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추상적 층위와 실체적 층위의 ‘국어’ 개념 —최경봉 외, 『우리말이 국어가 되기까지: 대화로 읽는 국어 만들기의 역사』(푸른역사, 2023)—

        이병기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23 개념과 소통 Vol.- No.32

        이 글은 『우리말이 국어가 되기까지』(2023)의 책 내용을 소개하고 이 책에서 드러나는 ‘국어’의 개념에 대해 생각해보기 위한 것이다. 이 책은 고 김민수 선생의 회고를바탕으로 집필된 것이다. 고 김민수 선생은 해방 전 우리말을 사용하지 못하는 일제의공교육을받은세대이면서,해방과함께국어규범을익히고교육하며국어학자의길을걸은 인물이다. 따라서김민수 선생은한글 맞춤법의정착 과정,종합규범 사전의편찬과정,해방기및전후의국어정책을직접살핀관찰자이면서,그과정에직접참여한 행위자이기도 하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김민수 선생의 시각으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의 보급과 정착, 해방 후 국어 교육과 연구, 『큰사전』의 편찬에 대해 소개했다. 그리고 ‘국어’ 개념사적으로 추상적 층위와 실체적(사용적) 층위의 ‘국어’ 개념, 그리고 언어 자체로서 변화하는 ‘국어’를 구분해야 할 것을 제안했다.

      • KCI등재

        근대 한국의 `여성` 주체 ― 기표의 각축을 통해 본 일제시기 여성 개념 ―

        이정선 ( Jeongseon Lee ) 한림과학원 2017 개념과 소통 Vol.0 No.19

        본 논문은 일제시기 <여성> 기표의 사용 양상을 통해 근대 한국의 여성 개념을 분석했다. 이를 위해 단어의 출현빈도 및 그 단어와 함께 출현하는 공기어(共起語)를 분석하는 어휘통계학의 방법을 사용했고, 한림대 한림과학원에서 구축한 19종 잡지 코퍼스를 활용했다. 일제시기에 여성 일반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 <여성> 기표로는 전통적 어휘인 `여자`, `부인`, `부녀`와 `woman`의 번역어였던 신조어 `여성` 등이 있었다. 그런데 이 어휘들은 한자어에 내포된 고유한 의미에 제한되면서도 사용 당시의 사회적 기대를 담아 새로운 의미를 획득하기도 했다. 특히 각종 사회운동이 활발하던 1920~1933년까지는 모두 운동의 주체로 조명되었다. 주로 `여자`는 교육의 대상 또는 민족주의적 주체, `여성`과 `부인`은 사회주의적 주체였고, 구도덕적 색채가 비교적 강했던 `부녀`는 어휘 사용 비중이 감소했다. 그러나 1920년대 후반에서 1930년대 초반에는 신여성에 대한 비난이 거세지면서, 어린 여성이자 착실한 여학생이어야 할 `여자`가 주로 남성들의 성적 관심과 단속의 대상이 되면서 운동색을 상실해 갔다. 또한 식민 당국의 탄압으로 사회주의운동이 지하화되는 가운데, 1930년대에는 `여성`과 `부인`의 운동색도 옅어졌다. 이어서 전시체제기에는 민족주의적 색채가 강하던 `여자` 대신 `부인`과 `여성`이 일본의 전쟁 수행을 위한 동원의 주체로 다시 부각되었다. 이들은 가정의 주인인 `부인`과 동양적 덕을 갖춘`여성`으로 자리매김되었고, 그와 함께 `여성`에 부착되어 있던 성적 자유의 측면은 제거되었다. 이처럼 일제시기 <여성> 기표들은 현재와 미래에 대한 서로 다른 전망을 담고 있었다. 따라서 기표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는 것은 한국의 근대적 여성 개념의 형성·변용 및 여성 주체의 구성 과정을 살펴보는 작업이 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of `women` in early modern Korea through the usage patterns of female signifie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r this purpose, lexical statistics on the frequency of words and their co-occurrences were used. The traditional female signifiers `yeo-ja ` (女子), `bu-in ` (婦人), `bu-nyeo ` (婦女) were considered, and also a new word `yeo-seong ` (女性), which is a translation of `woman.` These signifiers had been restricted to the specific meanings implied by their Chinese characters, but they gained new meanings corresponding to the social expectations current at the time of use. In particular, from 1920 to 1933, when various social movements were active, they all became the subjects of such movements. Thus, `yeo-ja` was a mostly an educational or nationalist subject, whereas `yeo-seong` and `bu-in` were used as socialist subjects, and `bu-nyeo,` which retained its traditional moral image, decreased in frequency. Starting somewhat later, in the mid to late 1920s, and continuing into the early 1930s, `yeo-ja,` which implied a young girl, also became a primary target of sexual interest and criticism. As the colonial authorities repressed the socialist movement, during the 1930s, the use of `yeo-seong` and `bu-in` in this context tailed off. During the wartime period, `bu-in` and `yeo-seong` again became prominent, now as the subject of Japanese mobilization efforts, whereas `yeo-ja` was deployed as a Korean nationalist subject. The usage of `bu-in` emphasized the role of a woman as hostess for her family, and `yeo-seong` was positioned to describe women considered to possess traditional oriental virtues, from which the aspect of sexuality had been removed. In sum, these female signifiers expressed different visions of the present and of the future, so that the analysis of their usage patterns is a convenient way to examine the formation and transform- ation of the modern concept of `women,` and also the formation process for female subjects in colonial Korea.

      • 일상 개념 연구 - 이론 및 방법론의 정립을 위한 소론 -

        고지현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10 개념과 소통 Vol.0 No.5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the concept of everyday life finds its way onthe major issues and prospects of historical semantics, which was developedafter Reinhart Koselleck’s History of Concepts. Rolf Reichardt’s social historicalSemantics extended a theoretical category of historical semantics into a history ofmentality, and raised the possibility of the scientific and methodical study of themassive data in the texts of everyday life by combining lexical statistics with thestructural semantic field. But lexical statistics has a weakness which involvesquantitative methodology, in the way that lexical statistics can solidly unite withqualitative research. In this respect, intertextuality, which intensifies and deepenshistorical semantics into discourse analysis, is proposed as an alternative forbuilding up qualitative research. Meanwhile, one can find a unifying structure ofmeaning simply by reading the changes in meaning in the semantic field basedon lexical statistics. At this point, one can have doubts about the historicity ofmeaning: when, and in which conditions, do new meanings occur? Reflectionon this question, consequently, suggests an understanding of the semantic fieldas an open structure rather than as a closed structure. 일상 개념 연구의 이론 및 방법론은 코젤렉(Koselleck, Reinhart)의 개념사 이후에 전개된 역사적 의미론의 쟁점과 그 향후 전망 속에서 모색될 수 있다. 라이하르트(Reichardt, Rolf)의 사회사적 의미론은 역사적 의미론의 이론적 지평을 심성사로 확장하는 한편, 어휘통계학과 구조적 의미장을 결합함으로써 일상 텍스트의방대한 자료를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 그러나 어휘통계학은 질적 연구와의 견실한 융합을 조건으로 한다는 점에서 계량적방법이 지닌 취약성을 노출하기도 한다. 역사적 의미론을 담론 분석으로 확장∙심화하려는 상호 텍스트론이 바로 질적 연구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제시될 수있다. 한편 어휘통계학에 기반을 둔 의미장에서는 의미의 변천을 읽어낼 수 있다기보다는 의미의 통일적인 구조를 보게 된다. 그러한 점에서 의미의 역사성, 곧언제, 어떤 조건 하에 새로운 의미가 발생하는가라는 물음이 제기된다. 이에 대한성찰은 결국 의미장의 닫힌 구조를 열린 구조로 볼 것을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간화선 수행 관련 술어(述語)에 내포된 은유

        박재현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19 개념과 소통 Vol.0 No.24

        This paper considers the metaphors deployed in the main predicates related to Ganhwaseon (看話禪) practice. In Seon (禪) practice, we assume some kind of experience referred to as enlightenment, and emphasize Hwadu (話頭) practice as the means which allows us to experience this enlightenment. Several unique predicates are used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Seon practice, and these predicate terms are therefore important in helping students to develop a clear understanding of Seon practice. The Korean predicates eod-da (얻다), deul-da (들다), and kkae-da (깨다) are examined in detail. The Korean expressions Hwadu-reul (화두를) eod-da and Hwadu-reul bat-da (받다) imply an ontological metaphor, which causes, or results from, the ontological objectification of Hwadu. Also, the Korean term Hwadu-reul deul-da is an orientational metaphor, which can be seen as the cause or result of hierarchical and vertical thought in relation to Hwadu. Finally, it can be seen that the term Hwadu-reul kkae-da is a structural metaphor that causes or reflects the thought of recognizing Hwadu as a gate. 이 논문은 선불교의 간화선 수행법과 관련된 주요 술어(述語)가 함축하고 있는‘은유적 사고’(metaphoric thinking)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선(禪)에서는 깨침으로지칭되는 모종의 경험을 상정하고 그것을 경험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화두 수행을강조한다. 그리고 이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독특한 수행 관련 술어가 동원된다. 이술어들에는 은유적 사고가 내포되어 있는데 그 맥락을 유추해 보면, 수행자에게 간화선 수행이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있는지 이해하는 데 많은 시사점을 던져 준다. 본 논문에서는 간화선의 화두 수행을 설명하는 용어 가운데 한국어 ‘얻다’, ‘들다’, ‘깨다’ 등의 술어를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화두를 ‘얻다’ 혹은 ‘받다’라는 표현에는 존재론적 은유가 내포되어 있으며, 이것은 화두를 존재론적으로 대상화하는사고를 유발하거나 그러한 사고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또 화두를 ‘들다’라는 표현에는 지향적 은유가 내포되어 있으며, 이것은 화두와 관련하여 위계적이고 수직적인 사고를 유발하거나 그러한 사고의 결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화두를‘깨다’ 혹은 ‘타파(打破)’라는 표현에서는 구조적 은유가 내포되어 있으며, 이것은화두를 관문처럼 인식하는 사고를 유발하거나 그러한 의식이 반영된 것임을 알수 있다.

      • 황제(黃帝)는 바빌론에서 왔다 - 라쿠페리의‘중국 문명 서래설’과 동아시아로의 전파 -

        쑨장(孫江)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10 개념과 소통 Vol.0 No.5

        This paper traces the European theory of Sino-Babylonianism from theperspective of the production and re-production of modern knowledge. During the 1880s~1890s, Terrien de Lacouperie proposed a hypothesis thatChinese migrated in prehistoric times from the region of Chaldea inMesopotamia. Lacouperie asserted that his conclusions were based oncomparative methods, called “language science”and “history science”. Lacouperie got many hints from Assyriology in the age of Victorian Britain, buthe was strongly criticized by first-class Sinologists of the period. Nevertheless, Japanese Sinologists paid attention to Lacouperie’s theory fromthe 1890’s to the 1910’s. Although Jitsuzo Kuwabara criticized Lacouperie’s Sino-Babylonianism, Yonekichi Miyake and Kurakichi Shiratori supported this idea. Inthese terms, in 1900, Jiro Shirakawa and Tanenori Kokubu reiteratedLacouperie’s opinion in their book History of Chinese Civilization, a book whichhad enormous influence upon Chinese intellectuals when it was subsequentlytranslated into Chinese. In 1903, four different Chinese translations of History of Chinese Civilizationwere published in Tokyo and Shanghai. Those who were interested in Sino-Babylonianism were mainly anti-Manchu revolutionaries and Chineseconservatives, who wanted to create a racial revolution through the constructionof a Chinese identity. However, they discarded this idea immediately withouthesitation, as soon as they discovered that the Han (Chinese) themselves wouldbe described as immigrants according to Sino-Babylonianism. In conclusion, this paper questions the historical narrative which describesmodern Chinese nationalism as a linear history, neglecting major differencesamong various texts. 본 논문은 유럽의 이론인 중국인의 바빌론 기원설을 근대적인 지식의 생산과 재생산이라는 관점에서 추적한다. 1880~1890년대 사이에 테리앙 드 라쿠페리(Terriende Lacouperie)는 중국인들이 선사 시대에 메소포타미아의 칼데아(Chaldea)지역에서 이주해 왔다는 학설을 제기했다. 그는 자신의 결론이 소위“언어 과학(language science)”과“역사 과학(history science)”이라 불리는 비교 방법에 기반을 둔다고 주장했다. 그는 영국 빅토리아 시대의 앗시리아학(Assyriology)에서 많은 단서를 가져왔지만 당대 일급 중국 학자들의 강력한 비판을 받았다. 그렇지만일본의 중국 학자들은 1890~1910년대까지 라쿠페리의 이론에 주의를 기울였다. 구와바라 지쓰조(桑原藏)가 라쿠페리의 이론을 비판하긴 했지만 미야케 요네키치(三 米吉)와 시라토리 구라키치(白鳥庫吉)는 이 견해를 지지했다. 이러한 상황에서1900년에 시라카와 지로(白河次郞)와 고쿠부 다네노리(國府種德)는 자신들의 책『중국문명사History of Chinese Civilization』에서 라쿠페리의 의견을 반복하는데 이 책은 후에 중국어로 번역되었을 때 중국 지식인들에게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1903년『중국문명사』의 서로 다른 네 가지 중국어 판본이 도쿄와 상하이에서 출판되었다. 중국인의 바빌론 기원설에 관심을 가진 이들은 주로 반(反)만주(anti-Manchu)혁명가들과 중국의 보수주의자들이었는데 이들은 중국의 정체성을 세움으로써 민족혁명(racial revolution)을 이끌고자 했다. 하지만 이들은 한(漢)민족(중국)이 중국인의바빌론 기원설에 따라 이주민으로 묘사된다는 점을 발견하곤 그 즉시 주저 없이 이견해를 폐기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다양한 텍스트들 간에 보이는 주요한 차이들을 간과하고 근대 중국의 역사를 단선적인 것으로 설명하는 역사 서사에 의문을제기한다.

      • KCI등재

        개화기 잡지 코퍼스의 구축과 활용

        김일환,이도길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20 개념과 소통 Vol.0 No.25

        이 연구는 개념사에 대한 계량적 연구를 위해 기획된 개화기 잡지 코퍼스의 구축 과정을 소개하고, 잡지 코퍼스의 일부를 활용한 실험적 연구 결과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개념은 언어를 매개로 표출되므로, 언어의 사용 양상을 밝히는 것은 곧 개념의 변화를 포착하는 것과 직결된다. 따라서 개념사 연구를 위해서는 통시적인 대규모언어 자원을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2018년부터 수행되어온 24종의 개화기 잡지 코퍼스를 구축해 온 과정을 상세히 소개하면서 개화기 잡지텍스트가 가진 여러 난제를 해결해 온 사례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한글 표기의 변환 문제, 한글-한자 변환과 관련한 문제 등이 텍스트 변환 과정에서일으키는 문제에 대해 지적하고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였다. 한편 구축된 개화기 잡지 코퍼스의 일부인 『소년』과 『창조』 텍스트를 대상으로 기초적인 계량적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향후 개념사 연구의 계량적 접근을 위한 사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concern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corpus of magazines from the Korean age of enlightenment. Its purpose is to support quantitative research into conceptual history, and the results of an initial study based on a portion of the magazine corpus is also presented here. Concepts are reflected through language use, so that exploring how language usage changes reveals the history of conceptual changes. The creation of a vast diachronic language database is thus an essential tool for research on conceptual history. This paper details the process of capturing texts from 24 magazines published during the age of enlightenment and discusses some problematic issues which arose. Some Korean language texts were written in the indigenous Hangeul script, and some in Chinese characters, with each presenting a variety of problems for which solutions are actively being sought. Also, as an illustrative example for further quantitative research on conceptual history, a basic quantitative analysis is provided for the terms ‘Sonyeon (boy)’ and ‘Changjo (creation),’ using a portion of the newly established corpus of magazines from the age of enlightenment.

      • 일제하 '사상 논쟁'에 나타난 '종교' 개념의 충돌 - 천도교와 좌익 언론 간의 논쟁을 중심으로 -

        허수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09 개념과 소통 Vol.0 No.4

        The ‘ideological controversy’between the leftist press and the new school ofCheondo religion in the early 1930s, under Japanese rule, had its backgroundboth at home and abroad. On the one hand, there was the movement againstreligion abroad, in the Soviet Union and Japan, and, on the other hand, therewas the struggle for leadership of the social movement between the socialist andthe new school of Cheondo religion, at home. The controversy grew red-hotwhen the leftist press rebelled against ‘the demand for leadership over Korea(朝鮮 導權) from the Young Men’s Party of the Cheondo religion(天道敎靑年黨), and came to deal with comprehensive subjects, including the doctrine,history, and organization of the Cheondo religion. While the leftist press criticized the Cheondo religion from the point of ‘theanti-religious conception’ based on ‘scientific’factuality and class consciousness(partisanship)’, Kim Hyungjun, representative of the new school of Cheondoreligion, distinguished ‘the new religion’from ‘the pre-existing religion’, andjustified the Cheondo religion as‘ the new religion’from the point of‘ historicity’(the doctrine of religious evolution) and ‘actuality’(popular-based opposition tothe colonial power). Kim Hyungjun’s concept of ‘the new religion’stemmed from that of LeeDonhwa in the late 1910s. Considering the conception of ‘the new religion’interms of the relation between ‘religion and science’, we can label both of them‘romanticist concepts of religion’, though Kim Hyungjun’s concept wasproposed as a defense, and became narrower in conceptual denotation. The ‘ideological controversy’provided a place where the religious debateduring the colonial period came to address the issue of‘ religion-science’, freeingitself from the one-sidedness of the ‘religion-politics’formula. Prior to thiscontroversy, the Cheondo religion had extended its activity into the socialmovement, subordinating ‘science’to religion and advocating ‘the unity ofreligion and politics(敎政一致)’, while, subsequently, the leftist press, using‘science’as its slogan, attempted to exclude the Cheondo religion from thesocial movement. The knowledge-discourse over ‘religion’, however, could nothave a solid foothold in the colonial context, in which the foundation formodern knowledge was not enough. 1930년대 초 식민지 조선에서 좌익 언론과 천도교 신파 간에 전개된‘사상 논쟁’은,대외적으로 소련 및 일본의 반종교운동, 대내적으로는 사회운동의 주도권을 놓고 사회주의자와 천도교 신파가 갈등을 벌이던 상황을 배경으로 했다. 논쟁은 天道敎靑年黨측의‘朝鮮 導權요구’주장에 좌익 언론이 반발하면서 본격화되어, 천도교의 교리, 역사, 조직 등 포괄적인 주제가 다루어졌다. 좌익 언론 측은‘과학성ㆍ계급성(당파성)’에 입각한‘反종교 개념’의 견지에서 천도교를 비판했고, 천도교 신파 측을 대표한 김형준(金亨俊)은‘신종교’와‘기성종교’를 구별하고,‘역사성’(종교진화론)과‘현실성’(식민권력과의 대립, 민중적 기반)의 측면에서‘신종교’로서 천도교가 지닌 정당성을 옹호했다. 김형준의‘신종교’개념은 1910년대 후반 이돈화의‘신종교’개념에 젖줄을 대고 있었다.‘종교와 과학’의 관계를 중심으로‘신종교’의 내용을 고찰하면, 김형준의 그것이 다소 방어적 차원에서 제기되었고 개념적 외연이 좁아지긴 했지만, 양자의‘신종교’개념은‘낭만주의적 종교 개념’으로 부를 만하다. ‘사상 논쟁’은 식민지기 종교 논의지형을‘종교-정치’구도 일변도에서 벗어나 ‘종교-과학’의 문제를 논의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사상 논쟁’이전에는 천도교가‘과학’을종교에 종속시키면서‘敎政一致’를 지향하며 행동반경을 사회운동 방면으로 확장해나간 반면, ‘사상 논쟁’에서는 좌익 언론이‘과학’의 이름으로 사회운동의 영역에서천도교를 배제하고자 했다. 그런데 근대 학문적 토대가 미비된 식민지 상황에서‘종교’를 둘러싼 지식ㆍ담론은 허약한 기반을 면하기 어려웠다.

      • 관념사(觀念史) 연구에서 데이터베이스 방법론이 지니는 의의

        류칭펑 ( Qing Feng Liu ),김민정(번역)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09 개념과 소통 Vol.2 No.2

        1950년대 문화의 지속적인 발전을 예증하기 위해 레이먼드 윌리엄스(Raymond Williams)가 주요 키워드들의 역사적 의미 변화를 분석하는 접근 방식을 확립한 이래 키워드의 역사적 의미분석은 관념사 연구의 주요 주제가 되었다. 이 글은 중국근대 정치사상의 기원과 변천을 연구하는 데 데이터베이스 체계를 사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기법을 소개한다. 이 연구 과정에서 우리는 관념에 대한 새로운 해석, 즉 관념(idea)은 키워드들을 통한 사고의 표현이라는 것을 제안하고, 또한 데이터베이스시스템을 통한 관념사 연구방법을 주로 제시할 것이다. 여기에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관념의 표현으로서의 핵심어 확정과 사람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을 통한 예문검색, 문장의 의미분석을 통한 키워드의 사전적·문맥적인 의미의 확인, 키워드의 의미 유형에 대한 분석과 통계, 그리고 키워드를 포함한 문장들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포함된다. 우리는 위 사항들에 근거해 사상의 기원과 변형을 연구하며 이러한 방법을 통해 관념사 연구가 경험을 통해 검증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데이터베이스 체계를 통한 관념사와 지성사의 연구는 인문학의 주제를 다룬 연구에서 일대 혁신을 가져올 것이다. 이는 관념의 변천이 가진 내적 논리를 보다 세부적으로 조사하고 기존의 관념들을 검토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들(예를 들면 언어연구, 철학 등) 간의 협력을 위한 새롭고 강력한 도구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중국, 일본, 한국의 근대적 관념의 기원과 변천에 관한 연구에서도 그들의 동일한 언어적 근원, 단기적인 시간의 틀, 문헌의 상대적 집중 그리고 밀접한 상호 영향으로 인해 데이터베이스시스템을 이용한 동아시아 관념사 연구는 점점 강점을 갖게 될 것이다. Since the 1950s when Raymond Williams established the analysis of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meanings of key terms as a means of tracing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culture, the analysis of the historical meaning of keywords has become the main theme of the study of history of ideas. This essay introduces our basic technique of making use of the database system to study the origin of Chinese modern political thoughts and its transformation. In our study, we propose a new interpretation of ideas: we understand an idea to be the expression of thoughts by means of keywords, and we also primarily conclude that the best method for the study of the history of ideas is the database system. This system requires the building of a database, identifying the keywords used to express the ideas in question, and retrieving sample sentences through human-computer interaction, confirming the dictionary and textual meanings of keywords by analyzing the meaning of each sentence, analyzing and computing the meanings and connotations of the keywords, and, hence, building up the database of sentences which contain the keywords being studied. Our study of the origin and transformation of ideas is founded on the process described above, and we believe that, through this method, the study of the history of ideas is open to practical examination and we can build on our experience. The study of history of ideas and of intellectual history through the use of the database system will lead to a huge revolution in the study of the humanities. Besides investigating the internal logic of the transformation of ideas in more details, and examining existing ideas, it will provide a new and powerful tool for co-operation between many subjects (including language study, philosophy, etc.). In addition, due to shared language sources in China, Japan and Korea, where the adoption and development of modern ideas is concerned, as well as the short time-frame involved and the comparatively limited number of historical texts and their close interaction, the advantages of using the database system in the study of history of ideas in East Asia will be all the great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