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rowth behavior of YBCO films on STO substrates with ZnO nanorods

        오세권,이초연,장건익,김경원,현옥배 한국초전도.저온공학회 2009 한국초전도저온공학회논문지 Vol.11 No.4

        The influence of nanorods grown on substrate prior to YBCO deposition has been investigated. We studied the microstructures and characteristic of YBa2Cu3O7-δ films fabricated on SrTiO3 (100) substrates with ZnO nanorods as one of the possible pinning centers. The growth density of ZnO nanorods was modulated through Au nanoparticles synthesized on top of the STO(100) substrates with self assembled monolayer. The density of Au nanoparticles is approximately 240~260 μm-2 with diameters of 41~49 nm. ZnO nanorods were grown on Au nanoparticles by hot-walled PLD with Au nanoparticles. Typical size of ZnO nanorod was around 179 nm in diameter and 2~6 μm in length respectively. The ZnO nanorods have apparently randomly aligned and exhibit single-crystal nature along (0002) growth direction. Our preliminary results indicate that YBCO film deposited directly on STO substrate shows the c-axis orientation while YBCO films with ZnO nanorods exhibit any mixed phases without any typical crystal orientation.

      • KCI등재
      • KCI등재

        만화에서 ‘말주머니’에 대한 연구 : 조형성을 중심으로

        오세권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4 No.-

        만화는 칸으로 이루어져 있고, 칸 속에는 그림과 말주머니가 있으며, 말주머니 속에는 말(글)이 있는데 그림과 말주머니는 상호보완적으로 칸을 채우고 있다. 만화는 어떠한 형식과 규범으로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작가의 의향이나 추구 방향에 따라 새롭게 형식을 만들어 가는 경우가 많다. 초기만화에서는 내용을 글로 표현하고 보조적 수단으로 그림을 삽입하였으 나 오늘날에는 주요 상황을 그림으로 설명하고 말(글)을 더하는 표현을 하고 있다. 말주머니는 외형 형태가 ‘말(글)이 담겨 있는 주머니처럼 생겼다고 ’말주머니‘라는 말을 사용하기도 하고, 외형 형태가 풍선처럼 생겼다고 ’말풍선‘ 이라 하기도 하 며, 말이 있는 칸과 같은 작용을 한다고 ’말칸‘ 이라는 말을 사용하기도 한다. 말주머니는 만화, 광고, 그림, 드라마, 홍보물 디자인 등 여러 정보 매체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는 각 매체나 작품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정보의 전달을 원활하고 생생하 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말주머니는 등장 인물의 말이나 상황들을 담아 표현하는 공간으로 조형성이 바탕되며 그 형 상에는 원형, 사각형, 타원형, 가시 돋친형 같은 기본적인 형태가 있고 혼합형으로는 두 개의 말주머니가 맞붙은 형, 원형과 사각형이 혼합되어 있는 형 등 만화 내용의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가 나타난다. 말주머니의 조형성은 그림과 함께 어 울리는 말주머니의 형태, 크기, 위치, 색채 등의 변화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칸 내에서 조형 공간을 이루고 있다. 그 조형 공간은 ‘그림의 설명 공간’ , ‘그림과 내용을 이어주는 공간’ ‘감정의 표현공간’ ‘배치를 통한 시간 흐름의 공간’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말주머니는 인물의 대화, 정보, 감정을 표현하는 공간으로 기능적이고 조형적인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조형적 역할의 특성을 ‘공간성’ ‘배치성’ ‘추상성’ ‘가독성’으로 보았다. Comics are comprised of panels, and within these panels exist illustrations and speech pockets. Within the speech pockets are words (text). The images and speech pockets complement each other, filling the space within each panel. Comics are not bound by a specific format or standard, as artists often create new styles based on their personal intentions and directions. Early comics conveyed the main content through text, with images serving a supplementary role. However, modern comics primarily express major events through illustrations, with text being an added layer. The term ‘speech pocket’ is sometimes used because its shape resembles a :pocket containing words,“ or due to its balloon-like appearance, it’s termed ‘word balloon.’ Additionally, because it serves a function similar to a box containing words, it’s referred to as ‘text box.’ speech pockets are utilized in comics, advertisements, illustrations, dramas, promotional design, and various other mediums. This is to facilitate and vivify the conveyance of intended information in each medium or artwork. These bubbles encapsulate the speech or situations of characters, grounded in artistic form. They come in basic shapes like circular, rectangular, oval, spiked, and more. There are also combined forms, such as two bubbles joined together, and combinations of circular and rectangular shapes, depending on the comic’s context. The formability form of speech pockets harmonizes with the illustrations. Their shape, size, position, and color undergo various transformations, constituting an artistic space within the panel. This artistic space can be seen as the ‘explanatory space of the illustration,’ ‘a bridge between the illustration and its content,’ ‘an expression of emotion,’ and ‘a space that conveys the flow of time through arrangement.’ Additionally, speech pockets serve as spaces to represent dialogue, information, and emotions, playing both functional and artistic roles. This study perceives the characteristics of its artistic role as ‘spatiality,’ ‘arrangement,’ ‘abstractness,’ and ‘readability.’

      • KCI등재

        현대 한국화에 나타나는 ‘차용’ 표현에 대한 연구

        오세권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2

        Appropriation in art refers to the use of objects or images of well-known artworks. Artists often borrow pre-existing images that appeared in popular culture. They do not simply recycle theses objects and images, but also reinterpret or reconstruct them for their artworks. The discussion on appropriation was stimulated as postmodernism was introduced into the Korean art world. There have been terms for appropriation in East Asian paintings. Mojak, imjak, and bangjak are the examples, which means emulation and learning. In the contemporary Korean art history, the term 'appropriation' began to be used in the late 1980s. In Korean Style paintings, many artists have employed appropriation for their art creation. The most frequently appropriated elements are taken from folk paintings, traditional paintings, and western paintings. Different from representative expressions in the previous period, 'appropriation from folk paintings' in the 2000s is somewhat strategic, which often appeared in pop art. Hong Jiyeon and Kim Jihye are major artists who belong to this sub-group. ‘Appropriation from traditional paintings' uses masterpieces in Korean traditional art, and Seok Cheolju and Yi Gilwoo are main artists. ‘Appropriation from western paintings’ is employed by Nam Hyeonju and Yi Hyeonjin. These artists appropriate images in masterpieces in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artifacts, and folk art. Adopting digital technology and combining a variety of images from the different periods in the East and West in the process of appropriation, their artworks transform into new styles of paintings. 미술에서 ‘차용’은 과거의 미술사 등에 이미 등장했던 명작을 인용하거나 대중문화와 같은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등장했던 기존의 이미지들을 끌어와 새롭게 재해석하거나 재구성하여 작품을 제작하는 것을 말한다. 차용의 논의는 포스트모더니즘 미술 표현에서 촉발되었다. 차용과 비슷한 의미로 동양회화에서는 모작, 임작, 방작의 표현이 있었다. 이들은 모두 학습의 개념인 ‘학(學)’에 바탕을 두고 ‘본받는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한국 현대미술에서는 1980년대 후반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의 유입과 함께 ‘차용’의 표현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한국화 부분에 있어서도 포스트모더니즘 유입 이후부터 ‘차용’을 이용하여 표현하는 작품들이 시도되고 있는데 ‘민화’ ‘전통회화’ ‘서양회화’가 주요 차용의 요소였다. ‘민화의 차용’에서는 2000년대에 들어 이전의 재해석적인 표현과는 다른 전략적인 차용의 표현으로 민화가 팝아트 표현으로 나타났으며 대표 작가로는 홍지연, 김지혜 등이 있다. ‘전통회화의 차용’에서는 우리의 전통 명화를 차용한 것으로 대표 작가로 석철주, 이길우 등이 있다. ‘서양회화의 차용’에서는 서양의 명화를 차용하여 표현한 것으로 남현주, 이현진 등이 있다. 주요 특성으로는 차용 가운데에서도 전통 미술에서 나타나는 명화, 유물, 민화를 차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차용과정에 있어 디지털 과정을 거치면서 새로운 회화로 변용되었으며 시간과 공간이 다른 이미지를 융합하거나 동양과 서양의 명화 이미지를 융합하여 표현하기도 하였다.

      • KCI등재

        Duality of co-Poisson Hopf algebras

        오세권,박형민 대한수학회 2011 대한수학회보 Vol.48 No.1

        Let A be a co-Poisson Hopf algebra with Poisson co-bracket δ. Here it is shown that the Hopf dual A˚ is a Poisson Hopf algebra with Poisson bracket {f,g}(x)=<δ(x),f[기호]g> for any f,g∈ A˚ and x ∈ A if A is an almost normalizing extension over the ground field. Moreover we get, as a corollary, the fact that the Hopf dual of the universal enveloping algebra U(g) for a finite dimensional Lie bialgebra g is a Poisson Hopf algebra.

      • KCI등재후보

        카카오 이모티콘에서 나타나는 명화의 패러디 연구

        오세권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7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0 No.-

        본 연구는 국내 모바일 메신저 회사인 카카오(kakao)의 이모티콘(Emoticon)에서 나타나는 명화의 패러디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모티콘은 ‘감정을 표현하고 전달하는 시각적 기호’를 의미하며 ‘감성기호’이자 ‘문화기호’이다. 1980년대 미국에 서 등장하였으며 국내에서는 1990년대 인터넷과 PC통신의 채팅이 보편화되면서 본격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2000년 대에 들어서는 핸드폰 등을 통하여 다양한 이모티콘이 사용되고 있으며 디자인에 있어서도 많은 발전을 가져왔다. 패러디(parody)는 ‘방법적 인용’이라고 정의되는데 일정한 의도를 가지고 기존 작품을 인용하여 새로운 창의성으로 표현하 는 것이다. 그리고 원작을 조롱하는 좁은 의미로만 이해되는 것이 아니라 확장된 의미로 존경심의 경의적 표현으로 정의하 기도 한다. 명화를 활용한 카카오의 이모티콘에서 나타나는 패러디를 분석해 본 결과 다빈치의 <모나리자>, 뭉크(E.Munch)의 <절 규>, ... 등 모두 48개의 이모티콘이 패러디 되어 있다. 그 가운데 밀레의 <이삭줍는 사람들>은 ‘먹고 살기 힘들다’ 는 감정 의 내용이 패러디 되었고, 클림트의 <유디트>는 웃음과 눈물을 동시에 쏟아내는 심경의 여인으로 패러디 되어 있으며, 마 네의 <피리부는 소년>에서는 ‘인생 뭐 있어 즐겁게 살다가면 되지’라는 감정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고호의 <자화상>에서는 이익을 얻은 기분 좋은 감정을 패러디 하였다. 고갱의 <타이티의 여인들, 해변에서>는 ‘나는 지금 웃을 기분이 아니다’ 라 는 감정을 패러디 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parodies celebrated pictures appearing in the emoticons of Kakao, a domestic mobile messenger company. Emoticons mean ‘visual symbols that express and convey emotions’, which are ‘emotional symbols’ as well as ‘cultural symbols.’ Emoticons appeared in the United States in the 1980s and began to be utilized in earnest in South Korea in the 1990s when chatting through the Internet and PC communications became popular. From the beginning of the 2000s, diverse emoticons have been used through mobile phones, etc., and the designs have been developed drastically. A parody is defined as a ‘methodical citation.’ It is citing an existing work to express it with new creativity with a certain intention. It is not only understood in the narrow sense of ridiculing the original work but also understood in the expanded sense of a respectful expression of respect.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parodies utilizing celebrated pictures appearing in the emoticons of Kakao, a total of 48 emoticons parodied celebrated pictures such as Da Vinci's <Mona Lisa> and E. Munch's <The Scream>. Among them, the emoticon that parodied <The Gleaners> of Millet that ‘It is difficult to eke out a living.’ The emoticon that parodied <Judith> of Klimt parodied a woman with a mind to pour out laughter and tears simultaneously and the emoticon that parodied the <Le Joueur de fifre> of Manet expresses the emotion, ‘What does matter in life? I will just live pleasantly until I die.’ The emoticon that parodied the <Self Portrait> of van Gogh parodied a good feeling after obtaining gains. The emoticon that parodied the <Tahiti Women on the Beach> of Gauguin expressed the emotion, ‘I am not in a mood to laugh now.’

      • KCI등재후보

        수용자 해석 공간으로서 ‘여백’(餘白)에 대한 연구- 현대 한국화에서 나타나는 ‘여백’ 표현을 중심으로 -

        오세권 한국기초조형학회 2004 기초조형학연구 Vol.5 No.4

        ‘여백’은 동양화 표현에 있어서 공간개념을 말하는데 그림에 있어서 그려지지 않고 비어있는 공간을 말한다. 이때 여백은 그림에 있어서 완성되지 못한 상태가 아니다. 그림이 그려지지 않고 비어있는 공간이지만 오히려 그 속에는 그려져서 나타나 있는 것 보다 더 많은 내용을 담고 있다. 수용이론은 소통성을 ‘작가’나 ‘작품’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와의 관계로 확대하는 것이다. 작품이 독자에 의해 어떻게 감상되고 또 어떠한 감동을 일으키며 수용되는가 하는 것을 중요시 한다. 즉 예술표현에 있어서 소비자인 대중의 위치가 새롭게 자리매김 되고 대중들의 반응에 의한 생산이 촉진되는 것이다. 현대 한국화의 ‘여백’ 표현에서 감상자가 개입할 수 있는 수용 미학이 나타나는데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표현들에서 확연하게 나타난다. 작가의 의도를 중심으로 작품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수용자인 관람자 중심의 해석과 이해의 시기가 된 것이다. 현대 한국화에서는 나타나는 수용자 해석 공간으로서 ‘여백’은 크게 ‘전통적 여백’ ‘몽타주에 의한 생략의 여백’ ‘임의적 공간 생략의 여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여백의 공간을 통하여 관람자는 작품에서 보여주는 정보를 일방적으로 받아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 관람자가 직접 여백에 개입하여 자유로운 상상으로 작품의 의미를 다양하게 해석해 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현대 한국화에서 나타나는 ‘여백’은 수용자의 자유로운 상상 공간으로 작품의 내용과 의미를 더욱 깊고 풍부하게 하고, 생명력 있는 화면으로 만들어 준다. ‘Margins', one of the concepts of space in Oriental Painting, are not filled with images, but they also don't indicate an incompleteness of a painting. Although this space is blank, it has more contents than the image does.The Aesthetics of Reception expands its communication to the relationship with 'viewers' rather than focusing on an 'artist' or a 'work'. It emphasizes how a work is appreciated and accepted by viewers and how the work touches viewers on an emotional level. In artistic expression, this is where an acceptee gains a new level of understanding and at the same time art production is promoted by the response of the acceptee. This Aesthetics of Reception, which invites viewers in, is also detected in the expression of 'Margins' in contemporary Korean style painting, especially in work after Postmodernism. Both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are made by an acceptee, the viewer, rather than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artist. In contemporary Korean style painting, 'Margins' explore the following three spaces as an acceptee's interpretative space; 'traditional margins', 'omission margins by montage' and 'margins by random space omission'. Viewers are able to interpret a work in various ways by directly understanding the margin of painting with a free imagination instead of by forcefully accepted information. In this respect, 'Margins' in Korean style painting after Postmodernism hold an acceptee's free imaginative space, which makes the contents and meanings of a work more profound and rich, and gives a vitality to the painting surface.

      • KCI등재

        ‘차용’ 표현으로 본 불교와 대순진리회의 ‘심우도(尋牛圖)’ 연구

        오세권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0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0 No.-

        불교 사찰이나 대순진리회(Daesoon Jinrihoe) 도장에 가면 벽면에 소가 있는 그림을 볼 수 있다. 이 소 그림을 ‘심우도(尋 牛圖 Simwoodo)’라고 한다. 수도과정을 동자가 소를 찾는 것에 비유한 형식의 심우도 그림은 티벳이나 도교(道敎)에서부터 유래되었다고 하는 주장도 있으나 정확한 유래는 알 수 없으며 불교의 선종(禪宗)에서 사용하여 불교의 그림으로 인식 되어 왔다. 대순진리회의 심우도에서도 수도인이 입도(入道)를 하고 수도과정을 거쳐 도통(道通 Dotong)에 이르는 과정을 알기 쉽게 그림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미술에서 ‘차용’기법은 현대미술에서 많이 사용되는데 미술사나 광고 미디어 등에서 과거에 이미 등장한 형상과 다른 형상을 합성시켜 새로운 작품을 제작하는 기법을 말한다. 즉 과거나 기존에 존재했던 작품이나 이미지를 빌려와 합성하여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내는 것을 말한다. 서양에서는 마네(E. Manet), 피카소(P. Picasso), 뒤샹(M. Duchamp)을 거쳐 레빈(S.Levin)에 이르기까지 많은 작가들이 과거 미술사의 유명한 작품들을 차용하고 새롭게 만들어 원작이 가지고 있는 원래의 의미를 확장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불교 사찰이나 대순진리회에서 사용하는 ‘심우도’를 현대미술의 ‘차용’ 개념으로 접근하여 불교 사찰의 심우도와 대순진리회의 심우도가 같아 보이지만 차이가 있으며 서로 차용의 독창성이 있음을 논하고자 한다. 그 결과 불교와 대순진리회의 심우도가 오래전부터 소를 상징으로 하여 전해져 오는 목상도(Moksangdo), 목우도(Mokwoodo), 십우도(Sibwoodo), 팔우도(Palwoodo) 등 유명 ‘심우도’의 개념을 차용하고 새롭게 각색함으로써 불교와 대순진리회의 새로운 ‘심우도’로 표현되어 있음을 밝히고 있다. In the Buddhist temple or the studio of Daesoon Jinrihoe, we may run into the painting of cattle on the wall. This cattle painting is called ‘Simwoodo’. Some say Simwoodo that takes the form of comparing the ascetic process with a child looking for cattle originated from either Tibet or Taoism, but the origin is not clearly unknown. Yet, as the Zen sect of Buddhism has been adopting it, it is recognized as Buddhist painting. Simwoodo in Daesoon Jinrihoe, too, is a painting to depict the process of ones becoming an ascetic and reaching Dotong through cultivation easily. In the field of fine arts, ‘appropriation’ technique is often adopted particularly in contemporary art. It is a method to produce a new work by combining a form that appeared in art history or advertising media previously with another form. In other words, it is creating a new work by borrowing either works or images that have already existed and combining them with others. In the West, many artists including E. Manet, P. Picasso, and M. Duchamp up to S. Levin practiced appropriation on famous works in art history and created them newly so as to extend the original meaning that the original work has. This study is intended to approach ‘Simwoodo’ used in Buddhist temples and Daesoon Jinrihoe with the concept of ‘appropriation’ in contemporary art and discuss the point that Simwoodo in Buddhist temples and Daesoon Jinrihoe seem similar but are, in fact, different and have their own uniqueness in terms of appropriation. As a result, this study has revealed that Simwoodo in Buddhism and Daesoon Jinrihoe are expressed as new ‘Simwoodo’ as they appropriate the concept of well-known ‘Simwoodo’ such as Moksangdo, Mokwoodo, Sibwoodo, and Palwoodo that have been handed down from a long time ago taking cattle as a symbol.

      • KCI등재후보

        ZnO 나노막대가 형성된 STO기판에 증착한 Y-Ba-Cu-O 박막의 미세구조 분석

        오세권,장건익,강병원,김경원,이초연,현옥배,Oh, S.K.,Jang, G.E.,Tran, H.D.,Kang, B.W.,Kim, K.W.,Lee, C.Y.,Hyun, O.B. 한국초전도학회 2009 Progress in superconductivity Vol.11 No.1

        For many large-scale applications of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ng materials, large critical current density ($J_c$) in high applied magnetic fields are required. A number of methods have been reported to introduce artificial pinning centers in $YBa_2Cu_3O_{7-{\delta}}$ films for enhancement of their $J_c$. We studied the microstructures and characteristic of $YBa_2Cu_3O_{7-{\delta}}$ films fabricated on $SrTiO_3$ (100) substrates with ZnO nanorods as pinning centers. Au catalyst nanoparticles were synthesized on STO substrates with self assembled monolayer to control the number of ZnO nanorods. The density of Au nanoparticles is approximately $240{\sim}260{\mu}m^{-2}$ with diameters of $41{\sim}49nm$. ZnO nanorods were grown on STO by hot-walled PLD with Au nanoparticles. Typical size of ZnO nanorod was around 179 nm in diameter and $2{\sim}6{\mu}m$ in length respectively. YBCO films deposited directly on STO substrates show the c-axis orientation, while YBCO films with ZnO nanorods exhibit any mixed phases without any typical crystal ori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