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업마케팅특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전인오,안운석 한국벤처창업학회 2016 벤처창업연구 Vol.11 No.3

        In Korea, the survival rate of start-up of 5-year after foundation is as low as 29.6% of the country. This low survival rate is from because of insufficient resources in start-ups compared to those of mid-sized companies. Therefore, the marketing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hip has emerged as a major cause. Therefore, In this study, because learning orientation, marketing experience, competition orientation and etc are differently owned in start-ups, marketing impact to marketing strategy in start-up companies are differently investigated. Therefore, the relationship of learning orientation, marketing experience, competition Orientation with marketing strategies was examined. Based on this, Business performance was examined to suggest contents related to eco-system of start-up companies to representative of start-up companies. For this study, Survey was conducted for 250 start-up entrepreneurs within 3 and half year since foundation from Nov. 20 to Dec. 20, 2015. In result of data-cleaning, 207 meaningful samples were gathered. Based on these, conclusion was obtained. Using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n the impact of marketing environment of Phase 1 start-up companies on marketing strategy, product strategy, distribution strategy and promotion strategy were positively affected by learning orientation, marketing experience and competition orientation. Second, in the effect of 2nd phase marketing strategy to business performance, the financial performance and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Were positively affected by product strategy, distribution strategy and promotion strategies. Third, The effect of learning orientation, marketing experience and competition orientation to financial performance was positively mediated by product strategy and distribution strategy among 3rd phase meditation strategies. the effect of learning orientation, marketing experience and competition orientation to non-financial performance was positively mediated by products strategy. In comprehensive summary, in order to increase business performance in start-up companies, marketing strategy should be applied in. Especially, the role of learning orientation and marketing experience is vital. In increasement of business performance to characteristics of star up marketing, financial performance can be increased by product strategy and distribution strategy. And, both of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can be increased by product strategy. Therefore, in conducting of marketing characteristics of start-up, to increase business performance, the apply of marketing strategy to marketing characteristics of start-up should be required. 우리나라의 신생기업은 5년 후 생존율이 29.6%로 낮아진다. 이는 초기의 창업기업들이 중견기업에 비해 자원이 풍부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존율이 낮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창업기업의 마케팅특성이 주요 원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학습지향성, 마케팅경험, 경쟁지향성 등은 창업기업에 따라 다르게 소유하고 있으며, 특히 창업기업의 경우 마케팅전략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게 조사될 수 있다고 판단되어 학습지향성, 마케팅경험, 경쟁지향성이 창업기업의 마케팅전략에 미치는 관계를 검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업성과를 측정하여 창업기업의 대표자들에게 창업기업의 생태계에 관련된 내용을 시사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표본은 2015년도를 기준으로 창업한지 3년 6개월 이내의 창업기업가들을 대상으로 2015년 11월 20일부터 12월 20일까지 창업기업 종사자 25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데이터클리닝 한 결과 207개의 표본을 대상으로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독립변수인 창업기업의 마케팅환경이 매개변수인 마케팅전략에 미치는 영향은 학습지향성, 마케팅경험, 경쟁지향성에 있어 제품전략, 유통전략, 촉진전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변수인 마케팅전략이 종속변수인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제품전략, 유통전략, 촉진전략은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마케팅전략의 매개효과는 학습지향성, 마케팅경험, 경쟁지향성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제품전략과 유통전략이 확실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학습지향성과 마케팅경험, 경쟁지향성이 비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제품전략만이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의 요약을 종합해보면 창업기업이 기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마케팅전략을 펼쳐야 하는데 특히 학습지향성과 마케팅경험이 중요시되며 창업마케팅특성이 기업성과를 높이는데 있어서 제품전략과 유통전략이 재무성과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제품전략은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를 높인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창업기업 마케팅특성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기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창업마케팅특성에 따른 마케팅전략을 펼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기술창업자의 창업준비정도가 기업의 기술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창업지원사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조문연,양동우,Cho, Moon Yeon,Yang, Dong Woo 한국벤처창업학회 2014 벤처창업연구 Vol.9 No.6

        본 연구는 범국가적으로 일자리 창출을 위한 창업정책이 우선 국정과제로 대두된 오늘날 과연 창업자가 얼마나 잘 준비하여야지만 성과를 낼 수 있을까 하는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성과를 측정하는 기준은 목적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기업의 성과는 기술적 성과와 경제적 성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 기업들의 업력이 주로 2~3년차의 초기 기술창업 기업임을 감안하여 우선 얼마나 기술적 성과를 거두고 있는지 중점 살펴보고자 한다.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수많은 변수 중에서 어떤 변수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고 할 것이나, 과연 어떤 변수가 기업의 성과를 확실하게 측정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서는 회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창업준비정도를 기술창업자가 실제로 창업을 준비하는 기간인 창업준비기간과 창업하기 전 직무경력을 파악할 수 있는 동업종종사기간을 독립변수로 또 조절변수로는 정부나 지자체가 지원하는 각종 창업지원사업의 활용도를 파악할 수 있는 지원사업수혜금액을 가지고 기술적 성과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기술창업자의 창업준비기간은 기술적 성과에 유의적인 정(正)(+)의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기술 창업자의 동업종 경력을 확인할 수 있는 동업종종사기간은 기술적 성과에 일반적인 기대와 달리 부(否)(-)의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또, 지원 사업수혜금액과 동업종종사기간 사이의 조절효과는 부(否)(-)의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창업준비기간과는 유의적인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본 연구는 최근 청년들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범국가적으로 각종 정책이 수립 집행되는 현실에서 과연 창업정책 입안자들이 어떻게 정책적 고민을 해야 하는지와 창업예정자나 창업을 준비 중인 사람들이 어떻게 창업을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미력하나마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미를 두고자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degree of preparation engaged in the related industry, and the amount of financial support program on R&D performance of technology based startup companies. This study seeks to discover the core variables that impacts most on business performance.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validity of such variables and their impacts on business performance can be contentious. The study sets hypothetical variables as following. Intensity of preparation of the startup company, amount of preparation and amount of work experience in related industry are independent variable. The amount of financial support program was selected as a moderating mediating variabl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intensity of preparation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R&D performance, as opposed to work experience of the founder having a negative relationship on R&D performance. The amount of support program ha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R&D performance. Furthermore, there are negative modified effect between the amount of support program and work experience. And, there is no relationship modified effect between support program and work experience. Existing policies tend to lean heavily toward young entrepreneurs through support and guidance. The government has placed great emphasis on policies that aim to promote and create jobs for young individual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government should review their policies toward young technological entrepreneurs and that these entrepreneurs should prepare thoroughly before launching any startups.

      • 청년창업가의 학제간융합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안태욱,박재환,여경철 한국경영교육학회 2013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3 No.12

        창업은 새로운 성장 동력인 동시에 국가 경쟁력 부분에서도 그 역할과 책임이 요구된다. 특히 창업가정신은 창업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성과를 이끄는 주요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러 연구자가 창업가정신과 경영성과와의 관계에서 중요성을 인정하였고 연구가 많이 이뤄졌지만 청년창업가를 대상으로 창업가정신요인 과 창업 전 준비요인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특히 창업생태계 인프라의 매개 효과로 성과여부를 고려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 대한 검토를 토대로 청년창업가의 창업가정신과 준비요인이 창업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창업생태계 인프라 활용활용 여부가 어떤 매개효과가 있는지 그 관계를 실증적 검증하였다.연구 결과, 창업가정신은 창업성과와 창업준비에 유의한 정의(+) 영향, 창업준비요인은 창업생태계 인프라에 유의한 정의(+) 영향, 창업생태계 인프라 활용은 창업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설이 증명되었다. 결국 청년창업가의 성공적인 창업성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으로 창업가정신을 고취 시켜야하며 단순히 창업준비만으로 창업성과를 기대 할 것이 아니라 다양하고 적극적인 창업생태계 인프라 활용을 통해서 창업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 본 연구 결과 청년창업가의 성공적인 창업성과를 위해서는 단순한 창업준비에서 창업가정신을 고취시키고 충분한 창업준비와 함께 창업가를 위한 실질적인 창업지원정책을 적극적으로 활용되었을 때 창업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의미있는 결론이 도출하였다.

      • KCI등재

        창업지향성과 학습지향성이 중소창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세근,손종서,이우진 한국벤처창업학회 2015 벤처창업연구 Vol.10 No.6

        There are various performance factors for SMEs in order to survive in the rapid changing market and it is discussing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based on many researches. Thus, it is worth to analyze factors of seize new opportunity and firm’s performance to build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s, which provide the directions to SMEs. This study investigates through exploratory research that the important factor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the influence factors on firm’s performance confirmed by empirical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f SME CEO, learning orient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was verified following section. First, entrepreneurial orientation (pro-activeness, competitive aggressiveness, risk taking, innovativeness)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learning orientation; Seco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was to examine the impact on firm’s performance; and in the last, validated learning orientation affect factors that are mediated between entrepreneurship orientation and firm’s performance through empirical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each SME have shown that they have a different impact on firm’s performance based on a variety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his result shows that the need for a separate independent study 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f SMEs. In conclusion, this study implicates that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s important role for firm’s performance, entrepreneurs of SMEs are innovative rather than competitive aggressive, and risk taking activities positively affect firm’s activit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ould be utilized to develop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when necessary for entrepreneurs of SMEs. 중소창업기업이 급변하는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다양한 성과요인들이 있으며, 많은 연구결과에서 창업자의 창업지향성 확립이 중요하다고 논의되고 있다. 따라서 중소창업기업이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기 위한 요인에 대한 분석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 분석은 많은 중소창업기업에게 방향을 제시하며, 가치 있는 일이라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지향성(Entrepreneurial Orientation)의 주요 변수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통해 기업성과(Firm Performance)에 대한 영향 요인을 고찰하고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확인 하였다. 본 연구는 중소창업기업 CEO의 창업지향성, 학습지향성(Learning Orientation)과 기업성과 간의 관련성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로 진행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부분을 검증하였다. 첫째, 창업지향성(진취성, 경쟁적 공격성, 위험감수성, 혁신성)이 학습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둘째, 창업지향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학습지향성이 창업지향성과 기업성과 간에 매개되는 영향요인을 실증적 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지향성이 창업자의 창업지향성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서 매개효과를 밝혔다는 점에서 이론적 기여하며, 창업지향성의 개념 정의에 있어서 국내에서 연구된 기존 선행연구와는 다른 새로운 차원으로 정의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각각의 중소창업기업은 다양한 창업지향성을 바탕으로 기업성과에 상이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하여 창업지향성에 대한 독립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중소창업기업들에게 있어 창업지향성은 기업성과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과 중소창업기업의 창업 경영자는 경쟁적 공격성보다는 혁신적이며, 위험 감수적인 의사결정이 기업 활동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위험감수성은 정성적 기업성과에 긍정적이며, 혁신성은 정량적 경영성과와 정성적 기업성과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론은 중소창업기업 창업 경영자들이 창업지향성을 수립 시, 필요한 실무적인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하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창업의지가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업역량 및 차별화 경쟁우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예정 한국벤처창업학회 2019 벤처창업연구 Vol.14 No.4

        Recently, as young and senior entrepreneurs are getting interested in starting a business, the domestic startup rate is gradually increasing. However, the survival rate of start-ups is so low. In this regard,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how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affects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start-up performances through the intermediation effects of experiential competence, financing competency, marketing competence and differentiated competitive advantage. In doing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key elements to successful start-ups. To this end, the survey results of 200 start-ups in Pohang from January 21 to February 1, 2019 were used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shown that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xperiential competence, financing competence and marketing competence. Second, it is found that both experiential competence and marketing competence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differentiated competitive advantage. On the other hand, the financing competence has not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ifferentiated competitive advantage, which might result from the characteristic of the data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are from new businesses. Third, it is shown that the differentiated competitive advantage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a theoretical basis for the successful start-up performance. Namely, it is necessary for the founders of start-ups to secure differentiated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the entrepreneurial competences such as financing competence and marketing competence because the differentiated competitive advantage leads to the successful financial and non-financial start-up performanc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o both entrepreneurs and managers that for the successful business performance, it is important for them to make continuous efforts to come up with new ideas and to reinforce financing and marketing activities in order to achieve the differentiated competitive advantage. 최근 청년창업자 및 시니어창업자들의 창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내 창업률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창업기업의 생존율은 낮아 창업성과가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업성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찾고자 창업의지가 창업역량요인의 경험역량, 자금조달역량, 마케팅역량 및 차별화경쟁우위를 통해 재무성과 및 비재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실증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1월 21일부터 2월 1일까지 포항지역의 창업가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가설검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의지는 경험역량, 자금조달역량, 마케팅역량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험역량, 마케팅역량은 차별화경쟁우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자금역량은 차별화경쟁우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설문대상자의 대부분이 신규사업자라는 분석대상자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셋째, 차별화경쟁우위는 재무성과, 비재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창업성과를 위해서는 창업자의 창업의지 및 창업역량의 자금조달역량, 마케팅역량을 통해 차별화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으며, 차별화경쟁우위와 창업의 재무성과 및 비재무성과 간에 유의적 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또한 창업자의 강한 의지를 바탕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자금투자 및 마케팅활동을 강화하여, 차별화된 경쟁우위를 확보하려는 지속적인 노력이 경영성과를 위해 필요하다는 중요한 의미를 창업자 및 경영실무자에게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CEO의 기업가정신 및 시장지향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업기업의 지원서비스 활용정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성일,이우진 한국벤처창업학회 2016 벤처창업연구 Vol.11 No.5

        This study aims to observe the impacts of entrepreneurship and market orientation of Seoul’s business incubator (BI) CEO's on business performance, as well as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BI supporting services.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observe how the entrepreneurship of CEO's affects business performance; second, to observe how CEO's market orientation as a cultural factor attributes to business performance; third, to verify whether the utilization level of BI supporting services shows moderating effects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business performance, and finally to verify whether the utilization level of BI supporting services shows moderating effects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Business incubators in Seoul registered with the Business Incubator Association were surveyed both online and offline to receive 127 responses out of 320 circulations. By filtering out insincere reponses, 117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ur results assert that the utilization level of physical BI supporting services does indeed strengthen the relation between initiative and financial performance. Also,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utilization level of physical BI supporting services supports the relation between risk sensitiv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While risk sensitivity on its own shows no positive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a suitable utilization level of BI supporting services is likely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In addition, the utilization level of both physical and non-physical supporting services show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initiativ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above, risk-taking business incubator CEOs with initiative are likely to yield better financial performance in terms of increasing sales, if provided with various physical supporting services such as sufficient educational facilities including communal spaces and conference rooms. 창업은 국가경제 활성화와 기술 산업화를 용이하게 하고,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높여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창업보육 시스템은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창업 초기기업의 성장을 위해 물리적 및 비물리적 서비스를 제공하며 초기기업들의 성장을 위해 많은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CEO의 기업가정신 및 시장지향성이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서비스가 경영성과에 어떠한 조절효과를 갖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의 검증을 위해 국내 BI협회에 등록이 되어있고 서울에 위치하고 있는 9개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설문 320부를 배포하여 127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의 설문지를 제외한 117부를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CEO의 기업가정신 하위변수인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 중 진취성이 경영성과의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장지향성의 하위변수인 고객지향성, 경쟁자 지향성, 협력지향성 중 경쟁자 지향성이 경영성과의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물리적 지원서비스 활용정도는 진취성과 재무적 성과간의 조절작용을 하고, 진취성과 비재무적 성과에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시장지향성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비물리적 지원서비스 활용정도가 협력지향성과 재무적 성과간의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취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는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CEO에게 사무지원, 마케팅 지원, 입주기업 간의 네트워크 구축, 교육, 법률, 회계, 세무 등 비물리적 지원서비스를 제공해준다면 고용증가, 종업원의 업무 수행능력, 종업원의 만족도 등 비재무적성과가 더욱 향상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협력의 문화를 가진 기업이 사무지원, 마케팅 지원, 입주기업 간의 네트워크 구축, 교육, 법률, 회계, 세무 등 비물리적 지원서비스를 활용한다면, 기업의 매출 증대, 순이익 증가, 고객의 충성도 및 시장점유율이 더욱 향상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겠다. 기존의 창업보육센터 관련 연구들은 주로 창업보육 매니저의 역량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입주기업의 지원서비스와 기업의 성과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는데 본 연구를 통해 향후 BI 입주기업의 성장과 자생력을 높일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하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창업가의 심리적 특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임희진,김재홍,박지윤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20 유라시아연구 Vol.17 No.3

        창업가의 성격특성을 강조하는 접근법은 비창업가와 창업가, 실패한 창업가와 성공한 창업가 를 구별 짓기 어려운 무형적 요인으로 창업성과를 견인하기 위한 창업가의 특성 연구는 창업가정신 맥 락에서 현재까지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왔다. 이 때, 창업가의 성격특성과 더불어 가족이나 지인들의 물 질적, 정신적 지지로 인하여 기업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고려해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사회적 지지를 조절효과로 기업성과에 초점을 두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 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창업가의 특성이 사회적 지지를 조절하여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조사해보 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창업가의 특성 중 독립변수 중 자율욕구, 성취욕구,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내성 그리고 모호성에 대한 인내를 독립변수로 채택하여 이들 중 어떤 특성들이 기업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이를 실증하여 검증하였다. 특히, 사회적 지지가 기업성과와의 유의미한 연관성을 설명해 줄 것인지 아닌지 밝혀보았다. 실증결과 창업가의 특성 중 자율욕구,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내성, 모호성 에 대한 인내는 기업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고 성취욕구는 기업성과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선행연구와 상이한 점은 성취욕구는 인적네트워크와 자기과신 측면에서 기업 성과를 견인하는 핵심 성격특성으로 단언할 수 없다는 결과물이 도출되었다. 또한, 모호성에 대한 인내 는 불확실한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창업가의 주요 특성으로 현재 창업생태계에서 다루어져야 할 가장 중 요한 성격특성 중 하나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사회적 지지를 조절변수로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고 그 결과 자기효능감 이외 다른 독립변수들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 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도출된 바는 창업가는 일반 급여자보다 독립적이고 주체적인 사람으로 주변 가족 이나 지인들의 사회적 지지에 많은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을 살펴보면,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본 연구주제의 근원이 되는 창업가정신 맥락에 서 창업가의 심리적 특성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선행연구에서는 창업가정신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 변수 인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을 중심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관점을 달리하여 상대적 으로 선행연구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은 성취욕구, 자율욕구, 스트레스 내성, 모호성에 대한 인내, 그리 고 자기효능감을 이론적 고찰과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 그 개념을 살펴보았고, 사회적 지지를 조절변수로 기업성과와의 연관성을 시도하여 유의미한 결과물을 도출하여 창업가의 심리적 특성 연구 관점에서 학 문적 기초를 제공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창업가의 심리적 특성 각 변수들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 과에서 창업가의 심리적 특성 중 자율욕구와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내성, 모호성에 대한 인내는 기업성 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취욕구는 기업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 으로 밝혀졌다. 이는, 선행연구결과와 다소 상반된 결과로 본 연구에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판 단된다. 셋째, 자율욕구,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내성을 비롯한 모호...

      • 청년창업가의 특성과 창업가정신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재환(Park Jae Whan),안태욱(Ahn Tae Wook),김의범(Kim Eui Bum) 한국경영교육학회 2013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3 No.6

        창업가정신은 창업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성과를 이끄는 주요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러 연구자가 창업가정신과 경영성과와의 관계에서 중요성을 인정하였고 혁신과 경영의 활력으로 이어진다는 선행연구가 도출되었다. 이처럼 창업가정신에 대한 연구와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나 청년창업가를 대상으로 창업가의 특성과 창업가정신의 변수 고려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 대한 검토를 토대로 작금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청년창업가의 특성과 창업가정신이 재무성과와 고용성과 요소들 간의 관계를 실증적 검증하였다.실증분석 결과 청년창업가의 배경적특성에서 창업전실무경험 3년미만은 고용성과에 3년이상은 재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계가족 창업여부는 재무성과에 긍정적 영향, 창업전 직장 경력 1년 미만인 경우 고용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준비특성 중에서 창업준비인지도는 고용성과, 창업교육은 고용성과와 재무성과에 유의한 정의(+)영향을 주고, 창업가정신 하위요인 진취성은 고용성과와 재무성과에게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며, 위험감수성은 재무성과에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First, young entrepreneurs' perception of entrepreneurial preparation had significantly positive (+) influence upon the employment performance of entrepreneurial performance, whereas it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 financial performance. Second, the entrepreneurial procedure fulfillment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upon all the variables of entrepreneurial performance. Third, the entrepreneurial education had significantly positive (+) influence upon the employment performance and financial performance of entrepreneurial performance. Fourth, the innovative spirit, a sub-variable of entrepreneurship,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upon employment performance and financial performance. Fifth, the progressive spirit, a sub-variable of entrepreneurship, had significantly positive (+) influence upon employment performance and financial performance. Sixth, the risk sensitivity, a sub-variable of entrepreneurship,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upon employment performance, but it had significantly positive (+) influence upon financial performance. This study seems to be meaningful theoretically in that it examined the influence of young entrepreneurs' characteristic and entrepreneurship upon entrepreneurial performance, thus verifying concrete factors for the existing studies on entrepreneurial performance.

      • KCI등재

        벤처기업 창업가의 특성과 경영전략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규동 한국벤처창업학회 2019 벤처창업연구 Vol.14 No.6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venture business founders and management performance, setting the management strategy as a parameter to provide a suggestion for the survival and development of venture companie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national economy and job creation. Previous studies in Korea hav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business founders, management strategies and management performance in a single dimension. This paper, however, explained the business performance of a company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while setting the characteristics of business founder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etting the business strategy of the enterprise as a parameter. The first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venture business founders have a positive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In particular,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venture business founders, a progressive spirit has had the greatest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the influence of risk sensitivity was very weak.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venture business founder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usiness strategy. In particular, innovation was an important variable that affected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differentiation strategy, and a progressive spirit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the marketing differentiation strategy. Third, management strategies of venture firm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 technology innovation differentiation strategy has a greater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than the marketing differentiation strategy. Fourth, it was revealed that management strategy partially has a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venture business founders and management performance.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nders have a direct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but if it is linked to management strategy it has an indirect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business performance improves when venture business found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firms’ management strategy are combined. 본 연구에서는 국가경제와 일자리 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벤처기업의 생존 및 발전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벤처기업 창업가의 특성과 경영성과와의 관계에 경영전략을 매개변수로 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기존의 국내 선행연구들이 창업가의 특성과 경영전략을 경영성과에 대한 동일한 단일차원의 함수관계로 분석하는데서 벗어나서, 창업가의 특성을 독립변수로, 기업차원의 경영전략을 매개변수로 하여 다차원적인 관점에서 기업의 경영성과를 설명하려고 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벤처 창업가의 특성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창업가의 특성 중에서도 진취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변수로 확인되었다. 반면, 위험감수성은 그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매우 미미한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벤처 창업가의 특성은 경영전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창업가 특성 중에서 혁신성은 기술혁신 차별화 전략에, 진취성은 마케팅 차별화 전략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수로 분석되었다. 셋째, 벤처기업의 경영전략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영전략 중에서도 기술혁신 차별화전략이 마케팅 차별화 전략에 비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벤처 창업가의 특성과 경영성과와의 관계에서 경영전략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창업가의 특성은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경영전략과 매개되어 경영성과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런 연구결과는 벤처기업 창업가의 개인적인 특성과 기업차원의 경영전략이 연계되었을 때 더 극대화된 경영성과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 기술혁신 중소기업 정책금융의 효과적인 성과관리를 위한 성과평가방안

        배경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6 정책자료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본 연구를 추진하게 된 배경은 최근에 중소기업 정책자금의 역할에 대한 회의론적인 입장들이 거세지면서, 실제, 정책자금의 기본적인 목표인 시장실패영역에 대해서도 정책적인 고려가 도외시되고 있다. 또한, 이런 상황이 발생하다보니 시장실패 영역 중에서 뚜렷한 정책목적을 가진 정책자금에 대한 성과의 지속적인 관리와 정책목적 달성을 평가하고 관리할 수 있는 성과목표와 성과지표의 중요성이 두드러지게 되었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정책금융의 효과적인 성과창출과 정책목적성을 달성하기 위해서 균형적 성과관리(Balanced Scorecard, 이하 BSC) 도입의 당위성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즉, 정부재정으로 지원되는 정책자금 지원사업에 대한 체계적인 성과관리를 위해서는 정책프로세스에서 정책입안-정책결정-정책집행-정책평가 등에 관련 모든 정부부처와 유관기관의 체계적인 성과관리체제가 구축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에 대해서 제시하고자 한다.특히,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유동자금이 풍부한 시중 금융권이 중소기업의 금융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부분에 대해 시장실패 및 시장선도부문이라고 할 수 있는 기술혁신 중소기업의 창업 및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적극적인 정책 자금의 성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기술혁신 중소기업에 대한 중소벤처기업창업자금을 지원하는데 있어서 그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BSC적 접근방법을 통한 전략 맵, 성과목표와 핵심성공지표 등을 도출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요 연구내용□ 균형적 성과관리(BSC: BalancedScore Card) 및 기술혁신 중소기업의 창업에 대한 이론적 고찰○ 균형적 성과관리(BSC : Balanced ScoreCard)의 의미 및 4대 관점1. 균형적 성과관리(BSC : Balanced ScoreCard)의 의미2. 균형적 성과관리(BSC : Balanced ScoreCard)의 4대 관점가. 고객 관점나. 재무 관점다. 내부 프로세스관점라. 학습과 성장관점3. 균형적 성과관리(BSC : Balanced ScoreCard)의 장단점 ○ 국내 주요 정부기관의 정책금융운영에 대한 성과평가의 실태분석1) 기획예산처 재정사업평가의 운영실태2) 정보화촉진기금의 성과평가의 운영실태3) 중소기업진흥공단 정책자금 성과평가의 실태4) 해양경찰청 재정사업 성과평가의 운영실태 □ 기술금융으로서 중소벤처기업창업자금의 운영실태 및 성과관리체계○ 중소벤처기업창업자금의 운영실태○ 중소벤처기업창업자금에 대한 운영 성과 □ 기술혁신금융으로서 중소벤처기업창업자금의 성과관리방안 : BSC접근방법을 중심으로○ BSC접근방법에 의한 중소벤처기업창업자금의 성과관리체계1. 중소벤처기업창업자금의 전략 맵 및 전략목표2. 중소벤처기업창업자금의 4대 관점별 성과목표 및 성과지표○ 정책프로세스에 의한 중소벤처기업창업자금의 성과관리1. 정책입안 및 정책결정단계2. 정책집행단계3. 정책성과단계○ BSC접근방법에 의한 중소벤처기업창업자금의 성과관리방안1. 정책자금의 특성을 고려한 연차별 시스템 구축 필요2. 정책자금 성과의 실시간(real-time) 관리3. 정책프로세스별 관련기관의 고려4. 정책자금의 성과관리에 대한 책임과 권한의 명확화5. 정책목적성에 따른 차별적 성과목표와 지표 관리 필요 결론 및 정책제언본 연구에서는 정책자금을 지원받은 기술혁신형 중소벤처기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 정책자금의 효과적인 성과관리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 접근방법을 BSC라는 조직성과관리방안을 활용하였다. 정책자금의 경우, 별도의 정책집행기관이 있으나 정책의 성과관리에는 정책프로세스 전반에 관련 기관과 정부부처의 역할 하나 하나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또한, 그 정책의 실현과정은 단기간에 시현되는 경우도 있으나, 중장기적으로 서서히 나타나기도 한다. 따라서, 정부부처에서 현재 추진하고 있는 BSC체계 구축에 있어 부처업무의 특성, 기관의 독립성을 파악하는 것처럼, 이와 더불어 정책자금의 성과관리를 위해서는 정책 자체의 특수성과 목적을 정확히 인지하는 것도 더불어 중요하다.그리고, 기술혁신 중소기업의 창업 및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지원되는 중소벤처기업정책자금의 지속적인 확보와 이를 지원하는 기관에 대한 효과적인 성과관리체계 구축이 무엇보다도 절실히 필요하다. 특히, 많은 리스크를 내포하고 있는 중소벤처기업창업자금의 효과적인 성과관리를 위해 BSC적 접근방법은 유용할 것이다. 다만, 실제 정책금융을 다루는 부처나 유관기관의 종사자들이 정책금융의 효과적인 성과창출을 위해 구체적인 성과목표와 핵심성공요인, 성과지표의 도출 및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다.결국,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술혁신 중소기업의 창업활성화와 고용증대를 위해 지속적인 창업자금의 성과창출과 그에 따른 효과적인 통합적 성과관리체계의 구축이 무엇보다도 절실하다. 이제는 과거와 같이 투입중심의 예산운영이 아닌 결과(outputs) 내지 더 나아가 성과(outcomes)중심의 예산운영체계로 변하고 있고, 이러한 환경변화 속에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BSC적 접근방법에 의한 정책자금의 효과적인 성과관리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