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목적기반 교육과정의 가능성 탐색

        김희봉 한국교육철학학회 2020 교육철학연구 Vol.42 No.2

        This article starts from the awareness that the problems of school education exist in the absence of the most overall aims and the gap between educational aims and the curriculum. The subjects-based curriculum tends to comply only with the purpose of the subjects themselves rather than the pursuit of the overall educational aims. The aims of the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as presented in its general guidelines, are just symbolic declarations, hardly something that are to be implemented through the curriculum.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requires in-depth discussions and political decision processes regarding the aims of education, and it should be accompanied by concrete efforts to realize the overall aims. In this article, the author discusses the idea of the promotion well-being as a persuasive example of the overall aims. The promotion of well-being as an educational aim can be embodied as the aim of preparing individuals to lead their own well-being, preparing them to help others' well-being, and understanding a wide range of backgrounds. When this aims-based curriculum is applied to school science subjects, it is briefly discussed how concrete that can be changed. If the existing science class is focused on teaching the key knowledge of the subject rather than the students' well-being, the aims-based science class will be faithful to the educational aims of helping students to understand the backgrounds related to the promotion of well-being while making efforts to cultivate various dispositions and skills together with basic knowledge. 이 글은 학교교육의 문제점이 포괄적 교육목적의 부재 및 교육목적과 교육과정의 논리적 연계성 부족에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교과기반 교육과정은 포괄적 목적에 대한 관심보다 교과 자체의 목적에 충실한 경향을 보인다.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도 총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육목적이 교육과정을 통해 구현되고 있다기보다는 그저 상징적인 선언에 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교육과정 개발은 교육목적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정치적 결정 과정이 필요하며, 설정된 포괄적 목적을 실현하는 구체적 노력이 동반되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포괄적 목적의 설득력 있는 사례로 잘삶의 증진을 논의한다. 교육목적으로서 잘삶의 증진은 개인이 잘삶을 영위하도록 준비시키기, 타인의 잘삶을 돕도록 준비시키기, 폭넓은 배경 이해라는 목적들로 구체화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기반 교육과정이 과학 교과에 적용될 때, 어떻게 구체적인 모습이 달라질 수 있는지를 간략히 논의한다. 기존 과학 교과의 수업이 학생들의 잘삶보다는 교과의 핵심 지식을 가르치는 데 치중하는 경직성을 보인다면, 목적기반 과학 과 수업은 기본 지식 외에 다양한 성향과 기능 등을 함께 함양하기 위한 노력을 하면서, 학생들의 잘삶 증진과 관련된 배경 이해를 돕는 교육목적에 충실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웰빙의 의미와 도덕교육

        김희봉 한국도덕교육학회 2005 道德敎育硏究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eptions of well-being. Moral education needs to promote pupil's well-being. By clarifying of the conception of well-being as a starting point, the well-being theory as the aim of moral education will be discussed. For this, the well-being theory is discussed with regard to three theoretical backgrounds: Objectivism, Hedonism and Desire Theory. Objectivism describes the well-being theory in terms of the provision of needs, possession of intrinsic values and realization of perfectionist values. Hedonism describes it as the absence of pain as well as the maximization of pleasure. Finally, Desire theory explains it in terms of the satisfaction of informed desires. 본 연구는 웰빙을 증진시키기 위한 도덕교육에 대해 논의하였다. 도덕교육은 단순히 도덕적 의무의 강조에 머물지 않고 학생들의 웰빙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돕는 보다 포괄적 관점으로 진전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웰빙의 개념을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윤리학의 객관주의, 쾌락주의, 욕구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웰빙의 의미를 살펴보고, 이것들이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어원적으로 볼 때 웰빙은 “잘 지내고, 잘 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웰빙은 ‘개인들의 삶’과 밀접하게 관련된 문제이고, 잘 있음, 잘 됨, 이익, 좋음 등과 비슷한 의미를 갖고 있다. 객관주의에서는 인간의 삶과 관련된 객관적인 필요가 충족되고 객관적 선이 성취됨으로써 웰빙이 가능하다고 본다. 객관주의적 웰빙관에서는 학생들에게 객관적 필요와 선을 제공하는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쾌락주의에서는 고통을 최소화시키고 쾌락을 극대화시키는 것이 웰빙이라고 본다. 이 관점에서는 학생들이 의미있는 쾌락을 잘 추구할 수 있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그들이 겪고 있는 고통을 완화시키거나 제거해 줄 수 있는 교육적 역할이 강조된다. 욕구이론에서는 인간이 갖게 되는 검증된 욕구를 충족하는 것이 웰빙이라고 본다. 이 관점에서는 욕구를 잘 검증하고, 위계화하고, 추구하고, 충족해 갈 수 있도록 돕는 교육이 강조된다. 이 글에서는 웰빙의 의미에 관한 새로운 입론을 시도하기보다 기존의 이론들에서 논의되고 있는 웰빙의 의미를 충실하게 이해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 KCI등재후보

        도덕교육에서 타산성과 도덕성의 통합적 접근 : J.White의 공동체주의적 자유주의 교육론을 중심으로

        김희봉 한국교육학회 2002 敎育學硏究 Vol.40 No.1

        자유주의에서 추구하는 좋은 삶이란 개인의 선호 혹은 육구를 최대한 만족하는 삶이다. 자유주의 교육은 자기 이익의 추구(타산성)와 타인의 이익 배려(도덕성)를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 라는 딜레마에 직면한다. John White는 자유주의적 잘삶관을 견지하면서 공동체주의적 요소를 도입함으로써 이 딜레마를 해소하고 있다. 타산성과 도덕성이 분리된다고 보는 이원론의 한계를 지적하고, 양자가 분리되지 않음을 ‘공유하는 목적 혹은 활동’의 개념을 통해 논증한다. 일원론적인 도덕교육론으로 ‘이타적 성향’의 함양에 대해 논의하고, 이것이 한국 교육의 현실과 관련지어 어떤 의의를 갖는지를 탐색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국내 대기업구성원의 팔로워십 역량개발 요구도 분석

        김희봉,송영수 한국기업교육학회 2014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irection and contents of followership competency development in large Korean enterprises. To attain the purpos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differences the development needs of followership competencies? 2. What are the differences importance and performance for followership competencies? 3. What are the development needs between team leaders and team member on followership competencies? To find out the answers to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Delphi survey has been conducted to identify followership competencies and paired t-test, Borich, IPA matrix, Locus for Focus model has been used to analyze development needs on followership competencies. The main finding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am leaders and team member on development needs of followership competencies. In case of team leader, 11 competencies were analyzed among 39 followership competencies but in case of team member, 16 competencies were analyzed. Based upon all the result above, implications can be provided as follows; first, followers need followership competencies to perform their duties. Second, we should have regard for followership competencies to sustainable growth of enterprises and to achieve balanced HRD. 본 연구는 국내 대기업 구성원들의 팔로워십 역량개발 요구도를 분석하여 HRD부문에서 활용할 수 있는 팔로워십 역량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팔로워십 역량개발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팔로워십 역량에 대해 직책별(팀장 및 팀원) 필요수준과 현재 수행수준간 인식의 차이를 비롯해 역량개발요구도를 t-검증, Borich 계수, IPA 매트릭스, Locus for Focus모델을 활용해 분석했다. 연구결과, 공통적으로 개발이 요구되어지는 역량은 리더 신뢰, 리더 이해, 리더와 협의, 정확한 정보전달, 실행력, 적극적 태도, 긍정적 태도 등 7개 역량으로 분석되었다. 팀장에게는 전략적 사고, 업무에 대한 자부심, 솔직한 보고, 동료애 등 4개 역량이 차별화되어 개발되어져야 하는 역량으로 분석되었으며 팀원에게는 직무지식, 정보수집, 정보공유, 시간관리, 적시보고, 인적 네트워킹 형성, 갈등관리, 설득력, 인내심 등 9개 역량이 차별화되어 개발되어져야 하는 역량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학문적인 측면에서는 인적자원개발의 영역을 팔로워십으로 확대하고 팔로워십 역량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함은 물론, 실용적인 측면에서는 연구대상을 직책별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함으로써 기업교육현장에서 활용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기업 내 균형적인 인적자원개발을 위해 리더십 역량뿐만이 아니라 직책에 맞는 팔로워십 역량개발이 필요하며 기업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팔로워 육성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