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거주 중국인의 주관적 구강 건강 상태와 OHIP-14의 관련성

        허성은,장경애 중소기업융합학회 2019 융합정보논문지 Vol.9 No.5

        본 연구는 국내 거주 중국인의 주관적 구강 건강 상태와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OHIP-14)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부산시내에 거주하고 있는 중국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후 SPSS 25.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주관적 구강 건강 상태인 저작 불편 경험, 치통 경험, 구강 내 온도 민감 반응 경험, 잇몸 출혈 및 질환 경험, 구강 건조증 경험, 구취 경험에 따른 OHIP-14는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주요 변인 간의 관계는 모두 정적 상관을 가지고 있어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고, 주관적 구강 건강 상태가 OHIP-14에 미치는 영향 요인 중 저작(p<0.001)과 구취(p<0.05)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을 위한 실질적인 구강 보건 의료정책과 한국어 지원이 가능한 의료지원체 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between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OHIP-14 among Chinese resident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hinese residing in Busan. As a result of analyses on the collected data with SPSS 25.0 the OHIP-14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including mastication discomfort experience, toothache experience, oral temperature sensitive response experience, gingival bleeding and disease experience, dry mouth experience and halitosis experience. The major variables were all positively correlated. Among the factors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ffecting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influences of mastication (p<0.001) and halitosis (p<0.05) were significant. There is a need for a medical support system that can provide practically oral health policies and support Korean language for foreigners.

      • KCI등재

        농어촌 지역 성인 여성의 주관적 잇몸증상과 구강건강인식도와의 관련성 –태안군 지역을 중심으로–

        김은희,문선정 한국도서(섬)학회 2022 韓國島嶼硏究 Vol.3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awareness and a variety of subjective gingival symptoms in adult women and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develop an oral health improvement program that could help with oral disease prevention and oral care and maintenance. For this purpose, a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conduct a survey in adult women residing in Taean, South Chungcheong, which has numerous islands and various coastline types, Province from March to August 2021 and 567 copies were finally analyzed. An SPSS 25.0 Version program was used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awarenes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oral health awareness by the subjective gingival symptoms and the relations among the tooth-brushing, oral health, and scaling areas in terms of oral health awareness.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were aged 20-29 and high school graduates; the married formed the highest percentage. Many of them were housewives; nonsmokers and nondrinkers formed the highest percentage. In the area of tooth-brushing,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m suggested gum disease prevention, tooth-brushing within three minutes after a meal, the importance of a tooth-brushing method, and the need of tongue-brushing as a good tooth-brushing method; in the area of oral health,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m suggested the need of regular oral examination, the need of oral hygiene products, and the need of oral health education and indicated plaque and tartar as causes of gum disease. The majority of them indicated gingival bleeding, bad breath, gingival pain, tooth mobility, and gum swelling, an average level of food caught between teeth and tartar, and no sensitive tooth in terms of gingival symptoms. The better state of such subjective gingival symptoms as gingival bleeding, tooth mobility, and tartar, the better oral health awareness in general. As for the effects of the subjective gingival symptoms on the tooth-brushing area, the better tooth mobility, the better awareness of the tooth-brushing area. As for the effects of the subjective gingival symptoms on the oral health area, the better state of gingival bleeding, gum swelling, and tartar, the better awareness of the oral health area. As for the effects of the subjective gingival symptoms on the scaling area, the better tooth mobility, the better awareness of the scaling area.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subjective gingival symptoms are associated with oral health awareness in adult wome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oral health program aimed at making a plan for improving subjective gingival symptoms with the objective of allowing adult women to have better awareness of general oral health, which is expected to subsequently improve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의 구강건강인식과 다양한 주관적 잇몸증상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구강병 예방과 구강관리 및 유지에 도움이 되는 구강건강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여러 개의 섬과 다양한 해안선을 보유하고 있는 농어촌 지역인 충남 태안에 거주하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2021년 3월부터 8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567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 Version을 사용하여 일반적 특성, 구강건강인식도, 주관적 잇몸 증상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주관적 잇몸증상에 따른 구강건강인식도와 구강건강인식도의 칫솔질 영역, 구강건강 영역, 치석제거 영역 간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령은 20-29세가 높았고,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이 높았으며, 결혼여부는 기혼이 가장 높았다. 직업은 주부가 많았고, 흡연 및 음주여부는 아니오가 가장 많았다. 칫솔질 영역에서 올바른 칫솔질 방법으로 잇몸병 예방, 식사 후 3분 이내 칫솔질, 칫솔질 방법 중요, 혀솔질 필요에서 그렇다가 가장 높았고, 구강건강 영역에서는 정기적인 구강검진 필요, 구강위생용품 필요, 치태와 치석은 잇몸병의 원인, 구강보건교육 필요에서 그렇다가 가장 높았다. 주관적 잇몸 증상은 잇몸 출혈, 입 냄새, 잇몸 통증, 치아 동요, 잇몸 종창에서 그렇다가 높았고, 음식물 삽입, 치석 유무에서는 보통이 높았으며, 치아 시림 유무에서는 그렇지 않다가 높았다. 주관적 잇몸증상인 잇몸 출혈, 치아 동요, 치석 유무가 양호할수록 전체 구강건강인식이 높았다. 주관적 잇몸증상이 칫솔질 영역에 미치는 요인에서는 치아 동요가 양호할수록 칫솔질 영역의 인식이 높았다. 주관적 잇몸증상이 구강건강 영역에 미치는 요인에서는 잇몸 출혈, 잇몸 종창, 치석 유무가 양호할수록 구강건강 영역의 인식이 높았다. 주관적 잇몸증상이 치석제거 영역에 미치는 요인에서는 치아동요가 양호할수록 치석제거 영역의 인식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 성인 여성의 주관적 잇몸증상에 따른 구강건강인식도는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성인 여성의 구강건강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주관적 잇몸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방향의 구강보건사업이 필요하며, 이는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IT 시대의 청소년기 학생들의 주관적 구강건강인식과 구강건강행동의 관계

        성정민(Jeong-Min Seong),이선경(Sun-Kyoung Lee) 한국전자통신학회 2017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2 No.3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은 본인의 구강건강상태를 스스로 대답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구강병의 질병부담에 대한 역학적 지표로서 혹은 치료필요나 치료결과의 지표로서 사용될 수 있다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청소년을 편의추출하여 주관적 구강건강인식과 구강건강행동을 구성하는 요인을 찾아 연관성을 분석함으로 적절한 구강건강행동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청소년의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은 33.1%가 좋거나 매우좋다고 응답한 반면 67.8%는 보통 또는 그 이하라고 응답하였고, 아침에 칫솔질을 실천 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2.6배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적으로 칫솔질 실천을 할 때가 실천하지 않았을 때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이 좋았다(<0.001). 이는 구강보건 교육을 통해자신의 구강건강 상태를 올바로 인지하고, 올바른 건강행동으로 실천하는 것이야 말로 예방적 교육의 목표라 할수 있겠다. 따라서 적절한 학교 구강보건교육의 프로그램과 그 기회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self-rated oral health differed according to self-reported oral health behaviors in Korean adolescents. Methods: The raw data of ‘The 6th Youth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carried out by th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ere analysed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ssess the relationships between oral health behaviors and self-rated oral health (n=73,238). Results:Oral health behaviors had stronger influence on daily toothbrushing habits. In particular, participants who brushed their teeth in the morning and participants who brushed their teeth more than 3 times a day were more likely to have good self-rated oral (P<0.001). Conclusions: Korean adolescents with high self-rated oral health reported practicing good oral health behaviors. These results highlight the need for the further practicabl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주관적 전신건강상태와 건강행위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허성은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9

        본 연구는 주관적 전신건강상태와 건강행위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융합연구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에 의해 수집된 자료를 SPSS 21.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비 흡연 그룹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흡연 그룹보다 높게 나타났고, 주관적 전신건강상태와 건강행위에 대한 고 그룹이 저 그룹에 비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주관적 전신건강상태와 건강행위 모두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정 (+)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주관적 전신건강상태가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전신건강을 통한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전신과 구강의 융합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은 전신건강과 구강건강의 연관된 중요성을 교육할 수 있는 중요한 매체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bjective systemic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n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rough a convergence study. The data collected by a survey on adults liv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program.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non-smoking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moking group, and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higher in the high group for the subjective systemic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than in the low group. Subjective systemic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both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influence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especially the subjective systemic health status had a greater influence. Therefore, as the improvement of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s expected through systemic health, it is considered that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could be an important medium to educate the associated importance of systemic health and oral health.

      • KCI등재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수준 관련 요인

        정수진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6

        본 연구는 노인들의 구강관리행태, 구강건강관리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가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자료조사는 2019년 9월 17일부터 2019년 11월 22일까지 대전광역시와 충청남 도 일부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χ2 -test, Pearson 상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 석으로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은 틀니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 3.242배, 일일 칫솔질 횟수가 3회 이상인 경우 2.339배 증가하였으며, 구강건강관리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각각 1.755배, 1.192배 증가함 에 따라 주관적 구강건강수준도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노인들의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의 증진을 위해서 는 틀니관리방법과 칫솔질교습 등의 구강보건교육의 기회를 확대하고, 구강건강관리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를 강 화시킬 수 있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ral care behavior, oral health care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the subjective oral health level of the elderly. The data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7, 2019 to November 22, 2019 for the elderly living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parts of Chungcheongnam-do,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χ2 -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urvey, subjective oral health level increased by 3.242 times when dentures were not used and 2.339 times when the number of brushings per day was 3 or more times. In addition, as the oral health care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creased 1.755 times and 1.192 times, respectively, the subjective oral health level also increas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in order to improve the subjective oral health level of the elderly, opportunities for oral health education such as denture care methods and toothbrushing lessons should be expanded.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prepare policies to reinforce oral health care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 KCI등재

        당뇨병 진단을 받은 65세 이상 노인의 구강관리행태와 EQ-5D index

        박충무,윤현서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2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6 No.11

        65세 이상 당뇨병 진단을 받은 노인들의 구강관리행태를 파악하고 삶의 질과 관련성을 확인하여 맞춤형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제 8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19년)를 활용하여 65 세 이상으로 당뇨병진단을 받은 대상자 35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강검진율 22.2%, 치아손상 경험률 12.6%, 저 작불편호소률 37.6%, 치과 미치료 경험률 25.0%, 구강관리용품 사용 경험률 30.6%였고, 저작불편호소 경험이 있고 (p<.001) 치과 미치료 경험이 있는 경우 주관적 건강수준이 낮았다(p=.014). 저작불편호소 경험이 있고(p<.001) 치 과 미치료 경험이 있는 경우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이 낮았다(p=.001).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따른 EQ5Dindex는 구강 검진을 하는 경우(p<.001)와 저작불편호소 경험이 없는 경우(p<.001)에 높게 나타났다. EQ5Dindex는 주관적 건강 수준 인식이 높고, 구강검진 경험이 있는 경우 양의상관관계를 보였고, 주관적 건강인식은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수 준이 높은 경우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구강검진 여부에서는 미치료 경험이 없는 경우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 다. 따라서 치주질환에 취약한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맞춤형 구강보건교육과 관리법을 제공하여 삶의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s tried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oral health management program to 65 years of age or older with diagnosed as diabetes through identifying oral care behavior and the relevance to quality of life. Three hundred fifty six subjects, diagnosed as diabetes, were analyzed, which was substracted from 8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2019). Results are as follows; 22.2% of the oral medical checkup rate, 12.6% of tooth damage experience rate, 37.6% of the discomfort of chewing rate, 25.0% of dental untreated rate, 30.6% of oral care product use rate. Cases of low subjective health level are in discomfort of chewing (p<.001) and dental untreated experience (p=.014). EQ5D index according to oral care behavior was high when oral examination (p<.001) is performed (p<.001) and when there is no experience of chewing discomfort. In addition, EQ5D index exhibited a positive correlations in case of high subjective health awareness level and dental untreated experience. Consequently, it might be considered that the way to promot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supply of customized oral health education and management for diabetic patients who are vulnerable to periodontal disease.

      • KCI등재

        구강건강신념이 주관적 구강건강을 매개하여 전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최유진,엄숙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1

        본 연구는 구강건강신념이 주관적 구강건강을 매개로 하여 전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성인 2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연구대상자의 구강건강신념은 평균 3.75점, 구강건강신념의 구성요인 중 민감성 3.41, 심각성 3.73, 중요성 4.22, 유익성 4.19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구강건강은 3.77점, 전신건강은 3.06점으로 나타났다. 구강건강신념과 주관적 구강건강은 부의 상관(r=-0.54, p<0.001)을 가지며, 구 강건강신념과 전신건강도 부의 상관(r=-0.30, p<0.001)을 가지며, 주관적 구강건강과 전신건강은 정의 상관 (r=0.47, p<0.001)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강건강신념은 주관적 구강건강을 완전 매개하여 전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성인의 구강건강신념 대한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을 개발하여 올바른 지식과 태도를 바탕으로 구강건강관리를 포함한 포괄적 개념의 전신건강관리를 위한 기초 자 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249 adults to determine the effect of oral health beliefs on total body health by mediating subjective oral healt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bject's oral health belief averaged 3.75 points, the component of oral health belief was 3.41, the severity 3.73, the importance 4.22 and the benefit 4.19, and the subjective oral health was 3.77 points and the overall health was 3.06. Oral health belief and subjective oral health were found to have a correlation of wealth (r=-0.54, p<0.001), oral health belief and total body health also had a correlation of wealth(r=-0.30, p<0.001), subjective oral health and total body health had a relationship of justice(r=0.47, p<0.001). It was also found that oral health beliefs affect total body health by fully mediating subjective oral health.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thought that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for adult oral health beliefs can be developed and utilized as basic data for comprehensive general health care, including oral health care, based on correct knowledge and attitudes.

      • KCI등재

        사회경제적 상태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과 구강건강행태 기여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김지현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9

        본 연구는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행태 요인들의 기여도에 대한 사회경제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연구자료 는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는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경우에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관성은 인구사회학적 요인들과 구강건강행태를 보정했을 때 연관성은 증가하였다. 또한 각각의 구강 건강 행태요인들을 보정했을 때, 흡연, 칫솔질횟수, 구강위생용품사용, 그리고 구강 검진은 사회경제적 구강건강상태의 많은 부분을 설명하였다. 주관적 구강불건강은 사회경제적 상태에서 비롯되지만 이런 차이는 구강건강행태 요인들에 따라 증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서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서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은 구강건강증진 행태에 따라 더욱 효과적으로 교정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The study is investigated socioeconomic variations in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and contribution of oral health behavioral factors.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365 health and 1,787 unhealth aged 20 over years) from the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s was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Perceived oral health was lower among lower socioeconomic groups compared with higher socioeconomic groups. This association was increased when demo-socioeconomic factors and oral health behavioral were adjusted. When each oral health behavioral factor was considered separately, mediators such as smoking, frequency of tooth brushing and used oral care products or oral health examination explained a large part of the increased socioeconomic oral health status. Subjective bad oral health arise from different socioeconomic status, but this difference is increased by oral health behavioral factors. Therefore, socioeconomic inequity in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can be corrected more effectively by promotional oral health behaviors.

      • KCI등재

        노인의 구강건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건강과 사회활동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은진 ( Lee Eun-jin ),김준표 ( Kim Jun-pyo ) 한국융합과학회 2021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0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노인의 구강건강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주관적 건강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사회활동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분석 자료로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 7차 본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 4,181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으로 SPS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모형 검증은 SPSS PROCESS macro의 model 4와 model 8을 적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부트스트랩검정을 실시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구강건강은 삶의 만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구강건강의 악화는 삶의 만족을 감소시킨다. 둘째, 주관적 건강상태는 노인의 구강건강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의 구강건강의 악화는 삶의 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주관적인 건강상태를 감소시켜 삶의 만족을 떨어뜨리는 것이다. 셋째, 노인의 구강건강과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 만족의 매개모형에서 사회활동은 구강건강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 각각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활동 수준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가 구강건강 악화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의 감소를 완화시키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결론: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노인의 삶의 만족을 높이기 위한 노인 구강건강 관리 및 구강질환 예방 차원의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노인 구강건강 증진 서비스의 확대가 필요함을 제안하였고, 노인의 구강건강 상태를 고려한 사회활동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을 제언하였다. Pu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self-rated health and moderated-mediation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Methods: Data for the study was 4,181 elderly from the 7th waves of KLoSA(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For analysis, frequency, descriptives, correlation with SPSS were used, and with SPSS macro Process model 4, 8 and bootstrap analysis were performed for examining moderated-mediation effects and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Result: First, the oral health of the elderly affected their life satisfaction negatively. Next, self-rated health showed the partially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Third, in the mediation model among oral health, self-rated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the moderated-mediation effects of social participation were examined.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showed a moderation effect that relieved the self-rated health from worsening oral health and the decrease of life satisfaction.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suggested expansion of elderly oral health examination from the needs of social program for maintaining oral health and preventing dental disease. It also suggested ways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in consideration of the elderly oral health status.

      • KCI등재

        구강건강행위와 주관적인 구강건강인식 및 구강미생물과 구강건강상태와의 관련성

        우희선,최혜정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8 No.5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with oral health status through oral examinations, microorganism tests, and surveys of college students and present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to prevent. Results of students who did not receive brushing education showed high motile activities of microorganism, and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in which students with a large amount of microorganism subjectively felt more tooth pain. Symptoms of halitosis were greater in the D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type of bacteria and the amount of bacteria in the MT, and oral health was worse if oral aids were not used in the DMFT index.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oral health behavior,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and the amount of microorganism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oral health status.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nd share and spread customized oral health education media for each life cycle. 본 연구는 대학생의 구강검사 및 구강미생물검사, 설문조사를 통해 구강건강상태와의 관련성을분석하여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학생 95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칫솔질 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이 높은 구강미생물의 활동성을, 구강미생물의 양이 많은 학생이 주관적으로 치아통증을 더 느꼈다. 우식치아지수는 구취느끼는 증상이 더 컸으며, 상실치아지수는 구강미생물의 종류와 양에서 차이가 있었고, 우식경험영구치지수에서 구강보조용품 사용하지 않는 경우 더 좋지 않은 구강건강상태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구강보건행위와 주관적 구강건강인식, 구강미생물 정도는 객관적인 구강건강상태와의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학생의 구강건강 증진을 위해 생애주기별 맞춤형 구강보건교육 매체의 개발 및 공유 확산이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