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체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직무만족성장 궤적의 잠재계층과 영향요인

        최희철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4 No.4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였다. 첫째, 이 연구는 지체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직무만족성장 궤적의 잠재계층을 알아보았다. 둘째, 이 연구는 직무만족성장 궤적의 잠재계층을 예측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직무만족과 영향요인(사회경제적 지위, 장애정도, 신체건강, 임금, 정규직여부, 근로환경의 안정성, 차별, 장애수용, 자존감, 자기효능감, 대인관계능력, 삶의 만족, 개인-직무 적합도)의 자료는 장애인고용패널 2차 웨이브의 1차에서 5차년도 조사에서 추출하였다. 직무만족성장 궤적의 잠재계층은 잠재계층 성장모형 모델링으로 분석되었다. 직무만족성장 궤적 잠재계층의 영향요인은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직무만족성장 궤적의 잠재계층은 3개, 즉 상승 후 하강하는 높은 직무만족 유지 집단, 가장 낮은 직무만족 유지 집단, 보통의 직무만족 유지 집단으로 나타났다. 가장 낮은 직무만족 유지 집단과 상승 후 하강하는 높은 직무만족 유지 집단, 보통의 직무만족 유지 집단을 구별하는 유의한 영향요인은 근로환경의 안정성, 삶의 만족, 개인-직무 적합도, 차별이었다. 결론: 이 연구의 결과는 지체장애인 임금근로자가 장기간 동안 직무만족을 높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근로환경의 안정성과 개인-직무 적합도를 높이고, 근로환경에서 차별을 없애고, 일상생활에서 삶의 만족을 높이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제안한다.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wofold. First, this study examined latent classes of job satisfaction growth trajectories for paid work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predictors of latent classes. Method: Data on job satisfaction and predictors (socioeconomic status, degree of disability, physical health; income, regular job, safety of work environment, discrimination; acceptance of disability, self-esteem,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life satisfaction; and person-work fit) came from the 1st to 5th waves in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second Wave. The latent classes were analyzed using latent class growth modeling. The predictors of latent classes were analyzed using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ree latent classes were identified: the increasing but lowering high job satisfaction, the consistent lowest job satisfaction, and the consistent moderate job satisfaction. The significant predictors to differentiate the increasing but lowering high job satisfaction group and the consistent moderate job satisfaction group compared to the consistent lowest job satisfaction group were safety of work environment, life satisfaction, person-work fit, and discrimination. Conclusion: In order for work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o main tain long-term high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it helps to increase safety of work environment and person-work fit, to eliminate discrimination in work environment, and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in everyday life.

      • KCI등재

        지방공무원의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간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제갈돈(諸葛暾),김태형(金泰亨) 한국지방정부학회 2007 지방정부연구 Vol.11 No.3

          최근 지방정부들은 급변하는 환경에 적응하고 지방정부를 효율적으로 만들기 위하여 고심하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공무원의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은 지방정부에서 중요한 이슈이며, 공공서비스를 개선하고 주민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직무만족을 통하여 지방공무원들에게 삶의 동기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안동시 공무원 280명을 대상으로 5가지 직무만족요인인 전반적 직무만족, 상관에 대한 만족, 직무내용에 대한 만족, 다른 부서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 직무훈련에 대한 만족 그리고 5가지 삶의 만족요인인 전반적 삶의 만족, 신체적 만족, 심리적 만족, 사회적 만족, 생활환경 만족에 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우리가 가설에서 기대했던 바와 같이 지방공무원의 직무만족은 삶의 만족에 양(+)의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간의 관계에 관한 이론적 모형 중 전이모형(spillover model)을 경험적으로 확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직무만족은 인구통계적인 특성을 가지지 않는 반면에 삶의 만족은 어느 정도 인구통계적인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인구통계적 변수들이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효과를 가지지는 못하지만, 인구통계적 변수들과 직무만족 변수들은 삶의 만족을 직접적으로 예측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Recently, local governments have been struggling to adapt to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and to maintain efficient governments.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remain important issues for public managers in local governments, as they try to motivate public employees" job satisfaction through life satisfaction for improving public services and for providing residents with better quality of services. This study looks at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mployees of the City of Andong. 150 city employees were surveyed on five aspects of job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their supervisors, satisfaction with agency relationships, satisfaction with job training, satisfaction with job content, and overall job satisfaction, and also on five aspects of life satisfaction: physiological satisfacti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social relationships satisfaction,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overall quality of life. The results show that job satisfaction has a direct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s we anticipate in the hypothesis. This supports the spillover model of the theory of a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But job satisfaction does not hav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hile life satisfaction has partial ones. Therefore, it can be estimated that both job satisfaction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ave an important role in predi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local government employees.

      • KCI등재

        회계 직종 근로자의 주요 직무환경 요인과 직무만족ㆍ조직몰입의 영향 관계 분석

        노미현 글로벌경영학회 2018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5 No.5

        This study firstly analyzed the main job environment factors affecting work satisfaction and work position satisfaction of accounting occupation workers, and secondly, analyzed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the job environment of the accounting occupation worker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rom the analysis results, among job environments, the main factors affecting work satisfaction were wage or income, job stability, individual development potentiality, and welfare and benefits, of which the possibility of individual development had the greatest effect. The main job environment factors for work position satisfaction were wage or income, working environment, working time, fairness of employee evaluation, and welfare and benefits, of which welfare and benefits had the greatest effect.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analysis of job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bo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ad a much greater effect than other control variables such as employment type, organizational culture, and working style, etc.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was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In conclusion, the better the job environment of accounting occupation workers, the greater the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which is felt while performing accounting tasks, can increase the intensity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such as attachment to work. 본 연구는 첫째, 회계 직종 근로자의 일 만족과 일자리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직무환경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둘째, 회계 직종 근로자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아울러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9개의 직무환경 중 일 만족에 영향을 미친 주요 요인은 임금 또는 소득, 취업의 안전성, 개인의 발전가능성, 복지후생이었으며, 이 중 개인의 발전가능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일자리 만족에 대한 주요 직무환경 요인은 임금 또는 소득, 근로환경, 근로시간, 인사고과의 공정성, 복지후생이었으며, 이 중 복지후생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일만족과 일자리 만족 모두에 영향을 미친 주요 요인은 임금 또는 소득과 복지후생 2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회계직종 근로자의 직무환경․직무만족․조직몰입의 영향 관계 분석에서는, 직무환경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모두에 매우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고용형태, 조직문화, 근무동기 등의 다른 통제변수와 비교해서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친 영향도 매우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 결론적으로, 회계직종 근로자의 직무환경이 양호할 수록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크고, 회계 직무를 수행하면서 느끼는 직무만족은 직장에 대한 애착심과 같은 조직몰입의 강도를 높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일과 일자리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직무환경 요인 분석 결과는 직무환경 개선을 고려하는 조직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직무만족의 측정도구에 대한 개요와 활용방안

        이영면(Young-Myon Lee)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07 인사조직연구 Vol.15 No.3

        본 논문은 그 동안 경영학, 특히 인사조직분야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어 온 직무 만족에 대한 측정도구를 정려한 논문이다. 직무만족은 조직구성원의 직무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는 변수로 중요하게 안정되고 오랫동안 활용되어 왔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국내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고 활용되고 있는 측정도구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에서 수행된 직무만족도에 대한 실증연구는 외국에서 개발된 측정도구를 충분한 검토 없이 활용하고 있어서 이를 바탕으로 한 실증연구결과에 대해 신뢰성과 타당성을 인정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구체적으로 우선, 외국에서 주로 영어를 바탕으로 개발된 측정도구에 대해 충분한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한 번역과정을 생략함에 따라 그 결과를 인정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또한 원래의 측정요인이나 측정문항수를 임의로 변경함에 따라 새롭게 필요한 신뢰성이나 타당성을 확인하는 작업도 생략된 연구가 많다. 마지막으로 외국의 측정도구에 대응해 국내의 조직구성원에 대한 측정도구를 개발하려는 노력도 미흡하다고 하겠다. 본 논문에서는 그 동안 외국에서 개발되어 널리 활용되어온 직무만족에 대한 측정도구를 정려하여 제시하고 측청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중심으로 활용에 필요한 사전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이는 국내에서 측정도구를 활용하기 위한 출발점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외국 측정도구의 번역, 측정요인과 측정문항수, 그리고 국내에서 측정도구를 개발해가는 과정에서 검토해야 할 사항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Researches on job satisfaction in Korea have invariably used measures developed in Western countries, without giving serious consideration as to issue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es used in a foreign context. Such practice can lead to wrong interpretations of empirical research results on job satisfac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other variables. This paper first presents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job satisfaction measures in Korea. Out of 296 researches, 31 researches measured overall job satisfaction although many of them did not provide the sources of those measures quoted. Researches done in other countries on job satisfaction in 2003 and 2004 were also surveyed, using EbscoHost. Forty-five papers out of 257 using job satisfaction measures referred the sources and questionnaires of job satisfaction. Thirty-one papers used overall measures on job satisfaction. A recent trend in using measures for overall job satisfaction in those empirical analyses was explained and summarized. The next step of this paper is to organize and present the commonly used job satisfaction measures. Some measures presented here in the appendix include only a couple of example questions because of copyrights. This, however, is an effort to improve the process of measuring job satisfaction by presenting well-known and frequently used measures on job satisfaction. Overall job satisfaction measures presented here include those developed by Hoppock (1935); Brayfield & Rothe (1951) [Job Satisfaction Index, JSI]; Bullock (1952); Weiss et al.(1967)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SQ]; Taylor & Bowers (1972); Hackman & Oldham (1975); Quinn & Staines (1979); Cammann et al.(1979) [Michigan Organizational Assessment Questionnaire, MOAQ]; Vroom (1960) [Attitude towards the Job]; Warr, Cook, and Wall (1979); and Ironson et al.(1989) (Job in General, JIG). Most of facet-only job satisfaction measures are not presented here due to the limitation on space. Those measures are the next research topic for the author. Discussions on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each measure are collected from books and papers and presented. Some are provided by the measure developers and some by users. All of the measures presented here have shown at least the acceptable level of reliability and validity. This explains why these measures have been used for decades. However, a caution is called for when these measures are going to be used in Korean context. Although strictly facet-only job satisfaction measures had to be omitted here, facet-based overall job satisfaction measures are presented. These measures are composed of several different facets to measure the overall job satisfaction. Five facet-specific overall job satisfaction measures are presented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They include measures developed by Weiss et al.(1967)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SQ); Smith, Kendall, & Hulin (1969) [Job Description Index, IDI]; Hackman & Oldham (1975) [Job Diagnostic Survey, IDS]; Spector (1985) [Job Satisfaction Survey, JSS]; Smith (1976) [Index of Organizational Reactions, lOR] and the Index for Organizational Health and Personnel Management (IOHPM). Comparing facet-based measures of the kind I present with facet-only measures would be good research topic, since the researches using facet-based measures are increasingly in demand. We may use existing measures in research in the Korean context. We may, however, try developing new measures on our own. When existing measures are used, the translation should be done accurately and rigorously, while issues such a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original measures need to be given sufficient consideration. Copyright is also an important matter to be considered. In developing new measures on our own, surveys and survey processes should be devised in such a way that respondents can feel

      • KCI등재후보

        식음료 종사자의 직무교육 참여동기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신미경 ( Shin Mi-gyoung ) 미래융합통섭학회 2020 현대사회와 안전문화 Vol.3 No.2

        연구목적: 이 연구는 식음료 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직무교육 참여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분석 및 규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서울소재 식음료종사자를 모집단으로 유의표집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한 후, 총 600부의 설문을 배포하여 572명을 표집, 극단치를 제외한 543부를 최종 SPSSWIN 24.0으로 분석하였다. 활용한 통계기법은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다중 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이다. 결론: 첫째, 직무교육 참여는 직무스트레스 영향을 미쳐 지적 흥미가 증가할수록 조직체계성과 갈등해소요인이 높아지고, 직업전문성함양에 대한 동기가 감소할수록 조직체계성, 직무요구, 직무자율성결여는 낮아진다. 둘째, 직무교육참여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쳐 사회적관계형성, 지적인 흥미가 증가할수록 내적·외적만족은 높아지고, 외적기대충족, 직업전문 성함양이 감소할수록 내적만족이 낮아진다. 셋째,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쳐 조직체계, 갈등관계, 직무자율성결여에 활동이 내적만족에 정(+)의 영향을 직무불안정은 내적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 조직체계, 갈등관계, 직무자율성 결여는 외적만족에 정(+)의 영향을 직무요구, 직무불안정은 외적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 넷째, 직무교육 참여 동기는 직무만족에 직접적으로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한편 매개변수인 직무스트레스는 독립변수 직무교육 참여동기와 종속변수 직무만족을 직·간접적으로 매개해주는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Pupose: The thesis is investigating the food and beverage employees' participation for their job education with the hypothesis that might affect their job stress and the satisfaction as its variables, as well as verifying the fidelity of variables by proposing the model for the results of variables' relationship. Methods: The survey for the study is conducted be the food and beverage employees in Seoul district, that are collected 543 peoples' survey out of 572 by purposive or judgemental sampling and then analyzed by SPSSWIN 24.0 program.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s are verified b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multiple regression. Conclusion: First, the participation of the job education affects job stress positively that make their intellectual interests increase as well as organization system and conflict settlements, and when the motivation for learning and job specialty cultivation gets low, the organization system, job requirement, job self-discipline also decrease. Second, the participation of job education affect the job satisfaction positively that creates the formation of social bonds and increases the intellectual interests that br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internal satisfaction gets low when the expectation of external satisfaction and job profession cultivation also get low. Third, job stress has a positive effect on internal satisfaction, and job instability has a negative (-) effect on internal satisfaction, such as organizational system, conflict relations, and lack of job autonomy. Organizational system, conflict relationship, and lack of job autonomy have a positive (+) effect on external satisfaction, while job demand and job instability have a negative (-) effect on external satisfaction. Fourth,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job training has a very significant effect directly on job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job stress, a parameter, has a high effect of directly or indirectly mediating the independent variable job trai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the dependent variable job satisfaction.

      • KCI등재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해외체류 시 여가만족이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해외체재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주희(Kim, Ju-Hi),이승현(Lee, Sung Hyun),하동희(Ha, Dong-Hee) 한국문화산업학회 2021 문화산업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해외체류 시 여가만족과 직무만족, 직무성과간의 인과관계를 해외체재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개 FCC와 3개 LCC를 선정하고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총 350부의 설문지 중 유효하지 않은 45부를 제외하고, 305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첫째, 해외체류 시의 여가만족과 직무만족 간 인과관계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 해외체류 시의 여가만족은 그 하위요인 가운데 사회 및 교육적 만족, 정서 및 신체적 만족, 환경적 만족 순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며, 셋째, 해외체류 시의 여가만족과 직무성과 간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은 여가만족 가운데 정서 및 신체적 만족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는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적 만족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해외체류 시 여가만족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해외체재비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해외체재비는 여가만족의 세 가지 하위요인인 사회 및 교육적 만족, 정서 및 신체적 만족, 환경적 만족과 직무만족 간의 영향관계에서 모두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해외체재비는 직무만족과 직무성과 간의 영향관계에서도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항공사들이 객실승무원의 해외체류 시 적정 수준의 해외체재비 지급과 같은 정서적, 신체적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복지지원제도를 통해 객실승무원의 여가만족과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으며, 이는 객실승무원의 직무성과 향상에 기여함으로써 항공사의 객실 서비스 품질 향상 및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이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whether flight attendants‘ leisure satisfaction during their overseas stay affects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focusing on the controlling effect of overseas per diem allowan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wo FCCs and three LCCs were selected and surveyed, using 305 copies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ineffective 45 of the 350 questionnair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ypothesis 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during the overseas stay and job satisfaction showed that leisure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in the order of social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emotional and physical satisfaction,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 Secondly,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Thirdly, the analysis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during the overseas stay and job performance showed that job satisfaction had a ful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nd physical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nd i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Fourthly, the analysis on the controlling effect of overseas per diem allow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showed that overseas per diem allowance had a controlling effect in the respectiv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emotional and physical satisfaction,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Fifthly, overseas per diem allowance was found to have a controll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s well.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by implementing various welfare policies aiming to promote emotional and physical satisfaction, such as a proper level of overseas per diem allowance, airlines can enhance flight attendants’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which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airlines’ cabin service quality and the strengthening of their competitiveness.

      • KCI등재

        지체장애인 임금 근로자의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 간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최희철,김영미,김혜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4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us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in paid work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specific aims of this study were fourfold: First, this study examined longitudinal stability coefficients of job satisfaction. Second, this study examined longitudinal stability coefficients of life satisfaction. Third, this study examined the cross-lagged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in the future. Fourth, this study examined the cross-lagged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on job satisfaction in the future. Method: The data of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came from the 1st to 4th waves in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2nd Wave(PESD). The longitudinal stability coefficients of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the cross-lagged effect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The results of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are shown in the following. First, the previous job satisfaction significantly predicted the subsequent job satisfaction. Second, the previous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predicted the subsequent life satisfaction. Third, all cross-lagged effects of previous job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in the future were significant in the positive. Fourth, all cross-lagged effects of previous life satisfaction on job satisfaction in the future were significant in the positive.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s reciprocal.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체장애인 임금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 간의 종단적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4가지였다. 첫째, 본 연구는 직무만족의 종단적 안정성 계수를 알아보았다. 둘째, 본 연구는 삶의 만족의 종단적 안정성 계수를 알아보았다. 셋째, 본 연구는 직무만족이 장래 삶의 만족에 미치는 교차지연 효과를 알아보았다. 넷째, 본 연구는 삶의 만족이 장래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에 대한 자료는 한국장애인 고용패널 2차웨이브 조사(PESD)의 1차년도에서 4차년도 자료에서 추출되었다.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 두 변인의 종단적 안정성 계수와 교차지연 효과는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구조방정식 모형 즉,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델을 적용하여 구해진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하는 직무만족은 후행하는 직무만족을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선행하는 삶의 만족은 후행하는 삶의 만족을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셋째, 선행하는 직무만족이 후행하는 삶의 만족에 대해 미치는 모든 교차지연 효과는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선행하는 삶의 만족이 후행하는 직무만족에 대해 미치는 모든 교차지연 효과는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 사이의 종단적 관계가 일방향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순환적 관계에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국세공무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승훈,심태섭,김지엽 한국세무학회 2016 세무학 연구 Vol.33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National Tax officials in Korea National Tax Service and to provide taxpayers better quality of national tax administration service by meeting these factors.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dministrative suggestions in enhancing their job satisfaction through analysis of this research.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a rigorous research efforts designed to ⑴ measure the job satisfaction factors from workload, pay, superiors, co‐workers, promotion, work environment, to ⑵ gauge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job, to ⑶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job satisfaction factors and the overall satisfaction. Also,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any difference in the job satisfaction factors depending on Public Service Motivation(PSM). For these purposes, a total of 322 samples were gathered by surveying National Tax Officials in Korea National Tax Service locat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Bucheon city, Gimpo city, Siheung city. Data analysis says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overall job satisfaction of National Tax Officials were founded as‘work amount and length’,‘task capability of superiors’,‘friendship between co-workers' and‘promotion and personnel transfer’factor. This means that Korea National Tax Service can increase the overall job satisfaction of members of the organization by enhancing satisfaction with these factors. And the job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higher in GroupⅠ(PSM is above the average) than GroupⅡ(PSM is below the average). In addition, there were the differences in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of National Tax Officials depending on their PSM. ‘Promotion and personnel transfer’factor affected the overall job satisfaction in GroupⅠ. But‘Friendship between co-workers’factor affected the overall job satisfaction in GroupⅡ. ‘Work amount and length’ factor affected the overall job satisfaction in both GroupⅠ and GroupⅡ.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일선 세무서에 근무 중인 국세공무원들을 대상으로 국세공무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이를 충족시킴으로써 납세자에게 질 높은 국세행정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일선 세무서에서 근무 중인 국세공무원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 국세공무원의 직무만족 요인을 몇 개의 영역으로 묶어서 각 영역별로 현재 얼마나 만족하는가를 측정하고자 한다. 두 번째로 현재 업무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측정하고자 한다. 세 번째로 각 요인별 직무만족(독립변수)과 전반적 직무만족(종속변수)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공공부문 종사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된 공공봉사동기에 따라 직무만족 영향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근거로 국세공무원의 전반적인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에 국세청은 이러한 영역에서 구성원의 직무만족을 높임으로써, 궁극적으로 서비스기관으로서 질 높은 국세행정서비스를 납세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부천·김포·시흥 지역에 위치한 세무서에 근무 중인 국세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우선, 국세공무원의 전반적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6개로 압축되었다. 이러한 6가지 요인 중 ‘업무량과시간’, ‘상사의능력’, ‘동료간친밀성’, ‘승진및인사’요인은 국세공무원의 전반적 직무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에 국세청은 이 부분에서 구성원의 직무만족을 높임으로써, 궁극적으로 전반적인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공공부문 종사자의 독특한 개인적 특성인 공공봉사동기가 평균 이상인 국세공무원의 요인별․전반적 직무만족도는 평균 미만인 국세공무원들 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공공봉사동기 수준에 따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공공봉사동기 수준이 평균 이상인 집단의 경우 ‘승진및인사’ 요인이 평균 미만인 집단의 경우 ‘동료간친밀성’ 요인이 전반적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쳤으며, ‘업무량과시간’ 요인은 두 집단 모두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국세청은 조직 구성원의 공공봉사동기를 높이는 데 노력해야할 뿐만 아니라, 조직 구성원들의 공공봉사동기 수준에 따라 ‘승진및인사’ 또는 ‘동료간친밀성’ 요인에 대한 맞춤형 인사정책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건강가정지원센터 상담실무자의 직무스트레스 및 욕구충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임춘희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2

        This study surveyed 32 counselors i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to clarify the nature of the correlationship among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need fulfillment of counselors. First, the level of total counselors' job satisfaction was 3.11 on the average in 5-point Likert. The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bout 'counseling service itself' showed highest. And the level of total counselors' job stress was 3.35 on the average. The the level of job stress about ‘a month-end report, statistics of counseling, and counseling services record’ showed highest. Counselors perceived following needs more fulfilling: ‘I was recognized by my ability’ ‘There was a increase in understanding and love for the people’ ‘I became more confident’.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by location of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and in need fulfillment by intention of keeping on working.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of counselors in local Centers was higher than that of job satisfaction of counselors in Seoul. And the level of need fulfillment of counselors having intention of keep on working was higher than that of need fulfillment of counselors having no intention of keep on working. Third, the correlations between counselors'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including in all subarea of job stress. And the counselors' job satisfaction and need fulfillment showed generally positive correlation, but physical need and love/belonging need fulfillment were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in subarea of need fulfillment. Fourth, counselors' job satisfaction was explained to its 45% by job stress and need fulfillment.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정상담팀에서 상담업무를 담당하는 상담실무자들의 직무만족도 증진방안 모색을 위한 일환으로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욕구충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자체 제작한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욕구충족에 대한 설문지로 우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전국의 32개소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상담실무자 32명의 결과를 최종분석 하였다. 통계적 분석을 위해 t-test,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결과로는 첫째, 건강가정지원센터 상담실무자의 전체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의 평균값을 단순비교시 직무스트레스 평균값(3.35)이 직무만족도(3.11)보다 다소 높았다. 그리고 직무만족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낸 문항은 상담업무자체에 대한 만족이었으며 직무스트레스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은 ‘월말보고서, 상담통계, 상담실적보고’에 관한 것이었다. 또한 상담실무자들의 욕구충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문항은 ‘상담업무를 통해 내 자신의 역량을 인정받는다’ 이었다. 둘째, 상담실무자의 직무만족도는 직무스트레스와는 유의미한 부적인 상관관계(r=-.602)를, 욕구충족과는 정적인 상관관계(r=.493)를 나타내어 직무스트레스가 적을수록 욕구충족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영역들 모두 직무만족도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특히 직장불안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계수가 가장 높았으며(r=.68), 사업평가, 역량부족, 인간관계, 상담통계 및 행정처리, 업무과중 스트레스 순으로 직무만족도와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욕구충족의 하위요인 가운데는 생존욕구와 애정 및 소속에 대한 욕구의 충족만이 직무만족도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담실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욕구충족은 직무만족도에 45%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삭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상담실무자의 전반적인 직무스트레스의 양을 줄이고, 생존욕구와 애정 및 소속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것과 크게 연관된다는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결과에 대한 논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 워라밸, 직무자율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프로티언경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양석원,정찬구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21 유라시아연구 Vol.18 No.2

        직무만족은 개인적 차원뿐만 아니라 조직적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하게 다뤄야 할 인사관리 지표로 1930년대 이후부터 최근까지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많은 학자들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지속해 오고 있는데,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임금, 복리후생, 근무 시간을 포함한 근무조건 및 근무환경, 승진, 대인관계, 일과 삶의 균형(이하 워라밸) 등으로 다양하다. 그 리고 최근엔 조직뿐만 아니라 개인 성장을 중요시하는 경향도 강해지고 있어 개인 성장 가능성에 대한 부분도 많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수 중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eader-Member Exchange: 이하 LMX), 워라밸, 직무자율성 그리고 최근 많이 이슈가 되고 있는 프로티언경력을 중심으로 변수 간 인과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독립변수로는 LMX, 직무자율성, 워라밸이 있으며, 조절변 수로 프로티언경력, 종속변수로 직무만족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LMX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리더와 구성원의 관계의 질이 높을수록 소통이 잘 되고, 결과적으로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통해 직무만족을 이끌어 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높은 LMX의 질은 긍극적으로 조직유효성을 높힐 수 있는 기반을 조성 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조직은 조직 단위의 러더와 구성원 간의 소통의 장을 만들 필요가 있으며 생 산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조직분위기와 시스템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직무자율성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자율성 수준이 높을 때 개인이 느끼는 자신의 가치가 상승하고 스스로 설정한 직무목표를 달성했을 때 직무만족을 느 낄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워라밸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직장 생활을 통해 가정의 행복과 개인의 삶의 의미에까지 확장되고 있는 워라밸의 의미와 의의를 되새기게 하는 부분이다. 조직이 개인의 집합체로 구성된 것을 감안하면 개인차원의 삶의 질은 결국 조직차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넷째, 본 연구의 가장 주요 관심사인 LMX, 직무자율성, 워라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프 로티언경력의 조절효과는 LMX와 직무만족 간의 영향관계에서만 조절효과가 확인되었고, 직무자율성, 워라밸에서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없었다. LMX가 조직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프로티언경력이 정(+) 의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LMX가 증가할수록 직무만족이 증가하는데 프로티언경력은 이러한 영향력을 더 증가시킨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LMX가 직무만족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프로티언경력의 주요 특성인 자기주도적, 가치지향적 성향이 LMX 와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일으켜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리더와 구성원 간의 관계의 질 이 높은 상태에서 스스로 동기부여된 구성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직무만족을 더 증가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과거 고용안정성, 평생고용에서 최근 고용가능성 그리고 고용지속성을 통한 평생직장을 위한 개인차 원의 경력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 및 개인차원에서 중요한 직무만족의 인과관계를 LMX, 직무자율성, 워라밸에서 다시 살펴보고 여기에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프로티언경력의 조절효과 를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결과에서 LMX와 직무만족 간의 영향 관계에 프로티언경력의 조절효과 가 있다는 점을 확인했고, 이를 통해서 조직 내 리더와 구성원 간의 높은 신뢰와 긍정적인 관계는 구성 원의 자기주도적, 가치지향적 경력관리태도에 의해 직무만족을 더 높힐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 다. 이러한 직무만족은 긍극적으로는 개인에게는 삶의 질, 조직에게는 조직성과와 조직유효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유효성의 예측변수인 직무만족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조직 인사관리의 실무 담당 자와 정책 입안자에게 새로운 성향의 인재들(MZ세대)이 들어오는 요즘 시점에 조직 및 기업에 있어 최 근 점점 더 강화되는 자기주도적, 가치지향적 개인 경력 태도인 프로티언경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하겠다. Job satisfaction is a personnel management index that should be dealt with very importantly not only at the individual level but also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nd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since the 1930s until recently. Many scholars have been conducting various studies on the variables that affect job satisfaction, and as variables that affect job satisfaction, wages, welfare benefits, working conditions including working hours, promotion, interpersonal relations, work-life balance, etc. And recently, the tendency to place importance not only on the organization but also on individual growth is increasing, and the possibility of personal growth is also increasing.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focusing on the leader-member exchange(LMX), work-life balance, job autonomy, and protean career, which has become a major issue in recent years, among the various variables that affect job satisfaction. The independent variables for this study were leader-member exchange(LMX), job autonomy, and work-life balance, and protean career as a moderating variable and job satisfa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were set.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first, LMX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 and the members, the better the communication, and as a result, job satisfaction can be elicited through the formation of a positive relationship.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it lays the foundation for increasing tissue effectiveness in the long term. Therefore, the organization needs to create a place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rudder of the organizational unit and its members, and it will be necessary to create an organizational atmosphere and system that can form productive relationships. Second, job autonom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It is expected that when the level of job autonomy is high, the individual’s self-worth will increase, and there will be more opportunities to feel job satisfaction when the job goals set by themselves are achieved. Third, it was found that the work-life bala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s result is a part that reminds us of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he work-life balance, which is expanding to the meaning of family happiness and personal life through recent work-life balance. Considering that an organization is composed of a group of individuals,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quality of life at the individual level eventually affects the organization level as well.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job autonomy, and work-life balance,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interests of this study, the moderating effect of protean career was confirmed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job satisfa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It was confirmed that protean career had a positive (+)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LMX’s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This shows that job satisfaction increases as LMX increases, but protean career further increases this influence. there was. This suggests that the self-directed and value-oriented tendencies, which a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protean career, can increase job satisfaction by generating positive interactions with LMX in the positive impact of LMX on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 self-motivated member’s protean career attitude can further increase job satisfaction while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 and members is high. It is the time when career management at an individual level is necessary for lifelong workplaces through employment stability in the past, possibility of employment in recent years in lifelong employment, and employment continuity.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causal relationship of job satisfaction, which is important at the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level, in LMX, job autonomy, and work-level, and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protean career, which is a recent issue. From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job satisfaction had a moderating effect of protean’s career. Through this, the high trust an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and members in the organization was driven by the self-directed, value-oriented career management attitude of the members. It was confirmed that job satisfaction could be further increased. This job satisfaction is expected to positively affect the quality of life for individual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e organization. These results show that, given the importance of job satisfaction, which is a predictor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self-directed, value-oriented personal career attitude that has been increasingly reinforced in organizations and companies has the influence of leadership on personnel in charge of organizational personnel management and policy makers. This suggests that an understanding of the in protean career i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