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의 이론적 토대 탐색

        오영범(Youngbeom Oh) 한국질적탐구학회 2023 질적탐구 Vol.9 No.1

        본 연구는 최근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포토보이스 연구방법의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포토보이스’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제시한 Wang과 Burris의 초기 연구들을 조명하면서 포토보이스의 개념 및 특징을 살펴보았다. 둘째, 포토보이스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프레이리의 비판적 의식화 교육론, 페미니즘, 그리고 다큐멘터리 사진에 대해 검토하였다. 셋째, Latz(2018)가 언급하고 있는 포토보이스 8단계 연구 절차를 제시하였다. 포토보이스 연구 절차는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국·내외에서 발표된 연구들을 예시로 활용하였다. 넷째, 포토보이스 연구에서 타당도를 확보할 수 있는 세 가지 전략으로 사진을 중심으로 부가적인 자료 수집을 통한 삼각 검증, 사진의 현실성 및 진실성, 그리고 연구 참여자의 주체성 보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 간호학, 여성학, 교육학 등과 같이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점진적으로 적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포토보이스 연구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갖는 네 가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첫째, 이 연구는 포토보이스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자에게 유용한 지침이 될 수 있다. 둘째, 포토보이스는 소외된 사람들의 목소리를 표면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주었다. 셋째, 포토보이스를 통해 지식 생산의 민주화를 확산할 수 있다. 넷째, 포토보이스는 실천적 지식을 강화하는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build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photovoice research method that has recently emerged. First,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hotovoice were examined while illuminating the early studies of Wang and Burris, who first suggested the term ‘photovoice’. Second, Freire’s critical consciousness education theory, feminism, and documentary photography, which are the theoretical basis of photovoice, were reviewed. Third, the 8-step photovoice research procedure mentioned by Latz (2017) was presented. For the photovoice research process, papers published at home and abroad were used as examples to help readers understand. Fourth, as three strategies to secure validity in photovoice research, triangulation through additional data collection centered on photographs, reality and truthfulness of photos, and guarantee of subjectivity of research participants were proposed.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 of photovoice research, which is gradually expanding its scope of application in various academic fields such as social welfare, nursing, women’s studies, and education. Finally, four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First, this study serves as a useful guideline for researchers who want to conduct photovoice research. Second, Photovoice opened up the possibility of bringing the voices of the marginalized to the surface. Third, democratization of knowledge production can be spread through Photovoice. Fourth, photovoice can be a useful way to reinforce practical knowledge.

      • KCI등재

        포토보이스의 지리 교수 및 학습 도구로서의 가능성과 함의 탐색

        조철기(Chul-Ki Cho),김병연(Byung-Yeon Kim) 한국지역지리학회 2020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6 No.3

        이 논문은 공동체기반 참여적 실행 연구의 한 방법론인 포토보이스의 지리 교수학습 도구로서의 가능성과 그 함의를 탐색한 것이다. 지리 교수학습 도구로서 포토보이스는 학생들에게 권한을 부여하여 그들이 살고 있는 공동체의 공간적 쟁점에 적극 참여 또는 개입하여 조사하게 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의사결정자들에게 촉구하여 사회변화와 사회정의 실현을 위한 행동학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교수적 도구로서 포토보이스는 지리 교수학습을 위해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첫째,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지리수업은 학생들이 일상적으로 체험한 경험들의 시각화(재현의 지리) 뿐만 아니라, 비주얼 내러티브 쓰기와 스토리텔링을 통해 개인적 의미와 감성(비재현의 지리, 개인지리/암묵적 지리)을 끌어내어 학생들의 비주얼 리터리시를 강화한다. 둘째, 포토보이스는 학생들에게 권력부여를 통해 비판적 의식 함양과 실천을 강조하는 장소에 대한 비판적 페다고지를 실현할 수 있다. 셋째, 포토보이스는 지리하기 또는 행함으로써 지리학습 하기를 실현할 수 있는 교수적 도구로 학생들의 능동적 학습과 시민성에 기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포토보이스는 학생들에게는 실제적 학습을 가능하게 하고, 교사에게는 참평가를 할 수 있게 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potential and implications of Photovoice, a methodology of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as a pedagogical tool for geography subject. As a geography pedagogical tool, Photovoice can empower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or intervene in the spatial issues of the community they live in and to urge decision makers to address them so as to enable behavioral learning for social change and the realization of social justice. As a pedagogical tool, Photovocie can play an important role for geography teaching and learning. First, geography class using Photovoice not only enhances students’ visualization of their everyday lived experiences(geographies of representation), but also strengthens students’ visual literacy by drawing personal meaning and emotion(geographies of non-representation, personal geography/ tacit geography) through visual narratives and storytelling. Second, we can use photovoice to realize a critical pedagogy of place that emphasize fostering critical consciousness and doing praxis through empowerment of students. Third, Photovoice can contribute to students" active learning and citizenship as a pedagogical tool that can be realized by doing geography or learning by doing. Finally, Photovoice offers students a chance for authentic learning and teachers a chance for authentic assessment.

      • KCI등재

        도시, 길고양이, 우리(나) : 학교지리에서 포토보이스의 가치 탐구

        김병연(Byung-yeon Kim),조철기(Chul-Ki Cho) 한국지역지리학회 2021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7 No.1

        지리교육에 있어 학습자들을 지리 공동체와 연결하기 위해 지역의 지리적 쟁점을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다양하게 제공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공동체의 쟁점과 그 문제의 해결에 능동적으로 참여함으로서 실질적인 권한부여를 받을 수 있는 참여적 행동 연구인 포토보이스 방법론을 적용하여 고등학교 지리 교실에 교수학습 도구로서의 가치를 탐구해 보았다. 그 결과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포토보이스는 지리교수학습도구로서의 가치를 가진다. 첫째, 포토보이스는 학생들에게 권한 부여를 통해 비판적 시민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둘째, 포토보이스는 학생들이 사진을 촬영, 선택, 해석하고 토론, 전시하는 과정 속에서 학생의 위치성을 지식의 대상에서 지식의 생산자로서 전환시킨다. 셋째, 포토보이스는 지리교실 안과 밖을 연계시킴으로서 학생들을 공동체에 적극적으로 참여시켜 능동적 학습자로 변화시킨다. In geography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provide a variety of opportunities to explore regional geographic issues in order to connect learners with geographic communiti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possibility as a pedagogical tool in high school geography classroom by applying the photovoice methodology,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in which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 in solving community issues and their problems. As a result, i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Photovoice has value as a geographical pedagogical tool. First, photovoice can promote critical citizenship by empowering students. Second, Photovoice transforms the student"s positionality from the object of knowledge to the producer of knowledge in the process of taking, selecting, interpreting, discussing, and exhibiting pictures. Third, Photovoice connects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geography classroom,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community and transforming them into active learners.

      • KCI등재

        포토보이스 지식형성 구조에 관한 이해: Nonaka의 지식 창조이론(knowledge creation theory) 관점에서

        허원빈,오영삼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社會科學硏究 Vol.28 No.2

        포토보이스가 국내에 도입된 이후 많은 연구자가 이를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포토보이스 내 지식형성과정에 대한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학문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포토보이스에 내재한 지식형성 구조를 해체하고 분석하였다. 먼저 Nonaka의 지식창조이론을 바탕으로 질적 연구방법론 중 하나인 문화기술지를 분석한 후 포토보이스 지식형성 구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포토보이스 지식형성 과정은 구현, 이해, 공론 단계를 거쳤다. 특히 사회변화(옹호)를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는 포토보이스는 기존 질적 연구와 달리 연구자와 참여자가 공동지식을 형성한 후 이를 지역사회로 전파, 확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었다. 포토보이스가 추구하는 가치와 내재된 원리를 파악함으로써 포토보이스가 올바르고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지침을 제공하는데 본 연구는 기여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육아의 현실에 관한 포토보이스

        오영범,백승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3

        Objectiv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ality of parenting.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 what is the meaning of parenting?, Second, what are the difficulties of parenting?, Third, what are the rewards of parenting? Methods Researchers applied the photovoice research method, a type of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to explore the reality of parenting. Fourteen mothers who are experiencing childcare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study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photovoice activities three times. The first meeting between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took place during orientation. Using this time, the researchers explained the concept, characteristics, procedures, and effects of photovoice to the participants. Additionally, the researchers informed the participants that they would take pictures, give meanings, and conduct discussion activities according to the topic. Researchers collected data through three sessions of photovoice activities and photo-based focus group discussions with participant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processes of selecting, contextualizing, and codifying, and results were derived according to three research question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eaning of parenting appeared to be growth and hope through reflection, and the difficulties of parenting appeared to be continuous self-sacrifice in difficult situations. And the reward of parenting appeared as the reason for existence and the power of social move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veyed their vivid voices by conducting photovoice research targeting mothers experiencing parenting. Conclus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ers discussed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we were able to vividly see the reality of mothers experiencing childcare. Second, by applying the photovoice research method, we showed the reality of mothers experiencing childcare in a three-dimensional way. Third, this study, which applied the photovoice research method, served as a useful channel through which the voices of mothers experiencing childcare could be conveyed to society.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photovoice can be a useful means of social participation.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육아의 현실을 탐색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육아의 의미는 무엇인가?, 둘째, 육아의 고충은 어떠한가?, 셋째, 육아의 보람은 무엇인가? 방법 연구자들은 육아의 현실을 탐색하기 위해 참여적 행동 연구의 한 유형인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에는 육아를경험하고 있는 14명의 어머니들이 참여하였고, 연구 참여자들은 3차례에 걸쳐 포토보이스 활동에 참여하였다. 연구자들과 참여자들의 첫 만남은 오리엔테이션 시간에 이루어졌다. 이 시간을 활용하여 연구자들은 참여자들에게 포토보이스의 개념, 특징, 절차, 그리고 효과를 설명하였다. 또한 연구자들은 주제에 따라 사진을 찍고 의미를 부여하며 토론 활동을 수행할 것이라고 참여자들에게안내하였다. 연구자들은 참여자들과 함께 3회기의 포토보이스 활동, 사진에 기반한 포커스 그룹 토론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선택하기, 맥락화하기, 그리고 성문화하기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고, 세 가지 연구 문제에 따라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육아의 의미는 성찰을 통한 성장과 희망으로 나타났고, 육아의 고충은 어려운 상황 속 지속되는 자기희생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육아의 보람은 존재의 이유와 사회 움직임의 힘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육아를 경험하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포토보이스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그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전달하였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첫째, 육아를 경험하는 어머니들의 현실을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육아를 경험하는 어머니들의 현실을 입체적으로 보여주었다. 셋째,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이 적용된 본 연구는 육아를 경험하고 있는 어머니들의 목소리가 사회를 향해 전달될 수 있는 유용한통로 역할을 하였다. 넷째, 포토보이스는 유용한 사회적 참여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포토보이스를 적용한 사회복지 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허원빈,정하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保健社會硏究 Vol.39 No.4

        In this review, 31 studies employing photovoice in the social work area were analyzed based on 11 criteria. The review revealed that the number of studies using this method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since 2012. Studies using photovoice tended to focus on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61% of the studies focused on minority groups as participants. As to research methodology, 23% of the studies used specific strategies to facilitate participant discussions, and 84% used focus group interviews to collect data; various data analysis methods such as thematic analysis were applied. Notably, most studies did not make as full use of their photovoice results as they could have. Lastly, only a few studies presented specific criteria or strategies for verifying the data collected. On the whole, the use of photovoice as a research method corresponded with social work values and was an appropriate means of accommodating changing conditions in the field of social work research. Social work researchers should consider the review’s findings in efforts to make future photovoice studies more systematic and rigorous. 본 연구는 포토보이스를 적용한 사회복지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11개의 기준을 활용하여 31개의 사회복지관련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포토보이스 연구 31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포토보이스 연구는 2012년부터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었으며, 참여자들의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포토보이스 연구가 수행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취약계층에 비해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가 61%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과 관련하여, 사진 논의를 위한 구체적인 기법을 사용한 연구는 7편(23%)에 그쳤으며, 자료의 수집방법으로는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사용한 연구가 26편(84%)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자료의 분석방법으로는 주제분석 방법 등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대다수의 연구가 포토보이스 연구로부터 도출된 연구결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한 진실성을 검증하기 위한 적절한 기준 또는 전략도 대다수의 연구에서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토보이스 연구방법은 사회복지가 추구하는 기본 가치에 부합하며, 변화하는 사회복지학계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적절한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동향분석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향후 사회복지학계에서 수행되는 포토보이스 연구의 체계성과 엄격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지적장애인이 참여한 포토보이스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최재완 ( Jea Wan Choi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6 지적장애연구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인이 참여한 포토보이스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실천적 함의와 발전과제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정기준 및 절차에 따라 24편의 논문을 선정하였고, 발표 연도와 출처, 연구 참여자의 수와 연령, 연구 기간, 진실성 검증 방안, 포토보이스 결과물 활용 방안 및 연구 주제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외에서는 2003년도 지적장애인 포토보이스 연구가 처음 발표되었고, 그 이후 꾸준히 그 수가 증가해오고 있으나 국내에 발표된 포토보이스 논문은 1편뿐이었다. 둘째, 대학생이나 성인이 참여한 연구가 많았고, 참여자 수는 대부분 10명 이하였다. 셋째, 연구기간을 제시한 논문은 11편뿐이었는데, 포토보이스가 충분한 연구기간이 필요한 연구임에도 불구하고, 1~2개월의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이루어진 연구가 많았다. 넷째, 연구의 진실성을 검증하기 위해 현장 방문, 관찰, 관계자 면담 및 본인과의 심층면담과 같은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과반수이상의 연구가 진실성 검증 방안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다섯째, 포토보이스 결과물을 발표하기 위해 사진 전시회, 제도나 정책 관련 이해 관계자들과의 회의, 관련 기관에 보고서 제출, 언론매체 및 웹사이트 활용과 같은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여섯째, 연구주제는 지적장애인의 지역사회 통합, 주거환경 증진, 건강관과 건강증진에 대한 요구로 범주화되었다. 지적장애인 포토보이스 연구를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참여자 주도성과 함께 촉진자의 보완적 개입이 고려되어야 하고, 참여자의 사진 촬영과 토론 과정을 지원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이 마련되어야 한다. 결론에서는 전반적 연구 동향과 실행 전략을 고찰한 결과로부터 향후 연구를 위한 발전 과제와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trends in the field of photovoice with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suggest effective practice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4 studies were selected based on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nd analyzed in terms of publication year and source, the number and age of participants, duration, veracity, presentation of findings and research them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studies has been increased since 2003 when the first photovoic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published. however, only one study has been published in Korea. Second, mostly,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less 10 and majority of them were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Third, just 11 studies mentioned the duration and most of them was less than 1 to 2 months which is relatively short to conduct a photovoice. Fourth, regarding the veracity, site visi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personally or with person concerned were usually used. but majority of the studies didn’t mention it at all. Fifth, photo exhibition, report to administrative agencies, town hall meeting attended by community stake holders, news media and web site were frequently used to present the findings of the photovoice, Sixth, the theme of the studies were organized into three themes including the need for community inclusion,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and health promotion.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e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포토보이스를 통해 본 반려견 동반 운동 참여의 의미

        권오정 ( Kwon Oh-jung ) 한국체육학회 2020 한국체육학회지 Vol.59 No.1

        본 연구는 포토보이스를 활용해 반려견 동반 운동 참여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최소 5년 이상, 주 3회 이상 규칙적으로 반려견과 운동하는 성인남녀 1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포토보이스 기법을 활용하였다. 포토보이스 기법의 자료수집은 오리엔테이션, 포토보이스 실행, 포커스그룹 인터뷰 순서로 진행하였으며, 자료분석은 Braun 과 Clarke(2006)의 주제 분석법(thematic analysis) 6단계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반려견 동반 운동 참여의 의미는 신체적 의미, 심리적 의미, 사회적 의미, 환경적 의미로 도출되었다. 각 주제 중 신체적 의미는 나의 건강과 반려견의 건강, 심리적 의미는 나의 즐거움과 반려견의 즐거움, 사회적 의미는 나의 사회성 확장과 반려견의 사회성 확장으로, 환경적 의미는 반려견 동반 여가활동의 촉진 환경, 제약 환경, 그리고 환경 확장을 위한 노력으로 범주화 되었다. 공통적으로 반려견운동 참여의 의미들은 연구참여자 자신의 체험과 반려견의 체험이 상호호혜적으로 구성되었으며, 환경적 의미에서는 참여자들이 느낀 반려견 동반 활동 시의 제한점 및 제약, 개선 사항 등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여 반려견 동반 운동 참여의 다양한 의미를 탐색하고 동반 활동에 대한 환경적, 사회적, 정책적 함의를 도출한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반려견 동반 여가활동의 영향력이 제시될 뿐만 아니라, 체육학 내 관련 후속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해본다.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of participation in companion dogs using photo voice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0 adult men and women who regularly exercise dogs for more than 3 years and 3 times a week. To achieve the purpose of research, the photo voice technique was used. Data collection of photo voice technique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orientation, photo voice execution, and focus group interview, and data analysis was analyzed by Braun and Clarke(2006), 6 thematic analysis. As a result, the meaning of participating dog companion sports was derived from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meaning. The physical meaning of each subject is my health and dog’s health, psychological meaning is my pleasure and dog’s enjoyment, social meaning is my social extension and companion dog’s sociality extension, and the environmental meaning is the restriction of the companion sports environment. In general, the meaning of participation in the dog’s dog movement was composed of the mutual participa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own experience and the experience of the do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arious meanings of companion dog companionship and to derive environmental, soci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companion dog companionship. This study not only suggests the influence of companion dog companionship, but also looks forward to further research in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공감교육을 위한 포토보이스 방법 활용 사례 연구-D대학 ‘AI시대의 인간관계와 감정탐구’ 수업을 중심으로

        임윤서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위한 공감교육을 확대하기 위해 참여적 실행연구인 포토보이스 방법을 실제 수업에 적용해 보았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어떤 부분에서 공감능력을 함양하게 되었는지 살펴보고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포토보이스는 연구 참여자가 제공한 사진을 통해 개인의 경험을 공유하고 사회적 실천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개인적 공감과 사회적 공감이 균형 있게 성장할 수 있게 해준다. 서울 소재 D대학교의 교양 수업인 ‘AI시대의 인간관계와 감정탐구’ 과목에서 포토보이스 방법을 활용한프로젝트를 시도하였다. 수업에는 30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오프라인 수업을 중심으로 디지털도구를 활용하였다. 교수자는 학생들에게 ‘AI시대 청년의 외로움’이라는 포토보이스 프로젝트의 대주제를 제시하였고, 학생들은 팀별로 포토보이스 활동을 전개하였다. 활동의 성과로 학생들은 개인적공감의 영역에서 타인의 생각과 감정을 이해하는 능력, 공감적 소통 능력이 함양되었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포토보이스의 결과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는 사회적공감 역량도 향상되었다고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포토보이스 방법이 보다 다양한 대학 수업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실용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he photovoice method,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method, to an actual class in order to expand empathy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the study examined where students developed an ability to empathize and then to provide implications. Photovoice enables students to develop a balanced growth of personal and social empathy by sharing personal experiences and by exploring social action through photos provided by research participants. A project utilizing the photovoice method was presented in the course ‘Exploring Human Relations and Emotions in the AI Era’, a liberal arts class at D University located in Seoul. The class was attended by 30 students and digital tools were used mainly in offline classes. The instructor introduced the main topic of the photovoice project, ‘Loneliness of Youth in the AI Era’ and the students carried out photovoice activities in teams. As a result of the activities, students stated that they developed their ability to understand the thoughts and feelings of others in the areas of personal empathy and in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empathetically. Also, in the process of sharing the results of photovoice, the social empathy capacity of students to solve social problems and seek policy alternatives improv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guidelines will be put forth so that the photovoice method can be used in a wider variety of college classes.

      • KCI등재

        밀레니얼 세대가 인식하는 리더의 역할: 국내 대기업 L사 구성원의 포토보이스를 중심으로

        김희봉 리더십학회 2019 리더십연구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illenials’perception of leadership and role of leader. To do th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photo-voice is used. As a result of this study, Millenials need the leader who spoke that not follow me but support you. Next, Millenials perception of leader’s roles are as follow. First role is navigator. Millenials look forward to seeing something to clear goal and direction in their work. Second role is facilitator. Especially they want to make a positive atmosphere in their organization by leader. Third role is eliminator. They need to remove incorrect methods and laws in the work process. Forth role is provider. They want to get specific feedback from their leader in order to work well. Finally, sponsor’s role is showed. Millenials are long for develop their competence and support to work. So leader have to support all arou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s carried out leader’s role in the organization from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called the photo-voice which is a participatory practice research method, presented specifically and realistically in the language of the Millenials. Key words: leadership, Millennials, photo voice 본 연구는 세대에 따라 기대하는 리더상과 리더십 유형에 대한 수용도가 다르고(김나정, 2014) 리더가 갖추어야 할 자질 및 역할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존재한다(Sessa, Kabacoff, Deal & Brown, 2007; Yu & Miller, 2005)는 점과 밀레니얼 세대가 조직 내부로 빠르게 유입되고 있다(김영곤, 2016) 는 측면에서 밀레니얼 세대에게 적합한 리더십은 무엇이고 리더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최근 사회과학에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참여적 실행연구방법인 포토 보이스(photo-voice)를 활용했다(김도헌, 2016; Harper, 2002; Kaplan & Howes, 2004). 본 연구의 결과, 밀레니얼 세대는 이제 조직 내에서 ‘나를 따르라(follow me)’고 외치는 리더가 아니라 ‘당신을 지원하겠다(support you)’고 외치는 리더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밀레니얼 세대가 인식하고 있는 리더의 모습은 업무적으로는 현재에 집중하면서 안전을 추구하고 구성원들에게는지시하는 것에 익숙한 모습이다. 이와 관련 그들은 조직 내 리더가 방향 제시자(navigator), 긍정적분위기 조성 촉진자(facilitator), 불합리한 관행 제거자(eliminator), 피드백 제공자(provider), 구성원성장 지원자(sponsor)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포토 보이스라는 연구방법을 통해 연구주제와 관련 언어만으로 표현할 수 없는 감정과 생각을 표현했다는점과 함께 현재 밀레니얼 세대가 인식하는 리더의 역할을 제시하고 조직 내 리더들에게 밀레니얼세대를 대상으로 리더십을 발휘하는데 필요한 현실적인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이다. 키워드: 리더십, 밀레니얼, 포토보이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