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 : 고전기사와 일상성(日常性)의 문제 ; 기조발표 : 공시적 관점에서 본 고전시가와 일상성의 문제

        양태순 ( Tae Soon Yang ) 한국시가학회 2010 韓國 詩歌硏究 Vol.29 No.-

        일상성에 내포된 의미를 가운데 현대라는 시간, 산업사회에서의 도시라는 공간, 진정한 삶을 위해서는 벗어나야 할 굴레라는 부정적인 인식 등은 근대 이전 우리 선인들의 일상과는 무관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 이외의 의미를, 예컨대 하이데거가 말한 잡담·호기 심·애매함이 현대 일상성의 존재양식이라는 것, 레비나스가 말한 향유를 통한 일상적 주체의 확립, 르페브르가 말한 현대의 일상성은 양식이 부재한 소비와 광고의 사회를 특징으로 한다는 것 등은 고전시가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하이데거에 의하면 우리들의 일상적인 삶의 존재양식은 잡담과 호기심, 그리고 애매함으로 표현된다는 점은 고전시가 〈쌍화점>, <사룡>, <사룡〉류의 시조들에서 확인되었다. 레비나스가 일상성의 토대라고 한 집이라는 거주공간이, 송순의 시조와 오규원의 현대시에서는 자연과 분리 단절된 공간이 아니라 함께 하는 공간으로 표현되었다. 요컨대 그들의 작품에서 자연세계는 소유물화되지 않았던 것이다. 양식이 부재한 현대의 일상성은 소비와 광고의 사회라는 르페브르의 진술을 바탕으로 고전시가인 〈한림별곡〉과 함민복의 현대시 〈광고의 나라〉를 대비시켜 본 결과, 전자의 경우 당대인의 삶과 문학작품에 형식과 주제의 양면에 걸쳐 양식이 있었는데 반해, 후자의 경우 그것이 부재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현대의 일상성이라는 개념을 가지고도 고전시가를 보다 정밀하게 분석 할 수 있음을, 그리고 일상성의 개념에 기댈 때 고전시가와 현대시 사이에도 공통점이 발견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요컨대 일상성의 측면에서 보더라도 고전시가는 현대시의 토대가 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고 하겠다. Some meanings of dailiness such as the modern times, the city town places of industrial society, the negative recognition that we have to get rid of the dailiness for our true life have nothing to do with Korean predecessors. But the others such as chitchat, curiosity, obscurity which were referred to as the being mode of dailiness by M. Heidegger and establishment of subjectivity through possession which was referred by Emmanuel Lvinas and the absence of style in modern dailiness which was referred to as characteristic of the society of consumption and advertisement by Henri Lefebvre will be applied to the Korean old poetry. Chitchat, curiosity, obscurity which were referred to as the being mode of dailiness by M. Heidegger were certified in the Korean old poetry <Ssanghwajeom> <Saryong> <Saryongryu Sijo> A house which Emmanuel Lvinas referred to as the foundation of dailiness was not the place cut off from natural world but the place connected with it in Song Soon`s old poetry Sijo and Ohgyuwon`s modern poetry. In the final analysis, the natural world in their works did not come into their possession. Both old poetry <Hanlimbyeolgok> and Ham minbok`s modern poetry represented the characteristic of the society of consumption and advertisement, but the former involve style of the form and theme,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didn`t.

      • KCI등재

        신흠의 시조와 한시의 관련 양상 연구 -연정을 주제로 한 시조를 중심으로-

        양태순 ( Tae Soon Yang ) 한국고전문학회 2008 古典文學硏究 Vol.33 No.-

        이 글은 신흠의 연정 시조와 그의 한시와의 관련 양상에 대한 연구이다. 그 관련양상의 검토는 주제·소재·갈래·시기 등의 여러 측면에서 조명되었다. 앞의 세 항목은 공시적이고, 뒤의 한 항목은 통시적이다. 소재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시조도 특별한 한두 가지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여러 한시 갈래들과 공통된 기반을 지녔고, 시기의 측면에서도 어느 특정한 기간이 아니라 두루 통시적으로 공유하고 있었다. 궁녀의 연군지정을 노래한 궁사와 소재면에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이 주목을 요한다. 연정을 주제로 하는 신흠의 시조는 연정이라는 주제적 측면에서 볼 때는 악부체를 지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양자의 관계는 배타적인 경쟁관계였다고 하겠다. 시조와 詞는 상호보완적인 관계로 확인되었다. 악곡에 맞추어 짓는 노랫말이라는 창사 텍스트로서의 동질성이 작용하였을 것이다. 또한 검토의 대상이 되는 여섯 수의 주된 주제는 남녀간의 연정이지만 궁녀의 연군지정을 노래한 宮詞로서의 면모도 내재되어 있었다. 검토의 대상이 되는 시조 여섯 수의 주된 주제는 남녀간의 연정이지만 군신간의 연군지정이 담겨져 있었다. 그러한 사실은 詩餘의 의미, 즉 `동일한 주제를 한시로 읊어내고 남은 것을 읊은 우리말 노래`로 규정하였을 때, 그 한시라 함은 김포기에 쓰여진 연군 한시를 말하기 때문이다. 이 여섯 수의 시조에서는 宣祖에 대한 연군지정은 유지하되 연정의 형태로 변형되었고, 애상의 정조는 유지하되 직설과 서사 위주의 경향과 지나치게 감정을 절제하는 경향 그 어느 쪽도 아닌 방향으로 조정되었다. 요컨대 남녀간의 연정에 신하나 궁녀의 연군지정이 덧보태진 것으로 파악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 aspect between Shin Heum`s Sijo(申欽 時調) and Chinese Poetry. We examined it from four viewpoints such as subject, matter, genre, period. The former three are synchronic and the latter one is diachronic.. So we come to some conclusion. They are the following. From the viewpoint of matter, Sijo has comman foundation with Chinese Poetry through the genre and the period. Sijo`s subject matter was constantly used in all kind of Chinese Poetry.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Sijo`s matters were used Gungsa(宮詞). From the viewpoint of subject, Shin Heum`s Sijo of which the subject is love aims at being Akbuche(樂府體). The relation of the two is exclusive. The relation between Sijo and Sa(詞) is complementary. It may be because of similarity of qualification as the words of a song. The subject of six Sijo is love, but they have Gungsa(宮詞)`s quality. In addition they also have love between lord and retainer. Because Siyeo(詩餘) means that Sijo was written after Chinese Poetry of which the subject is love between lord and retainer during the Kimpo-period(金浦 放逐期).

      • KCI등재

        통시적 관점에서 본 고전시가와 일상성의 문제

        양태순 ( Tae Soon Yang )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39 No.-

        이 글은 일상성이라는 개념이 형성된 소종래와 현대문학에서 주목하는 측면을 살핀 다음, 서양이 아니고 현대가 아닌 시공간의 산물인 우리 고전시가에 걸맞는 일상성의 의미를 ``군자가 되기 위한 방향으로 날마다 자신을 갈고 닦고 노력하는 자세`` 쪽을 관념적 일상성으로,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인간의 삶을 규정하는 사고방식이나 행동양식`` 쪽을 구체적 일상성으로 설정하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수기치인을 지향하는 관념적 일상성은 주로 오륜가류나 훈민가류, 그리고 강호가도류의 시조와 도학가사나 교훈가사 등에 드러나 있고, 실제적인 삶의 영위와 직결되는 구체적 일상성은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삶이나 풍류를 즐기는 모습을 형상화한 시조에 드러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일상성의 하위 범주들이 한 작품, 예컨대 퇴계와 율곡의 연시조, 그리고 송강의 가사 등에 뒤섞여 있은 양상도 확인되었는데 이런 것은 복잡한 인간의 실제 삶의 양상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기도 하거니와 공자 이래로 유학은 늘 일용지간과 도, 세상 사람과 성인은 본질적으로 일치한다고 보았던 사실을 상기한다면 뫼비우스의 띠, 또는 눕혀놓은 사다리와 같은 이들의 뒤섞임 현상은 어쩌면 너무나 자연스러운 결과로 보았다. 모든 면에서 ``日新又日日新``하기를 열망했던 당대인들의 일상성을 고려한다면 의지의 지향점에 있어서는 이상과 현실, 공간에 있어서는 천상과 지상, 저기와 여기, 대상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수직과 수평, 시간에 있어서는 미래(과거)와 현재, 시공간에 있어서는 내세와 현세 등의 요소가 이원적으로 분립 독립되는 것보다는 그것들이 한데 뒤섞여 존재하는 것이야말로 당대의 일상성이 여실히 드러난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시조에 있어서는 퇴계와 율곡의 연시조가, 가사에 있어서는 송강의 작품이 당대의 일상성을 가장 잘 형상화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reviewed the dayliness with many meanings and why the contemporary literature has been very interested in the dayliness, and then confined the dayliness meaning worthy of classical poetry as cultivating one`s own character to become a true gentleman and way of thinking and behavior ruling constantly repeated human life. We call cultivating one`s own character to become a true gentleman as the Ideological Dayliness, way of thinking and behavior ruling constantly repeated human life as the Substantial Dayliness. The former is oriented toward Cultivation of self and others(修己治人) and the latter is oriented toward food, clothing and housing(衣食住) and relaxation, enjoying life(休息과 遊興). There was the former in Sijo such as Oryungaryu(五倫歌類)·Hunmingaryu(訓民歌類)·Ganghogadoryu(江湖歌道類) and Gasa such as Dohakgasa(道學歌辭)·Gyohungasa(敎訓歌辭). There was the latter in Sijo representing real life. But on the other hand, we found out that the two were mixed at the one work such as Lee Hwang`s Sijo(李滉 時調), Lee Yi`s Sijo(李珥 時調) and Jeong Cheol`s Gasa(鄭澈 歌辭). We can say that it is very natural as we consider the fact that our real life is always complicated and literature is the mirror of our real life. What is more, Confucian thinks the truth of everyday life is true. In other words, a vulgar person must be a holy man, a holy man must be a vulgar person. Confucian writers aspired to attain daily renovation (improvement) and firmly believed the daily renovation (improvement) could and should be achieved in both field Ideological Dayliness and Substantial Dayliness. In conclusion, considering that literature is the mirror of our real life and Confucian writers aspired to attain daily renovation(improvement), we can say that the two-Ideological Dayliness and Substantial Dayliness are about to be represented in works and the works represening the two such as Lee Hwang`s Sijo, Lee Yi`s Sijo and Jeong Cheol`s Gasa are good.

      • KCI등재
      • KCI등재

        가곡창과 시조창 노랫말의 기본 유형에 대하여

        양태순 ( Tae Soon Yang ) 한국고전문학회 2011 古典文學硏究 Vol.40 No.-

        시조로 통칭되어온 가창 텍스트들은 그들을 얹어 부르는 음악적 형식이 가곡창과 시조창의 두 가지이기 때문에 문학적인 측면에서도 가곡창과 시조창이라는 음악적 형식에 고유한 두 가지 노랫말 유형이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 양자를 모두 충족시켜주는, 즉 겸용이 가능한 노랫말 유형을 추가하면 모두 세 가지 노랫말 유형이 기본적으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가곡창은 5악장 형식이고 시조창은 3악장 형식이기에 그 노랫말도 자연 그에 걸맞는 방식으로 짜여질 것이다. 양자 사이의 변별적 양상에 유의하면서 가곡창 노랫말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조창의 노랫말이 3행으로 표기되는데 비해 가곡창은 5행으로 표기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두 번째로 시조창의 노랫말은 초장과 중장이 병렬관계인데 비해 가곡창은 초장과 2장(시조창으로 보자면 초장의 전반부와 후반부)이 병렬관계라는 사실이다. 세 번째로 가곡창의 3장(시조창으로 보자면 중장)은 초장과 2장(시조창으로 보자면 초장)을 합친 것과는 다르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물론 시조창의 경우는 초장과 중장이 병렬관계이므로 같다. 가곡창 노랫말 3장의 이러한 특성은 율격적으로 4음보가 아닌 3음보에 근사한 모습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즉 음수율로 보자면 보통의 형식인 ``3-4-3-4``이 아니라 ``5-3-4``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모습은 의미 구조로 보았을 때 3장은 전반부와 후반부가 병렬관계를 유지하지 않으며, 그래서 적확하게 양분이 가능하지 못한 것이다. 결국 율격적으로 3음보, 의미상으로는 대등한 양분이 불가능하다는 점이 가곡창 노랫말 3장(시조창으로 보자면 중장)의 특성이라 하겠다. 초장과 중장이 병렬관계를 유지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중장이 3음보에 근사하거나 의미상으로 온전한 양분이 불가한 양상을 보이는 것들도 있는데 이들은 시조창과 가곡창을 겸용하는 노랫말 유형에 속하는 것들이라 하겠다. 가곡창을 위한 노랫말 모음집인 『청구영언』 『해동가요』 『가곡원류』 등 3대 가집과 시조창을 위한 노랫말 모음집인 『남훈태평가』를 보면 이 세가지 노랫말 유형이 혼재해 있음을 본다. 이로써 가창이라는 연행의 실제에서는 이들이 서로 넘나들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고 이 둘, 혹은 세 가지 유형에 대한 탐구의 필요성이 약화되는 것은 아니다. 가곡창에 적합한 노랫말 유형과 시조창에 적합한 노랫말 유형이 어떠한 것인가는 당대인들도 인지하고 있었다. 동일한 노랫말이 가곡창과 시조창에 적합하도록 변개된 양상을 통해 그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Sijo is not only the reading text but also the singing text. There are two patterns of musical piece-Sijochang(時調唱) and Gagokchang(歌曲唱)-in singing Sijo, so we can expect there would be two patterns of reading text. In addition to them, we can add one which combines two pattern.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wo patterns are as follows. Above all, the words of Sijochang has three lines, but the words of Gagokchang has five lines, because Sijochang has three movements of music, but Gagokchang has five movements. In the second place, the Chojang(初章) and the Jungjang(中章) of Sijochang, the first chapter(初章) and the second chapter(二章) of Gagokchang have parallel relationship. Lastly, the third chapter of Gagokchang should be different from sum of the first and second chapter, but Jungjang(中章) of Sijochang is same with the Chojang(初章). In terms of mertric aspect, the former has 3 meter ``5-3-4``, but the latter has 4 meter ``3-4-3-4`` like as the Chojang(初章). To say otherwise, by the view of morphology and semantics, the third chapter of Gagokchang would not be divided equally in two part, whereas the Jungjang(中章) of Sijochang is divided. We can find these three patterns in Samdaegajip(for Gagokchang) and 『Namhuntaepyeongga』(for Sijochang). In the real world of singing, they used these altogether. But an inquiry of the two or three patterns about it`s necessity is not weakening. They recognized which pattern is appropriate for Sijochang(時調唱) or Gagokchang(歌曲唱). Through this article I try to reveal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patterns.

      • KCI등재

        『청구영언』 소재 초중대엽 노랫말 <오□이>의 수용양상에 대하여

        양태순 ( Tae Soon Yang ) 한국시가학회 2013 韓國 詩歌硏究 Vol.35 No.-

        <오□이>는 초중대엽의 노랫말 가운데 가장 먼저 형성되었고 가장 오랫동안 향유되었기에 그 영향도 적지 않았을 것으로 판단하여 그 수용양상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먼저 어법과 어휘의 측면에서 그 수용양상을 살폈다. 『청구영언』에서 『해동가요』를 거쳐 『가곡원류』쪽으로 갈수록 그 습용한 작품의 수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청구영언』에서 변형 수용된 작품들 가운데 일부는 『해동가요』와 『가곡원류』에 그대로 습용되고 있었지만, 그 습용하는 작품군은 상이한 양상을 보였다. 즉 『해동가요』는 주로 평시조를, 『가곡원류』는 사설시조를 습용하는 경향성이 확인되었다. 중대엽이라는 악곡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쇠퇴해 갔던 것과 같이 그 대표적인 노랫말인 <오□이>도 역시 같은 길을 걸었다 하겠다. 『가곡원류』에서는 중대엽이라는 악곡이 없어졌기에 중대엽에 얹어 부르던 대표적인 노랫말인 <오□이>의 영향력이 감소되는 것이 당연하고, 혹 『가곡원류』에 그 영향이 잔존한다면 중대엽의 노랫말 형식인 평시조가 아닌 다른 형식인 사설시조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음악적 측면을 고려할 때 자연스럽고도 예견된 현상이라 하겠다. 다음으로 어법이라는 외형적인 틀을 수용한 작품들 가운데 주제적 측면에서도 <오□이>와 관련된 작품들을 검토하였는데 그 결과를 <오□이>와 연관지어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오□이>가 시간만을 다루고 있는데 수용한 작품들은 공간으로도 확장시켰고, 천인관계에 있어서 <오□이>가 법천론내지 천인합일의 인식을 지녔는데 변형 수용한 작품들은 천인이 단절되거나 조화롭지 않다는 인식을 보였고, 또한 즐거움과 시름의 성격에 있어서도 <오□이>가 공적인 즐거움과 시름을 담고 있는데 수용한 작품들은 사적인 즐거움과 시름을 지녔고, 시적 화자와 작품 내용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오□이>의 경우는 시적화자가 청자인 좌상객에게 기원이나 축원의 의미로 부른 노래인데 수용한 작품은 시적화자 자신의 결의를 다지는 의미로 부른 노래임이 확인되었다. 이처럼 다양한 의미망을 형성해온 수용 작품들은 가집별로 다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청구영언』에서 『가곡원류』로 가면서 사적인 경우에는 풍류나 유흥을 즐기는 방향, 공적인 경우에는 구체적인 내용을 읊는 방향으로 변화하는데, 이 두 방향을 아우르는 것은 시적 화자의 주체적인 목소리가 보다 분명하고 높아진 것이라 하겠다. <Ohnari> is the first lyrics of Jungdaeyeob(중대엽) and has been sung for the most long term, so I think it`s effect is most likely great. I want to certify the aspect of acceptance of <Ohnari> in the three major Gajib.First, in terms of wording and vocabulary. From Cheongguyoungeon(청구영언) to Gagogwonryu(가곡원류) the number of works which accepted <Ohnari> showed gradually decreasing. In addition, the accepting aspect of Hae-donggayo(해동가요) and Gagogwonryu(가곡원류) were different. The works of Haedonggayo(해동가요) accepted it within Sijo, but the works of Gagog- wonryu(가곡원류) accepted it within Saseol-sijo. Next, in terms of thematic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Ohnari> deals only with the time, but it`s accepting works deal with not oniy the time but also the space. In the relation between Heavenly phenomena and Human affairs(천인관계), while <Ohnari> aimed the unity of the two, it`s accepting works did not. They showed the separation or incompatibility of the two. On the texture of worry and delight, while <Ohnari>`s were individual, it`s accepting works were public.

      • KCI우수등재

        〈서경별곡〉의 종합적 고찰

        양태순(Yang Tae-Soon) 국어국문학회 2005 국어국문학 Vol.- No.139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some controversies over 〈Seogyongbyulgok〉 in terms of its speaker, the division of passages, and interpretation.<br/> 1. The Speaker<br/> There are two theories about the speaker of this poem: one female speaker and multiple speakers theory. The latter contains theories: a different female speakers in each stanza, which emphasizes the work as an organic unity; alternating female and male speakers, which regards each stanza as an independent meaningful unit; and the speaker can both be a male and a female. My opinion supports the one female speaker theory because it is more reasonable to escape the possibility of destroying the sense of unity by introducing multiple speakers.<br/> 2. Division into several passages<br/> There are two theories: One is 3 stanza composition theory, and the other 4 stanza composition theory. I agree to the latter because it is backed up by much more objective and detailed grounds. <br/> 3. The problem of speaker and division is essential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under discussion. To me, the first stanza is 'a confession of relative love', the second one 'a confession of absolute love', the third one 'biased grievance', and the fourth 'self recognition'. Especially, the last line of the first stanza "Goesirandae wooreogom jotninoeeda" and the last line of the fourth stanza "Baetadeulmyon Kotkoreeda" need a special attention. The the subject of the subjunctive clause in front of each stanza is 'nim (lover)', and that of the main clause is the poetic speaker. So, the first stanza signifies the speaker's relative love that the speaker will follow the lover, leaving everything behind. The fourth stanza shows a recognition of self immersed in absolute loneliness and lack of meaning of life by showing a resolution to pluck a 'flower' if the lover leaves in a different 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