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커뮤니티비즈니스 교육프로그램의 탐색적 고찰 :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강순화,김정명 한국자치행정학회 2012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6 No.3

        오늘날 커뮤니티비즈니스는 지역사회와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주목되고 있다. 커뮤니티비즈니스는 가까운 일본에서는 1990년대 중반부터 관심을 받고, 우리나라에서는 최근에 들어 관심을 받고 있다. 커뮤니티비즈니스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이에 대한 전문가들은 부족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커뮤니티비즈니스를 운영하는 전문 인력을 육성하는 체계적인 교육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커뮤니티비즈니스의 활동을 성공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해서 잘 이해하고, 조직적이며 체계적으로 교육을 받은 인력이 필요하다. 일본은 이미 커뮤니티비즈니스 어드바이저와 코디네이터 인정 강좌를 실시하고 있으며, 자격증까지 발급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 국내에는 이러한 자격을 갖춘 인재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제도가 없으며 인력 또한 부족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커뮤니티비즈니스에 관련한 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고찰함으로써 한국의 커뮤니티비즈니스의 인재육성에 필요성의 인식과 향후 교육 프로그램의 구축에서 나아갈 방향을 얻는 것이 목적이다.

      • KCI등재

        커뮤니티맵핑 어플리케이션 개발과 활용이 초‧ 중생의 안전의식 고취에 끼치는 영향

        권진석,이효정,신은혜,박소순 한국재난정보학회 2019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5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커뮤니티맵핑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초‧중생 안전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를 위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맵핑 어플리케이션을 개 발, 활용하여 초‧중생 약 425명이 참여한 후 설문조사를 통해 안전역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커뮤니티맵핑 활동을 통해 초‧중생의 실제 생활주변 위험요소를 도출할 수 있었고 활동 전‧후 설문조사 를 통해 참가자의 안전역량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참여형 맵핑 툴과 유사 한 기능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편의성, 접근성, 확장성이 있는 커뮤니티맵핑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통 해 어린이 안전교육의 하나의 콘텐츠로 활용하여 등록된 정보를 활용하고 초‧중생의 안전역량 제고를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ducational program for enhance safety capability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community mapping application. Method: Developed and utilized a community mapping application that can be easily used for research. After participating in 425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 of safety competency through survey. Results: Through the community mapping activities, it was possible to derive the actual life surrounding risk factors of the earthy life, and it was found through the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he activity that the safety competence of the participants improved. Conclusion: Investigation of similar related cases of Public Participant Safety Mapping Tool and analysis of their functionalities are conducted, and user demanded functionalities with improved usability·accessability·expandability are derived. Also, the system applied the test to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survey showed that the safety capacity was improved according to Safety Mapping activities. This is proposed as a safety education program.

      • 브랜드커뮤니티 특성 및 구성원의 성격요인과 브랜드커뮤니티 몰입 및 브랜드애착 간의 관계

        박상현,장영혜,박명호 한국산업경영학회 2015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5 No.-

        본 연구는 커뮤니티 특성과 구성원들의 성격요인이 브랜드 커뮤니티 몰입과 브랜드애착간의 관계와 이들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커뮤니티는 제품/서비스 뿐만 아니라 유명인과 캐릭터 브랜드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리서치 전문 기관에 의뢰를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브랜드커뮤니티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커뮤니티 특성과 구성원들의 성격요인은 다르게 나타났는데, 특히 표현의 자유는 모든 커뮤니티 유형에서 커뮤니티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커뮤니티 특성과 구성원들의 성격요인 간의 상호작용효과 또한 커뮤니티 유형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즉 구성원지원과 구성원들의 경험개방성의 상호작용 효과가 커뮤니티 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케릭터와 제품/서비스 브랜드 커뮤니티에서만 유의한것으로 나타났고, 유명인 커뮤니티에서는 지각된 가치와 구성원들의 외향성과의 상호작용 효과만 이 커뮤니티 몰입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브랜드 커뮤니티 연구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의 커뮤니티 참여행동과정을 설명하는 데 유용할 것이며, 커뮤니티 유형별효과적인 운영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클 것이다.

      • KCI등재

        커뮤니티 소속감에 대한 영향요인으로서 커뮤니티웰빙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준영(李俊榮),최낙혁(崔洛赫) 한국정책과학학회 2018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2 No.1

        이 연구는 2015년 서울대학교 커뮤니티웰빙연구소 주관으로 시행된 전국 커뮤니티웰빙 설문조사를 분석하여 커뮤니티웰빙의 커뮤니티 소속감에 대한 영향을 탐색하고 있다. 이를 위해 양적 및 질적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설문자료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커뮤니티웰빙의 여섯 자본요소중에서 사회적 및 문화 자본이 지역 거주민의 커뮤니티 소속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경제 자본이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뮤니티 소속감에 대한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응답을 MAXQDA 12를 활용해 코딩 및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거주기간과 사회적 자본 요소가 커뮤니티 소속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향후 커뮤니티 소속감 향상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 방향 설정에 있어 사회적 자본 향상에 정책적 관심과 자원배분을 높일 필요가 있다. 방법론적 측면에서는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이 서로 동일한 결과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설문을 이용한 소속감 및 커뮤니티웰빙 측정 방법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nse of community and community wellbeing capital factors. By analyzing the data gathered from 2015 National Community Wellbeing Survey, this study investigates as to which community wellbeing factors influence sense of community.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ology were adopt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the data, social, culture, and economic capital factors affect the resident’s sense of community. Specifically, social capital is the most significant influential factor for increasing sense of community. To triangulate this analysis, the research investigates participants’ answers of open-ended questions related to sense of community. The finding of this analysis shows that social capital and length of residence are key factors for increasing the resident’s sense of community, which is in line with the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Findings of this research implicate that local governments need to pay more policy attention to securing social capital in order to elevate residents’ sense of community.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adopted show similar results on influential factors of sense of community. In this sense, the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verifies the findings of quantitative analysis and makes sure the credibility of this research.

      • KCI등재

        Aging in place 개념의 커뮤니티시설 배치특성 연구 -중국 하얼빈 중심으로-

        원영기 ( Yong-qi Yuan ),윤갑근 ( Gab-geun Yo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1 한국디자인포럼 Vol.26 No.3

        연구배경 고령화 사회의 발전배경으로 노인들의 노후문제가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현재 Aging in place 개념은 많은 국가에서 사용되는데, 이는 노인들이 거주지에서 노후를 보내는 것을 장려한다는 의의를 지녀 노인이 거주하는 공동주택 커뮤니티가 노년 생활의 주요 공간으로 떠오르고 있다. 따라서 커뮤니티시설 배치는 노인들의 생활 관계와 매우 중요하다. 연구방법 커뮤니티시설의 개념 및 분류와 노인들의 여가활동 및 욕구를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하여 Aging in place 개념을 바탕으로, 노인들의 노후 생활에 대해 더욱 많은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커뮤니티시설의 배치상황은 노인들의 욕구를 만족시켜야 한다. 연구결과 공동주택 커뮤니티는 모든 사람이 함께 생활하는 공간으로써 노인들의 물리적 특징에 따라 욕구가 크게 변화된다. 이에 커뮤니티 시설물은 안전성, 건강성, 편의성, 심미성 및 사회성을 갖추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분석틀에 따라 최근 공동주택의 커뮤니티시설을 사례분석한 결과, 각 커뮤니티가 심미성 측면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외 편의성, 건강성, 사회적 및 안전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최근 공공주택의 커뮤니티시설은 환경 및 자연환경과 결합하여 심미성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커뮤니티 시설물은 주거공간의 중간영역을 이용하여 다양한 공간배치구조를 형성한다. 하지만 안전성 측면에서는 노인의 행동능력와 감지능력 저하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 노인의 안전관리에 소홀하였다. 본 연구는 커뮤니티 시설물 중 휴식 및 교류공간에 대해서만 사례분석을 했다는 점에 한계를 지니는바, 향후 커뮤니티 시설물 중 나머지에 대한 사례분석 및 노인의 이용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 실시로 커뮤니티 시설물 배치의 방향에 대한 연구가 되어야 한다. Background The aging problem of the elderly is attracting people's attention as the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 of an aging society. the concept of Aging in place is used in many countries, which means that the elderly are encouraged to spend their retirement in their residences, and the community of apartments inhabited by the elderly is emerging as a major space for old life. Methods Based on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community facilities and the concept of aging in place by analyzing leisure activities and desires of the elderly through prior research, the layout of community facilities should satisfy the needs of the elderly. Result The apartment community is a space where everyone lives together, and the needs change greatly depending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Community facilities shall be located to ensure safety, health, convenience, aesthetics and sociality. According to this analysis frame, a recent case analysis of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s showed that each community was high in terms of aestheticity, followed by convenience, health, social and safety. Conclusion Recently, community facilities in public housing have been relatively aesthetic in combination with the environment and natural environment. In addition, community facilities use intermediate areas of residential space to form various spatial layout structures. However, in terms of safety,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elderly was neglected because it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havioral and sensory abilities of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elderly was neglected. This study should be a study on the direction of community facility placement by conducting a case analysis of the rest of community facilities and a survey on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 KCI등재

        한국 커뮤니티 댄스의 새로운 가치 분류를 위한 시론

        전예화 ( Jeon Yehwa ) 무용역사기록학회 2016 무용역사기록학 Vol.41 No.-

        이 연구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커뮤니티 댄스의 형태를 성격별로 분류하고 그 내용을 살피는데 목적을 둔다. 이러한 분류작업을 통해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커뮤니티 댄스를 새롭게 분류함으로써 커뮤니티 댄스가 갖고 있는 의미와 그 가치를 논하고자 한다. 커뮤니티 댄스는 무용교육을 바탕으로 신체를 통해 타인과의 교류, 새로운 자신의 발견과 신체를 통한 자신감을 얻는 활동이자 사회적 공통분모가 소통하고 정보통신 기술발달로 인한 인간의 소통 단절을 춤으로 교류 하는 것이다. 한국에서의 커뮤니티 댄스는 일반인들이 춤을 통해 즐거움과 치유 그리고 타인과의 교류하는 활동에서 교육적 측면을 지닌 프로그램들까지 여러 시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커뮤니티 댄스를 네 가지 형태로 분류하였다. 첫째, 공연 지향의 커뮤니티 댄스는 참여하는 공동체가`함께`라는 의식을 공유하며 생산물을 만들어 내는 행위에 바탕을 두면서 무대공연에 대중이 참여하여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였다. 또한 다양한 세대와 만남을 통해 계층의 시대정신을 구현하면서 예술성을 확보하였다. 커뮤니티 댄스 활동을 확산시키고 춤추는 일반인들과 전문무용수의 거리를 좁혔다는 점 그리고 공연을 지향하여 작품의 완성도를 높였다는 점에서 특징을 지닌다. 둘째, 지역 중심의 커뮤니티 댄스는 그 지역의 문화의 정체성을 춤을 통해 공유하며 커뮤니티 댄스를 통해 다른 커뮤니티를 재생산하였다. 이는 지역민들을 위한 춤이자 지역을 기반으로 두는 활동으로 그 지역만이 갖고 있는 특징과 그 지역민들의 스토리텔링을 찾아 낼 수 있다. 셋째, 불특정 다수의 참여 커뮤니티 댄스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커뮤니티 댄스로 세대 간의 교류의 장으로 불특정 다수가 참여하는 커뮤니티 댄스이다. 그 동안 각기 다르게 정의 되고 있는 커뮤니티댄스를 집약하고 있으며, 같은 생각을 하고 한데 모여 있는 커뮤니티가 춤을 통해 집결되어 있다. 넷째, 무용교육의 커뮤니티 댄스는 무용교육의 일환이자 사람과 사람이 춤을 통해 소통하는 장소로서 여러 대상에게 무용교육을 통해 자기표현 능력의 향상과 자신감 및 창의적인 사고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문화예술을 향유하는 것이다. The current study seeks to provide and examine a new value classification of community dance. Community dance, which is based on dance education, is an act of interacting with others, discovering oneself, and gaining confidence through physical movements. It also represents communication based on social common denominators and the restoration of interactions that were cut off by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Community dance in Korea is utilized in various ways: it is an activity for people to engage in for pleasure, to improve their health, to interact with others, and to learn new things. Community dance may be classified in the following categories. First, community dance as performance focuses on producing outputs with a sense of the community being together. It generates new meaning as members of the public take part in stage performances. In addition, it attains artistic value by expressing the zeitgeist through the interactions with various generations. Community dance as performance is distinct because it popularizes community dance, bringing professional choreographers and laypersons together. It also gives an enhanced sense of completeness with its orientation as performance. Second, community-centered dance uses dance to share the cultural identity of a community and can be reproduced by different communities. As a dance centered on the community, it can present the unique features of a community and tell the stories of the people of the community. Third, community dance for unspecified groups of people is a dance in which anyone can participate. It provides opportunities for different generations to interact with one another. This category includes various community dances that bring together like-minded communities through dance. Fourth, community dance as dance education provides an opportunity for people to dance and learn together. It helps people express themselves better, gain self-confidence, think creatively, and enjoy art and culture.

      • KCI등재

        한일 양국의 온라인지역커뮤니티의 재조직화에 대한 비교 연구 -「電子町内会」와 ‘인터넷반상회’를 중심으로

        민주현,안병곤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2 翰林日本學 Vol.0 No.20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던 지역커뮤니티인「町内会」와 ‘반상회’를 온라인상의 게시판․카페․클럽 등을 통해 형성된 온라인지역커뮤니티로서「電子町内会」와 ‘인터넷반상회’로 재조직화한 것에 대해 ‘지역성’, ‘사회적 상호작용’, ‘공동의 결속’을중심으로 한일 양국의 상대적 특징을 비교 고찰 해 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특징이 나타났다. 첫째, ‘지역성’에서 한국과 일본은 모두 인터넷 이용 증가의 추이에 따라 양국의지역을 기반으로 하는「電子町内会」와 ‘인터넷반상회’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있다. SNS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지역커뮤니티 출현은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의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트의 존속에 있어 한국이 46개의 폐쇄 및 미갱신 사이트가 있는 반면 일본은 531개로 가상공간이라는 특성상 한국보다 관리가제대로 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일본은 디지털 리터러시(정보격차) 현상을 줄이기 위한 정보화 교육을 병행하여 온라인지역커뮤니티의 유지 및 활성화에 대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은 새로운 커뮤니티의 단위인 공동주택을기반으로 온라인지역커뮤니티가 생성되는 반면, 일본은 전통적인 지리적 경계인「町」를 기반으로 기존의 명맥을 유지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둘째,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양국 모두가 동호회 등을 이용한 정보교환 및 친목의 형성에 의해 전통적 인간관계를 대체 및 보완하는 현대사회를 반영하고 있다는것이다. 그리고 이미 오프라인상에서 인맥이 유지되어 있으므로 그 파급효과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동호회는 정보교환으로 이루어지는 만남이나 대화가 지속적으로유지될 경우 최종적으로 지역사회의 참여로 연결될 가능성을 지닐 수 있다고 본다. 상대적 특징으로 한국의 ‘아나바다’ 사례는 현재의 경제적, 사회적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자원 등의 재활용 소비를 통해 소비주의 현상을 극복하려고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생태적 삶과 공생이라는 현대 미풍양속의 현상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공동의 결속’에서 한일 양국 모두 지역에 관련된 현안이나 행사 등의 정보게시를 통해 주민이 지역사회의 주체로서 참가할 것을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으로 지역현안에 있어서 댓글(답글)을 통해공동체 의식 표현과 참여를 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온라인지역커뮤니티는 온라인 공간에서 생성되는 지역커뮤니티로 재조직화된 것이기 때문에 생성과 소멸의 주기가 불명확하다는 것과 IT 기술의 환경적 변수가존재함으로 인해 모든 온라인지역커뮤니티 사이트를 조사할 수 없는 것이 본 연구의 한계점이다. 하지만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이상으로 살펴 본 바와 같이온라인지역커뮤니티로서의「電子町内会」와 ‘인터넷반상회’는 ‘지역성’, ‘사회적 상호작용’ 및 ‘공동의 결속’ 으로 분류한 지역커뮤니티로서 요건을 충분히 갖추고 있으며 지역사회 발전에 매우 유용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커뮤니티디자인의 전개와 논의의 특징

        김연금,이영범,Kim, Yun-Geum,Reigh, Young-Bum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3

        This study was prompted by the recognition that the tenn "Community design" has recently been used in diverse practical fields without prior discussion about its underpinnings, a potentially problematic state of affairs. Based on these problems, this study studied the special quality about the concept of community design. Community design can be discussed from two perspectives. The first views community design as a design that concerns the community, an inhabited area populated with people who have common interests, at least in part because of geographic proximity to each other. The second sees community design as a movement that started in the 1960s and places a great importance on democratic decision mak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latter. This branch of community design encompasses an advocacy planning approach, in which design professionals represent deprived communities in their resistance against comprehensive redevelopment. This was associated to the wider social protest movements of the mid and late 1960s. In the 1970s, this branch of community design was developed alongside community design centers, which provided local-level technical assistance to the communities on a number of issues, such as design and planning. The discussion about community design started in earnest from the early 1980s. A review of the literature m community design reveals several characteristics. First, community design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several aspects of a region, including the social and cultural. Second, it involves community participation, which many scholars believe is the core of community design. Specifically, community design has been characterized by increased participation and democratic debate and decision making. The Third is about communication methods. Since the 1960s, diverse methods had been developed to promote communication effectively. Finally, community design must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ers, who typically value aesthetics and efficiency of form, and the needs of the community with which they are working. Indeed, some scholars believe that this relationship is generally contentious, although the designer can also be thought of as the facilitator of the community's needs. As community design practice becomes more prevalent, a review of the foundation of institution and policy and the role of experts is also needed. The community design movement bas been theorized ex post facto through diverse discussion that has sought to ascribe meaning and direction to its practice. In other words,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theory and practice is cyclical. Therefore,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virtuous circle. 본 연구는 근래 체계적 논의 없이 현장 중심적으로 '커뮤니티디자인'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는 것을 문제 상황으로 진단하고 다양한 문헌 검토를 통해 커뮤니티디자인의 개념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커뮤니티디자인은 지리적 접근성이라는 공통점을 가진 개인이 밀집하여 거주하는 지역에 대한 디자인으로서의 커뮤니티디자인, 1960년대 미국에서 사회 운동으로 시작되어 커뮤니티의 참여, 민주적 의사 결정, 소통, 협력 등을 중시하는 커뮤니티디자인,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본 연구는 후자를 다룬다. 후자로서의 커뮤니티디자인의 경우, 종합적 계획이론에 대한 대안 중 하나인 '옹호적 계획(advocacyplanning)'의 등장과 맥을 같이 한다. 신도시 건설 및 도로 확장 같은 대규모 개발 계획에 따른 기존 커뮤니티 붕괴는 당시 일었던 시민권리운동의 영향으로 반대 운동을 야기했고, 전문가 집단 내부에서도 약자를 옹호하자는 옹호적 계획과 이의 영향을 받아 디자인 과정에 커뮤니티를 참여시키자는 커뮤니티디자인이 제시되었다. 이후 커뮤니티디자인은 커뮤니티디자인센터를 통해 실천적, 이론적으로 발전해 나갔다. 1980년대 초반부터 시작된 커뮤니티디자인 관련 논의의 특징을 살펴보았을 때, 먼저 커뮤니티디자인은 커뮤니티의 물리적 환경과 지역사회 여러 제반문제와의 관계를 중시한다. 두 번째는 커뮤니티의 참여로 많은 연구들에서 커뮤니티의 참여를 커뮤니티디자인의 핵심으로 본다. 이와 관련해서는 참여의 효과와 단계, 청소년의 참여가 중요하게 논의된다. 세 번째는 소통방식과 관련된 논의다. 1960년대 커뮤니티디자인이 시작된 이후 커뮤니티디자인센터를 중심으로 효과적인 소통 증진을 위한 다양한 참여기법이 개발되었다. 네 번째는 미적인 질을 중시하는 디자이너의 태도와 커뮤니티 요구반영와 관련된 것이다. 이 둘을 길항관계로 보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촉진자로서의 디자이너의 역할에 대한 논의로 연결되기도 한다. 커뮤니티디자인이 확산되고 있는 시점, 이를 실천할 수 있는 제도적, 정책적 검토가 필요할 것이며, 전문가의 역할과 교육에 대한 검토도 필요할 것이다. 커뮤니티디자인은 비록 운동으로 시작되었지만, 추후 이론화 작업과 다양한 논의를 통해 실천에 의미가 부여되었고, 시대적, 장소적 맥락에 맞는 방향성이 제시되었다. 즉, 실천과 이론이 상호 작용하며 발전적 순환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의 커뮤니티디자인의 실천과 이론의 선순환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본다.

      • KCI등재

        온라인 커뮤니티 내 다방향적 의사소통의 영향에 대한 연구: 게시자 전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임훈 ( Hoon Lim ),신동우 ( Dong Woo Shin ) 한국소비자학회 2010 소비자학연구 Vol.21 No.4

        커뮤니티 브랜드에 대한 외부의 위협으로 인해 촉발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소비자들간의 다방향적(multi-directional) 의사소통 과정에서는 다양한 사회적 요인들이 커뮤니티 및 커뮤니티 브랜드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영향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사회정체성 이론의 게시자 전형성과 (열성회원 vs. 신입회원) 댓글의 성향의 (공격적 vs. 정중한)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도출된 예측을 가상의 온라인 커뮤니티를 배경으로 한 실험을 통해 검정하였다. 외부의 위협에 대해 열성회원이 공격적인 댓글을 게시했을 경우 커뮤니티 독자들이 1) 댓글을 호의적으로 평가하였으며 2) 커뮤니티 및 브랜드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3) 더 낮은 집단 수치심을 보였으나, 4) 열성회원이 공격적인 댓글을 게시하던 혹은 정중한 댓글을 게시하던 커뮤니티 독자들이 느끼는 집단 자긍심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신입회원이 정중한 댓글을 게시했을 경우에 커뮤니티 독자들이 1) 댓글을 호의적으로 평가하였으며, 2) 커뮤니티 및 브랜드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3) 더 낮은 집단 수치심을 보이고, 4) 더 높은 집단 자긍심을 가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개된 조절효과 검정 결과 집단 자긍심과 집단 수치심은 게시자 전형성의 조절효과를 댓글 평가, 커뮤니티 빛 브랜드 태도에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커뮤니티 내 의사소통과정에서의 집단 정체성의 영향을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함으로써 마케팅 실무자들이 보다 효과적인 온라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락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는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Many communications that consumers participate and observe in online communities show multi-directional characteristics of a complicated social network. When community members encounter an outgroup member`s negative posting on the community brand, they often generate very active multi-directional intra-community discussions by placing replies against the negative posting. The current research attempts to examine such multi-directional communications with a theoretical framework based on Social Identity Theory (Tajfel 1982 Turner 1987). Self-categorization process of Social Identity Theory describes the underlying cognitive process of group identification, and provides an interesting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intra-community communication process. While the majority of theories on persuasion often emphasizes intra-or inter-individual processes, self-categorization theory provides an alternative framework of persuasion based on the shift in the locus of self-perception from an individual level to a collective level. Such sift in the locus of the self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that can explain why and how characteristics of group membership may influence intra-community communications. The community members would perceive the negative posting as a threat to the core value of their online community. Such identity threat often increases the perceived uncertainty of social life in the online community, and community members would develop various behavioral strategies to manage the impact of the threat. Further, community members would also form shared expectations on how other community members should response to the threat. We propose that group prototypicality, which describes a community member`s representativeness or centrality in the commun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expectations on a community member. Facing the external threat, community members would expect an active member with high group prototypicality should post very aggressive replies that can damage the credibility of the negative posting, and lessen other community members` perceived uncertainty. On the other hand, community members would expect a new member with low group prototypicality should post rather civil replies that can help community members to perceive their community to be more agreeable with the higher level social norms of "Netizenship" behavior. In other words, community members do not expect all the community members should respond to an identity threat in the same way, but rather develop multi-faceted collective strategies to protect their community and the community brand. Depending on the level prototypicality of a community member, community members expect different responses toward the negative posting, and use them strategically to protect positive images of the community and/or manage social uncertainties, Therefore, when a community member`s reply is consistent with community members` strategic expectations, they would evaluate it more persuasive and perceive the community and the community brand more favorably than when his/her reply is inconsistent with the expectations. We further propose that the collective emotions of shame and guilt will mediate the moderating effect of group prototypicality to the dependent variables: message persuasiveness, community attitude, and brand attitude. We tested the proposed predictions in an imaginary online community of a notebook computer and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when the writer of a reply was an active community member with high group prototypicality, community readers evaluate an aggressive reply more favorable than a civil one. They also develop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community and the community brand when the active community member posts an aggressive reply. Second, when the writer of a reply was a new community member with low group prototypicality, community readers evaluate a civil reply more favorable than an aggressive one. They also develop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community and the community brand when the new community member posts a civil reply. Third, the interaction between group prototypicality and message aggressiveness influences community readers` collective shame and collective pride. Community readers experience higher level of collective shame when the active member posts a civil reply and when the new member posts an aggressive reply against the threatening posting. On the other hand, community readers experience higher level of collective pride when the new member posts a civil reply than an aggressive one. For the active member`s postings, community reade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gressive and civil replies. Fourth, a series of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test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Muller, Judd. and Yzerbyt 2005) of collective emotions, and the results suggest that collective shame and collective pride partially medi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group prototypicality to the dependent variables. The current research provides interesting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In our experiment, we observe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prototypicality and message characteristics. This finding suggests that multi-faceted social interaction between community members create a high level social network in an online community. and generate a group based source effect. In addition, marketers often attempt to provide continuous influx of positive information through online communities and curtail negative information as much as possible. However, such marketing practice often backfired and consumers were suspicious about the authenticity of the positive information. Our results imply that marketers, instead of providing positive information all the time, may use some types of negative information as a trigger that increase the group cohesion of an online community and build strong brand communities and brand loyalty.

      • KCI등재

        커뮤니티 비즈니스 디자인 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서울시 낙후상권을 중심으로 -

        이학진 ( Hakjin Lee ),최익서 ( Ikseo Cho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서울시 도시 재생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변화에 적합한 낙후된 상권에 대한 재정비를 갖추어야 할 시기이며, 상업 시설의 정비에 더 나아가 낙후 상권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우리 앞에 놓여있는 이러한 변화는 이제 정부만의 노력과 정책의 변화로 해결되는 문제가 아님을 모두가 인지하고, 서울시의 주인인 우리 시민들이 노력하고 정체성과 가치를 함께 찾아 나서야 한다. 이러한 정책 실현에는 정부의 투자와 커뮤니티의 관심과 노력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함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를 통해 앞서 말한 문제점과 방향성을 해결하기 위해 공동체적 접근 방식으로 지속가능한 관계를 찾고, 커뮤니티비즈니스 디자인 모델을 제시해 서울시 낙후상권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구축할 예정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 목적은 커뮤니티 비즈니스 디자인 프로그램 CBDP(Community business design program)을 제시하고 서울시 낙후상권을 모델에 적용하는 데 있다. 이론 연구를 통한 개념 이해를 바탕으로 커뮤니티 비즈니스 프로그램 구성 축을 형성하고, 서울시 낙후상권 중 선정기준에 맞는 대상지 3곳을 (종로의 귀금속상가, 인쇄소 상가거리, 광장시장 한복거리) 선정해, CBDP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커뮤니티 비즈니스 디자인 모델 CBDM(Community Business Design Model)을 통한 구체적인 프로세스를 내놓는다. (결과) CBDM의 커뮤니티스쿨은 지역 주체와 함께 문화·예술적 방법론연구개발을, 커뮤니티 디자인은 사회문화적 정체성을 통해 브랜딩을 현실화하고,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생산방식을 보존하고 교류시키는 공동체적 역할을 한다. 커뮤니티 스쿨, 커뮤니티 디자인,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단계로 순환 가능한 체계로서 반복되는 선순환구조를 이룬다. 이 순환구조를 통해 커뮤니티는 산업생산·문화생산 공동체로 조직화되며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이 된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지역 공동체의 정체성 유지를 위한 생산가치와 상징가치를 함께 재생하고 보존하기 위한 공유재로서 커뮤니티 비즈니스 모델을 매개한다. 그리고 도시 낙후산업의 재화 가치를 공동체의 문화가치로 전환하는 커뮤니티비지니스 모델로서 로컬산업 경쟁력과 더불어 문화적 경쟁력을 확보하는 중요 수단이 된다. 커뮤니티디자인과 커뮤니티비지니스 이 둘의 상호작용은 디자인 통합이 중요한 축이 되어 관계를 아우르고 연결하는 순환역할을 한다. 결과로 실제 공간에 입혀지는 과정에서 커뮤니티 디자인이 실천되며, 기존 ‘생활세계’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체계’를 확보하는 계기가 마련된다. 커뮤니티 자원을 문화적으로 재정립하고 유통하는 공동체경영 활동으로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비즈니스 디자인 모델이 실천될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regeneration business of Seoul City progress and it is time to reorganize fallen out business suitable for considerable change. More than simply organizing business facilities, a revitalization plan of failed business areas should be prepared. These changes cannot be solved only by the government’s effort or policy; rather, citizens need to recognize the value of the city through its identity. For policy to be realized, it is important for both the government’s investment and community’s interest to work together. This study examined the method of sustainable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ty to propose solutions to the problems and directivity mentioned above, thereby proposing a community business design model (CBDM) that will lead to a revitalization of Seoul’s program for failed business areas. (Method)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Community Business Design Program (CBDP) and apply it to Seoul’s failed business areas. The contents of CBDP were established based on concept understanding after theoretical research. After selecting three sites matching the selection criteria within Seoul’s failed business areas (a jewelry store, a print store street, and Hanbok street in Joongno) and analyzing those areas based on CBDP, the study provided the detailed process for CBDM. (Results) The community school of CBDM conducts the research and develops methodology in the culture and arts; community design of CBDM actualizes branding through social/cultural identity; and community business acts as a community by preserving the methods of production and exchange. In the order of community school, community design, and community business, the system is available for circulation and can form a virtuous cycle structure. The cycle enables a community to be systematized as an industrial/cultural production community and becomes a sustainable business model. (Conclusions) In this research, the community business model is mediated as a common resource for regenerating and preserving production and symbolic values for maintaining the identity of a local community. As the community business model converts the financial value of a failed city industry into the cultural value of a community, it becomes a crucial method of ensuring the competitiveness of a local industry as well as cultural competitiveness. Design correlation has a significant circulating role in the interaction between community design and community business by putting them and together. As such, community design may be practiced in real-world space application; consequently, a sustainable system based on existing “real life” is provided. Sustainable CBDM can be practiced through community management activities that rearrange and redistribute community resources with an eye on the cultural asp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