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V 방송의 사회복지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수영(Kim Su-Young)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04 비판사회정책 Vol.- No.17

        TV와 같은 매스미디어는 현대사회의 제반 영역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사회복지학적 관점에서 매스미디어를 분석한 연구는 드물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복지재화의 전달자이자, 사회복지이슈의 형성자, 그리고 사회복지서비스의 제공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TV 방송을 전체적으로 조망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나아가 사회복지관련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비평하고, 그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 이차적인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와 관련된 TV 방송 프로그램을 수집하여 이를 ‘모금 프로그램’, ‘이슈전달 프로그램’, ‘서비스제공 프로그램’으로 분류하고, 그 현황 및 대표사례, 변천과정과 한계점, 모범사례 등을 분석하였다. 먼저 사회복지분야와 관련된 모금 프로그램은 1990년대 중반부터 활성화되었는데, 특히 정치적 민주화, IMF 경제위기, ARS 기술도입 등이 이 유형의 발전에 일조하였다. 그러나 과도한 ARS 사용으로 인한 모금방식의 획일화, 방송사와 모금단체의 협력부족으로 인한 모금사업의 비전문성, 기금사용내역을 시청자에게 공개하지 않는 문제 등이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이슈전달 프로그램은 사회복지관련 프로그램 중 가장 역사가 길다. 이 유형은 근대화 ㆍ민주화 등 정치적 요인, 산업화ㆍ경제위기와 같은 경제적 배경에 따라 단절적인 패러다임 변화를 보였다. 특히 최근 오락성과 공익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공익적 오락 프로그램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데, 이러한 장르 혼합방식은 사회문제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지 못한 채 단편적인 이슈제기로 끝날 우려가 있다. 마지막으로 서비스제공 프로그램은 아직 모색단계에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여러 면에서 개선해야할 점들이 발견되었다. 이중 저급한 자원동원 기술(begging)로 인한 출연자의 인권침해, 서비스제공에 있어서 출연자의 자기 결정권 박탈과 같은 윤리적인 문제들은 시급하게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덧붙여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관련 프로그램의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기 위한 방안으로 각 국에 현존하고 있는 Best Practice Model을 소개하였다. 선정된 모범사례들은, 사회문제의 다각적인 이슈화, 방송사-사회복지단체-정부-시민의 협조체계, 다양한 전문기술의 개발, 사례관리와 사후피드백 등, 그 유형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Best Practice Model이 한국 방송의 풍토에 맞게 적절하게 응용된다면 사회복지관련 프로그램이 직면한 한계들을 일정 부분 극복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The primary object of this Study is to take a general view on Korean welfare-related TV programmes, as a deliverer of donation, as a constructor of welfare issues and as a offerer of social services, Secondary object is to criticize them and search for alternative forms,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s, I categorized welfare-related programmes into three role types, i.e. donation programmes, issue-constructing programmes and service-offering programmes, and explored their present conditions and Korean examples, histories, problems and best practice models respectively. Donation programmes have been regularized since the mid-90’s, promoted by political democratization, IMF crisis and the introduction of ARS. Although they contribute in some ways to donation culture, some limitations still remain. ; uniform fundraising strategy, loose cooperation with community chests, obscurity of fund usage. Issue-constructing programmes have the longest history among the three. The main theme and format of this type have changed according to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Recently, so-called ‘public entertainment programme’ format has become popular. However, this format tends to convey fragmentary information about social issues by putting emphasis mainly on entertainment. Finally, service-offering programmes is in its early stages, and so has to be improved in various aspects. Particularly, the strategy of resource mobilization employed by most of the programmes was of the lowest-grade (begging), which is violating human rights and self-determination of the clients. In addition, I selected three welfare-related programmes from foreign or Korean TV broadcasting as best practice models. These models have several things in common regardless of their role types. They approach the social problems multilaterally; keep close cooperation with communities and citizens; strive to develope the resource mobilization skills; evaluate their achievement and use the feedback. If Korean welfare-related programmes properly adapt the features mentioned above, it will be possible for them to overcome their weaknesses to some extent.

      • KCI등재후보

        사회교육기관의 독서 프로그램 운영 실태

        정옥년 ( Ok Ryun Jung ) 한국독서학회 2004 독서연구 Vol.- No.12

        이 연구에서는 사회교육기관에서 독서지도를 담당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독서프로그램 운영 실태와, 독서전문가로서 필요한 자질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또한 독서프로그램을 지도자 대상 프로그램과 학생 대상 프로그램으로 구분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독서지도에서 토론수업 모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독서프로그램의 목적은 사고력과 독해력 계발이 가장 많았다. 독서지도에서 많이 강조되는 활동은 통합적 활동이었고, 학습 자료는 필요에 따라 가르치는 사람이 직접 제작하거나 미리 제작된 교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독서프로그램의 성공여부는 학생의 흥미와 객관적인 검사 결과, 부모의 만족 등을 통해서 알아보고 있었으며, 프로그램의 비용은 거의 학습자 부담이었다. 그러나 독서프로그램 운영 실태는 독서지도 담당자들의 교육배경과 활동 영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독서전문가로서 사람들이 가장 많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내용은 이해력 향상과 글쓰기 전략이었다. 독서프로그램을 개설하는 기관의 성격에 따라서 지도자 대상 프로그램의 성격을 달랐으며, 이에 따라 프로그램의 질과 강사진의 수준, 운영방식도 차이가 있었다. 학생 대상 프로그램은 단계별 교육과정 체계, 독서기능과 학습용 워크북, 집단구성 방법, 강조하는 활동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nature of reading instruction in the social institution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form was made and sent to the reading coaches who were working in the social institutions. The results of this survey were as follows: First, the discussion model was used more frequently by the reading coaches than any other reading instructional models. Secon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of the reading coaches, there was some differences in the objectives of reading instruction, the kinds of reading materials and the workbooks which were utilized to develope reading skills. Third, the strategies to develope reading comprehension and writing ability were the qualities that the most reading coaches selected to be needed to them.

      • 집단활동프로그램이 방과후 공부방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경욱,이은희 한국방과후아동지도학회 2005 아동중심실천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방과후 아동의 환경을 이해하고 그들의 바람직한 성장을 위하여 P 시의 영구임대아파트 단지 내에 있는 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초등학교 1, 2, 3 학년 방과후 공부방 아동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집단활동프로그램이 아동들의 사회적 능력을 향상시키고 행동성향을 파악하여 성격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를 실시하기 전에 사회적 능력 검사와 아동행동경향 검사를 실시하여 동질성검사를 한 후 20명의 아동을 실험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으로 나누었고 2개월간 주 2회의 집단활동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집단활동프로그램은 기존의 집단활동프로그램과 놀이프로그램을 아동들의 특성에 맞게 본 연구자가 재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의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여 SPSS for 11.0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집단활동프로그램의 실시 후 사회적 능력과 아동행동경향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활동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사회적 능력이 통제집단보다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주었다. 둘째, 집단활동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아동행동경향의 공격성과 주장성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났다. 그러나 순종성에서는 실험집단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아동들이 성격이 활발해지고 자신의 주장을 하나씩 이야기할 수 있고 자신들 나름대로 사고의 폭이 조금씩 넓어지는 시기여서 이런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회적 능력과 행동특성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은 집단활동프로그램이 효과적이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체계적이고 의도적인 프로그램의 개입은 아동 개인의 내적 자원들의 역동을 이끌어내고 개인과 외적 자원간의 상호작용의 부조화를 통제할 수 있게 한다고 본다. 앞으로 방과후 공부방 아동에 대한 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좀 더 다양한 프로그램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며 장기적인 효과와 그 효과가 외적 행동으로 얼마나 표면화되는지 등에 관한 문제가 후속 연구를 통해 탐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비교과프로그램이 대학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 K 대학교를 중심으로

        박창남,정원희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non-subject educational programs affect core competencies based on survey of perceptions and needs on those programs of K University students, and to suggest directions of non-subject education. The non-subject educational programs of K University are classified into 3 domains, which are self-understanding, competency reinforcement, and experience, and experience domain affects the most on developing core competency of K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the correlation of which non-subject educational program affects on developing specific competency, and restructure existing programs in accordance with the necessity of developing competency of students actually, 2)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rograms related to related to experience domain which influences academic achievement significantly, 3) It is needed to design student customized programs in order to enhance participation of students and effectiveness of program implementation. Considering above result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shows how universities should establish a variety of student needs-based non-subject educational programs and give a direction how they can lead students to experience different types of such programs and achieve their educational goals. 본 연구는 k 대학의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의 인식조사를 통해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비교과 교육의 방향성을 제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k 대학의 비교과 프로그램은 자기이해, 역량, 체험 영역으로 구분되며, 실제 분석결과 k 대학 재학생의 핵심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비교과 프로그램은 체험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와 그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첫째, 실제 설계된 비교과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어떠한 역량을 키워주는지 재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학생들의 역량개발에 필요한 프로그램 위주로 기존 프로그램을 재설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체험 영역과 관련된 비교과 프로그램이 역량성취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비교과 프로그램의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비교과 프로그램의 참여 및 효과를 제고하기 위하여 학생수요맞춤형 비교과 프로그램의 설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함의는 대학이 수요자 중심의 체계적인 비교과 교육과정 및 운영체계를 구축하고 학생들의 참여와 프로그램 운영 목적 달성에 중요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라 하겠다.

      • KCI등재

        일본판례를 통해서 본 프로그램발명의 특허적격성 - 프로그램특허제도 도입 후를 기준으로 -

        권태복 한국지식재산학회 2017 産業財産權 Vol.- No.52

        일본저작권법에는 프로그램을 저작물로 보호한다고 명문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특허법에도 세계 최초로 프로그램을 특허의 보호대상에 포함하는 법제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 프로그램은 종래부터 저작권법에서 보호하는 표현에 해당하는 것이지만, 프로그램에 내재된 아이디어는 현행 저작권법의 보호대상이 아니므로, 프로그램의 아이디어를 적절히 보호할 수 없다는 취지에서 특허법에 도입되었다. 특허법 개정과 더불어 심사기준을 개정하여 시행하면서, 2015년에는 「특허․실용신안 심사기준」의 부속서에 “컴퓨터소프트웨어관련발명의 심사기준”을 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특허법하에서는 프로그램발명의 특허적격성을 어떠한 기준으로 판단하여 특허권을 허여하여야 하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프로그램특허제도의 도입 후, 프로그램의 특허적격성을 판단하는 일본특허청의 실무에서는 엄격한 특허적격성 심사를 진행하여 특허를 허여하고 있다. 또 일본법원은 프로그램발명이 “자연법칙을 이용한 기술사상”에 해당하는 것인지에 대한 판단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즉 일본법원은 프로그램발명이 특허적격성을 인정받기 위한 기준으로, 먼저 프로그램이 특정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있어야 하고, 다음으로 하드웨어와의 결합되어 수행되는 수단이 공지기술이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범용기술이 아니라 특정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술구성이 있을 것을 요구하고 있다. It is expressly stipulated in the Japan Copyright Law that the program is protected by the work, however in the Japan Patent Law, the legislation including the program in the target to be protected in the patent is introduced to be enforced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Although the program corresponds to the expression protected in the Copyright Law from the past, the program is introduced to the Patent Law in the purpose of that the idea involved in the program is not the target to be protected in the current Copyright Law and the idea of the program cannot be appropriately protected. In company with the revision of the Patent Law, upon revising the Examination Guidelines to implement, in 2015, “the examination guidelines of Invention related to computer software” is revised to be implemented in the annex of the Patent. Utility Model Examination Guidelines. As described under the Patent Law, it is very important to determine the patent eligibility of the program invention by any standards to allow the patent right. After introducing the program patent institution, in the practice of the Japan Patent Office which determines the patent eligibility of the program, the strict patent eligibility examination is proceeded to allow the patent by considering the conflict with the Copyright Law. Further the Japan Court suggests the determination guidelines whether the program invention corresponds to “the technological concept using the natural laws”, that is, in the Japan Court, as the guideline for recognizing the patent eligibility of the program invention, the patent eligibility can be recognized by that first, the program should be combined with the hardware for performing the specific purpose and next, there has been the concrete technological constitution which is not the publicly known technology or the general purpose technology used generally, for performing the specific purpose in the combination with the hardware.

      • KCI등재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평가 연구

        이봉주(Lee Bong-Joo),김예성(Kim Ye-Sung),임정임(Lim Jeong-Im)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한국청소년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의 개발과정 및 효과성 평가에 관한 연구이다. 본 프로그램은 학생뿐만 아니라 학교, 가정, 지역사회를 개입대상으로 포괄하였으며, 논리모델에 입각하여 구체적인 프로그램 내용을 개발하였다. 연구자와 실무자들의 논의를 거쳐 다섯 가지 클라이언트 체계조건이 도출되었으며, 이에 기반하여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폭력에 대한 허용도 감소와 대처능력 증가라는 중간적 성과와 실제적인 학교폭력 경험 감소 및 학교안전감 증가라는 궁극적 성과를 설정하였다. 효과성 평가 결과, 프로그램 참여는 폭력에 대한 허용적 태도 감소에는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궁극적 성과에 대한 프로그램의 직접적인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참여의 간접적인 영향을 심층분석하기 위하여 논리모델에 따른 연구모형을 기반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다. 프로그램 효과성 경로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참여는 폭력에 대한 허용적 태도를 감소시키고, 이는 다시 직접적 또는 폭력에 대한 대처능력을 매개로 하여 학교폭력 감소와 학교안전감 증대에 유의미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의 보완 방안과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present findings on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and evaluation of a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The prevention program was designed to target students, teachers, parents and community residents and utilized the above groups as participants. Based on a logic model, five conditions of a client system were developed and from which specific intervention activities were developed. Researchers and field workers worked together throughout the model development process. For the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egression analysi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used. In regression an alysis, we found that the program had significant effects on decreasing the level of acceptance of violence. However, in the regression analysis, we found that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had no direct effects on the students' coping ability in regards to violence, their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and sense of school safety. In order to examine pathways of indirect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final outcomes, we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 found that the program indirectly decreases the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and increases the sense of school safety by decreasing the level of acceptance of violence and increasing the coping ability with regard to violence. Variou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focusing on improving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프로그램의 운영변수와 외부환경이 프로그램 효과에 미치는 영향

        노혜련(Noh He-Len),김수영(Kim Soo-Young),김영란(Kim Young Ra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한국청소년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의 효과에 운영변수와 외부환경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에 참여한 서울 경기지역의 3개 초등학교와 13개 중학교의 총 1,039명의 학생들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운영변수와 관련해서는 참여자가 학년이 어릴수록, 진행자와 참여자 모두 간에 의사표현과 대화가 자유롭게 이루어지면 질수록, 그리고 학생들이 프로그램 진행 장소와 시간이 적절하다고 인식할수록, 프로그램 실행기간이 단기일 때 프로그램의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환경과 관련해서는 교사의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학급 내 학생들 간에 폭력이 적게 일어나면 날수록, 그리고 학교교칙이 공정하고 일관성 있게 적용될수록 프로그램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프로그램이 목표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내용뿐 아니라 프로그램 운영방식과 학교환경의 개선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해준다. 운영변수 중에서는 진행자와 참여자 모두 간의 자유로운 의사표현의 수준이 프로그램의 효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쳐 참여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고 있다. 더불어 외부환경과 관련해서는 학교분위기를 측정하는 3가지 변수가 모두 프로그램의 효과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기 위해서는 학교의 분위기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접근이 수반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1,039 students from 3 elementary schools and 13 middle schools who participated in a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in order to elucidate the effect of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program effectiveness.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with respect to management factors, the ages of the participant, the degree of free communication among program providers and participants, the appropriateness of place and duration for program implementation, and the duration of the program significantly affected program effectiveness. More specifically, the more that students thought that the place in which the program was provided and the duration of the program were appropriate, the more they thought that program was effective. As for environmental factors, all three factors i.e. teacher's attitudes, levels of violence in class, and the degree of fairness and consistency in the application of school rule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program effectiveness. Thus, the more students thought that their teachers cared about them, the fewer incidents of violence occurred within their classes, and the more fair and consistent they perceived the school rules to be applied, the more they tended to perceive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Such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for a school violence program to be effective, as much attention should be paid to improving the ways in which program is provided and the school environment in general, as to the contents of the program. Of all factors, the degree of free communication among program providers and participants had the strongest effect on program effectiveness, revealing the importance of providing the program in a way that student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and contribute to. In addition, the fact that all three variables measuring the school environment were found to affect program effectiveness implies that a systematic approach to changing the school atmosphere in a positive way should occur in order to maximize program effectiveness.

      • KCI등재

        성인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관계론적 탐색

        유기웅 한국성인교육학회 2011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4 No.3

        Program planning is a critical activity in the field of adult education. This article proposes a viewpoint on program planning practice that takes social relations as central to planning programs and asks what adult educators can do to plan from the relational perspective. Although there are number of studies in the literature investigating various theories of program planning and using those theories as conceptual frameworks, little is known about the relational perspectives of program planning. This study explores the central concepts on which the study is based: What is meant by relational perspective? What is relational program planning? Why is relational program planning important? Future empirical research could further test the adequacy of this study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본 연구에서는 성인교육 프로그램 개발 활동을 탐색하는 데 있어 관계론적 관점이라는 새로운 이론적 틀을 제시하여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논의를 확대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하여 적지 않은 연구가 있어 왔지만 최근 10여 년 동안 별다른 이론적 발전을 이루지는 못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기존의 이론과 모델을 ‘이론적 틀’로써 적용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으며, 프로그램 개발 이론 및 모델 자체에 관한 새로운 연구 활동이 활발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우선 사회학에서 논의되고 있는 관계론적 관점의 개념과 경험연구를 소개하고 성인교육 프로그램 이론적 동향을 논의한 후 관계론적 프로그램 개발과 중요성, 그리고 향후 연구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프로그램 개발 활동이 사회적 활동이라는 의미는 단지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어 사회적 맥락을 고려해야한다는 기존의 논의를 넘어, 모든 프로그램 개발 활동은 사회적으로 배태(embedded)되어 있고, 복수의 개인들의 다양한 상호작용이 프로그램 개발에 영향을 미친다는 관계론적 관점(relational perspective)에서 프로그램 개발을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초등 고학년 학습부진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적용 학습동기 증진 프로그램 개발

        김영이(Kim Yeong Lee),이윤주(Lee Yoon 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2

        본 연구는 초등 고학년 학습부진 아동의 학습동기 증진을 목적으로 음악치료를 적용한 학습동기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개발과정은 김창대(2011)의 개발 모형에 따라 1단계 목표 수립, 2단계, 프로그램 내용 구성, 3단계, 예비프로그램 실시, 4단계, 프로그램 완성의 단계를 거쳤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학습부진 아동이면서 학습동기가 낮은 16명을 선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8명씩 배정하고, 2016년 3월 28일부터 4월 27일까지 실험집단에 본 프로그램을 일주일에 2회, 40분씩, 10회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 김아영(2002)의 학업동기검사를 사용하여 각 집단 사전, 사후 검사를 하고 분산분석으로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습동기와 학습동기 하위 요인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적 실패내성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 learning motivation program based on music therapy in order to increase learning motives of high-grade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school. Program development process was composed of four development step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model by Changdae Kim(2011). The 1st step is establishment of goal. The 2nd step is organization of contents of the program The 3rd step is complimentation of a pilot program. The 4th step is completion of the program. In order to verify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16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 and low motivation were selected, 8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8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is program was implemen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for 40 minutes twice a week from Mar 28 to Apr 27, 2016. A pretest and a posttest were carried out using learning motivation test by Ayeong Kim(2002) as a measuring instrument and effectiveness was analyzed using ANOVA. As a result of this study, learning motive, learning efficacy and learning failure tolerance as subordinate elements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than those of control group. Some suggestions were propo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discussions and following stud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