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소세포폐암에 발생한 악성 흉수의 예후 인자

        이헌재,임창영,이건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2

        배경: 비소세포폐암에 흔히 발생하는 악성 흉수는 환자의 예후에 나쁜 인자로 작용하여, 원격전이가 발생한 환자들과 비슷한 생존기간을 보인다. 비소세포폐암에 발생하는 악성 흉수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으나,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저자들은 악성 흉수가 발생한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들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악성 흉수를 동반한 비소세포폐암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 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환자의 특성(성별, 연령), 폐암 조직형 및 병기, 흉수 천자액 검사(pH, CEA, LDH, glucose, albumin), 흉수 발견 후 치료 방법을 인자로 설정하여 조사하였다. 각 인자의 생존기간을 Kaplan-Meier법으로 구한 후, log-rank test를 통한 단변량분석으로 인자 각 군의 생존기간 차이를 비교하였고,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적 예후 인자를 찾기 위해 다변량분석으로 Cox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결과: 대상환자 33명의 폐암 조직형은 선암이 23명으로 가장 많았다. 폐암과 악성 흉수가 동시에 진단된 경우를 제외하면 폐암 진단 후 악성 흉수가 진단되기까지의 중앙값 기간은 7.3개월(25th∼75th: 3.9∼11.8)이었다. 환자의 중앙값 생존기간은 3.6개월(95% Confidence Interval: 1.14∼5.99)이었다. 단변량분석에선 폐암 조직형이 유의성은 떨어지나 생존기간에 차이를 보였다(선암 4.067 vs. 비선암 1.867 개월, p= 0.067). 교란변수의 영향을 제거한 다변량분석에서 통계적 유의성은 없으나 비선암이 선암보다 사망위험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R.R 2.754, 95% CI 0.988∼7.672, p=0.053). 결론: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악성흉수가 발생한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를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조직형에 따라 암사망 위험도에 차이를 보이는 경향이 관찰되어 향후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폐암에서 CYFRA 21-1과 다른 종양표지자의 진단적 의의

        이상구,이호현,전병철,김성자,이영현,김문연,하경임 동국대학교 경주대학 1996 東國論集 Vol.15 No.-

        폐암의 확실한 조직학적 진단이 어려울 경우 종양표지자의 검사가 보조적인 진단 수단이 되고, 조기 진단이나 경과 관찰에 이용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CYFRA 21-1이 폐암의 종양표지자로서 효용성이 있는지 판정하고, CYFRA 21-1과 다른 폐암 종양표지자인 SCC Ag, CEA, NSE의 폐암의 조직학적 유형에 따른 민감도와 특이도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병기 진행에 따른 CYFRA 21-1치의 증가 여부를 관찰하고, 4가지 종양표지자를 동시에 측정하였을 때의 진단적 효용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1994년 12월부터 1995년 11월까지 동국대학병원에 입원한 폐암 환자 40명과 양성 폐질환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편평상피세포암 21명, 선암 10명, 소세포암 7명, 대세포암 2명이었다. 혈청 CYFRA 21-1의 cytokeratin 19 분절에 대한 쥐의 두 가지 단일 클론항체(KS 19-1과 BM 19-21)를 이용하는 RIA방법으로 측정하였다. CEA는 MEIA 방법으로, SCC 항원과 NSE는 RIA로 측정 하였다. 1. CYFRA 21-1의 혈중 농도는 폐암군 22.08±43.00ng/mL, 양성 폐질환군 1.14±1.04ng/mL로 폐암군에서 양성 폐질환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폐암환자군에서 55%의 양성율을 보였고, SCC 항원 30%, CEA 44.7%, NSE 54.5%의 양성율을 나타내 CYFRA 21-1이 가장 높은 양성율을 보였다. 2.CYFRA 21-1은 비소세포암군 23.79±44.49ng/mL, 소세포암군 13.90±33.57ng/mL로 양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폐암환자군에서 민감도와 특이도는 CYFRA 21-1 55.0%와 96.7%, SCC항원 30.0%와 96.4%, CEA 42.5%와 92.8%, NSE 36.4%, 76.9%로 CYFRA 21-1에서 가장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였다. 폐암의 조직학적 유형에 따른 민감도는 편평상피세포암에서 CYFRA 21-1이 61.9%로 CYFRA 21-1의 민감도가 가장 높았고, 선암에서는 CEA가 88.8%로, 소세포암에서는 NSE가 85.7%로 가장 민감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비소세포암군에서 CYFRA 21-1치는 병기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4. 폐암환자에서 단일 종양표지자를 측정하는 것 보다 동시에 여러 종양표지자를 측정하는 것이 특이도는 떨어지나 민감도는 80.0%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확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양성 표지나 수에 따른 비교분석시 폐암의 상대 예측도는 두 표지자 양성인 경우가 76.5%, 3가지 표지자와 4가지 모든 표지자에서 양성으로 나온 경우는 100%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CYFRA 21-1은 새로운 폐암의 종양표지자로 기존의 종양표지자 보다 민감도가 높고 비소세포암 특히, 편평상피세포암에 유용한 표지자로 사료되며, 폐암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단일 종양 표지자를 측정하는 것 보다 수종의 종양표지자를 동시에 측정하는 것이 진단에 더욱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 Cytokeratin 19 is a subunit of cytokeratin intermediate filament expressed in simple epithelia and their malignant counterparts. A fragment of cytokeratin subunit 19 can be measured in serum with a immunoradiometric assay using two mouse MoAb KS 19-1 and BM 19-21. Thus this cytokeratin 19 fragment is referred to as CYFRA 21-1.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valuate the clinical utility of CYFRA 21-1 in the diagnosis of lung cancer and to compare the diagnostic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CYFRA 21-1 with those of CEA, SCC Ag, NSE according to histological type of lung cancer. Methods: In 40 patients with lung cancer(21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10 with adenocarcinoma, 7 with small cell carcinoma, 2 with large cell carcinoma) and 40 patients with non-malignant lung disease, serum CYFRA 21-1 was measured by solid-phase immunoradiometric assay(CIS Bio International, France). Serum NSE and SCC Ag were measured by immunoradiometric assay, and CEA was measured by microparticle enzyme immunoassay. Results: 1) The mean value of CYFRA 21-1 was 22.08±43.00ng/mL in the lung cancer and 1.11±1.04ng/mL in me non-malignant lung disease group(P<O.O5). 2) Using the cut-off value of 3.3ng/mL,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CYFRA 21-1 were 55.0%, 96.7% in the lung cancer. The sensitivity of CYFRA 21.1 was 61.9% in squamous cell carcinoma 3) The level of CYFRA 21-1 was increasing tendency with the progression of stage in non-small cell carcinoma but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4)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four tumor markers revealed increased sensitivity to 50.0% in lung cancer. As the number of positive markers was increased, the relative possibility of lung cancer was also increased. If two markers were positive, it increased to 76.5% and three markers were positive, it increased to 100%.5 Conclusions: CYFRA 21-1 is a useful serum marker for patients with lung cancer, especially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ung. The simultaneous measurement of CYFRA 21-1, CEA. SCC Ag and NSE would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for the diagnosis of lung cancer, especially in patients with high risk group of lung cancer.

      • 내시경초음파 유도하 세침흡인세포검사로 진단한 비소세포폐암의 좌측 부신 전이

        김기용,김은영,하경호,김명환,박근우,배규환,현대성,조창호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1 No.1

        서론: 비소세포폐암의 정확한 병기진단은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고 치료방침을 결정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폐암 환자의 약 50%에서 종격동 림프절 전이, 약 16%에서 좌측 부신 전이가 동반된다고 한다. 저자 등은 내시경초음파 유도하 세침흡인세포검사로 비소세포폐암의 원위부 식도 림프절과 좌측 부신의 전이를 진단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 57세 남자환자가 1개월 전부터 지속된 기침과 화농성 가래로 개인의원에서 약물치료하였으나 호전없고 폐결핵 의심되어 호흡기내과로 전원되었다. 과거력에서 25년 전에 3년간 광산에서 일했으며 35갑년의 흡연력 외에 특이병력은 없었다. 내원당시 진찰소견에서 열은 없었고 폐음은 정상이었다. 흉부엑스선 검사에서 좌상엽에 경계가 불분명한 음영의 증가 소견으로 폐렴 의심하고 외래에서 항생제를 포함한 약물치료 하였으나 증상의 호전이 없었다. 1개월 후 추적 흉부엑스선검사에서 병변의 호전이 없어 고해상도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다. 좌상엽에 침상형의 2.2cm의 결절소견 보여 폐암이 의심되었고 종격동에 의미있게 커진 림프절은 보이지 않아 T1NOMO 병기로 추정되었다. 기관지경 세척세포검사에서 얻은 세포검사에서 잘 분화된 선암으로 진단하였다. 수술 치료 여부를 결정하기 전 시행한 PET-CT에서 좌부신, 원위부 식도 림프절 및 좌폐문 림프절에 SUV증가소견이 3.76,4.45, 7.95로 각각 보였다. 전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좌부신 및 원위부 식도 림프절에 대한 내시경초음파 유도하 세침흡인검사를 시행하였고 양측 모두에서 전이성 비소세포폐암이 확인되었다. 현재 환자는 Taxol/carboplatin으로 항암약물 치료 중에 있다. 결론: 종격동경 검사를 이용한 종격동 림프절 조직검사나 경피적 부신 조직 검사 등의 침습적인 진단방법들은 환자에게 많은 불편감을 주며 합병증의 위험도 높다. 본 증례는 식도와 위벽을 통한 내시경초음파 유도하 세침흡인세포검사로 림프절 전이와 좌부신전이를 동시에 안전하게 진단하였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폐암의 좌측 부신 전이의 규명을 위해 내시경 초음파 유도하 세침흡인검사가 이루어진 경우는 없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SCOPUSKCI등재

        정위성 비소세포폐암의 동물 모델의 개발

        김진국,김관만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0 No.6

        유전자 치료등 폐암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및 그 효능의 검증에 있어 적절한 동물 모델이 없음은 큰 제 한점중의 하나이다. 특히 종양의 생물학적 특성이나 치료에의 효과등이 장기자체의 환경에 크게 영향 을 받는다는 사실은, 인체에서의 폐암의 특성을 가지며 폐에 정 위적으로 발생하는 폐암의 동물모델의 개발 을 시급하게 한다. 저자등은 Nude rat을 대상 동물로 하여, 개흉하에 종양세포 부유액을 원하는 폐말단 부위에 직접 주입함으로 폐에 정 위적으로 폐암의 발달을 유도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발생된 비소세포 폐암의 병태를 연구하였다. 종양은 실험 대상 등물에서 모두 발생하였으며 이용한 두 가지 종류의 세포주(NCI-H46O과 NCI-H1299)에서 모두 효과적으로 발생하였다. 발생된 폐종양은 시간 경과에 따라 주위 조직으로의 침윤과 종격동 전이의 양상를 보였다. 종양 숙주 동물의 평균 수명은 약 5주 정도였다. 저자등이 개발한 비소세포폐암의 동물 모델은 기관지를 통한 종양 세포 주입법에 의한 폐암 모델에 비해 국소적으로 진행된 폐암을 원하는 부위에 정확히 만들 수 있음은 물론 외과적 처치를 비롯한 국소적 치료 방법의 개발이나 ?과의 검증에 두루 이용되기에 적절하다고 사료된다. A major obstacles to evaluation of newly-developed treatment strategy for human lung cancer has been the lack of appropriate experimental animal models. We describe a new experimental model of orthotopically-developed non-small cell lung cancer in nude rat, involving inoculation of tumor cell suspension by thoracotomy. Over 40 direct implantation to the periphery of the lung has been performed to date, each requiring less than'1 hour for completion. This model has been used to perform a series of experiments to investigate whether the rat lung and surrounding structures trapped tumor cells with 2 different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 lines(NCI-H46O and NCI-H1299). Every animal showed development of tumor masses, which were loculated at the periphery of the lung karenchyma and identified also by radiography. After 3 weetu of the inoculation, tumor develop meat at the mediastinal strutures were identified. The life expectancies of the victims were different between the cell lines, but were approximately 5 weeks when NCI-H46O cell line was used. This new orthotopic lung cancer model may be facilitate future studies of the new therapeutics of localized non-small cell lung cancer .

      • SCOPUSKCI등재

        Adenovirus-p53이 비소세포폐암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종호,이춘택,김주현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1 No.12

        Background: The tumor suppressor gene p53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altered genes in human tumors, including those of the lung. There is now a compelling evidence that wild-type p53 can negatively influence cell growth by causing G1 arrest or by inducing apoptosis. The possibilities of using p53 for gene therapy are also gathering much interest. Material and Method: Our approach towards understanding p53 function would be to study the biological consequences of overexpression of wild-type p53 in normal and tumor cells by using adenovirus vectors capable of giving high levels of the p53 gene product in cells. We have used this vector containing wild-type p53 to infect tumor cells with different p53 status (null, mutant, or wild-type) to confirm that expression of p53 in null or mutant cell lines becomes possible by Adenovirus-p53 transduction, to examine the effects of high levels of p53 expression on the growth properties of tumor cells, to evaluate the role of apoptosis in p53-mediated biological effect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Adenovirus-p53 on the tumorigenicities of the lung cancer cell lines in vitro. Result: The results of our study showed that cells expressing endogenous mutant p53 and those devoid of p53 expression altogether were significantly more sensitive to Adenovirus-p53-mediated cytotoxicity compared to tumor cells expressing endogenous wild-type p53 and that overexpression of wild-type p53 induced programmed cell death. Also we knew that Adenovirus-p53 significantly reduced tumor colony formation of huma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 lines, and decreased the growth of pre-formed colonies in vitro.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enovirus is an efficient vector for mediating transfer and expression of tumor suppressor genes in huma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and that the tumor cells null for p53 or expressing mutant p53 readily undergo apoptosis by Adenovirus-p53. 배경:종양억제 유전자인 p53은 폐암을 비롯하여 인체에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종양들에 있어서 가장 빈번히 변이를 일으키는 유전자로 알려져 왔으며, 정상적인 p53은 세포분화 과정 중 G1 arrest 또는 세포자멸을 통하여 세포 성장을 억제한다는 증거들이 발견되고있다. 더불어 유전자 치료에 p53을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대상 및 방법: 이런 p53 단백질의 기능을 이해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정상세포나 종양세포 안에 과량의 p53을 발현시킬 수 있는 p53 표현 중개물(expression vectors)을 이용할 수 있다. 우리는 각기 다른 p53 성질을 지니고 있는 네가지 비소세포폐암 세포를 대상으로 정상적인 p53을 지닌 adenovirus를 이용하여 비소세포폐암에 Adenovirus-p53을 이입시킬 경우 p53 단백질이 증가하는지의 여부와 Adenovirus-p53이 종양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p53에 의한 세포 독성에 있어서 세포자멸과의 관련성 여부 및 실험관 안에서 Adenovirus-p53이 비소세포폐암의 종양형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결과: 이번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변이성 p53을 갖고 있거나 p53 유전자가 없는 비소세포폐암 세포는 정상적인 p53을 가지고 있는 종양세포에 비하여 Adenovirus-p53에 의한 세포성장 억제정도가 높았으며, p53을 과발현시킬 경우 세포자멸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리고 Adenovirus-p53은 비소세포폐암의 집락 형성 능력을 억제할 수 있고, 또 이미 형성된 집락도 그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결과: 이번 실험의 결과로 adenovirus는 비소세포폐암 세포에 종양억제유전자를 이입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매개물이며, 특히 p53이 소실되거나, 변이를 일으킨 종양세포들은 Adenovirus-p53에 의하여 쉽게 세포자멸이 유발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 KCI등재후보

        혈액종양 ; 진행성 비소세포폐암의 예후에 있어 FDG-PET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정현영 ( Hyun Young Jung ),장샛별 ( Saet Byul Jang ),정혜련 ( Hye Ryun Jung ),이선아 ( Sun Ah Lee ),배성화 ( Sung Hwa Bae ),현대성 ( Dae Sung Hyun ),이상채 ( Sang Chae Lee ),류헌모 ( Hun Mo Ryoo ) 대한내과학회 2009 대한내과학회지 Vol.77 No.1

        목적: 폐암은 우리나라에서 암으로 사망하는 환자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최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전체 폐암 중 비소세포폐암은 80~85%를 차지하며, 특히 진행성 비소세포폐암은 예후가 불량하여 1년 생존율은 35%에 불과하다.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18F] fluorodeoxyglucose (FDG)를 이용한 양전자방출단층촬영(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은 다양한 FDG 섭취 정도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제 IIIb 병기 이상의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FDG-PET의 SUV (Standardized Uptake Value) 정도에 따라 이들의 치료 경과 혹은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방법: 제 IIIb, IV 병기인 비소세포폐암을 진단받고 치료 전 FDG-PET을 시행한 5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각 환자의 PET 영상에서 FDG 섭취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병소 부위에 관심 영역을 설정하여 병소의 SUV를 구하였다. 생존기간(overall survival)과 무진행 생존기간(time to progression)은 Kaplan-Meier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생존율의 차이는 log-rank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종양의 FDG 섭취 정도에 따른 차이는 SUV 값을 7로 구분하였을 때 각각의 생존율이 가장 확연하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되어 SUV 7의 값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SUV 7을 기준으로 하여 비교한 FDG 섭취 정도는 생존기간(p=0.02) 및 무진행 생존 기간(p=0.04)에 대해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예후인자로 확인되었고, 이외에 일상생활수행능력(p=0.02)이 생존 기간에 대한 예후인자임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FDG-PET에서 원발암의 SUV가 진행성 비소세포폐암의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시행하였으며, 연구 결과 FDG-PET에서 높은 SUV 섭취 정도를 보이는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에서 생존 기간과 무진행 생존 기간이 더 짧아 나쁜 예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더 오랜 기간 동안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치료 방침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예후인자를 확인하는 전향적인 대규모, 다기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Lung cancer is the leading cause of cancer-related death in Korea.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comprises 80~85% of lung cancer.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with [18F]fluorodeoxyglucose (FDG-PET) shows various levels of FDG uptake for patients with NSCLC. This study determined whether the standardized uptake value (SUV) of FDG uptake by PET is a prognostic factor for advanced NSCLC. Methods: FDG-PET was performed in 59 patients with stage IIIb and IV NSCLC. The SUV was calculated for each patient. Overall survival (OS) and time to progression were calculated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and evaluated with the log-rank test. The prognostic significance was assessed using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Results: A cutoff of 7 for the SUV gave the best criminative value. In the univariate analysis, performance status (p=0.02) and SUV (p=0.03)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OS. The patients with low SUVs (≤7) had significantly better times to progression than those with high SUVs (>7, p=0.04). A multivariate Cox analysis identified performance status and the SUV as important for the prognosi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V is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in patients with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Korean J Med 77:76-83, 2009)

      • KCI등재

        증례 : 형액종양; 다발성 원발성 폐암: 동시성 비소세포폐암과 속발성 소세포폐암의 1예

        임현정 ( Hyunjeong Im ),양서영 ( Seo Young Yang ),김도영 ( Do Young Kim ),김현목 ( Hyeon Mok Kim ),정수철 ( Soo Chul Jung ),김봉석 ( Bong Seog Kim ),김윤정 ( Yoon Jung Kim )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지 Vol.85 No.6

        저자들은 동시성 비소세포폐암(편평세포암 및 선암)환자에서 이후 속발성 소세포폐암으로 진단 보고된 다발성 원발성폐암 환자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Multiple primary lung cancers are characterized as either synchronous (detected or resected simultaneously) or metachronous (defined by a time interval between the detection of a subsequent primary lesion). The diagnosis of multiple primary lung cancers requires the temporal, histologic, and anatomic classification of tumors or simultaneous detection of two tumors. The incidence of multiple primary lung cancers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due to the widespread use of imaging modalities and life extension. Here, we report a 65-year-old male patient with multiple primary lung cancers comprising three different cell types (adenocarcinoma, squamous cell carcinoma, and small cell carcinoma). (Korean J Med 2013;85:639-643)

      • KCI등재

        병리학적 병기 Ia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완전절제술 후 사망의 원인에 따른 위험인자 분석

        박성용,변천성,이창영,배미경,김대준,정경영,박인규 대한흉부외과학회 200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2 No.6

        Background: Lobectomy and more extended anatomic resection are regarded as standard treatment for stage Ia non-small cell lung cancer, but approximately 15∼40% of patients suffer from treatment failures such as cancer recurrence or death. The authors analyzed types and causes of treatment failures in surgically treated cases of stage Ia non small cell lung cancer. Material and Method: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56 patients who had undergone complete resection for stage Ia NSCLC between Jan 1992 and Aug 2005.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different treatment failure groups: cancer-related deaths and non-cancer-related deaths. Risk factors were analyzed in each group by the Kaplan-Meyer survival method and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Result: Among the 156 patients, 93 were males; the mean age was 61.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33.8 months. The 5 year survival rate was 87.6%. Microscopic lympho-vascular permeation was reported in 10 patients. Recurrence was reported in 19 patients and 12 patients died due to recurrent lung cancer. Non- cancer related deaths occurred in 16 patients. Risk factors for cancer recurrence and cancer related death were microscopic lympho-vascular permeation (HR=6.81, p=0.007, HR=7.81, p<0.001); for non-cancer related death, risk factors were pneumonectomy (HR=25.92, p=0.001) and postoperative cardiopulmonary complications (HR=29.67, p=0.002). Conclusion: After complete resection of stage Ia non 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mortality includes not only cancer related deaths but also cancer unrelated deaths. Adjuvant chemotherapy is advised for patients who show microscopic lympho-vascular permeation, which is a risk factor for recurrence and for cancer related death. Patients who had pneumonectomy or who suffered from cardiac or respiratory complications need meticulous care in order to reduce comorbidity-induced death. 배경: Ia 병기의 비소세포성폐암에서 폐엽 절제술과 종격동 림프절 청소술은 표준 치료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약 15∼40%의 환자의 재발 또는 사망 등의 치료 실패를 경험하게 된다. 저자들은 Ia 비소포성폐암에서의 치료 실패 유형을 분석하고 각각에 따른 위험 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1월부터 2005년 8월까지 비소세포성폐암으로 완전(R0)절제술을 시행받은 15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였다. 치료 실패의 원인을 폐암연관 사망 및 폐암무관 사망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156명의 환자중 남자가 93명, 여자는 63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61.31세였다. 중앙 추적관찰 기간은 33.8개월이었다. 5년 생존율은 87.6%였고 10년 생존율은 78.3%였다. 미세 림프관-혈관 침윤이 있었던 환자는 10명이었다. 추적기간 중 19예의 폐암재발이 진단되었으며, 12예의 폐암연관 사망이 발생하였다. 폐암무관 사망은 16예에서 발생하였다. 폐암 재발과 폐암연관 사망의 위험인자는 미세 림프관-혈관 침윤(HR=6.81, p=0.007, HR=7.81, p<0.001)이었으며, 폐암무관 위험인자는 전폐절제술(HR=25.92, p=0.001)과 수술 후 심혈관계 또는 호흡기계통의 합병증 발생여부(HR=29.67, p=0.002)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Ia 비소세포성폐암의 완전절제술 후 사망 원인은 재발과 이로 인한 폐암연관 사망뿐만 아니라 폐암무관 사망 또한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재발 및 폐암연관 사망의 위험인자인 미세 림프관-혈관 침윤이 있는 환자들 대상으로 수술 후 보조 항암요법을 선택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전폐절제술을 받은 환자나 심혈관계 또는 호흡기계 합병증이 발생했던 환자들에 있어서는 병발증으로 인한 사망을 줄이기 위해 세심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한국인과 중국 연변지역의 조선족에서 hOGG과 L-myc 그리고 대사효소 등의 다형성과 흡연 및 음주가 폐암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연구

        하정호,이계영,김헌,강종원,김용대,엄상용,최강현,노성일,임동혁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06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6 No.2

        BackgroundLung cancer is the second most frequent cancer in Korea. The mortality of lung cancer is different in Korean- Chinese.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ix genes, cytochrome P450 1A1(CYP1A1), cytochrome P450 2E1(CYP2E1), glutathione S-transferase mu(GSTM1) and theta(GSTT1), 8-hydroxyguanine glycosylase(hOGG1), and L-myc protooncogene,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lung cancer in Koreans and, Korean-Chinese. MethodsOne hundred and fourteen Korean lung cancer patients, and 115 Korean controls who were recruited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68 Korean-Chinese lung cancer patients and 57 Korean-Chinese controls who were at Yanbian University Hospital were included in this case-control study. After separating DNA from peripheral blood, genotypes of the CYP1A1, CYP2E1, GSTM1, GSTT1, hOGG1, and L-myc genes were analysed.ResultsIn Koreans, the odds ratio(OR) of GSTT1 null genotype on lung cancer was 3.1(1.8-5.4),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GSTM1 null type showed an odds ratio of 1.3(0.8-2.3). CYP2E1 and L-myc genotype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lung cancer risk. The risk of lung cancer was lower in Koreans with CYP1A1 Val/Val type than in those with the other CYP1A1 genotypes. In Korean-Chinese, polymorphisms of the hOGG1 and L-myc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lung cancer risk. Smoking showed a greater effect in Korean-Chinese than in Han-Chinese. The lung cancer related genes and smoking were different in Korean and Korean-Chinese. ConclusionsThese results imply that gene-environmental interaction shows a strong impact on the carcinogenegis of lung cancer in koreans and korean-chinese 연구배경폐암은 한국에서 두 번째로 흔한 암종으로 한국인과 중국 연변지역 조선족의 폐암 사망률이 다르다. 본 연구는 폐암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여섯 가지 유전자인 cytochrome P450 1A1(CYP1A1)과 cytochrome P450 2E1(CYP2E1), 그리고 glutathione S-transferase mu(GSTM1)와 theta(GSTT1), 8-hydroxyguanine glycosylase(hOGG1), L-myc protooncogene, 환경적 요인등이 한국인과 중국 거주 조선족의 폐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방 법한국인 폐암환자 114명과 대조군 115명, 중국 거주 조선족 폐암환자 68명과 대조군 57명을 모집하여 환자-대조군 연구로 수행하였다. 설문조사로 인적사항과 환경적 요인을 조사하였고, 정맥혈에서 DNA를 추출하여 CYP1A1과 CYP2E1 그리고 GSTM1, GSTT1, hOGG1, L-myc 유전자 유형을 분석하였다.결 과한국인에서 GSTT1 유전자가 결손인 경우 폐암의 대응위험도가 3.1(1.8-5.4)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CYP1A1 유전자가 Val/Val 형인 경우 Ile/Ile 형에 비해 대응위험도가 0.14(0.05, 0.40)로 유의하게 낮았다. GSTT1과 CYP1A1은 다변량분석에서도 폐암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나머지 유전자형은 폐암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중국 거주 조선족에서 다변량분석결과 hOGG1과 L-myc 유전자가 폐암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여 한국인과 조선족에서 폐암과 관련된 유전자 유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은 한국인과 조선족 모두에서 유의하게 폐암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재확인되었다.결 론이러한 결과는 유전적 요인이 동일하더라도 한국과 중국에서 폐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가 상이하여 강한 유전자-환경요인의 상호작용이 존재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 SCOPUSKCI등재

        비소세포폐암에 있어서의 Telomerase 활성도

        김진국,김관민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0 No.7

        그동안 폐암의 발생에 관여하는 여러가지 유전자의 이상이 보고되어 왔으나 모든 종류의 폐암에서 보이는 비억제적 성장(unconkolle6 growth)을 대변할 수 있는 유전자적 종양 표시자(molecular tumor marker)는 보고된 바 없었다. 최근 유전자(chromosome)의 말단부에 위치한 특이한 구조인 telomere가 세포의 노화나 증식정도 (proliferative activity)에 따라 그 구조, 특히 TrAGGG 반복 구조가 변한다는 것이 알려진 바 있다. 따라서 telomere의 반복 구조를 만드는 효소인 telomerase의 활성도는 대상 세포의 증식 상황이나 증식 가능성을 나타내는 표시 자로서의 기능이 있다고 추정된다. 따라서 이는 종양의 진단은 물론 대상 환자의 향후 예후를 판 단하는 데도 좋은 지표로 이용될 수 있다. 12개의 다양한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와 수술로 적출된 41명의 비세포계암 환자의 종양 조직에 대해 nROolymerase chain reaction)을 기초로 한 TRAP assay를 이용하여 telomeiase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동시에 적출된, 종양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의 정상 폐조직을 이용하였다. 12개 전 종양 세포주는 물론 대부분의 종양 조직(94%)에서, 성별, 연령, 세포 병리학적 subtype, 암기(stage) 등과 관련이 언이, telomerase의 활성도가 측정되었으며 정상이라고 간주된 조직에서는 5명으로 부터 채취한 조직에서만 미약하게 telomerase활성도가 관찰되었다. 예후에 연관지어 telomerase활성도의 의미는 telmerase활성도가 보이지 않는 종글이 극히 적었고 또한 추적 관찰 기간이 짧아 판정할 수 없었다. Telomere의 길이의 변화는의미를 판정키 어려웠다. 이상의 결과는 비소세포폐암에 있어 telomerase활성도의 변화가 암발생에 아주 중요한 과정일 수 있다는 추정을 가능하게 하며 telomerase활성도의 측정이 종양의 진 단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시켜 주는 것이라 사료된다. Although many reseraches have been persued to detect the molecular tumor marker to define the cancer, ideal tumor marker which speak for the characteristics of malignancy and has hig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is not known.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lignant cells is indefinite proliferative potential, in other word, immortality. The expression of telomerase and stabilization of te10meres are con omitant with the attaiunent of immortality in tumor cells; thus the measurement of telomerase activity in clinically obtained tumor samples may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which would be useful as a diagnostic marker to detect immortal cancer cells. Telomerase activity was analyzed in 12 non-small cell . lung cancer cell lines and 41 primary non-small cell lung cancers with the use of a PCR-based assay. All the cell lines and the majority of tumors displayed telomerase activity, but telomerase was not detectable in most of the corresponding pathologically-normal tissues. Telomere length was not correlated with telomerase activity.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measurement of telomerase activity may be useful as a molecular tumor marker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