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음주, 흡연, 마약 사용 간 관계: 관문 이론을 활용하여

        허원빈,오영삼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3 社會科學硏究 Vol.31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stance use based on the gateway theory. To achieve this, the 17th Youth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was utilized. Specifically,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was conducted to ensure equivalence between the group that had experienced narcotic substances and the group that had not. Subsequentl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matched group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alcohol, smoking, and narcotic substance use experienc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group with narcotic substance use experience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compared to the non-experienced group. Furthermore, a shorter duration of smoking regular cigarettes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likelihood of using narcotic substances. Additionally, as alcohol consumption increased, the likelihood of narcotic substance use also increased. In essence, this study supports the gateway theory, suggesting that softer substance use, such as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leads to the use of harder substances like narcotic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recommends the implementation of robust prevention education on addictive substances, a revision of prevention education content, the development of new teaching methods, and the establishment of a comprehensive system for investigating and curbing adolescent narcotic substance use. Furthermore, practical and policy-oriented strategies for addressing this issue are explored.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 narcotic substance use and provides valuable evidence for developing suppression strategies.

      • KCI등재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대학 내 범죄에 대한 여대생의 두려움 분석: A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허원빈,정혜진,오영삼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 2023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6 No.4

        University safety can be a critical issue not only for university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but also for future students and parents. Most the extant studies on the fear or influence factors of crime in universities in Korea have focused on lifestyle-work activity theory, which emphasiz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using survey results. Therefore, there is a lack of knowledge about the significant causes of anxiety of female students who are particularly vulnerable to crim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causing anxiety in college using the photo-voice methodology for 7 female students at A University. After five times of interview, we found that the main reasons why female college students felt anxiety on campus: fear of being invisible due to darkness; and ignorance about how to cope with event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to decrease the level of anxiety on campus. 대학 내 안전은 대학의 재학생과 교원 뿐 만 아니라 미래 입학생과 학부모에게도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다. 국내에서 대학 내 범죄 발생에 대한 두려움이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생활양식-일상활동 이론에 근거하여 설문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대학생의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에 초점을 두어 왔다. 따라서 범죄에 특히 취약한 여학생들이 느끼는 캠퍼스 내의 불안감의 근본적인 원인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A대학 여학생 7명을 대상으로 포토보이스 방법론을 활용하여 대학 내에서 불안함을 유발하는 요인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인터뷰 결과 대학 내 치안에 여대생들이 두려움을 느끼는 이유는 크게 어두움으로 인해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두려움과 사건이 발생한 경우 대처 방법을 모름에 대한 두려움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대학 내 체감 안전 수준을 높이기 위한 논의와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포토보이스 지식형성 구조에 관한 이해: Nonaka의 지식 창조이론(knowledge creation theory) 관점에서

        허원빈,오영삼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社會科學硏究 Vol.28 No.2

        포토보이스가 국내에 도입된 이후 많은 연구자가 이를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포토보이스 내 지식형성과정에 대한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학문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포토보이스에 내재한 지식형성 구조를 해체하고 분석하였다. 먼저 Nonaka의 지식창조이론을 바탕으로 질적 연구방법론 중 하나인 문화기술지를 분석한 후 포토보이스 지식형성 구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포토보이스 지식형성 과정은 구현, 이해, 공론 단계를 거쳤다. 특히 사회변화(옹호)를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는 포토보이스는 기존 질적 연구와 달리 연구자와 참여자가 공동지식을 형성한 후 이를 지역사회로 전파, 확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었다. 포토보이스가 추구하는 가치와 내재된 원리를 파악함으로써 포토보이스가 올바르고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지침을 제공하는데 본 연구는 기여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흡연 청소년은 담배 판매 금지를 어떻게 뚫는가?: 담배 구매와 획득 방법을 중심으로

        허원빈,오영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 保健社會硏究 Vol.42 No.3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nels used by adolescent smokers who purchase or acquire cigarette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how adolescents’ demographic factors and smoking-related factors are related to the methods used by adolescent smokers. To address this research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adolescent smokers to collect data. Using case study approach, this study analyzed the qualitative data. In this study, adolescent smokers used forged ID cards, proxy purchase, or purchasing cigarettes through online/off-line “evading stores.” Furthermore, the more similar the appearance to an adult, the more direct purchase methods using a forged ID card was used. Also, the proxy purchase(indirect purchase) method was used when the appearance looked like a minor. The study suggested mandatory installation of an ID identifier, a total amount of cigarettes, and prohibition of online cigarette sales, distribution, and advertising as realistic alternative to prevent adolescents from purchasing and acquiring cigarettes.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the reducing ease of cigarette purchase by understanding how adolecents purchase and acquire cigarette. furthermore,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ways to prevent and control adolescent smoking. Ultimately, this study expect to improve adolescent health. 본 연구는 흡연 청소년이 담배를 구매 또는 획득하는 방법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청소년이 담배를 구매 또는 획득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과 상황적 요인 간 관련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흡연 청소년 10명을 대상으로 개별심층 면접을 한 후 단일 전체 설계 방식을 활용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흡연 청소년은 위ㆍ변조 신분증, 대리 구매, 온ㆍ오프라인의 ‘뚫리는 가게’ 활용을 통해 담배를 구매하거나 획득하고 있었다. 한편, 외모가 성인과 비슷할수록 위ㆍ변조 신분증을 사용한 직접 구매 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반면, 외모가 미성년처럼 보이는 경우는 대리 구매와 같은 간접 구매 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청소년의 담배 구매와 획득을 억제하기 위한 실질적인 대안으로 신분증 감별기 의무설치, 담배 총량제, 그리고 온라인을 통한 담배 판매, 유통, 광고 금지를 제안하였다. 이로써 본 연구는 청소년의 담배 구매와 획득을 억제하기 위한 정책 마련에 이바지하리라 기대한다. 나아가 청소년의 흡연을 예방ㆍ억제함으로써 청소년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포토보이스를 적용한 사회복지 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허원빈,정하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保健社會硏究 Vol.39 No.4

        In this review, 31 studies employing photovoice in the social work area were analyzed based on 11 criteria. The review revealed that the number of studies using this method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since 2012. Studies using photovoice tended to focus on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61% of the studies focused on minority groups as participants. As to research methodology, 23% of the studies used specific strategies to facilitate participant discussions, and 84% used focus group interviews to collect data; various data analysis methods such as thematic analysis were applied. Notably, most studies did not make as full use of their photovoice results as they could have. Lastly, only a few studies presented specific criteria or strategies for verifying the data collected. On the whole, the use of photovoice as a research method corresponded with social work values and was an appropriate means of accommodating changing conditions in the field of social work research. Social work researchers should consider the review’s findings in efforts to make future photovoice studies more systematic and rigorous. 본 연구는 포토보이스를 적용한 사회복지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11개의 기준을 활용하여 31개의 사회복지관련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포토보이스 연구 31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포토보이스 연구는 2012년부터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었으며, 참여자들의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포토보이스 연구가 수행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취약계층에 비해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가 61%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과 관련하여, 사진 논의를 위한 구체적인 기법을 사용한 연구는 7편(23%)에 그쳤으며, 자료의 수집방법으로는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사용한 연구가 26편(84%)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자료의 분석방법으로는 주제분석 방법 등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대다수의 연구가 포토보이스 연구로부터 도출된 연구결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한 진실성을 검증하기 위한 적절한 기준 또는 전략도 대다수의 연구에서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토보이스 연구방법은 사회복지가 추구하는 기본 가치에 부합하며, 변화하는 사회복지학계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적절한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동향분석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향후 사회복지학계에서 수행되는 포토보이스 연구의 체계성과 엄격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개인, 인지, 정서 요인이 청소년의 흡연량에 미치는 영향

        허원빈,전종설 한국아동권리학회 2014 아동과 권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that influence the level of cigarette consumption among smoking adolescents. The effects of individual factors, cognitive factors and affective factors were analyz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104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These students are from three middle schools located in economically disadvantaged areas of Seoul, receiving special financial support from the city government.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level of cigarette consumption increased as the age at smoking initiation, an individual factor, decreased. In addition, higher levels of smoking-efficacy, self-control and cognitive factors increased the amount of cigarette consumption among smoking adolescent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more aggressive prevention and early intervention programs for smoking teenagers, with a cautious approach that focuses on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적 요인, 인지적 요인, 정서적 요인들이 청소년의 흡연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서울시에 거주하며 교육복지투자사업 대상 중학교에 재학 중인 흡연 청소년 104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개인적 요인, 인지적 요인, 정서적 요인들이 흡연량에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개인적 요인 중 처음 흡연시기가 빠를수록 흡연량이 많아졌으며, 인지적 요인 중 금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이 높을수록 흡연량이 많아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에 대한 흡연 예방 및 초기 개입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특히 금연효능감 및 자기통제력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미국 거주 한국인 청년 흡연자의 흡연태도에 관한 질적 탐색

        허원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保健社會硏究 Vol.40 No.2

        Although Korean Americans are known to have the highest smoking prevalence (20%) among all the Asian populations in the United States, their smoking behaviors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in Korean Americans’ smoking behaviors. Specifically, young adults’ smoking behaviors are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adolescents or older adults, and thus, it is vital to understand young adults’ smoking behavior specifically. In addition, smoking attitudes precede smoking behavior, and influence directly smoking behavior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smoking attitudes in order to prevent smoking behavior and help quit smoking. For this reason, this study aimed to explore smoking behaviors and attitudes of Korean American young adults living in Chicago. The author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15 participants and, through a thematic analysis examined their smoking behaviors. The participants had both positive and negative attitude toward smoking in their smoking behavior stages. However, there are different degrees either positive or negative attitudes: in the smoking initiation, participants showed larger positive attitudes, in the reinforcement, participants showed similar positive and negative attitudes, but positive attitudes still bigger than negative ones, in the cessation, participants showed larger negative ones.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smoking-related policies and practices for Korean American young adults. 한국계 미국인의 흡연율(20%)은 미국 내 아시안 인구 중 가장 높다. 특히, 청년 흡연은 청소년 또는 성인 흡연과는 다른 특징을 가진다는 점에서 한국계 미국인 청년의 흡연에 관한 특별한 이해가 요구된다. 한편, 흡연태도는 흡연행동에 선행하고 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점에서 흡연태도를 이해하는 것은 흡연행동을 예방하고 변화시키기 위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미국 내 거주하고 있는 한국인 청년들의 흡연태도를 이해하기 위해 탐색적 목적의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미국 거주 한국인 청년 15명을 대상으로 개별심층면접을 실시한 후, 주제분석을 통하여 흡연과정에 따른 흡연태도를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미국 거주 한국인 청년 흡연자는 흡연과정 전반에 긍정적인 흡연태도와 부정적인 흡연태도를 모두 가지고 있었다. 단, 흡연행동이 진행되는 단계에 따라 긍정적인 흡연태도와 부정적인 흡연태도의 정도 차이가 존재하였다. 흡연을 시작하는 단계와 흡연을 계속 유지하는 단계에서는 긍정적인 흡연태도가 부정적인 흡연태도보다 컸다. 반면 금연을 생각하거나 시도하는 단계에서는 부정적인 흡연태도가 긍정적인 흡연태도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미국 내에서는 물론 한국에서도 특별한 학문적, 실천적 관심을 받지 못하는 미국 거주 한국인 청년 흡연자와 이들의 흡연행동을 이해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또한, 흡연태도를 고려하여 효과적인 흡연 예방 및 금연을 위한 임상적・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담뱃갑 경고 그림에 대한 청년 흡연자의 인식과 태도:“나와는 상관없어요”

        허원빈 한국보건복지학회 2021 보건과 복지 Vol.23 No.4

        Most smokers start smoking cigarette in their young adulthood. The mandatory attachment of warning pictures on cigarette pack for smoking prevention and cessation has been implemented in Korea since 2016. Compared to other populations,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a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response and empathy to warning pictures. However, there are lack of literature on how young smokers perceive cigarette pack warning picture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5 young smokers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cigarette pack warning pictures among young adult smokers. Through the thematic analysis, a total of 8 sub themes were derived from 3 themes: the experience, awareness, and believability warning pictures, and suggestion for effective warning pictures were derived. The young smoker was taking the cigarette pack warning picture negatively, indifferently, or playfully. The situation depicted in the warning picture was thought to have nothing to do with them, or to happen in the distant future, not now. As a result, young smokers sensibly observe cigarette pack warning pictures, but did not elicit cognitive or behavioral changes. This study found that young smokers' sensory stimuli for cigarette pack warning pictures occurred, but there was no change in their perception and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an effective implementation of cigarette pack warning pictures for young smokers. 흡연 행동은 대부분 청년기에 시작되며, 경고 그림에 관한 청년 집단의 반응 및 공감 수준은 다른 인구집단에 비해 현저히 낮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청년흡연자가 어떻게 담뱃갑 경고 그림을 인지하고 있는지 살펴본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질적 연구방법으로써 본 연구는 15명의 청년흡연자를 개별심층 면접하여 이들의 담뱃갑 경고 그림에 대한 경험과 태도를 탐색하였다. 15명의 청년흡연자 평균나이는 21.67세(SD=2.2)였다. 주제분석을 통해 담뱃갑 경고 그림에 대한 경험과 태도, 청년흡연자에게 효과적인 경고 그림을 위한 제안이라는 3개의 주제에 대한 8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청년흡연자는 담뱃갑 경고 그림을 부정적으로, 무관심하게, 또는 장난스럽게 받아들이고 있었다. 경고 그림에 묘사된 상황을 그들과 직접적으로는 상관없는, 또는 지금이 아닌 먼 훗날 발생할 수도 있는 상황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청년흡연자는 담뱃갑 경고 그림을 감각적으로는 관찰하지만, 경고 그림이 인지적·행동적 변화를 끌어내지는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년흡연자에게 효과적인 담뱃갑 경고 그림 운영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 사용 담배 유형 선택 요인: 전자담배와 일반담배 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허원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保健社會硏究 Vol.40 No.1

        Even though a large number of studies have reported the harm of e-cigarettes, the prevalence of use of e-cigarettes have been increasing. E-cigarette companies try to attract adolescents to by claiming that e-cigarettes are a way to quit smoking; however, it is uncertain that e-cigarettes help smoking cessation. In addition, existing smoking prevention and anti-smoking policies are facing a challenges due to appearance of e-cigarettes. Questions are being asked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the existing policies on e-cigarettes. Thus, this study aims to examine individual and social factors that influence Korean adolescents’ choice of the type of cigarettes they use. Adolescents who use e-cigarettes have higher family economic status, more experience of secondhand smoke at home and school, cessation intention raised by cigarette pack warning pictures.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days of secondhand smoke in public places, and ease of cigarette purchase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use of e-cigarettes. Lastly, implications for smoking prevention and anti-smoking policies among adolescents were discussed. 전자담배 유해성이 지속적으로 보고 되는 상황과 더불어 청소년 전자담배 사용률도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담배회사들은 전자담배가 금연에 도움이 된다는 메시지를 활용해 청소년 흡연자들을 유혹하고 있지만, 전자담배의 금연효과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한편, 전자담배 등장으로 인해 기존에 시행되던 흡연 예방 및 규제 정책은 도전을 맞고 있으며, 기존 정책을 통하여 전자담배 역시 일반담배와 유사하게 예방 및 규제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는, 개인적・사회적 요인들이 청소년 사용 담배유형(전자담배와 일반담배)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가정 경제상태, 가정 내 및 학교 실내 간접흡연, 담뱃갑 경고그림을 통한 금연의지가 높아질수록, 일반담배에 비하여 전자담배 사용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공장소 내 간접흡연일 수, 최근 30일 동안 담배구매 용이성이 증가할수록 일반 담배보다 전자담배 사용 가능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 흡연 예방 및 규제를 위한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담배구매 용이성 분석 : 전자담배와 일반담배 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허원빈(Won-Bin Her),오영삼(Young-Sam Oh) 한국보건복지학회 2020 보건과 복지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하는 담배유형(전자담배와 일반담배)이 담배구매 용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8년 청소년건강실태 조사를 활용하였으며, 선택적 편의를 줄여 모형의 내적타당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준 실험설계의 하나인 성향점수 매칭을 실시하였다. 성향점수를 활용하여 일반담배 사용집단(n=133)과 전자담배 사용집단(n=133)을 매칭시켰으며, 매칭과정을 통해서 만들어진 표본의 최종 크기는 266명이었다. 담배구매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친한 친구 중 흡연자가 많을수록, 최근 30일 동안 음주일수가 많을수록 담배구매 용이성이 높았다. 사용하는 담배유형의 경우, 일반담배를 사용하는 청소년이 전자담배를 사용하는 청소년에 비해 담배구매 용이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흡연을 규제하고 나아가 예방하기 위해서는 담배구매 용이성을 낮추는 전략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이를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ease of cigarette purchase among Korean adolescents is influenced by cigarette type. Data from the 14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were used. The study employed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an experimental design, to maximize internal validity by minimizing selection bias. By means of PSM, a group using conventional cigarettes (n=133) and another group using e-cigarettes (n=133) were matched, resulting in a final sample size of 266.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ease of cigarette purchase,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ease of cigarette purchase was higher among adolescents who had smoking peers and who drank more alcohol. Furthermore, the group using conventional cigarettes showed higher perception of ease of cigarette purchase than the group using e-cigarettes. The study results provide the basis for strategies for reducing ease of cigarette purchase in order to prevent and regulate adolescents’ smoking behavior. Lastly, study implications for smoking prevention and anti-smoking policies and practices for adolescent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