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지리산권 지식인의 마음 공부 - 「神明舍圖銘」 관련 남명학파 문학작품에 나타난 재해석의 면모와 시대적 의미-

        전병철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09 남명학연구 Vol.28 No.-

        Nammyeong Jo Sik (1501-1572)’s 「Shinmyeongsadomyeong」 shows one’s worrying and overcoming process in building up his moral character and reaching the saintly state and clearly reveals ‘Strict Discipline’. You can find five literary works of Nammyeong School Scholars succeeding to Nammyeong’s 「Shinmyeongsadomyeong」, and you can have an opportunity to learn ‘Study of the Mind of Nammyeong School’ formed around Jinju, one of Mt. Jirisan areas. The works are Guam Lee Jeong’s 「Shinmyeongsabu」, Donggang Kim Woo Ong’s 「Cheongunjeon」, Hansa Gang Dae Soo’s 「Shinmyeongsagi」, Taegye Ha Jin’s 「Shinmyeongsagi」 and Myeonwoo Gwak Jong Seok’s 「Shinmyeongsabu」. You can induce two main conclusions after consideration of reinterpretation and contemporary meaning that these five works have. Firstly, they succeed to Nammyeong’s 「Shinmyeongsadomyeong」 and illuminate their meaning and importance from each one’s position and perspective. The five works have different analytical methods of identifying key factors of 「Shinmyeongsadomyeong」 according to each one’s perspective and contemporary needs. Accordingly, central ideas that you try to highlight shall be different. Secondly, when you see some of the authors from the genealogy of Nammyeong School, you will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their works in association with the contemporary situation of Nammyeong School. You will discover the meaning of the pieces of Guam and Donggang in terms of ‘Inheritance and Propagation of Nammyeong School’. You can identify the pieces of Hansa and Taegye in terms of ‘Protection of School Ties’ at a crisis of Nammyeong School immediately after Injo rebellion against Gwanghaegun. Myeonwoo works show ‘How to spread the Study of the Mind of Nammyeong’ as a Confucian Mind Discipline at a moment of foreign invasion or at a national crisis. 南冥 曺植(1501-1572)의 「神明舍圖銘」은 한 인물이 자신의 마음을 어떻게 수양하여 성인의 경지에 이를 수 있을까를 고민하고 이겨내는 과정을 다룬 것으로, 그의 엄격한 수양론을 극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본고에서는 남명의 「신명사도명」을 계승한 남명학파 학자들의 문학 작품 5편을 통시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지리산권 가운데 하나인 진주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남명학파의 마음 공부를 이해하는 일단의 실마리로 삼았다. 대상으로는 삼은 작품은 龜巖 李楨의 「神明舍賦」, 東岡 金宇顒의 「天君傳」, 寒沙 姜大遂의 「神明舍記」, 台溪 河溍의 「神明舍記」, 俛宇 郭鍾錫의 「神明舍賦」 등이다. 이 5편의 문학 작품이 가지는 재해석의 면모와 시대적 의미를 고찰해 볼 때, 크게 두 가지 정도로 그 결론을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남명의 「신명도사명」을 각기 계승하되 그것이 함유하고 있는 의미와 중요성을 저마다의 입지와 관점에서 조명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5편의 작품들은 자신의 관점과 시대적 필요에 의거해 「신명사도명」의 핵심을 파악하는 해석의 각도가 차이를 빚게 되었다. 따라서 부각시키려 한 중심 내용이 달라질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둘째, 남명학파의 계보상에서 저자들을 구분해 볼 때, 그들의 작품이 가지는 의의를 남명학파의 시대적 상황과 연관시켜 가늠해 보게 된다. 구암과 동강의 작품은 ‘남명학의 계승과 전파’라는 측면에서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한사와 태계의 작품은 인조 반정 직후 남명학파의 명맥이 끊어질 위기에 봉착하여 ‘학맥의 수호’라는 관점에서 해석해 볼 수 있다. 면우의 작품은 외세의 침략과 국가의 존망이 위태로운 시기에 유학적 마음 수양의 指南으로서 ‘남명의 심학을 천양’한 것이라고 규정해 볼 수 있다.

      • KCI등재

        三洲 申顥仁의 문집 판본 비교와『大學』해석 특징 고찰

        전병철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3 남명학연구 Vol.77 No.-

        Samju Shin Ho-in was a descendent of Songgye Shin Gye-seong who resided in Hapcheon Samga. Looking comprehensively of his academic career and social practice, it is attributable to the background of his study on Nammyeonghak with the academic tendency of his family and academic trend of the region in addition to the teaching of his teacher, Song Hwan-gi, to establish comprehensive characteristics in learning the Noron-line academics. For his publications, there are 『Yiyeodang-jip』and 『Samju-jip』. Comparing the entire volume, 『Yiyeodang-jip』Ha 476 pieces, over 7.5 times of 『Samju-jip』. What would be the reason to have such a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literature collections? In the la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when Shin Ho-in was active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en 『Samju-jip』was published, there were extremely significant changes in social and political trends. Before the Joseon Dynasty fell apart, the identity on Naeam Jung In-hong was made in 1908 (2nd year of King Sunjong) and 『Naeam-jip』was published in 1911. Looking into such a fact, it is considered that the clans that made concerted effort to break away from any relativity with the Nammyeonghak-faction as it was considered as the land of treason after the Musinran (a Rebellion in Year of Musin) in 1728 had the new action for encountering after the Joseon Dynasty fallen apart. Pyeongsan Clan Shin in the Hapcheon area of the 18th century was the descendent of Song-line with no way of denying the relativity with the Nammyeonghak-faction but it sought the way to sustain the family by newly entering into the history annals relationship as they were under the Noron-line scholars. However, with the Joseon Dynasty no longer existing, there was no reason to display its relativity with Noron any longer, and rather, it is cautiously presume that it wanted to regain the reputation as a family that was closely related to the Nammyeonghak-faction. Shin Ho-in quickly noted if he had in-depth search for 『Daehak』and 『Jungyong』and he drew paintings for his opinions. From his publication, 「Daehak-chaui」 and 「Jungyong-chaui」 would be applicable for former, and 「Daehakdobyeongseol」 and 「Jungyongsujan- gdobyeongseol」 would be classified as later. Looking into the 『Daehak』related works from the foregoing, he presented his opinion while critically accommodating Yoon Byung-koo, Han Won-jin and others of connotations of 「Daehak-do」 and Confucian classics. 三洲 申顥仁은 松溪 申季誠의 후손으로, 陜川 三嘉에 거주한 인물이다. 그의 학문 과정과 사회적 실천을 종합해 본다면, 가학의 전승과 지역의 유풍에 의해 남명학을 익히고 스승 宋煥箕의 가르침을 통해 노론계 학문을 배우는 종합적 학문 성격을 가졌다고 이해할 수 있다. 그가 남긴 저술로 『二如堂集』과 『三洲集』이 있다. 전체 분량을 비교해본다면, 『이여당집』은 『삼주집』에 비해 7.5배가 넘는 476편이다. 두 문집 간에 이와 같은 차이가 발생한 까닭은 신호인이 활동한 조선 후기와 『삼주집』이 간행된 일제강점기는 사회적ㆍ정치적 양상에 있어 매우 큰 변화가 있었기 때문이다. 조선이 망하기 직전 1908년(순종 2)에 來庵 鄭仁弘에 대한 신원이 이루어졌고 『來庵集』도 1911년에 간행되었다. 이런 사실로 미루어볼 때, 1728년 무신란 이후 반역향으로 낙인되어 남명학파와의 연관성을 애써 지우려고 노력했던 문중들이 조선이 없어진 이후에는 새로운 대처 양상을 가졌던 것이 아닐까 추론된다. 18세기 합천 지역의 평산신씨는 송계의 후손으로서 남명학파와의 연관성을 부정할 수는 없었다. 그 대신 노론계 학자들의 문하에 나아가 새롭게 사승관계를 맺음으로써 가문을 유지하는 방안을 강구했다. 하지만 조선이 없어진 상황에서 더 이상 노론과의 연관성을 일부러 드러낼 필요가 없었을 것이며, 오히려 오랫동안 감출 수밖에 없었던 남명학파의 연원가라는 측면을 다시 되찾으려 노력한 것이 아닐까 하는 추론을 조심스럽게 제기해본다. 신호인은 『대학』과 『중용』을 깊이 탐구하여 깨닫는 것이 있으면 빨리 적어두었으며, 자신의 견해를 그림으로 나타냈다. 전자에 해당하는 저술이 「大學箚疑」와 「中庸箚疑」이며, 후자가 「大學圖幷說」과 「中庸首章圖幷說」이다. 이 중에서 『대학』과 관련된 저작을 살펴보면, 그는 尹鳳九ㆍ韓元震 등의 「대학도」 및 경학설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가운데 자신의 견해를 제시했다.

      • 0.2 ${\mu}m$ Wide-Head T-Gate PHEMT 제작에 관한 연구

        전병철,윤용순,박현창,박형무,이진구,Jeon, Byeong-Cheol,Yun, Yong-Sun,Park, Hyeon-Chang,Park, Hyeong-Mu,Lee, Jin-Gu 대한전자공학회 2002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39 No.1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dose를 갖는 이중 노광 방법을 사용한 전자빔 묘화 방법을 이용하여 0.2 ㎛의 wide-head T-게이트를 갖는 PHEMT를 제작하였다. 0.2 ㎛의 게이트 길이와 1.3 ㎛의 게이트 머리의 크기를 갖는 wide-head T-게이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PMMA/P(MMA-MAA)/PMMA의 3층 레지스트 구조를 사용하였다. 0.2 ㎛의 게이트 길이와 80 ㎛의 단위 게이트 폭 및 4개의 게이트 핑거를 갖는 PHEMT의 DC 특성으로 323 ㎃/㎜의 드레인 전류 밀도 및 232 mS/㎜의 최대 전달 컨덕턴스를 얻었다. 또한 동일한 소자의 RF 특성으로 40 ㎓에서 2.91 ㏈의 S/sub 21/ 이득과 11.42 ㏈의 MAG를 얻었으며, 전 이득 차단 주파수와 최대 공진 주파수는 각각 63 ㎓와 150 ㎓였다. n this paper, we have fabricated pseudomorphic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s (PHEMT) with a 0.2 ${\mu}{\textrm}{m}$ wide-head T-shaped gate using electron beam lithography by a dose split method. To make the T-shape gate with gate length of 0.2 ${\mu}{\textrm}{m}$ and gate head size of 1.3 ${\mu}{\textrm}{m}$ we have used triple layer resist structure of PMMA/P(MMA-MAA)/PMMA. The DC characteristics of PHEMT, which has 0.2 ${\mu}{\textrm}{m}$ of gate length, 80 ${\mu}{\textrm}{m}$ of unit gate width and 4 gate fingers, are drain current density of 323 ㎃/mm and maximum transconductance 232 mS/mm at $V_{gs}$ = -1.2V and $V_{ds}$ = 3V. The RF characteristics of the same device are 2.91㏈ of S21 gain and 11.42㏈ of MAG at 40GHz. The current gain cut-off frequency is 63GHz and maximum oscillation frequency is 150GHz, respectively.ively.

      • KCI등재

        尼溪 朴來吾의 隱逸的 處世와 山水 遊覽

        전병철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8 남명학연구 Vol.60 No.-

        When we read literary works that a person left or records about his life and try to understand meaning between the lines that they do not or fail to contain, we should try to think about it within the background they actually lived in. In order to settle down the issue of how to understand any social participation or seclusive ways of living that a person chose, we need to explain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 clearly and also evaluate if the ways of living that the person chose in that time was really fair. With a critical mind regarding that, this author here aims to examine what meaning Pak Nae-o’s seclusive ways of living have in the situations of the time that he lived and also figure out his consciousness and pursuit found in his excursion to Mt. Giri in the extension. In addition, examining his consciousness and pursuit found in his journey to Mt. Giri,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fact that his internal identity was close to that of Nammyeong School. Based on that understanding of Pak Nae-o,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to excavate and investigate the figures of Gangwoo area in the 18th century newly that have not been discussed as Nammyeong School. 어떤 인물이 남긴 문학작품과 그의 삶에 대한 기록을 읽을 때, 그것이 담아내지 않은 혹은 담아내지 못한 행간 사이의 의미를 이해하고자 한다면, 그가 살아간 시대의 배경 속에 놓고 파악할 필요가 있다. 어떤 인물이 선택한 사회적 참여나 은일적 처세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 시대의 상황이 과연 어떠했는지가 분명하게 설명되어야 하며, 그런 시대 속에서 그 인물이 선택한 처세는 정당한 것이었는가를 평가해야 할 것이다. 이 글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박내오가 살아간 시대적 상황 속에서 그의 은일적 삶이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았으며, 그 연장선에서 지리산 유람에 나타난 그의 의식과 지향이 무엇이었는지를 짚어보고자 했다. 지리산 유람에 나타난 박내오의 의식과 지향을 살펴봄으로써 그의 내적 정체성이 남명학파에 가깝다는 사실을 이해했다. 이러한 박내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18세기 강우지역의 인물 가운데 남명학파로 거론되지 않은 인물들을 새롭게 발굴하고 연구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 KCI등재

        來庵 鄭仁弘의 南冥學 辯論과 道學的 正統性 규명

        전병철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0 남명학연구 Vol.68 No.-

        16세기 중반에서 17세기 초, 退溪 李滉이 南冥 曺植을 비판하고 이에 대해 來庵 鄭仁弘이 변론한 일련의 사건은 단순하게 학파 간의 대립 양상으로 치부할 수 없는 중요한 학술사적 전환과 맞물려 있지 않을까? 이 문제의식을 전제로 정인홍이 남명을 변호하는 논점의 변화 양상을 추적하고, 그런 변화가 나타나게 된 근본 원인을 파악하려 했다. 그리고 17세기 초에 朱子學的 正學이 학문의 정통성을 획득한 상황에서 정인홍이 「正脈高風辨」을 통해 남명학의 道學的 正統性을 어떻게 규명하고 있는지를 고찰했다. 정인홍은 퇴계의 남명 비판에 대해 변론하면서 처신과 절의의 관점에서 반박했다. 또한 퇴계가 鳳城君 李岏을 죽이도록 요청하는 차자에 聯名한 사실과 官妓의 일을 거론하여 비판했다. 그리고 두 사람이 같은 시대를 살았는데, 어떤 삶이 時宜에 합당한 中庸이었는가? 라는 물음을 제기했다. 道學의 인물은 出仕와 不出仕라는 행적에 의해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그 시대에 그 행적이 중용에 합당한 것이었느냐를 엄밀하게 따져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堯-舜-禹로 전해진 ‘允執厥中’의 心法을 실천하는 사람이라야 도학의 인물이 될 수 있다는 뜻이다. 이처럼 정인홍의 남명 변론에 담겨 있는 핵심은 유학적 도통과 중용 실천에 있었다. 그러나 퇴계는 유학의 올바른 학문을 정립하고자 했으며, 그것은 주자학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퇴계의 학문적 위상과 영향에 의해 이 견해와 방향성은 학술사적 전환을 가져와 더 이상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되었다. 寒岡 鄭逑의 ‘退陶正脈 山海高風’이라는 표현에 그 시대의 학술 사상이 함축적으로 드러나 있다. 그러므로 정인홍이 중용의 실천에 근거해 남명을 변론한 점은 논리적 정당성의 문제가 아니라 학술사적 변화를 깊이 인지하지 못한 데에 공감을 얻지 못한 원인이 있었다. 그렇다고 스승이 추구한 삶과 학문의 정체성을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개하는 것도 제자의 도리가 아니다. 따라서 정인홍이 찾은 방법은 『學記類編』을 간행하여 남명의 학문이 程朱學에 깊이 연원하고 있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제시하는 것이었다. 정인홍 이후로 남명학파 학자들이 남명의 학문을 정주학에 근거해 그 의의를 드러내고자 노력한 일들은 이러한 고심에서 나온 것이라고 이해된다. 오늘날의 관점에서 본다면, 주자학만이 正學이라고 할 수 없다. 남명의 학문은 그 자체로 고귀한 학술사적 자산이며, 주자학과의 합치 여부가 평가 기준이 될 수 없다. 다만 그 학자들이 자기 시대의 과제와 해결 방법을 찾기 위해 고심한 노력을 가능한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자 시도하고, 그것으로부터 시대적 의미와 한계를 읽어내어 현재 우리의 학문과 삶을 성찰하는 계기로 삼으려 한다. In a series of events between the mid-16th century and the early 17th century, Twe-gye Yi Hwang criticized Nammyeong Jo Sik and Nae-am Jeong In Hong argued in favor of the latter. Is this confrontation in line with a significant transition in terms of academic history that cannot be neglected as a mere confrontation between academic schools? In this awareness of an issue, this study traces back changes in the process that Jeong In Hong defended Nammyeong and seeks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cause of such changes. Additionally, this study examines how Jeong In Hong verified the orthodoxy of Nammyeong School by means of 「Jeong-maek- go-pung-byeon」 in the early 17th century when Neo-Confucianism (朱子學) was recognized with securing the orthodoxy of studies. Jeong In Hong refuted Twe-gye’s criticism against Nammyeong in terms of practice and fidelity to principles. He also criticized that Twe-gye requested to kill Bongsonggun (prince) Iwan and that there were gisaengs (Korean geisha) belonging to the governmental office. He questioned whose life of these two living in the same period of time was suitable for the times. He argued that a Confucian philosopher (道學) should not be judged based on whether or not he secures a governmental position but based on whether his works were appropriate for the times. In other words, Confucian philosophers should practice the ideas of moderation that passed down through Yo(堯)-Sun(舜)-Wu(禹). The key of Jeong In Hong's defense in favor of Nammyeong was spiritual awakening and moderation. However, Twe-gye sought to establish a rightful type of learning of Confucianism, thinking that this could be achieved through Neo-Confucianism. The academic position and influence of Twe-gye led this view and directivity into a significant transition in terms of academic history to the point that this mainstream could not be defied. As Jeong-gu stated that Twe-gye upheld traditional Confucianism while Nammyeong was a man of noble personality implies the academic idea of the times. Thus, the fact that Jeong In Hong defended Nammyeong in the perspective of practicing the idea of moderation was not a matter of logical justification. Rather, it resulted from the failure of gaining others’ consensus since he did not have deep understanding of changes in terms of academic history. On the other hand, it is not reasonable for a follower to abandon the life and academic identity pursued by his master depending on the current of the times. The solution that Jeong In Hong came up with was to publish Hak-gi-yu-pyeon (學記類編) and thus to clarify that Nammyeong’s learning was more deeply rooted in Jeongju School (程朱學). Certainly for the same purpose, scholars of Nammyeong School sought to make known the implications of Nammyeong’s learning on the basis of Jeongju School after Jeong In Hong. In today’s point of view, it would be hardly accepted that Neo-Confucianism is the only rightful learning (正學). Nammyeong’s learning itself is a valuable heritage in the academic history, but its conformity to Neo-Confucianism cannot be an absolute basis for evaluati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seek to understand efforts that such scholars put forth to solve the issues of their times as accurately as possible and to reflect our learning and life by grasping their meanings and limitations in our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