scapes, perceived crowding, and satisfaction. This research designed the physical servicescape which is a situational factor that can be actively improved to provide a better service environment of the airport as an antecedent of perceived crowding, and the satisfaction of users as a result variable. Accordingly, each factor of the servicescape and crowding were classified and established hypotheses leading to satisfaction. For the empirical study, a total of 551 effective samples were collected by the customer survey at the site of Jeju International Airport.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3.0 conducting a frequency and reliability test, and hypotheses were verified by using AMOS 23.0. The results are below. First, user convenience had a negative effect on human crowding, whereas aesthetics had a positive effect on human crowding. Second, cleanliness and ambient conditions had a negative effect on spatial crowding, but electronic equipment did not affect spatial crowding. Finally, human crowding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whereas spatial crowding had a negative effect on satisfaction. 자원의 물리적․사회적 수용능력을 의미하는 혼잡은 특정 장소의 이용객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관광 분야의 중요한 연구문제가 되어 왔으며, 공항 간 경쟁이 치열해 지고 있는 만큼 공항 연구에있어서도 이용객의 혼잡지각에 대한 개선을 통해 공항의 서비스 경쟁력을 높일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연구는 그동안 실증연구가 부족했던 공항의 혼잡지각과 선행변수로써 공항의 더 나은 서비스 환경제공을 위해 적극적으로 개선이 가능한 상황요인인 물리적 서비스스케이프, 결과변수로써 이용객의 만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에 서비스스케이프의 각 차원과 인적 혼잡지각과 공간 혼잡지각을 각각 변수로 상정하고 결과변수인 만족에 이르는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서비스스케이프와 혼잡지각은 주로 단일차원으로 연구되었기 때문에 연구결과의 단편적인 이해만 가능했으나 본 연구는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차원적 접근 및 혼잡지각의 선행변수와 결과변수를 아우르는 보다 전체적인 관점을 취하고자 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해 제주국제공항에서 내국인 이용객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총551부의 유효표본을 확보하였다. 주요 분석 방법은 통계패키지 SPSS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내적일관성 파악을 위해 Cronbach’s α값을 적용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AMOS 23.0을 이용하여 타당성 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한 가설 검증을 시행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편의성은 인적 혼잡지각을 낮추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심미성은 인적 혼잡지각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청결성과 공조환경은 공간적 혼잡지각을 낮추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전자장비는 공간적 혼잡지각과 영향관계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인적 혼잡지각은 만족을 높이고 공간적 혼잡지각은 만족을 낮추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광고 혼잡도와 웹 콘텐츠 관여도에 따른 인터넷 배너광고의 기억효과에 관한 연구

        홍종필,마영애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7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the clutter of banner advertisements and users' involvement with Web contents influence on consumer's recall and recognition of banner ads. An experimental design was employed to measure these effects. There were a total of 282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 After surfing the Web sites,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regarding their involvement with the Web contents and their recall/recognition of banner ads. To answer research questions,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two-way ANOVA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recall and recognition of banner advertisements were affected by the degree of banner advertising clutter. Compared to a high-clutter advertising condition, the rates of recall and recogni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 low-clutter advertising condition. In addi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rates of recall and recognition of banner ads between high-involvement and low-involvement groups. Finally, the ad clutter and Web content involvement did not influence the rates of recall and recognition when the banner ad is placed in the upper-center location of a Web site. But the influence of these variables on the ad memory was more evident for the banner ads in the peripheral area of a Web site. The results implies that it will be desirable for marketers to place banner advertisement on less ad-cluttered Web site since more ad-cluttered Web site is likely to result in lower recall and recognition of banner ad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placing banner advertisement in the center area of a Web page will help banner ads be more remembered by Web users. It is suggested that more efforts needs to be done in the futu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vertised product/service and Web site on which banner advertisements are placed. 본 연구는 웹사이트의 광고 혼잡도와 콘텐츠 관여도가 이용자의 배너광고 기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통해 광고 혼잡도와 콘텐츠 관여도를 독립변인으로 하고 소비자의 광고 회상 및 재인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조사하였다. 실험에서는 건강과 디지털카메라 관련 내용을 담은 웹사이트를 제작하여 각 사이트에서 배너광고의 고혼잡/저혼잡 조건을 만들었고, 웹사이트 이용자의 콘텐츠에 대한 관여도 점수에 따라 고관여/저관여 조건으로 구분하였다. 282명의 실험 참가자는 7개의 배너광고가 포함된 고혼잡 광고 사이트와 2개의 배너광고가 포함된 저혼잡 광고 사이트에 할당되어 웹사이트 탐색을 마친 후 웹사이트 콘텐츠에 대한 관여도 측정을 하였고, 각 웹사이트에 포함된 배너광고의 내용에 대한 회상 및 재인 과제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선 배너광고의 회상 및 재인은 광고의 혼잡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광고의 회상과 재인은 고혼잡 조건에서보다 저혼잡 조건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광고 혼잡도가 광고기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콘텐츠 관여도에 따른 광고 회상과 재인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광고혼잡도와 콘텐츠 관여도의 상호작용 효과도 전반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는데, 세부적으로는 고혼잡/고관여일 경우 광고 회상률과 재인률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고혼잡/저관여일 경우 회상률과 재인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즉 혼잡도와 콘텐츠 관여도가 함께 회상 및 재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콘텐츠 관여도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이트의 중심부에 위치한 배너광고에서보다는 주변부에 위치한 배너광고일수록 광고의 혼잡도나 콘텐츠 관여도에 의해 광고 회상과 재인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웹 매체환경에서 많은 수의 광고를 게재하는 웹사이트에 배너광고를 집행하는 경우 배너광고의 혼잡도가 높을수록 광고 기억효과는 더 낮아지기 때문에 가급적 배너광고가 혼잡한 사이트를 지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배너광고의 위치를 결정하는 경우 주변부보다는 웹페이지의 상단 중앙부에 배너광고를 집행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혼잡도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을 덜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웹사이트 이용자가 웹사이트 콘텐츠에 대해 갖는 관심도는 광고 기억에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광고를 집행하는 웹사이트와 광고되는 제품/서비스와의 관련성과 같은 관여도의 이슈는 향후 좀 더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관광객의 혼잡도 지각, 감정, 만족도, 그리고 신뢰 간 구조적 영향관계 분석: 여수엑스포의 개최 공간을 중심으로

        김지희 ( Ji Hee Kim ),이호선 ( Ho Sun Lee ),윤설민 ( Seol Min Yoon )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14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혼잡도, 감정, 만족도, 그리고 신뢰 간 구조적 영향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해 현장 설문조사가 여수엑스포의 방문객들에게 진행되었다. 구조방정식모델링의 결과 인적 혼잡도는 긍정적 감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공간적 혼잡도는 긍정적 감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적 혼잡도는 긍정적 감정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간적 혼잡도보다 더 중요한 변수임이 발견되었다. 이와 반대로 인적 혼잡도는 부정적 감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공간적 혼잡도는 부정적 감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 혼잡도는 인적 혼잡도보다 부정적 감정에 더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긍정적 감정, 인적 혼잡도, 그리고 공간적 혼잡도는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이후 만족도는 신뢰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긍정적 감정과 인적 혼잡도는 만족도에 긍정적으로 연관이 있는 것이 발견된 반면에 공간적 혼잡도는 만족도에 부정적으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만족도를 설명하는 변수들 간 중요도에 따르면 긍정적 감정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인적 혼잡도, 공간적 혼잡도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실무적 시사점은 결론 부분에 더 언급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rowding, emotion, satisfaction, and trust. To this end, onsite survey was conducted for visitors to the Yeosu Expo.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 that human crowding had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emotion, whereas spatial crowding had a negative effect on positive emotion. Particularly, human crowding was found more important variable than spatial crowding in explaining positive emotion. On the contrary to this, human crowding had a negative effect on negative emotion, whereas spatial crowding had a positive effect on negative emotion. Spatial crowding was stronger than human crowding in influencing negative emotion. Also, positive emotion, human crowding, and spatial crowding had an effect on satisfaction which in turn, influenced on trust. Concretely, positive emotion and human crowding appeared to be positively related to satisfaction, whereas spatial crowding appeared to be negatively related to satisfaction. According to importance among variables explaining satisfaction, positive emotion was first, followed by human crowding, and spatial crowding.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were further discussed in the concluding section.

      • KCI등재

        관광객의 혼잡지각이 목적지 매력성과 회피행동에 미치는 영향

        고선희 한국관광진흥학회 2023 관광진흥연구 Vol.11 No.4

        본 연구에서는 관광객의 혼잡지각이 목적지 매력성과 회피행동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관광객 행동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이론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실무적으로는 관광목적지 혼잡지각 관리의 세부 지침 마련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에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가설을 설정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관광객 혼잡지각은 인적 혼잡과 공간적 혼잡의 두 개의 하위차원으로 구분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인적 혼잡은 목적지 매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간적 혼잡은 목적지 매력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목적지 매력성은 회피행동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목적지 매력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회피행동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인적 혼잡과 공간적 혼잡 모두 회피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잡지각이 회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는 인적 혼잡보다 공간적 혼잡이 더 높게 나타나 관광지 관리자는 공간적 혼잡 관리에 대해 중요하게인식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관광지를 선택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강조되어온 목적지 매력성과 회피행동과의 관계 연구를 진행하여 혼잡지각 연구를 확장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ourists' crowding perception on destination attractiveness and avoidance behavior. Hypotheses were establish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empirically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uman crowding was found to have no effect on the destination attractiveness while spatial crowding had a negative effect on destination attractiveness. Second, tourists’ destination attractiven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avoidance behavior, showing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ourist destination attractiveness, the lower the avoidance behavior. Lastly, both human crowding and spatial crowding had a positive effect on avoidance behavior. The influence of crowding perception on avoidance behavior is higher in spatial crowding, so it is believed that tourist destination managers need thorough management focusing on spatial crowding when managing crowding percep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tends research on perception of crowding by conducting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stination attractiveness and avoidance behavior, which has been emphasized as an important factor in selecting a tourist destination.

      • KCI등재

        자영업 혼잡의 경제적 영향에 대한 분석 : 서비스부분 자영업자와 임금근로자의 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스티븐 에스.밤멜,서환주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7 산업혁신연구 Vol.33 No.4

        본 연구는 ‘자영업 혼잡’이 국내 서비스 부문에 종사하는 자영업자들과 임금근로자들의 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한국노동연구원에서 발표하는 한국노동패널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1998년에서 2014년 기간에 27개 서비스 업종 중 9개의 업종에서 자영업 혼잡률이 증가한 반면 10개의 업종에서 감소한 것으로 밝혀졌다. 나머지의 업종에서는 큰 변함이 없었다. 총 종사자 중에서 영세 자영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으로 정의한 자영업 혼잡은 해당 서비스 업종에 속해 있는 영세 자영업자들과 비-영세 자영업자들 소득 모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또한 해당 서비스 업종에 고용되어 있는 임금근로자들의 임금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영업 혼잡률이 낮은 서비스 업종에서는 자영업 혼잡의 부정적인 영향이 매출액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세 자영업자들에게 집중적으로 나타난 반면, 자영업 혼잡률이 높은 업종에서는 자영업 혼잡의 부정적인 영향이 선도 자영업자들에게서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부정적인 영향이 상위 10%의 자영업 집단에 속해 있는 자영업자들에게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영업 혼잡이 임금근로자들의 임금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자영업 혼잡률이 높은 업종에서는 유의미 하였지만 혼잡률이 낮은 업종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한국 서비스업의 자영업 혼잡이 한국 서비스산업 발전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는 가설을 지지한다고 보여 진다. This study looks at the effects of excessive weak self-employment (referred to as “self-employment congestion“) on the economic outcomes of the self-employed and wage earners in the Korean service sector. Using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data (KLIP) of the Korea Labor Institute between 1998 and 2014, of twenty-seven service businesses, the self-employment congestion rate is found to have fallen in nine business types and risen in ten business types during the surveyed period. There were not large changes in the remaining business types Defined as the proportion of weak self-employed within the total number of workers, self-employment congestion in the service sector is found to lower the earnings of both weak and non-weak self-employed and the wages of wage earners within individual service businesses. Specifically, this study finds that the negative effects of self-employment congestion in low self-employment congestion businesses are higher on less successful self-employed but that the negative effects of self-employment congestion in high self-employed congestion businesses are higher on more successful businesses, and especially on the top 10%. It also finds that the negative effects of self-employment congestion on the wages of wage earners are significant in high self-employment congestion businesses, but not in low self-employment congestion businesses. These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excessive weak self-employment in the Korean service sector is a factor hindering development of the Korean service sector.

      • KCI등재

        소매점포 혼잡도의 기대 불일치가 쇼핑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점포방문 경험의 조절효과

        한장희,송국현,최지호 한국유통경영학회 2017 유통경영학회지 Vol.2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tail crowding on shopping behavior and to identify the boundary conditions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tail crowding and shopping behavior such as duration time and re-visit intention. The extant researches of retail crowding classified the retail crowding into the spatial crowding and the human crowding and showed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the dimension of crowding. Especially, in case of human crowding unlike spatial crowding, mixed results were found. In this study, two factors are considered to explain the mixed results of human crowding. First, the crowding degree is actual crowding in comparison to the expected crowding level rather than the actual perceived crowding level.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xpectation dis-confirmation of crowding and shopping behaviors were moderated by the store experience. In order to analyse the research model, data were collected from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 using distribution facilities such as super discount marts, department stores, outlets, and traditional markets, and 205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Hypothesis testing was carried out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 of expectation dis-confirmation of crowding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shopping behavior. Specifically, the expectation dis-confirmation of crowding significantly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visit, and this influence h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that decreases as the experience of the store increases. On the other hand, the expectation dis-confirmation of crowding did not show significant impact on the duration time, and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of store exper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presented. 본 연구는 소매점포의 혼잡도가 쇼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과 동시에 이들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경계조건을 규명하였다. 기존 혼잡도에 관한 연구는 혼잡도를 공간적 혼잡도와 인적 혼잡도로 구분하여 접근하였으며, 혼잡도의 내용적 차원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다. 특히 공간적 혼잡도와 달리 인적 혼잡도의 경우 쇼핑 감정 및 쇼핑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혼재된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인적 혼잡도의 혼재된 결과를 설명하기 위하여 두 가지를 고려하였다. 첫 번째는 혼잡도를 실제 지각된 혼잡도가 아닌 점포 방문 전에 예상되었던 혼잡도와 비교하여 실제 혼잡도가 어떠하였는지를 나타내는 기대 불일치 혼잡도 개념으로 접근하였으며, 기대 불일치 혼잡도가 쇼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점포 경험과 같은 경계조건에[ 따라 효과가 달라질 것이라는 조절효과를 실증하였다.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대형마트, 백화점, 아울렛, 전통시장과 같은 유통시설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지 중에서 205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쇼핑 행동의 유형에 따라 혼잡도의 기대 불일치가 미치는 영향을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혼잡도의 기대 불일치는 재방문 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영향력은 점포 경험이 많을수록 감소하는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발생하였다. 반면에 혼잡의 기대 불일치는 체류 시간에는 유의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들 간의 관계에서 점포 경험의 조절효과 또한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에 기초하여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