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들의 수학적 추론에 대한 인식과 교수 관점 조사

        나귀수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들의 수학적 추론에 대한 인식과 교수 관점을 조 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50명의 초등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초등 예비교사들의 수학적 추론 인식은 주로 문제해 결 방법 탐색하기와 논리적 절차 수행하기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예들을 탐구하기, 규칙성 찾기, 일반화하기, 추측 만들기, 정당화하기, 정당화를 검증하기 등과 같은 요소들에 대해서는 약하게 인식하는 나타났다. 수학적 추론의 지도와 관련하여, 대 부분의 초등 예비교사들은 초등학교에서 수학적 추론을 지도할 필요가 있으며, 장 래에 현직교사가 되었을 때 수학적 추론을 적극적으로 지도할 것이라고 응답하였 다. 또한 초등 예비교사들은 초등학교에서 수학적 추론의 지도 이유로서 논리적 사 고력 함양, 수학적 사고력 함양, 문제해결 능력 증진 등을 언급하였다. 한편, 초등 예비교사들은 학생들 사이의 수학적 능력의 수준 차이, 지도 시간의 부족, 교사의 교수법 미흡, 학생들의 수학적 지식 부족, 교과서에서의 수학적 추론 활동의 미흡 등을 제약 조건으로 인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수학적 추론 지도와 관련된 초등 예비교사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and instructional perspectives on mathematical reasoning.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50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he results of study showed that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conceptions about mathematical reasoning were concentrated on the searching for problem solving methods and doing logical procedures. In contrast, they appeared to be weak in recognizing the various elements of mathematical reasoning such as exploring examples, finding patterns, making generalizations, developing conjectures, and justifying. Meanwhile, with regard to the instruction of mathematical reasoning, most of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responded that it is necessary to teach mathematical reasoning in elementary school, and that they will actively teach mathematical reasoning when they become inservice teachers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noticed, as the constraints to teach mathematical reasoning,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tudents’ mathematical capability, lack of instructional time, insufficient teaching methods and competences of teachers, lack of mathematical knowledge of students, and insufficient mathematical reasoning activity in textbook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e implications for educati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lated to teaching mathematical reasoning.

      • KCI등재

        초등학교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국어과 교과교육 교수효능감 연구

        김희규 ( Hee Gyu K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해 그들의 요구에 맞는 교육과정 수정에 필요한 초등 특수교사의 교과교육에 대한 교수효능감과 초등 일반교사의 교수효능감의 특성을 비교하여 초등 특수교사의 양성과정과 현직 연수과정의 교과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특수교사와 초등 일반교사 간 국어과 교과교육에 대한 교수효능감을 비교한 결과 초등 특수교사가 초등 일반교사에 비해 국어과 교과교육에 대한 교수효능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 특수교사와 초등 일반교사의 교수효능감의 구성 요인인 교수 전략 효능감, 학생 참여 효능감, 수업 관리 효능감의 각각의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하위 요인들은 뚜렷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교사 양성과정과 현직연수 과정에서 국어과 교과교육 지도 방법 수강 경력이 있는 초등 특수교사와 초등 일반교사 간 교수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양성과정과 현직 연수 과정에서 국어과 교과교육 지도 방법을 수강한 초등 특수교사들이 초등 일반교사들에 비해 전체적으로 교수효능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teaching efficacy about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in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e-service and in-service training course and prepare a foundation, so that an important direction for content structure of subject`s education cours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s suggested, by analyzing the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lated variables(teaching experiences).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majored in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majored in elementary education In this study,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Efficacy(KLTE) analyzed into classroom management efficacy, student participation efficacy, and teaching strategy efficacy. As well, this study used measurement tools that were modified from OSTES (Ohio State Teacher Efficacy Scale) to measure Korean language teacher`s efficac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2.0 for Windows. The conclusions of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eaching efficacy between two groups. The teaching efficacy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lower than that of elementary general education teacher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eaching efficacy between two groups after analyzing the difference in KLTE according to teachers` register for Korean Language subject`s education course(pre-service and in service program).

      • KCI등재

        초등영어교사의 정체성 발전을 위한 교사교육 모형 개발 및 적용

        안경자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8 한국초등교육 Vol.29 No.1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eacher education model for the identity development of primary English teachers. It also examines the effects of the model on th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when it was applied in a teacher education course. In addition, the teachers’ perceptions of English teacher identities 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ir identities were investigated. The participants were 18 graduate students registered in a class on second language teacher education taught by the researcher. Pre- and post-survey responses, autobiographic essays, and reflective journals were collect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application of the teacher education model helped the participants to understand the theory, practice, and research in English teacher education as well as to reflect on and develop their identities as English teachers. Also, the teacher education course facilitated the teachers’ awareness of primary English teachers’ role identities and field-based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Thus, the teacher education course provided the teachers with various professional development opportunities. Secondly, the teachers realized English teacher identities existed distinct from homeroom teacher identities and indicated that their English teacher identities changed and developed in their relationships with students, other teachers, and administrators within the context the teachers were located. Thirdly, the teachers revealed the identities of nonnative English teachers, teacher learners, teacher researchers, and English users as well as of primary English teachers. Lastly, the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ies were affected by factors connected with the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English and English instructional skills), institutions (whether they taught English as English subject teachers or as homeroom teachers, teachers’ relationships and co-teaching with native English teachers, learners’ proficiency levels and responses to teachers’ instruction, working conditions of the schools where the teachers were employed),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ey had participated in (program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tensive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other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the macro-structure (national English curriculum and English educational polici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eachers, teacher educators, and policy makers regarding English teacher education, development of English teacher identities, and English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초등영어교사들의 정체성 발전을 위한 교사교육 강좌를 개발하여 적용한 효과를 고찰하고, 초등영어교사들의 정체성에 대한 인식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했다. 모형이 적용된 강좌를 수강하는 초등교사 18명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조사 및 자서전적 에세이, 1, 2차 성찰일지 및 사후 설문조사로 수집된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영어 교사교육 모형을적용한 결과 교사들은 초등영어 교사교육의 이론, 실제 및 연구에 대한 인식을 고양하게 되었고, 초등영어교사 정체성을 성찰하고 발전시키게 되었다. 또한 초등영어교사 역할 정체성을 명시화하게 되었고, 초등영어교사들의 현장 기반 소통이 향상되었다. 이처럼 교사교육 모형이 적용되면서 초등영어교사들은 전문성 신장의 기회를 가졌다. 둘째, 교사들은 초등영어교사 정체성이 교사들이 처한 맥락 안에서 학생, 교사, 관리자와의 관계 속에서 확립되며 변하고 발전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담임교사 정체성과는 구별해 인식했다. 셋째, 교사들은 초등영어교사 정체성 이외에도 비원어민 영어교사, 교사학습자, 교사연구자, 영어사용자의 정체성도 드러냈다. 넷째, 초등영어교사 정체성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개인적 배경요인(교사의 영어능력 및 영어교수능력), 근무 학교(영어전담교사 여부, 원어민 교사 및 원어민 교사와의 협력수업, 학습자 수준 및 반응, 근무 학교 맥락), 교사교육 프로그램(대학원 프로그램, 심화연수 등 직무연수) 및 국가의 거시적 맥락(국가교육과정 및 영어교육정책)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결과는 영어 교사교육, 영어교사의 정체성 형성과 발달 및 전문성 신장과 관련해 교사, 교사교육가 및 정책입안자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과학수업능력, 과학교수법 성취도 및 과학수업 평가요소에 대한 연구

        김순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0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예비교사의 남・여 성별에 따 른 과학수업능력과 과학교수법 성취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와 과학교수법 성취도와 과학수업능력사이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초 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라서 과학 수업을 평 가할 때 적용하는 평가요소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 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소재 P교 육대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초등예비교사 88명에 대 하여 2019년 9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수행되었다. 연 구대상 88명의 학생들은 3개 학과에 재학 중이며, 남 학생 32명, 여학생 56으로 구성되어있다. 이 88명의 학 생들은 ‘초등과학교수법’을 수강한 학생들로 강의 초 기에 학생들에게 배포된 강의계획서에서 예고된 과학 수업실기 평가를 받았다. 과학 수업실기 평가는 동료 들에 의한 다면평가의 형식으로 수행되어 평가점수가 부여되었으며, 과학학업능력은 ‘초등과학교수법’의 정 기고사에서 학생들이 획득한 점수로 부여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과학수업능력을 분석한 결과 여자 초등예비교사들이 남자 초등예비교사들에 비하여 과 학수업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 다. 둘째,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초등과 학교수법 성취도를 분석한 결과 여자 초등예비교사들 이 남자 초등예비교사들에 비해서 ‘초등과학교수법’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과학수업능력과 초등 과학교수법 성취도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남・여 모두 과학수업능력과 과학교수법 성취도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이것은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수업능력을 결정하는 요인에는 초등과학교수법과 관련된 이론적 인 영역뿐만 아니라 초등예비교사들의 실천적 지식도 함께 작동한다는 사실을 시사해 주고 있기 때문에 추 후 이러한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 다고 생각된다. 넷째,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수업에 대한 평가준거로 활용된 요소를 분석한 결과 남・여 초 등예비교사 모두 수업자의 목소리 톤, 말투 등의 언어 적 요소가 가장 높은 빈도수를 차지하였다. 이것은 남・여 초등예비교사들의 수업평가에 있어서 수업자의 언어적 요소가 가장 중요한 평가 요소라는 사실을 말 해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science class ability, science pedagogy achievement and class evaluation factors according to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gender.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science pedagogy achievement and science instructional ability was examined. Finally, the evaluation factors applied to the evaluation of science instruction according to male and female gender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ere examined.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19 to december 2019 for 88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ttending P University of Education in Pusan metropolitan city. Among these 88 students, 32 elementary pre-service students were male, 56 were femal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cience instructional ability according to gender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emal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in science class ability compared to mal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hievement of elementary science pedagogy according to gender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emal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for elementary science pedagogy than that of mal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cience instructional ability and elementary science pedagogy achievemen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s result can be applied both side of male and female. Fourth, both male and female pre-service teachers had various instructional evaluation factors, among which the linguistic factors of the instruction were used most frequently as criteria for instructional evaluation.

      • KCI등재후보

        초등교사의 무용 활동에 관한 연구 : A Research of Dance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이강순 한국문화교육학회 201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6 No.2

        본 논문은 초등교사의 무용 활동에 관한 연구로 2007부터 2010년까지 경기도 안양시와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G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주제표현활동 또는 민속표현활동 등 초등무용교육을 주제로 논문을 써서 석사학위를 받은 무용 활동에 직접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초등교사들 13명에게 질문지를 보내고 7명으로부터 회수하였다. 7명의 초등교사들 중 6명이 여교사이고, 1명이 남교사이다. 나이는 평균 32세이고, 교사경력은 8년 정도이며, 무용경력은 6년 정도이다. 초등교사들이 좋아하는 무용은 한국무용이고, 지도하는 무용은 창작무용이며, 무용공연 관람횟수는 평균적으로 1년에 1회에서 2회이다. 초등교사들은 무용하기 전 부정적이었던 생각과 행동이 무용 활동 후에는 긍정적으로 바뀌었고, 신체를 이해하고 조절하며 자유롭게 움직이고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는 초등무용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무용수업 진행시 문제점으로는 무용시간, 장소 및 시설, 도구 및 자료, 교사의 자신감 부족 등이고, 무용수업 진행시 필요한 사항은 예체능 시간 확보, 장소 및 음악, 조명, 의상, 동영상, 소도구 등 도구와 시설 확보 등이다. 무용수업 지도 전과 후 학생들의 변화를 살펴보면, 신체와 무용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자신감과 협동심이 향상되었으며, 적극적인 태도와 즐거움을 가지고 무용 활동에 임하게 되었다. 따라서 무용 활동 후 교사들의 긍정적인 생각과 행동이 지도하는 학생들에게 그대로 전달되었음을 알 수 있고, 교사들의 꾸준한 무용 활동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of dance activ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urveys of seven teachers who have been experiencing dance activity, received a master degree majoring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from G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eaching in elementary schools in Anyang City and Incheon City. Through experiencing dance activity, the teachers like to learn korean dance and to teach creative dance, understood an important and need of da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have been changing their thoughts and acts positively after experiencing dance activity which has been passing down to students. Therefor students have been changing positively too. Howev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s, dance activity is very important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 초등 무용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무용 지도 능력 향상 방안

        배진경 한국스포츠리서치 2008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9 No.2

        현재 초등학교 무용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은 현장 교사들의 전문성 부족 및 이에 따른 자신감의 결여로 무용 수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데 있다. 이 연구는 현재까지 보고 된 무용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점들을 문헌 연구를 통해 보다 심층적이고 통합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초등 무용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무용 지도 능력 향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의 무용 지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사교육자들은 예비교사들 스스로가 자신을 ‘비 무용인’이 아니라 ‘초보 무용수’라는 인식을 갖도록 지도해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의 무용 지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사교육자들은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이 무용 교육의 필요성 및 그 교육적 효과, 무용과 체육활동의 차이점 등에 대해 잘 알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셋째,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의 무용 지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사교육자들은 교육대학생들의 실기 능력 배양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자신의 실기 능력 배양을 위해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은 움직임의 구조와 원리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이를 다양한 신체의 움직임을 통해 창의적으로 구성하여 표현해 낼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의 무용 지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사교육자들은 초등학교 무용 수업에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한 수업 지식 예를 들면, 다양한 수업 모형이나 지도 방법 등에 대해 정통(精通)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초보 무용수로서의 입문, 무용에 대한 올바른 이해, 움직임의 구조와 원리에 입각한 실기 능력의 배양, 실습을 통한 효과적인 무용 수업 지식의 획득 등에 주안점을 둔 초등교사 양성기관의 무용 강의는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무용 수업에 대한 자신의 철학, 이론, 실기, 수업 지식 등을 견고히 함으로써 초등 무용교육의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초등교사와 초등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 비교 연구

        김미경,김성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5

        목적 본 연구는 초등교사와 초등특수교사의 내적, 외적요인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고 각 구성 요인 간 차이를 비교해 보는데 목적이있다. 방법 연구 대상은 전남에 소재한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초등특수교사와 일반학급에 근무하는 초등교사 각각 150명을 무선표집 하였다. 초등특수교사와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학교장을 통해 학교 방문과 우편을 통하여 설문지를 300부 배포하여 회수된 설문지 248 부를 분석하였다. 자료 처리는 초등특수교사와 초등교사 t검증실시를 통해 두 집단의 내, 외적인 직무에 대한 만족도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 전체 직무만족도는 두 교사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내적 직무만족도는 초등특수교사 집단과 초등교사 집단 간의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외적 직무만족도조사에서는 초등특수교사와 초등교사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초등특수교사 집단이 초등교사 집단보다 내적 직무에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적 직무만족도에서는 두 집단의만족도에 차이가 없었다. 학교현장에서 교사들의 다양한 만족도 욕구 조사에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들의 동작도전 수업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양태석 한국초등체육학회 2020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6 No.1

        이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이 동작도전 수업참여 과정에서 ’어려움이 무엇이고‘, ’어떻게 극복하며 성장하는지‘, ’이 러한 경험을 통해 이야기되고 내면화되는 가치는 무엇인지‘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그들의 경험과 의미를 심층적으 로 탐구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G교육대학교 체육실기Ⅰ 수업 수강생 중 미술교육과 5명, 영어 교육과 3명 총 8명의 초등예비교사가 참여하였으며, Clandinin & Connelly(2007)가 제시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예비교사 알아가기에서는 ‘초·중등학교의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현재의 몸상태’, ‘목표상실’ 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예비교사 동작도전하기에서는 ‘동작도전 수행능력 향상전략(단계별·수준별 학습법, 보조법, 멘토링)’, ‘초등예비교사 동작도전 경험(성취감과 자신감 향상, 두려움 극복, 동료애, 칭찬)‘, ‘적극적인 도전활동(한 계극복, 실패경험)’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들의 동작도전 수업 경험의 의미에서는 ‘초등예비교사의 준비 와 역할’, ‘동작도전의 즐거움’, ‘체육의 필요성 인지’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초등예비교사들이 동작도전 경험을 할 때 느끼는 것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plore the ‘difficulties’ in challenge activity class participation process by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how they overcome and grow’, ‘the value shared and internalized through such experience’, and their experience and meaning in-depth through narrative inquiry. To accomplish this purpose, 8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5 students from Department of Fine Arts Education and 3 students from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taking Sports Practice I course at G University of Education participated. This narrative inquiry utilized the method suggested by Clandinin & Connelly(200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understanding the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y showed ‘awareness toward physical education clas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present body condition’ and ‘loss of goal’. Secondly, the challenge activity of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volved ‘Strategies for Improving Challenge Active Performance(phased and level-based learning, assisting method, mentoring)’, ‘Experience Challenge Activity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improved sense of accomplishment and confidence, overcoming fear, comradeship, compliment)’, ‘Active Challenges activities(overcoming limitation, failure experience’. Thirdly, the meaning of experience in challenge activity class by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volved ‘preparation and role of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y of Challenge Activity’, ‘awareness on necessity of physical education’. These results will help in-depth understanding of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feelings while experiencing the challenge activity.

      • KCI등재

        초등교사 및 예비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실과 생명과학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정남용,김영은,이건남 한국실과교육학회 2015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8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teachers toward the life science area in the Practical Arts subject based on the 2011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in-service and the pre-service teachers’ level of necessity and level of awareness on contents of the life science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data collected by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the Borich Need Assessment Model and Hershkowitz Threshold Fun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ose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eir level of awareness on contents of the life science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s ‘above the average.’ Secondly, those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eir level of necessity on contents of the life science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s 3.89 and 3.70 respectively, which means they perceived high enough on the level of necessity on the contents of the life science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Third, the order of priority of the preservice teachers, determined based on calculating the Borich Need Assessment Model and Hershkowitz Threshold Function in the study, was in the followings : ‘producing, utilizing, and environment of the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experiencing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and live stock products’, ‘methods and process of cultivating plants’ and so on, while the order of priority of the preservice teachers was in the followings : ‘sorts and utilizing the plants’, ‘producing, utilizing, and environment of the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experiencing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and live stock products’ and so on. 이 연구는 초등교사 및 예비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2011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생명과학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으로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2011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농업생명 내용별 필요수준, 현재수준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리치(Borich) 공식과 허쉬코비츠(Hershkowitz)의 임계 함수를 활용하여 교육요구도 및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한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 및 예비 초등교사 모두 2011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농업생명 영역의 내용에 대한 현재 자신 수준은 보통(3점) 수준 이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등교사 및 예비 초등교사 모두에서 ‘경제동물 기르기와 이용’이 가장 낮았는데 이는 실습 자체가 곤란하다 점과 교사 자신의 생명과학 영역에 대한 경험이 부족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둘째, 2011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농업생명 영역의 내용에 대한 향후 필요 정도에 대해 초등교사는 3.89로, 예비 초등교사는 3.70으로 높음(4점) 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등학교 교사는 ‘식물’과 관련된 내용에 대한 능력 신장을, 예비 초등교사는 ‘식물, 체험’ 등과 관련된 내용에 대한 능력 신장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리치 공식을 통한 교육요구도와 허쉬코비츠의 임계 함수를 통한 우선순위 선정 결과를 종합하면, 초등교사는 ‘농축산물의 생산, 이용과 환경’, ‘친환경 농축산물 체험’, ‘식물을 가꾸는 방법과 과정’, ‘애완동물 돌보기’, ‘경제동물 기르기와 이용’을, 예비 초등교사는 ‘식물의 종류와 이용’, ‘농축산물의 생산, 이용과 환경’, ‘친환경 농축산물 체험’, ‘식물을 가꾸는 방법과 과정’, ‘경제동물 기르기와 이용’ 등이 우선적으로 신장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 각론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정창희,손정우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3 科學敎育硏究誌 Vol.47 No.2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에서 초등교사들이 과학 수업을 준비하고 진행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각론은 중요하다.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를 개발하는 데 시사점을 얻기 위해서는 지도서 각론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조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 각론의 구성 요소와 디자인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개발하여 초등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초등교사들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지도서 각론의 구성 요소별 필요성, 만족도와 활용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지도서 각론의 구성 요소와 디자인 등에 관한 교사들의 요구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수업 준비와 진행에 도움이 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해 초등교사들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둘째, 초등교사들은 수업에 필요한 구성 요소들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배치와 가독성 높은 디자인 구성을 원하였다. 결론적으로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 각론은 과학 교수·학습에 필요한 수업 준비, 수업 흐름, 교수·학습 자료 등을 한눈에 파악하고, 가독성 높게 구성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초등교사들이 실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교과용도서가 될 수 있게 새로운 접근과 시도를 해야 할 것이다. In a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s guide, the guide in details that can help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difficulties when preparing and conducting science classes are essential. To gain insights into the development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s guid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guide in detail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by analyzing the components and design of a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s guide in details to explo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For this purpose, we first investiga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ir needs, satisfaction, and the utiliz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current guide in details. Next, we investigated teachers' needs regarding the specific components and design of a guid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delighted with the components that help them prepare and conduct lessons. Seco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nted an easy-to-read design with a layout that allowed them to see the components they needed for their lessons at a glance. In conclusio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s guide in details to be readable and organized to provide at-a-glance information on lesson preparation, lesson flow,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needed for science teaching-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new approaches and attempts should be made to develop a textbook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n utiliz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