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창기 한국 시가 연구자의 연구방법론-조윤제, 김태준의 초기 시가 연구를 대상으로-

        한창훈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06 고전과 해석 Vol.1 No.-

        이 논문에서는 조윤제와 김태준의 초기 시가 연구의 특징과 그 성격을 살피고자 했다. 조윤제와 김태준의 초기 연구 특징이 실증주의라는 기존의 통설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향가, 시조, 가사 등의 갈래 연구와 율격 연구 검토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초창기 국문학 연구의 대표자인 조윤제와 김태준이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실증주의적 세례를 받은 것은 분명해 보인다. 그러나 문제는 이러한 ‘형식’이나 ‘체계’에 대한 관심이 곧 방법론을 포함한 문학 연구에서의 실증주의자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인가 하는 점이다. 조윤제와 김태준은 항상 작품 자체의 귀납적 검토를 통해 이론을 세우려고 했지만, 이는 역으로 말해 항상 실제 작품을 대하면서도 그것의 기저를 설명할 수 있는 체계를 염두에 두고 있었음을 아울러 보여준다. 조윤제의 초기 시가 연구는 작품의 형식적 접근을 통해 그것의 기저가 되는 체계를 설명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일종의 구조주의적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태도는 이후, ‘민족주의 사관’이라 불리는 조윤제의 독특한 연구 방법론 수립에 바탕이 된다.김태준은 1935년 이전에는 소위 철저한 ‘문헌 실증주의’자로서 문학 연구를 수행했으나, 그 이후에는 유물사관에 바탕한 사회주의 문학 연구자로 변신했다는 점이다. 이는 마치, 조윤제가 시가 연구를 중심으로 했던 초기에는 ‘문헌 실증주의’적 자세를 보이다가, 국문학사 }서술을 계기로 ‘민족주의자’로 변신했다는 논리와 유사하다.결론적으로 조윤제와 김태준의 초기 시가 연구의 특징을 전형적인 ‘실증주의’로 파악했던 기존의 통설은 수정될 필요가 있다. 이들은 방법론적 자각이 미약했던 초기 시가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구조주의자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렇게 보면, 조윤제와 김태준 문학 연구 전 과정을 단절이 아닌 연속적 과정으로 파악할 수 있다. In this study we has attempted to show the distinctive feature of Jo Yunje. Kim Taejun's early study of Korean songs. In summary, our discussion has developed four main points :(1) Certainly Jo Yunje. Kim Taejun, the leader of early study of Korean literature, had been under the influence of positivism. It seems that his interest in form or system mark him as a positivist.(2) Jo Yunje. Kim Taejun had always attempted to his own theory through a inductive study of literary works. At the same time, he had always kept a system which can explain the base of literary works in his mind.(3) Thus, Jo Yunje. Kim Taejun's early study of Korean songs can be regarded as a structural approach to Korean literature. And it had functioned as a basis of the nationalistic view of history; the socialist viewpoint, Jo Yunje. Kim Taejun's creative methodology of study of Korean literature. (4) To conclude,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common view regarding the distinctive feature of Jo Yunje. Kim Taejun's early study of Korean songs as positivism. Premising it, we can see Jo Yunje's early study of Korean literature as a continuous process.

      • KCI등재

        도남 조윤제의 조선 시가사 기획 ― 형식의 역사화, 역사의 형식화 ―

        박슬기 ( Seulki Park ) 한림과학원 2017 개념과 소통 Vol.0 No.19

        이 글은 도남 조윤제의 『조선시가사강』과 이를 전후한 조선 시가에 관한 연구들을 통해서, 도남이 구성하고 있는 조선 시가사의 원리를 살펴보고자 했다. 그는 조선 시가사를 관통하는 원리이자 조선 시가의 현상을 추동하는 이념으로서 형식을 설정했고, 그것은 향가의 분석에서 찾아진 2구와 반절성이었다. 그는 향가라는 기원형식에서 출발하여 시조와 가사에 이르는 과정 속에 변하지 않고 존재하는 형식을 설정하고 이를 역사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형식을 역사화한다. 동시에 이 형식은 민족의 고유성이자 조선적인 것의 기원으로서, 역사의 흥망성쇠의 과정 속에서도 불변하는 것으로 존재한다는 점에서 불변하는 이념적 형식과 일치한다. 그는 이 지점에서 시가사의 이념을 민족사의 이념과 일치시킴으로써 역사를 형식화한다. 그러나 그의 서술에서 이념형은 수많은 조선 시가의 현상을 증명하는 데에는 실패한다. 즉 그의 이념형은 현상들의 생성과 소멸과정 속에서 그 부재성만이 증명될 수 있는 것이라는 점에서, 이념형의 역사화 자체는 저항된다. 그리고 그런 차원에서만 역설적으로 이 무수한 충돌의 흔적들, 도남이 결국에는 설명하지 못했던 수많은 현상 자체가 자기를 역사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드러나는 것은 2구와 반절성이라는 이념의 이면에 있는 근대문학사가로서의 조윤제의 이념, 즉 시와 가의 구별이라는 근대문학의 이념이다. 이 지점에 조윤제가 1930년대에 조선 시가사를 구성하고자 했던 근본적인 동인이 자리한다. 그것은 조선 시가를 `문학적 현상`으로서 증명하고자 했던 혹은 해야만 했던 것, 즉 자기 자신의 증명인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inciples underlying Jo Yunjae`s discussions on the history of Korean poetic song (Joseon Sigasa) by analyzing his studies of premodern Korean poetic texts, as developed in his monograph, Principles of Korean Poetic Song (Joseon Sigasagang), and in his other work. For Jo, the most important principle governing traditional Korean poetic writing was form. His understanding of form was distilled from his analysis of Hyangga (the extant poetic genre from the ancient Silla period of Korea), and it has a dual character. He considered form as the most essential poetic attribute, and believed it had been preserved substantially intact during the modal changes from Hyangga to Sijo and to Gasa. In Jo`s discussion of this continuity of form throughout history, poetic form is historicized, becoming deeply intertwined with the origin of Korean-ness (i.e. of Joseon), and provides a steadfast anchor for the unchanging Korean character through the course of Korean history. Thus, Jo created a vision of history which identified and synthesized the ideas governing both the history of poetry and that of the Korean nation. However, Jo`s theory of form fails to explain various features of premodern Korean poetry. His ideal form is profoundly difficult to establish, in the sense that its absence in history can be confirmed, rather than its existence, and the historical manifestation of Jo`s vision is unconvincing. To literary historians in modern Korea, Jo`s ideas simply cannot supply a usefu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Korean poetic song throughout premodern Korea. Indeed, a better interpretation of Jo`s work would emphasize his unconscious desire to prove himself as a Korean literary historian through his blind insistence upon form.

      • KCI등재

        1930년대 시조담론 연구

        배은희(Bae, Eun-Hee) 한국시조학회 2018 시조학논총 Vol.49 No.-

        본 논문은 안확, 이병기, 조윤제를 중심으로 이들이 논한 시조 기원설과 시조 분류법에 관한 논의가 형성되어 가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양건식이 최초로 시조의 기원이 향가임을 주장하였고, 이를 수용한 이원규에 의해 학문적인 연구로 시도되었다. 이병기와 조윤제는 시조 형식의 기원을 찾기 위해서 ‘章’과 ‘句’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章과 句의 도입으로 향가와 시조는 동일한 선상에 논의가 가능하게 되었다. 여기에 조윤제의 시가발달설이 첨가되면서 향가는 시조 형식의 기원이 되었다. 1930년대에 접어들면서 시조는 곡조와 결별을 하고 작품의 길이, 즉 구의 길이가 기준으로 새롭게 등장한다. 안확은 노래와 가사를 분리하지 않은 가집의 전통을 계승하여 곡조 중심으로 시조의 종류를 분류하여 시조가 문학화되기 이전의 시각을 간직하고 있었다. 이병기는 시조의 章을 구분할 때는 곡조를 기반으로 하였지만, 시조의 종류를 구분할 때는 句의 길이에 따라 평시조 · 엇시조 · 사설시조로 구분하여 음악과 문학의 혼재된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조윤제는 歌集에 기록된 분류체계는 음악적 관점이 반영된 것으로 학문적 연구의 대상으로서는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을 내리고 句의 길이를 기준으로 한 이병기의 견해를 수용하여 시조의 종류를 평시조는 ‘時調’로 명명하고 장형시조는 ‘詞說時調’로 제시하였다. 시조의 종류를 논함에 평시조가 중심에 놓인 것은 조선의 유일한 정형시를 정립하게 위한 시선이 작동하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논의를 통해 시조가 歌에서 詩로 인식되는 과정을 면밀히 살필 수가 있었다. 향가 기원설이 형성되는 과정을 통해 章과 句의 개념이 형성되었고, 〈정읍사〉처럼 조흥구나 여음구가 있는 작품들의 형식을 논함에 있어 조흥구나 여음구를 제외하고 실제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가사만을 선택하는 연구태도가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시조 분류법이 형성되는 과정을 통해 가곡창이 아닌 시조창의 형식이 선택되어 시조 작품을 초장, 중장, 종장으로 분석하였고, 평시조가 중심이 놓이게 되어 평시조에서 사설시조로 발달하였다는 가설이 수립되었고 ‘時調= 단형시조’라는 논리가 형성되었다. In this study, they discussed the process of forming a discussion about the origin theory and the method of classification of Sijo. Yang Gun-sik first claimed that the origin of his Sijo was a hyangelist, and was tried as an academic study by Lee Won-gyu, who accepted it. Lee Byung-ki and Jo Yoon-je introduced the concepts of `chapter` and `句` to find the origins of the sijo style.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chapters and procedures, Hyangga and Shinjo became available to discuss on the same line. In addition, the rumor that Jo Yoon-je`s poem was published was added to it, and the Hyangga became the origin of the shogunate style. Entering the 1930s, Sijo broke away from the tune and the length of the piece, the length of the sphere, appeared as the standard. Anio inherited the tradition of family house that did not separate the songs from the lyrics and classified the types of Sijo based on the tune and kept the view before he was written. Lee Byung-ki is based on a tune to separate the branches of a Sijo. However, when separating the types of Sijo, the music and the literature are divided into ordinary sisis, 句sia, and private verse. Jo Yoon-je stated that the classification system recorded on the sijo reflects a musical viewpoint and that it is not appropriate for academic research. The fact that the lay Sijo was at the center of discussing the type of Sijo was enough to guess that the view was working to establish the Joseon`s only true style. Through these discussions, he was able to closely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his Sijo was perceived as a poetry. The chapter and part have formed through the process of producing a phrase of origin, and can only describe the type of work in which there is an actual phrase or phrase, such as `Jeongheungsa`, has been selected. And through the process of sijo classification, the type of shinoid was chosen, rather than a scribble window, to analyze the Sijo work into an opening, second, and last, the lay Sijo was established.

      • KCI등재

        碧史 李佑成과 ‘한국문학사’의 인식 및서술 체계― 《국문학사》와 《한국문학통사》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류준필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3 大東文化硏究 Vol.12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how Lee Woo-sung’s study of Korean literature influenced the perception of Korean literary history. Although Lee Woo-sung had never written Korean literary history himself, he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perception and description of Korean literary history. In particular, from the Goryeo Dynasty to the late Joseon Dynasty, it laid the foundation for a systematic view of the changes in Korean literary history, focusing on the historical growth and decline of the ‘Sadaebu(nobility)’. Putting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o Yoon-jae’s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nd Cho Dong-il’s “Korean Literature History,” I examined how Lee Woo-sung’s researche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Cho Dong-il’s theory of literary history. 이 논문의 목적은 이우성의 한국학연구가 한국문학사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해명하는 데에 있다. 이우성을 전후하여 한국문학사 서술을 대표하는 조윤제의 《국문학사》와 조동일의 《한국문학통사》와의 관련성에 초점을 두고, 조윤제의 《국문학사》를 비판적으로 계승하는 한편으로 조동일 《한국문학통사》의 한국문학사 인식 체계 형성에 어떠한 기여를 했는지 살폈다. 이우성은 자신이 직접 한국문학사를 저술한 적은 없지만, 한국문학사의 인식 및 서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고려시대부터 조선후기에 이르기까지 사대부의 역사적 부침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사의 거시적 변화를 체계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이우성은 조윤제의 《국문학사》를 비판적으로 계승하는 한편으로 조동일 《한국문학통사》의 한국문학사 인식 체계 형성에 적잖은 기여를 했다. 이우성 본인이 직접 천명한 한국문학사의 역사상은 부분적이었지만 그것이 없었다면 한국문학사의 전반적 면모를 구조화하는 성과는 쉽게 등장하기 어려웠다고 평가할 만하다.

      • KCI등재

        식민지 아카데미즘의 ‘조선문학사’ 인식과 그 지정학적 함의-자국(문)학 형성의 맥락에서-

        류준필 ( Ryu Jun-pil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0 No.32

        ‘조선학’이라는 자국학(자민족학)의 이념은 기본적으로 지역학적-지정학적 성향을 지닐 수밖에 없고, 그런 측면에서 내적 모순과 불안정성이 내재되기 마련이다. 한편으로, 자국학의 전체성이 하위 분과학문적 지식으로 끊임없이 개별화될 때 이러한 개별화를 통제하려는 경향이 작용하고, 다른 한편으로, 개별 영역들의 독자성으로 인해 통합을 저해하는 상호 충돌과 모순이 생겨나기 때문이다. 동아시아 대학의 학과 제도를 선도한 일본의 사례를 참조하자면 자국의 표상적 전체성이라는 자국학의 이념은 ‘일본(민족)과 非일본(중국)의 분리’라는 지정학적 구획의 확정과 더불어 ‘문ㆍ사ㆍ철’ 등 분과적 제도화가 상호 중첩되는 과정과 연관되어 있다. 여기엔 늘 단일한 실체로서 상상되는(또는 상상되어야 한다는) 국가=국민과 개별화된 지식 편제의 불일치 관계가 개재된다. 따라서 대학이 상징하는 학과 제도의 정립 여부가 곧장 자국학 이념과 동일시될 수는 없다. 식민지 시기 한국학 형성과의 관련 속에서 이러한 사정을 헤아린다면 두 가지 측면이 고려될 필요가 있겠다. 첫째, 식민지적 상황에서도 자국학의 이념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되는지 여부이다. 둘째, 경성제국대학의 분과학문 체제 등장이 조선학 이념 구성에 어떤 작용을 하였는지 하는 문제이다. 그렇지만 식민지라는 조건은 순차적ㆍ계기적 연계 속에서 이루어져야 할 둘 사이의 관계를 서로 분리시켜 각기 독자적인 흐름을 이루도록 만들었다. 3ㆍ1운동 직후의 최남선의 조선학 선언은 “조선에 관한 지식의 통일적 방면, 근본적 방면을 찾았다.”는 천명에서 보이듯, 통일성과 근본성의 정립이 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조선을 하나의 단일한 실체로서 혹은 표상적 전체성으로서 포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통일성이자 근본성이겠다. 조선학의 자국학적 이념에 다름 아니다. 당연히 조선의 자주와 독립을 보장하는 조선학이면서 바로 이 조선학의 이념으로 인해 조선의 자주성이 다시 보증되는 구조이다. 달리 말해 ‘식민지적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정립되는 조선학’인 것이다. 이와 더불어 안확의 『조선문학사』(1922)와 『조선문명사』(1923) 등은 보다 실질적인 조선학 이념의 구현이었다. 최남선과 마찬가지로 안확의 조선학=자국학적 이념은 인류와 세계에 조응하는 보편성(보편적 가치)을 조선 민족 혹은 국가라는 지정학적 경계 내부에서 검증하는 성취였다. 1920년대 초에 그 형태를 드러낸 안확과 최남선의 ‘조선’은 정신-물질의 대비 등 초월적 계기를 내포한 이원론에 근거하여 인류ㆍ세계와 같은 보편적 지평과의 조우한다. 이를 통해 그들의 조선학은 이념적 정당성을 마련했다. 세계ㆍ인류라는 차원과 연결된다는 전제 위에서 조선 민족의 위상을 확보했다. 보편주의와 민족주의가 결합하는 전형적 구도는 이렇게 설정되었다. 물론 그 관념론적 편향과 사회주의의 발흥 등으로 인해 학술 담론에서 주변화되었지만, 보편성의 독자적 구현이라는 근대 자국학의 기본 이념을 구조적으로 선취하였다는 의의는 분명해 보인다. 경성제국대학 설립 이후 식민지 아카데미즘은 분과학문의 제도화를 정립하였고, ‘조선문학’의 경우 그 함의는 두 가지 방향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하나는 ‘조선-문학’의 관계 속에서, 다른 하나는 ‘(조선)문학-(지나)문학-(…)문학-(…)문학…’이라는 연쇄 관계 속에서 작용하는 것이다. 이 함의는 식민지라는 조건에만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문제이면서 동시에 경성제국대학의 학과 구성이나 총독부의 조선 조사 및 연구 등 식민지 조선의 특수한 상황 속의 문제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식민지 시기의 아카데미즘에서 ‘조선문학(사)’의 학술사적 의의를 묻는 자리에서는, ‘문ㆍ사ㆍ철’에서 문학이라는 개별성과 ‘조선’문학이라는 지정학적 개별성이 어떻게 상호 작용하며 ‘조선문학사’를 형성하였는지 들여다보아야 한다. 식민지 아카데미즘에서 ‘조선문학사’ 인식을 자국학 이념의 표상적 전체성으로 상승시키는 경로 가운데 하나가 조윤제의 시가 형식론이었다. 인류 사회의 보편적 현상인 가요의 발생에 자국학적 이념을 투영할 때 발견되는 것이 ‘형식’이다. 시가를 시가일 수 있게 하는 요건인 그 형식은 이제 ‘조선’의 형식이어야 한다. 조윤제에게 시가다운 시가란 조선적 형식 혹은 그 형식화 규칙이 조선적일 수 있어야 했다. 그렇기에 整形的 시형을 구성한 시가의 발생이란 곧 ‘조선’의 발생이기도 했다. 『조선시가사강』의 ‘조선’은 형식 ‘이전’과 ‘이후’로 양분되는 것이라 하겠다. 시가 형식론을 입구로 삼아 조윤제의 ‘조선문학사’가 걸어간 경로는 기실 일본 시가 형식과의 대결 과정에서 마련된 것이었다. 『조선시가사강』 등에서 보이는 조선문학사 인식이 중국으로 대표되는 외래문화와의 관계를 준거로 서술되고 있지만 그 현실적 의의는 일본과의 비동질성이라는 함의가 더 짙었다. 이러한 조선문학사 인식이 식민지 상황과 조우할 때 파생되는 정치적 효과는 분명하지만, 이러한 측면만으로 식민지 아카데미즘의 ‘조선문학사’가 학술적 근거를 확보하기는 어려운 일이었다. 외래문화의 대표적 상징인 유교ㆍ한문학을 전면 배제하고서 조선문학사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는 없는 일이다. 일본의 아카데미즘이 주도하여 정립한 중국문학사의 기본 구도는 일본의 ‘지나문학사’ 인식에서뿐만 아니라 경성제국대학의 ‘조선문학사’ 인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한문학사’와 ‘속문학사’의 공존 가능성이 확보되는 동시에, 한문학사와 속문학사의 계기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식틀이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가령 김태준의 조선문학사 서술을 이해하자면, 『조선한문학사』와 『조선소설사』의 접점, 즉 한문학과 국문문학의 연계성이 문학사 인식의 관건처로 부각될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Korean studies(Chosǒnhak)”, although it is an area of academic research, inevitably delivers the geopolitical implication, then discloses a contradiction and unstability within. The nation is and shall be imagined as an integral entity, but the knowledge of nation and national history also subdues itself to academic disciplines. The early stage of “Korean literary studies” which occurred during the colonial era was nothing but a struggle to reconcile an particularity as “literature” and a geopolitical particularity of “Korea(Chosǒn).” Cho Yunje, a representative scholar of early Korean literary history, captured a scheme of Korean literature in the frame of ideologically integral “Korean studies”, and mediated them through a concept of a “poetic form” as an unchangeable factor through history. Another representative scholar, Kim Taejun, suggested a relationship between Sino-Korean literature and pure Korea literature as a diverse yet unmovable key to understand literary history. Both of them created their own unique approaches toward a national literary history, but they also resonated the contemporary Japanese experience to frame a literary history.

      • KCI등재

        多田正知 가집 연구의 방향 고찰

        유정란 열상고전연구회 2017 열상고전연구 Vol.57 No.-

        본고는 1930년대 가집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연구되었는지 살피기 위해 재조일본인 학자 多田正知의 성과를 고찰했다. 다다는 1930년대 한국에 거주하면서 조선 문학에 관한 약 30여 편의 논문을 제출했다. 그럼에도 현재까지 다다의 가집 연구에 대한 학계의 관심은 전혀 없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다다의 연구 성과를 검토하기 위해 1930년대 가집연구 동향을 우선 살폈다. 이 시기 연구 동향은 기존의 가집을 단순히 재출판하는 움직임 또는 고시조 집성 및 앤솔로지 발간,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한 연구비평으로 집약된다. 다다의 가집 연구는 동시대 조윤제의 가집 연구에 비해 훨씬 더 실증적이고 체계적인 방법론을 기초로 하고 있다. 조윤제의 가집 해제가 단편적 사실을 나열하는 수준에 그쳤다면, 다다는 일본 제국주의의 실증주의 학문경향에 따라 일종의 가집사를 편성하려고 했다. 나아가 이러한 연구는 조선문학 부재론을 주장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조선 문학의 우수성을 발견하면서 진행되었기 때문에 더 가치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중 가집이 다다의 연구 활동에서 가지는 의미는 바로 노래로서의 시조에 대한 관심이다. 다다는 이병기, 안확, 함화진과의 교류를 통해 조선의 가곡문화를 연구했다. 즉 그는 독서물인 가집에 관심이 있었다기보다는 가창의 현장에서 활용되는 가집에 보다 더 주목한 것이다. This article is for considering how a collection of poems in 1930s underwent canonization by looking up the research results of Tada Masatomo, the Japanese scholar residing in Joseon. Tada Masatomo had submitted around 30 theses about Joseon Literature while residing in Korea. Nevertheless, there has been no interest so far by academic world. Hence, this article has inspected trend of poem research in 1930s to examine the research results of Tada Masatomo. The trend of poem research at those days was just republishing the existing collections of poems, collecting classic Sijo, publishing anthology, and finally led to criticism of research of the time. The poem collection research of Tada Masatomo was based on much more empirical and systematic way than Jo Yunje in the same period. The remarkable point in his research activities was that he considered the collection of poems as a song. In other words, he did not take poem collections as reading materials but paid attention to the poem collections as singing materials on the spot. In short, the research of poem collection by Tada Masatomo kept a close eye on musicality and literary value of Sijo.

      • KCI등재

        특집논문 : 문학이란 무엇인가 -도남 조윤제와 가람 이병기의 해방 후 문학사 다시 읽기

        장문석 ( Moonseok Jang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7

        이 글은 김윤식·김현의 「한국문학사」(1973) 이전에 씌어졌기에 지금은 박제화된 ‘지식’으로 간주되는 도남 조윤제의 「국문학사」(1949)와 「국문학 전사」(1957)에서 가람 이병기가 집필한 고전문학 부분을 함께 살핌으로써, 해방 후 최초로 씌어진 문학사에서 ‘문학’이라는 개념을 둘러싼질문의 배치에 관해서 살폈다.두 문학사 모두 서문에서는 어느 정도 안정적인 문학 개념을 제안하지만, 실제 서술에서는 서론의 진술만으로 포섭되지 않는 ‘문학’을 둘러싼 다양한 사유의 계기를 드러내고 있다.하지만 지금까지는 이들 문학사에 관해서는 민족주의 및 국민국가의 시각에서의 비판만이 제기될 뿐이었다.이 글은 그러한 선행연구를 존중하면서도, 그 초점을 달리하여 이들 문학사에 문학의 물질성과 정신성의 문제, 문학성의 장소, 창작과 향유의 문제, 쓰기와 읽기의 문제 등 여러 층위의 문제가 관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이러한 접근을 통해, 한국문학 연구 1세대인 ‘형성기 국문학자’들이 발견은 하였으나 논의로 수렴하지 못한 계기들을 확인하였다.이러한 계기를 확인한 것은, 더 이상 문학사가 씌어지지 않고 ‘죽은’ 지식으로 기능하며, 문학조차 그 생존을 확인받지 못하는 지금 이 시기에, 지금까지와는 다른 방식의 문학과 문학의 제도적 기반을 상상하기 위한 실마리로 삼고자 함이다. Since Jo Yun Je`s Korean Literary History(1949) and Yi Pyong Gi`s Whol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1957) was written before Kim Yun-Sik and Kim Hyon`s Korean Literary History(1973), were regarded as taxidermic ‘knowledge’. But this paper focuses on classical literature part which was written with Yi Pyong Gi, to examine the question`s disposition surrounding the concept ‘literature’. This was the first written literary history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These two literary histories in their preface propose somewhat stable concept of literature, but in the body it expose diverse thoughts’ momentum surrounding ‘literature’, which were not fully included in the preface. But since now these literary histories were only criticized by nationalism or nation-state`s perspectives. This paper respects these former studies, but focuses differently to find corporeality and spirituality of literature, the place of nature of literature, creation and enjoying, writing and reading etc., these diverse layers of issues were related. This approach confirmed momentum which the first generation of ‘formative period`s Korean literary scholars’ found but could not discuss. This was to find clues for imagining different literature and literature`s institutional foundation, in the era of literary history no longer written and functions as ‘dead’ knowledge, moreover literature itself`s survival is in question.

      • KCI등재

        1930년대 조선 문학 개념과 경성제대 학자들의 문학사 서술 - 김태준, 조윤제의 문학사를 중심으로 -

        박슬기(Park, Seulki) 한국현대문학회 202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63

        이 글은 1930년대 조선 문학 개념을 둘러싼 담론적 상황을 살펴보았다. 이광수를 비롯한 근대 문학자들은 ‘한글’을 조선 문학의 유일무이한 조건으로 간주함으로써, 특수 문학으로서의 조선 문학을 민족어로 창작되는 보편적 근대 문학과 등가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개념은 민족의 역사적 발전 과정에서 창작된 (비)한글 문학을 배제하며, 이로써 창작자인 민족의 역사적 과정 자체도 추상화한다. 이에 비해 옛 문학의 현상들을 문학 발전 과정의 보편적 체계에 비추어 고찰하고자 한 경성제대 학자들의 조선 문학사는 한글 문학으로서의 조선 문학개념이 실행하는 동일성의 신화를 해체하고 조선 문학 개념을 역사적으로 재구성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김태준과 조윤제의 조선 문학 연구는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민족의 옛 문학들이 지닌 동일성과 차이적 현상 자체에 주목한다. 이에 따라 그들의 문학사는 끊임없이 수정되고 보충되는 바, 이들의 서술을 통해 조선 문학은 갱신되어 왔으며 동시에 앞으로도 갱신될 하나의 유동적인 개념으로서 제시된다. 나아가 그들의 문학사는 근대 문학자들이 간과했던 조선 문학의 역사성을 환기함으로써 이를 창작해 온 조선 민족을 역사적 주체로서 정립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This paper examined the discourses surrounding the concept of Joseon literature in the 1930s. Modern literary scholars, including Yi Kwang-su, regarded the use of Hangul as the one and only condition of Joseon literature, and saw Joseon literature as a form of general modern literature written in the national language. However, this concept excludes (non) Hangul literature created in the process of historical development, and results in an abstraction of the people’s historical process itself. Incontrast, Keijō Imperial University scholars sought to examine the phenomena of old literature in relation to the general system of literary development. They dismantled the myth of sameness inherent in the concept of Joseon literature, and re-established the concept under a historical approach. The study of Joseon literature by Kim Tae-jun and Cho Yun-je focused o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old literature, which exhibited differenttraits according to time period. Their view of literary history was repeatedly revised and improved, and the concept of Joseon literature has been renewed based on their description. The concept will continue to take shape and develop in the future. By highlighting the historicity of Joseon literature, which was often overlooked by modern literary scholars, they demonstrated the possibilit yof the Joseon people serving as historical agents.

      • KCI등재

        한국문학 개념 규정의 역사적 변천에 관하여

        김동식(Kim Dong-shik) 한국현대문학회 201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0

        이 글은 한국문학의 개념과 범위에 대한 규정이 역사적으로 어떠한 변화를 겪어왔는가를 살피고자 한다. 이 주제와 관련된 기존 연구는 주로 고전문학의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다보니 근대문학 관련 자료들이 참조의 대상에서 많은 부분 누락되었다. 이 글에서는 근대문학 관련 자료들을 폭넓게 참조하면서 역사적으로 한국문학의 자기규정이 어떠한 방식으로 주제화되었는지를 살폈다. 1910년대 안확과 이광수의 논의들, 1920년대에 있었던 이광수와 경성제대의 대립, 1930년대의 『삼천리』의 설문과 임화의 『신문학사』, 1950년대 초반 정병욱의 한문학=한국문학 논의, 이병기 · 백철의 『국문학전사』와 조윤제의 『한국문학사』, 1970년대 김윤식 · 김현의 『한국문학사』에서 이루어진 근대성 논의, 1980년대 구비문학을 통해서 문학사를 재구성한 조동일의 『한국문학통사』, 그리고 최근에 구체화된 북한문학, 디아스포라 문학, 이중어 문학공간 등에까지 연구의 대상을 확대하였고 역사적 맥락을 재구성했다. 한국문학은 자기규정의 역사 속에서 중층적으로 구성되어왔으며, 그 과정에서 자신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복잡성을 증대시키는 쪽으로 움직여왔다. ‘한국문학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은 한국문학의 역사적 무의식들을 드러내 보여줄 뿐만 아니라 한국문학에 대한 자기배려의 의지를 생성하는 계기였다. This article inquires how the regulations regarding the concept and the scope of Korean literature historically have been changed.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is theme have mostly carried out with and from the viewpoint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so far. Hence the substantial portion of research materials referred to in Korean modern literature has undergone left out. The methods by which the self-definition of Korean literature stipulated and thematized in historic phases are supplied herein with the ample consultations on diverse Korean modern literature references: Ahn Hwak and Lee Kwang-su's opinions in 1910s, Lee Kwang-su's confrontation with Kyoungseong Imperial University in 1920s, a questionnaires of SamCheonli(三千里) in 1930s, Jung Byung-wook's controversial opinions of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Chinese(Korean Chinese Literature) equal to Korean literature' in early 1950s, Lee Pyoung-ki & Paek Cheol's The Whol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國文學全史) and Cho Youn-je's A History of Korean Literature(韓國文學史), the 1970s' modernity discourses brought up by Kim Yun-sik & Kim Hyun's in their A History of Korean Literature(韓國文學史), Cho Dong-il's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韓國文學通史) which was based on the oral literature studies. Furthermore, North Korean literatures, the diaspora literatures and bilingual literary sphere are engaged herein as well to reshape the historical context within my expanding process of study objects. Korean literature has constituted itself onto the multiplicity of layers in the self-stipulation-wise history and moved toward increasing the complexity both inwards and outwards in the meantime. The question or the quest on ‘What is the Korean Literature?’ has not only uncovered its unconscious, but also served as a momentum to beef up the will to take care itself.

      • KCI등재

        분단 이후 남한의 한문학 연구가 걸어온 길-민족주의 비판론에 대한 재검토를 중심으로-

        김용태 한국한문학회 2019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6

        In the academia of Sino-Korean literature, there has been a constant debate on need to reflect on previous studies and seek new study directions, but successful results were not obtained. In my opinion, it was a failure factor that the academia has not properly taken into account the impact of the division of Korea on Sino-Korean literature studies. Before the division, the driving force for the studies on Sino-Korean literature was nationalism whose character was diverse, and historical materialism also affected the studies. These conditions competed and cooperated with each other and developed Sino-Korean literature studies. However, after the division Sino-Korean literature was excluded from Korean literature in South Korea, and conservative biased nationalism has become the mainstream of society. As a result, Sino-Korean literature studies did not take root in the academia until the mid-1970s. It is especially sad that Jo Yun-je, the father of Korean literature, presented a national history that embraces left and right to prevent division and devoted all efforts to national integration through social practice, but failed. In South Korea,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ety of Korean Literature in Chinese”, studies on Sino-Korean literature began in earnest and made many achievements. However, even before overcoming the academic bias caused by division, criticism of nationalism itself increased, and Korean academia seemed to lose its direction for a long time. As the recent reflection on postmodernism has deepened, the recognition that it is appropriate to escape from the negative aspects of nationalism, but it is not desirable to abandon the “national position” itself has emerged. In that sense, it is necessary for Sino-Korean literature academia to reopen the path that Jo Yun-je has followed. The crisis of the study on Sino-Korean literature can be overcome through the writing “the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with the critical mind how we can open the era of peac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그동안 한문학계에서는 한문학 연구를 반성하고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는 논의가 꾸준히 이어졌으나 성과는 크지 않았다. 필자의 견해로는 한반도의 ‘분단’이 한문학 연구에 끼친 영향을 제대로 성찰하지 않았던 점이 큰 문제라고 생각한다. 분단 이전 한문학 연구를 추진한 동력은 민족주의였으나 그 민족주의의 성격은 단일하지 않았으며, 유물사관도 한문학 연구에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입장들이 상호 경쟁하고 협력하면서 한문학 연구를 이끌었으나, 분단으로 인하여 남한에는 한문학을 국문학에서 배제하고 정치면으로는 보수주의로 편향된 민족주의가 사회의 주류가 됨으로써 1970년 중반에 이르도록 한문학 연구는 학계에 뿌리를 내리지 못하였다. 특히 안타까운 바는 국문학의 아버지라고 할 수 있는 조윤제가 분단을 막기 위해 좌우를 아우르는 민족사관을 제시하고 민족의 분단을 막기 위해 모든 힘을 기울였지만 끝내 실패하고 말았다는 점이다. “한국한문학회”가 창립됨으로써 남한의 한문학 연구는 비로소 본격화되고 많은 성과를 이루기는 하였으나 분단으로 인한 학계의 편향을 제대로 극복하기도 전에 민족주의 자체에 대한 비판이 거세게 일어나 학계 전반이 방향을 상실한 듯한 상태가 상당한 기간 지속되었다. 최근 탈근대주의에 대한 성찰이 깊어짐에 따라 민족주의의 부정적 측면은 버리는 것이 마땅하나 ‘민족적 입장’ 자체를 버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인식도 대두되었다. 그런 점에서 볼 때, 한문학계는 조윤제가 걸었던 길을 다시 계승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어떻게 하면 남과 북 평화 시대를 열 수 있을까 하는 문제의식에서 모든 역량을 모아 ‘한문학사’를 쓰는 작업을 통해 한문학 연구의 위기는 극복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