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설시조에 드러난 일상성 담론과 미학, 그리고 근대

        박상영(Park, Sang-young) 한국시조학회 2012 시조학논총 Vol.37 No.-

        이 연구는 사설시조에 드러나는 일상성 담론의 양상과 그것의 미학적 특징을 통해 사설시조 연구의 최대 난제 중 하나인 근대적 함의를 밝혀보고자 한 것이다. 특히 일상성 담론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지만 그간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환상성’을 ‘현실성’과 함께 고려하면서 사설시조가 보여주는 일상성 담론의 구체적인 면면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사설시조의 일상성 담론은 크게 3가지 형태로 드러나는데, ①언어 기호의 해체 ②주변부 담론의 복원 ③역사성과의 역학적 관련성 등이 바로 그것이다. ①은 실제와 상상(환상) 간의 경계가 해체된 상상적인 실제 혹은 실제적 상상의 공간 속에서 반세계 창출을 통해 일상의 모순을 드러내고, ②는 환상성 없이 현실성 속에서 중심부의 담론을 해체하는 주변부 담론의 복원을 통해 일상성을 드러내는데, 여기에는 여성, 아이, 일상어, 욕 등이 있으며 이 중 여성과 아이는 일상들을 해체하는 근대의 타자들이자 주변부 타자들로서 남성/어른에 대한 대항 담론으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③은 ‘현재’의 일상성이 주로 ‘과거’의 거대한 역사적 사건 속에서 의미 없는 배경으로 물러나 파괴된 일상에 대한 비판적인 담론 형태를 보이기도 하고, 반대로 역사성을 일상성의 보조 수단으로 활용하면서 대중적, 유희적인 담론 형태를 보여주기도 하는 것이 특징이다. 사설시조가 보여준 이러한 일상성의 담론은 시적 화자의 분열된 시선 및 거리화 담론과 희비극적 미감 속에서 근대적 의미를 선명히 한다. 일상성을 담아내는 사설시조에서 시적화자는 대체로 일상의 경험자이자 관찰자로서, 묘사와 서술 기법을 통해 차근차근 들려주는 전달 방식 속에서 리얼리즘의 전형성을 확보하기도 하고 서정성의 통어에서 벗어나 타자의 담론, 서사성의 영역 확보라는 장르적 성격을 단적으로 보여주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근대 이행기 소외된 개인의 모습을 드러내기도 하고, 현실적 삶에서 오는 괴로움을 놀이와 뒤틀림으로 풀어내고자 한 민중들의 건전한 소망, 낙관주의적인 세계관을 희비극성을 통해 제시하기도 한다. 이러한 사설시조의 일상성 담론은 중세의 균열을 드러내는 동시에 근대를 향한 미세한 움직임을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aspects of ordinariness discourse in Saseolsijo and its aesthetical meaning & modern implications, especially considering fantasy, which is very important part with ‘reality’ but unfortunately has been always alienated from the whole of this area. First, in Saseolsijo, three major aspects of ordinariness are discovered. One way is just that, revealing contradictions of everyday life through ‘overturned reality’, ‘The creation of upside-downed world’ in space of ‘imaginary reality’ or ‘real imagination’, which boundaries between ‘the real’ and ‘the imaginary’ are dismantled. Another way is revealing everyday life through restoring the periphery of the discourse which disassembles the center of discourse, without fantastic world, only in reality. These include women, children, everyday language, baths, etc., in which the women and children are significant as the Others of modernity and the characters of periphery which dismiss ordinariness in the heart of the pre-modern. The other way is that everyday life in Saseolsijo appears in relation with historicity. Largely ordinariness shows the negative and critical discourse about destroyed ordinariness, being retreated into meaningless background in massive historical events or it shows public and playful discourse by controlling the historicity strongly or using historicity as secondary means of everday life. These ordinariness such as the dissolution of language symbols, the subversion of the centric discourse, the negation of present life, etc. clearly reveals modern implications in divided gaze of the poetic narrator, the distant discourse, tragicomedy. All Saseolsijo don’t have these features but usually the poetic narrator as an experiencer and observer of ordinariness has a crucial roll in obtaining typicality of realism with description and narrative techniques in the form of speaking. In addition, this study discovered that the poetic narrator’s way of speaking on ordinariness shows the discourse of the other, expanding the realm of narrativity in Saseolsijo. In this process, wandering strollers, marginalized individuals are often discovered from the text and people’s wish or optimism which people wants to solve the bitterness from real life as play and distortion as well, as the type of ‘tragicomedy’. These mean ordinariness in Saseolsijo have cracks in the medieval and slightly movement towards the modern society at the same time.

      • KCI등재후보

        현대조각과 일상성 -시원으로서의 일상성에 대한 전망-

        김경민 ( Kyung Min K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4 예술과 미디어 Vol.13 No.4

        본 논문은 현대조각에서 일상성에 대한 탐구가 어떠한 방향으로 전개되어 왔는지를 분석하는 한편, 시원으로서의 일상성이 갖는 의미를 이론적 차원에서 전망하고, 이를 조각적 실천에서 전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예술적 실천에서 일상성의 문제는 소위 포스트모더니즘의 발흥과 함께 본격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거대담론이 종식을 고하면서 이 문화적 패러다임은 키치적인것, 일상적인 것, 사적인 것, 지극히 대중적이고 평범한 것들을 다원성의 차원에서 접근할 것을 요청한다. 조각에서 일상성의 요소들은 뒤샹과 다다가 레디메이드를 도입하면서 조각 영역에 들어 올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일상성이 본격적으로 문제시된 것은 팝아트 이후의 일이며, 특히 포스트모더니즘의 문화적 조류 속에서 삶과 예술이 다시 조우하고, 내러티브와 구상조각이 복귀하면서 중요한 예술적 주제로 부상하였다. 특히 후기 자본주의의 소비사회의 풍경에서 일상적 삶이 그런 사회 역샂ㄱ 조건 속에 어떻게 종속되어 있는지 비판적인 시각을 보여주는 작품들도 많았다. 그러나 연구자가 보기에, 일상이 사회적 구조와 문화적 틀속에서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고 해도, 일상 자체에는 우리의 가장 시원적인 기본적인 삶의 토대가 되어주는 힘이 있다고 생각한다. 다시 말해, 일상이 갖는 이 시원성에 대한 탐구는 아직 본격적으로 제기되지 않았다. 여전히 예술은 보다 일상 너머에 우리의 인식이 미치지 못하는 세계를 보여줘야 한다는 인식이 팽배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는 그 세계 또한 우리의 일상성 속에 있다고 본다. 여기서 나는 조각적 실천에서 일상성이 어떻게 다루어져 왔는지 산견해보고, 나아가 이론적 차원에서 일상성에 새로운 이해의 필요성을 제기할 생각이다. 이를 통해 예술적 실천이 일상성의 문제를 어떠한 방향에서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제언적 시사를 할 것이다. 특히 일상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시켰던 르페브르와 최근에 일상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열어주고 있는 마페졸리의 시각을 빌어 일상성을 보다 시원적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가능성을 시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se the development of the ele­ments of everydayness in modem and contemporary sculptures from the theoretical view point of the origin of the everydayness, suggest-ing its possibility for art practices, particularly sculptures. With the post-modernistic paradigm, the so called meta-discourses came to an end, now it began to celebrate the subjects such as the kitsch, every­day life, the private, and the mere trifle. The elements of the every­dayness in sculptures was introduced by the Dada movement and Duchamp that appropriated the "readymade" for their own artistic strategy in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Since then, Pop-Art staged the everydayness in earnest and in postmodernism, in which art and every day life encounters again, and narratives and figurative sculptures returned, the issues of everydayness became important in contemporary art practices. For examples, Jeff Koons has revealed through the readymade works how the today``s everyday lifes and peo­ple``s desire for the commodities in the post-industrial consumer soci­ety were subordinated to the structure in question. However, I believe that there are more original and primitive elements of the everyday­ness which are not tinged with that structure. In this article, I wanted to suggest a theoretical possibility of some original factors of the ev­erydayness in the perspective of Michel Maffesoli and Henri Lefebvre for art practices.

      • KCI등재

        축제의 시간과 물의 시간

        조혜진(Cho Hye Jin) 돈암어문학회 2007 돈암어문학 Vol.- No.20

        현대시의 도처에서 일상성에 대한 비판과 일상의 회복에 대한 염원이 나타나는 것은 일상성이 단순한 일상의 반복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현대성과 같은 현대 산업 사회의 도시적 특징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성의 맥락에서 이러한 일상성의 의미를 이해하고 현대시의 타자 수용 양상에 주목하여 일상성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인식, 일상성에 대한 현대시의 고단한 천착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회복의 대상으로서 일상의 본래적 시간이 지니는 의미에 대해 재고해보았다. 풍요로움의 기원으로서 일상의 의미를 상실한 후 현대시의 도처에서 일상성에 대한 비판이 나타나는 것은 모더니즘과 같은 특정 문학만의 특성이 아니라, 일상성이 현대 사회의 변화된 인간관계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근대적 시간관과 도시적 공간성의 배경속에서 자본의 소통방식과 같이 교환을 매개로하는 변화된 인간관계의 유쾌하지 않은 경험에서 비롯된 것이다. 나아가 세계대전과 같은 충격적인 경험을 통해 현대인들은 실존적 한계상황 속에서 인간의 존재론적 의미에 천착하게 되었으며 자아와 대립하는 타자와의 고투 속에서 더욱 더 극심한 고독감과 소외감에 시달리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인간 소외를 극복하려는 다양한 시도와 노력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일상성의 이러한 문제점들은 일상이 소외되는 기현상을 초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자본주의적 현대성을 의미하는 소비(소유)에 의한 인간 소외와 노동 소외를 비판하고 축제의 시간, 즉 혁명 이데올로기에 의한 일상의 소외를 비판한 것은 일상성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회복의 대상으로서 일상의 본래적 시간이 지니는 의미를 이해하고자 함이었다. 이에 일상성에서 소외된 일상의 의미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연구자는 일상의 시간이 자아와 타자의 경계를 나누는 일상성의 존재방식에서 벗어나, 인간의 근원적 존재성 회복임을 이해하였다. 즉 일상성이 지배하는 소외의 공간에서 벗어나 풍요로움의 기원으로서 일상의 스밈이 일어나는 것은 자아와 타자의 경계를 나누는 일상성의 존재방식에서 벗어나 일상의 존재방식이 회복될 때 가능한 것이었다. 그러나 일상성이 지배하는 공간에서 일상의 회복을 염원하는 현대시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고독한 개인의 존재방식에서 벗어나 회복의 시간으로서 일상의 스밈에 도달하려는 현대시의 고단한 천착과정은 앞으로도 오랜 시간 계속될 것이라 전망된다.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 elucidated the meaning that daily original time has as the subject of restoration by criticizing the alie-nation of human being and labor by capitalistic daily life, that is, consumption through the tired search course of modern poem for daily life and criticizing the loss of original existence nature of human being through time of festival, that is revolution ideology. So, this researcher understood that the time of every day is the restoration of original existence life of human being by getting out of the existence method of daily life to divide the boundary of I and other in the course to chase the meaning of every day alienated from daily life.

      • KCI등재

        특집 2 : 2009, 아시아 영화의 새로운 발견 ; 세계화 속의 아시아 영화: 지역성 안에서의 일상성의 발견

        최용성 ( Yong Seong Choi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09 아시아영화연구 Vol.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세계화 속에서 아시아 영화가 재현하는 일상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일상성이라는 미시적 생활세계를 탐구한 감독들이 어떻게 작품 속에서 일상성을 발견하고 드러내는지를 살피려는 것이다. 현상학적·해석학적 접근을 통해 해명해 보고자 하는 감독들은 구로자와 아키라, 오즈 야스지로, 허우 샤오시엔과 장초치, 그리고 차오밍량인데, 이들의 영화를 통해 세계화라는 맥락 속에서 아시아 영화가 재현하는 일상성의 특징들이 일상성과 본래성과의 대립, 안온한 일상성에 대한 수용, 역사성과 교차하는 일상성, 세계화와 지역화 사이에서의 후기 근대적 공간성으로서의 일상성과 일상성에 대한 저항으로 해명됨을 살펴보았다. 특별히 오즈 야스지로 이후에 아시아의 지역성에 기반한 일상성 해명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되, 오리엔탈리즘을 넘어 아시아적 맥락 속에서 각자 특이한 방식으로 생활 세계의 일상성을 드러냄을 제시하였다. 다시 말해서 탈역사적인 일상성과 역사성과 겹치는 일상성, 저항적인 일상성 해명 등 각각의 특징은 다르지만 나름대로 일상성을 해명하면서 아시아의 다층적인 생활세계를 드러냄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study banality in the asian cinema among the globalerization. And this study take the viewpoint of banality by Husserl, Heidegger and Gadamer`s theories.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considered aisan cinemas, which have reflected banality in the locality. And this paper is to examine Kurosawa Akira, Ozu Yasujiro, Hou Hsiao-Hsien, Chang Tso-chi and Tsai Ming-Liang`s films. By analyzing that films, I aim to show that banality is concerned with various kinds of characteristic.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re as follows. First, Kurosawa Akira`s banality is contrast with authenticity and the choose of the mode of existence. Second, Ozu Yasujiro showed these acceptance of everyday life and the ordinary people in their films. Ozu Yasujiro`s characters show themselves as the cycle of the seasons and still lives. Ozu Yasujiro`s visual object is everydat venality and taken as family life in the Japaness house. Third, Hou Hsiao-Hsien and Chang Tso-chi`s banality is related with history. For example, Hou Hsiao-Hsien`s A City of Sadness portrays historicity and babality in the local Taiwanese and history of the past century. Historicity is the biggest concern both for the pre-New Cinema films and Chang Tso-chi`s films. Forth, Tsai Ming-liang`s banality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historicity of Hou Hsiao-Hsien. Banality of spatiality has replaced the old obsession with historicity. Tsai Ming-liang`s Vive L`Amour portrays banality in the Taipei. He tried to take a glance of urban alienation and the difficulty of connection through ``Vive L`amour``. And he succeeded to describe resistance about banality.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시대, 미술을 통한 일상성 회복의 의미 연구 ― 피에르 위그(Pierre Huyghe, 1962- ) 미술 실천을 중심으로

        공주형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2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that occurred from Wuhan, Hubei, China in December 2019, the world has encountered more instability and uncertainty than ever. Since the constant disaster by this prolonged infectious disease made the crisis of everydayness become widespread, the value of art is being reassessed as a meaningful medium for the resilience of everydayness.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s to review the practical meaning of the resilience of everydayness with art as a medium in the era of the health crisi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rt practice of Pierre Huyghe. Huyghe probed the possibility of the reconstruction of everydayness by means of re-contextualization, re-arrangement and revaluation of everydaynes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everydayness and the perspective of representation of everydayness in art from ethical, ideal and romantic aspects. It then examines a practical case in the art world for the crisis of everydayness and the interest in the resilience of everydayness in this Post COVID-19 era. Finally, this study examins the art practice of Pierre Huyghe who has investigated the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everydayness and its possibility of appropriation focusing on non-linear narratives, nonsequential time and non-subjective hierarchy. The meaning of the resilience of everydayness through art in the Post COVID-19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e art of resilience is meaningful in that it does not restore our familiar and conventional everydayness, but provides an opportunity to think everydayness of possession and accumulation in a fresh way. Secondly, the art of resilience is meaningful in that it gives a chance to construct the everydayness of isolation and disconnection rather than the adaptation of current unstable everydayness. Thirdly, the art of resilience is meaningful in that it constructs the situation in which the everydayness of solidarity and inclusion can be constructed rather than an imagination of future optimistic everydayness. 2019년 12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발생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으로 전 세계는 그 어느 때 보다 불안정성과 불확실성의 상황에 직면해 있다. 감염병 장기화가 초래한 상시적 재난으로 일상성의 위기가 전면화되는 가운데 위태로운 일상성 회복의 유의미한 매개로 미술의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상성의 재맥락화, 재배열화, 재가치화를 통해 일상성의 재구축 가능성을 타진해 온 피에르 위그의 미술 실천을 중심으로 보건 위기의 시대, 미술을 매개로 한 일상성 회복의 실천 의미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본 연구는 일상성의 개념과 미술에서의 일상성 재현의 시각을 윤리적, 이상적, 낭만적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그 다음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시대 일상성의 위기와 회복에 관한 관심을 미술계의 주목할 만한 실천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비선형적 서사, 비순차적 시간, 비주체적 위계를 중심으로 위태로운 일상성의 해체와 재구축 그리고 전유 가능성을 탐문해 온 피에르 위그의 미술 실천을 검토하였다. 이상을 통해 본 연구가 검토한 코로나19 이후 시대 미술을 통한 일상성 회복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복의 미술은 기존의 익숙한 일상성의 복원이 아닌 성장과 축적의 일상성을 새롭게 사유할 기회 제공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둘째, 회복의 미술은 현재의 불안한 일상성에 적응이아닌 고립과 단절의 일상성을 다르게 구축할 계기 마련한다는 데 의미가있다. 셋째, 회복의 미술은 미래의 낙관적 일상성의 상상이 아닌 연대와 포용의 일상성을 온전히 전유할 상황을 구축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 KCI등재

        통시적 관점에서 본 고전시가와 일상성의 문제

        양태순 ( Tae Soon Yang )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39 No.-

        이 글은 일상성이라는 개념이 형성된 소종래와 현대문학에서 주목하는 측면을 살핀 다음, 서양이 아니고 현대가 아닌 시공간의 산물인 우리 고전시가에 걸맞는 일상성의 의미를 ``군자가 되기 위한 방향으로 날마다 자신을 갈고 닦고 노력하는 자세`` 쪽을 관념적 일상성으로,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인간의 삶을 규정하는 사고방식이나 행동양식`` 쪽을 구체적 일상성으로 설정하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수기치인을 지향하는 관념적 일상성은 주로 오륜가류나 훈민가류, 그리고 강호가도류의 시조와 도학가사나 교훈가사 등에 드러나 있고, 실제적인 삶의 영위와 직결되는 구체적 일상성은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삶이나 풍류를 즐기는 모습을 형상화한 시조에 드러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일상성의 하위 범주들이 한 작품, 예컨대 퇴계와 율곡의 연시조, 그리고 송강의 가사 등에 뒤섞여 있은 양상도 확인되었는데 이런 것은 복잡한 인간의 실제 삶의 양상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기도 하거니와 공자 이래로 유학은 늘 일용지간과 도, 세상 사람과 성인은 본질적으로 일치한다고 보았던 사실을 상기한다면 뫼비우스의 띠, 또는 눕혀놓은 사다리와 같은 이들의 뒤섞임 현상은 어쩌면 너무나 자연스러운 결과로 보았다. 모든 면에서 ``日新又日日新``하기를 열망했던 당대인들의 일상성을 고려한다면 의지의 지향점에 있어서는 이상과 현실, 공간에 있어서는 천상과 지상, 저기와 여기, 대상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수직과 수평, 시간에 있어서는 미래(과거)와 현재, 시공간에 있어서는 내세와 현세 등의 요소가 이원적으로 분립 독립되는 것보다는 그것들이 한데 뒤섞여 존재하는 것이야말로 당대의 일상성이 여실히 드러난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시조에 있어서는 퇴계와 율곡의 연시조가, 가사에 있어서는 송강의 작품이 당대의 일상성을 가장 잘 형상화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reviewed the dayliness with many meanings and why the contemporary literature has been very interested in the dayliness, and then confined the dayliness meaning worthy of classical poetry as cultivating one`s own character to become a true gentleman and way of thinking and behavior ruling constantly repeated human life. We call cultivating one`s own character to become a true gentleman as the Ideological Dayliness, way of thinking and behavior ruling constantly repeated human life as the Substantial Dayliness. The former is oriented toward Cultivation of self and others(修己治人) and the latter is oriented toward food, clothing and housing(衣食住) and relaxation, enjoying life(休息과 遊興). There was the former in Sijo such as Oryungaryu(五倫歌類)·Hunmingaryu(訓民歌類)·Ganghogadoryu(江湖歌道類) and Gasa such as Dohakgasa(道學歌辭)·Gyohungasa(敎訓歌辭). There was the latter in Sijo representing real life. But on the other hand, we found out that the two were mixed at the one work such as Lee Hwang`s Sijo(李滉 時調), Lee Yi`s Sijo(李珥 時調) and Jeong Cheol`s Gasa(鄭澈 歌辭). We can say that it is very natural as we consider the fact that our real life is always complicated and literature is the mirror of our real life. What is more, Confucian thinks the truth of everyday life is true. In other words, a vulgar person must be a holy man, a holy man must be a vulgar person. Confucian writers aspired to attain daily renovation (improvement) and firmly believed the daily renovation (improvement) could and should be achieved in both field Ideological Dayliness and Substantial Dayliness. In conclusion, considering that literature is the mirror of our real life and Confucian writers aspired to attain daily renovation(improvement), we can say that the two-Ideological Dayliness and Substantial Dayliness are about to be represented in works and the works represening the two such as Lee Hwang`s Sijo, Lee Yi`s Sijo and Jeong Cheol`s Gasa are good.

      • KCI등재

        2000년대 한국화에서 나타나는 도시의 일상성 표현 연구

        오세권 한국기초조형학회 2010 기초조형학연구 Vol.11 No.5

        이 연구는 ‘2000년대 한국화의 인물화를 중심으로 나타나는 도시 일상성의 표현’에 대하여 논해놓은 것이다. 2000년대 도시 일상성은 과거의 시기와는 다른 양상을 가진다. 근대적 의미를 바탕으로 하면서 탈근대적인 도시 일상성이 논의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거대담론들이 형성되고 있다. 현대미술에서 ‘도시의 일상성 표현’은 중요한 주제이자 소재이며 미술표현을 심화시키는 힘이었다. 여기서 ‘도시의 일상성 표현’이란 단순히 도시의 생활을 주제나 소재적 차원에서 다루는 것이 아니라 일상성의 본질적 문제를 제기하는 미술표현으로 ‘도시생활의 사회학적 일상성이 반영되는 미술표현’을 말한다. 한국화에서는 1920년대에 들어서야 비로소 서구식 일상성을 표현하는 인물화들이 등장 한다. 그리고 일본제국주의 시대를 거치고 광복과 건국을 바탕으로 산업화와 경제발전을 이룬 2000년대에 이르기까지 인물화에서 나타나는 일상성 변화는 그 시점마다 사회를 반영하면서 변해왔던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2000년대 한국화의 인물화에서 나타나는 도시 일상성의 주요 표현들은 ‘일상의 탈출과 이상향에 대한 유희적 표현’ ‘소시민의 순응적 생활 표현’ ‘은밀한 욕망의 표현’ ‘ 가족의 표현’ ‘도시인들의 익명성 표현’ 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여기서 근대적 의미의 도시 일상성과 오늘날 디지털 시대를 바탕으로 하는 세계화된 도시에서의 일상성 표현이 뒤섞여 있음을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urban ordinariness in Korean Style portrait painting in the 2000s'. The urban ordinariness of the 2000s has been altered from the times in the past. Its meaning is based on modern but at the same time, post-urban ordinariness which results in the formation of meta-discourse. 'The expression of urban ordinariness' is not just a very important subject, but also a motive to deepen painting techniques. 'Urban ordinariness' here is not limited in a subject matter that simply depicts city life, but it raise fundamental issues that reflect 'urban life's sociological ordinariness'. Portrait paintings that illustrate Western style ordinariness finally appeared in Korean Style Painting in the 1920s. As Korea has undergone changes from Japanese imperialism, liberation, the establishment of modern country to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al growth in the 2000s, the ordinariness in portraits has also changed while reflecting societies of each era. Furthermore, major expressions of urban ordinariness in Korean Style portrait painting in the 2000s are reviewed from several perspectives; 'Playful Expression Longing for Escape from Ordinariness and Utopia', 'Expression of Ordinary People Acclimating to their 'Lives', 'Expression of Secret Desires', 'Expression of Family', and 'Anonymity of City Dwellers'. Here, both urban ordinariness of modern sense and urban ordinariness of today's global digital era are intertwined.

      • KCI등재

        웹툰 〈은밀하게 위대하게〉의 스토리텔링에 나타난 일상성

        김영숙(Kim, Young-Suk)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7 애니메이션연구 Vol.13 No.3

        최근 디지털의 발달과 함께 등장한 웹툰은 대중문화로서 현대인들에게 일상생활 속의 친숙한 콘텐츠 역할을 하고 있다. 온라인을 통해 범위를 넓혀 가며 영역을 확장하고 있는 웹툰은 영화나 TV드라마, 뮤지컬 등을 통해 많은 다른 매체로 변환되어 향유자들에게 전달되고 있다. 웹툰의 문화적 파급력이 확장되고 지속적인 활성화를 성취하려면, 인터넷 환경에 따른 변화와 사용자들의 변화된 특성을 고려한 웹툰 제작이 중요한 관점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웹툰에 함축되어 표현된 스토리의 핵심요소인 일상성을 논의하기 위해 웹툰의 장르적 특징과 일상성의 특징을 분석하여 향유자의 이해를 돕고 웹툰의 문화적 위상을 높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웹툰의 특징과 일상성, 웹툰 장르 자체가 가진 매체의 환경적 특성, 그로 인한 향유 패턴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고, 웹툰 〈은밀하게 위대하게〉에 나타난 서사구조, 캐릭터 구도, 공간의 성격화, 인물구성과 상황의 딜레마, 사실적인 공간 배치와 상징적인 셔레이드 유형을 통하여 웹툰에 표현된 일상성 분석에 접근하였다. 연구 결과, 웹툰의 일상성의 특징은 개인화 추세, 편의성과 접근성, 일상적인 소재 등으로 볼 수 있다. 웹툰만의 특징인 세로읽기를 통해 매체환경과 공간의 여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심미적 아름다움과 자유로운 공간 구성과 서사를 펼치고, 불연속적인 연재 방식은 예고편이나 셔레이드를 통해 극복하였다. 또한, 셔레이드의 유형을 통해 주제의 암시, 캐릭터의 형상, 관계 상징, 상황의 암시, 이미지의 대사화 등을 연출함으로써 향유자의 적극적인 향유를 가능하게 했다. 최종훈만의 상징적 대사 구현, 강렬한 색감과 독특한 조형미로 스토리텔링을 이끌어 내고, 섬세한 캐릭터의 묘사를 통해 일상성에 대한 적극적이고 확장된 향유를 가능하게 하였으며 ‘일상성’의 개념과 중요성을 부각시킨 것으로 분석된다. 오늘날 계속 새롭고 다양해지고 있는 매체환경과 문화 콘텐츠뿐만 아니라 미디어가 나날이 최적화되는 방향으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웹툰은 일상성에 대한 깊이 있는 표현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다양한 모습의 캐릭터 연출로 향유자들에게 일상성의 다양하고 진한 감동과 정보가 향유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웹툰이 향유자들의 쉼터역할을 해 주며 삭막해져 가는 현대인들의 마음을 순화할 수 있는 장르로서의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system, the recent webcomic has played a role of familiar contents in modern people’s everyday life as public culture, Webtoon, which has been expanded through online service, has been provided to readers by being transferred to another type of media such as movies, Tv dramas or musicals. For continuous revitalization and cultural ripple effect of Webtoon, webcomic artists have to take account into user’s changed characteristics, which Internet environment caus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features of genre of webtoon and features of dailiness in this webtoon to discuss dailiness which is the core implied stories in webtoon. First of all, I will do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features which webtoon itself has and the changes of the enjoyment patterns. And then, I will also analyze the dailiness expressed in webtoon 〈Secretly, Greatly〉through narrative structure, character composition, characterization of space, characters` duplicity and dilemma, realistic space arrangement and type of a symbolical charade,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webtoon shows aesthetic beauty and free narration with space constraints, utilizing media environment and blank space through vertical reading, which is webtoon’s unique feature. Also, webtoon is overcoming discontinuous serial publication method in the way of a preview and charade and it encourages readers` enjoyment to strongly last, creating suggestion of theme from the type of charade, characters` shape, implication of events and dialogue of images. Webtoon generates storytelling through unique beauty of a structure and outstanding colors, therefore it has a signification that users can enjoy the theme actively and deeply through delicate descriptions of characters. Today, the media environment and the cultural contents are constantly diversifying. Thus, webtoon should provide modern people with enjoyment of feeling moved by analyzing dailiness in depth and describing various daily lives of ordinary people at this point of time, I expect webtoon to play a role not only as shelter in which users relieve their stress but also as genre which purifies user’s heartless mind.

      • KCI등재

        패션명품 광고에 나타난 일상성과 비일상성

        최선형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0 한국디자인포럼 Vol.25 No.3

        연구배경 고객의 세대교체와 이들의 가치변화에 따라 패션명품 광고에 일상성이란 새로운 표현형식이 도입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패션명품 광고에 나타난 일상성과 비일상성을 분석하여 향후 패션광고 전략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3년 F/W에서 2020년 S/S에 이르는 패션명품 광고를 대상으로 일상성과 비일상성의 특징을 내용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광고에 나타난 일상성의 특징은 일반인 모델의 캐스팅과 연령, 인종, 성정체성에서의 다양성, 광고배경에 도시의 거리와 음식점, 빨래방 등 일상 속 도시공간의 등장, 일상의 자연스러운 표정이나 포즈의 모델 연출 혹은 스냅샷 형식의 일상적 표현형식이다. 둘째, 광고에 나타난 비일상성의 특징은 다수의 팔로워를 가진 인플루언서 캐스팅, 자연경관, 야외, 문화공간 등의 광고배경, 젊은 백인 여성과 상류층 라이프스타일의 상징적 이미지 표현형식, 시각적으로 충격적인 극적 충격적 표현형식, 오페라나 발레, 뮤지컬, 초현실주의, 화가 작품 등을 이용한 예술 표현형식이다. 셋째, 광고에 나타난 일상성과 비일상성의 결합이다. 결론 향후 성공적인 패션광고전략을 위해서는 탈물질주의적 가치관과 환경과 이웃을 배려하는 사회적 가치관에 기초한 주제선정, 일반인 모델, 일상의 배경, 일상적 표현형식 등 소비자와의 공감을 유도하는 광고전략 제안이 요구된다. Background A new expression form of dailiness is being introduced in luxury fashion advertisements according to the generation change and the value change of custom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help the strategy of future fashion advertising by analyzing the dailiness and non-dailiness in fashion luxury advertising. Methods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ilineS/S and non-dailiness for 1,268 luxury fashion campaign images ranging from F/W in 2013 to S/S in 2020. Result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dailiness shown in advertisements are casting of public models and diversity in age, race, and gender identity, and the emergence of urban spaces in everyday life, such as restaurants and laundries in the background, and natural snapshot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n-dailiness that appeared in the campaign images are the white model with the upper class aristocratic image and the casting of the influencer with a large number of followers, and the advertising background of the natural scenery, the cultural space, the specific museum, and the art marketing using opera, ballet and musical etc... Third, the combination of dailiness and non-dailiness shown in advertisements. Conclusion For a successful fashion advertising strategy in the future, a theme based on post -material values and social values that consider the environment and neighbors should be selected first. Also, depending on the theme, it is necessary to propose an advertising strategy that induces sympathy with consumers, such as general model selection, everyday background selection, and everyday expression.

      • KCI등재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나타난 하이패션의 일상성 연구

        정경희(Chung, Kyung Hee),이미숙(Lee, Mi Suk),제레미 스콧 비셋(Jeremy, Scott Bissett)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3

        패션 산업에 미치는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하이패션 브랜드들은 일상적인 요소가 반영된 콘텐츠를 선보이며 대중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평범한 사람들의 SNS 셀피에 등장하면서 일상에서의 미적 표현을 위한 일상적 패션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나타난 하이패션의 일상성 콘텐츠를 추출하고 콘텐츠에 나타난 일상성 이미지의 특징과 시각적 은유, 의미작용 경로를 분석하고 그 안에 내재된 특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일상성의 개념 및 특징, 일상의 미학과 디자인, 롤랑 바르트의 의미작용 이론 체계에 대해 고찰한 다음, 일상성 이미지 분석매트릭스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실증연구에서는 일상성 이미지의 의미작용 매트릭스를 활용하여 하이패션브랜드와 개인 SNS에 나타난 하이패션 일상성 콘텐츠의 시각적 은유와 의미작용경로, 표현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하이패션 브랜드들은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드러낼 수 있는 인물과 대중적이고 일상적인 공간과 사물을 활용하여 다양한 감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패션아이템의 물리적, 내재적 특징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일상의 요소와 카메라 구도에 의한 클로즈업, 과감한 절단 등을 통해서 브랜드를 더 쉽고 친근하게 느끼고 일체화하는 경험을 제공하고 있었다. 둘째, 개인 인스타그램 계정의 하이패션 브랜드 콘텐츠에 나타난 일상성은 다양한 이미지와 스타일로 나타났고 일상에서 사용자에 따라 다양하게 즐길 수 있는 패션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었다. 그리고 일상적 장소 속에 녹아있는 브랜드를 나타냄으로써 현재진행형, 상호작용성, 신선하고 맥락적 친근함을 느끼게 했다. 반면, 과시적으로 브랜드를 이용하고 있음을 나타내어 자신의 부나 사회적 위치를 표현하는 콘텐츠도 많았다. 그리고 콘텐츠들은 셀프 카메라로 인한 예상치 못한 카메라 프레임으로 관찰자에게 실재의 공간에서 인물을 바라보는 듯한 경험적 몰입을 유도하고 있으며, 브랜드와 관련된 해시태그와 텍스트들은 브랜드와 게시자가 감정적으로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표현하는 도구로 활용되었다. 셋째, SNS에 나타난 하이패션 브랜드콘텐츠에 내재되어 있는 일상성의 특성은 일상적 스토리에 의한 공감 형성, 일상적 사물과 단조로운 사적공간 활용, 클로즈업과 파편화, 마니아로서의 과시적 표현 등으로 요약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하이패션 브랜드들은 SNS에 일상적 요소가 반영된 제품 이미지와 스토리텔링 광고 등을 업로드 함으로써 대중에게 일상적 경험을 제공하고 포용적이고 대중적인 면을 보여주며, 대중은 하이패션의 사용자로서, 그들의 경험과 상상력, 개성에 따라 하이패션을 변화시키고 일상의 미적 즐거움을 만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패션 영역에서의 일상성의 가치를 부각시키고 패션 디자이너에 의한 패션뿐만 아니라 개인의 일상의 감정과 감각에 반응하여 재해석되는 패션과 패션 문화 연구를 위한 중요한 프레임 워크가 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As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on the fashion industry expands, the high fashion brands are not only popularized by introducing contents that reflect everyday elements, but they are becoming a daily fashion for everydayness aesthetic expressions by appearing in the SNS selfies of ordinary peopl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the everydayness contents of high fashion represented in social media platform,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images, visual metaphors and semantic action paths in high fashion contents, and to derive inherent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as for the methodology,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everydayness, the aesthetics and design of everydayness, and Roland Barthes’s semantic theoretical system were examined and then a everydayness image analysis matrix was derived. In the empirical study, we analyzed visual metaphors, semantic pathways,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everydayness contents in high fashion brand SNS and personal SNS using a semantic action matrix of everydayness imag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high fashion brands appeared with various emotions using the people who can reveal the identity of the brand and the popular and everyday spaces and objects. Moreover, it provided the experience to feel and integrate the brand easily and intimately through the everyday elements that can maximize the physical and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items, close-up by the camera composition, and drastic cutting. Second, everydayness appeared in the high fashion brand contents of the personal Instagram revision appeared in various images and styles, and they were accepted as fashion that can be enjoy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users in everyday life. Also, by expressing the brand that is embedded in the everyday places, it showed it to be progressive, interactive, fresh and contextually friendly. In addition, many contents expressed their wealth or social position by showing that they use the brand visually. Contents contained unexpected camera frames caused by self-portrait photogragh, which induces emotional immersion as if observers are looking at the person in real space, and hash tags and texts related to brands are closely connected emotionally with brands and publishers.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everydayness inherent in high fashion contents in SNS could be summarized by everyday stories, familiarity with everyday objects and monotonous private space, incomplete close-ups and fragmentation, and expressive expression as a mania. As a result of the research, high fashion brands are showing that they provide everyday experiences to the masses and show inclusive and popular aspects by uploading product images and storytelling advertisements reflecting the everyday elements to SNS. And, as a user of high fashion, the public has been able to change the high fashion according to the user’s experiences, imagination and personality, and to create aesthetic pleasure in everyday lif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an important framework for studying fashion and fashion culture which is reinterpreted in response to the everyday feelings and senses of the individual as well as fashion by the fashion designer by highlighting the value of everydayness in the fashion dom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