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국어 음절 교육 연구

        이해숙 한국국어교육학회 2015 새국어교육 Vol.0 No.10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necessity and difficulty of Korean syllable education, and to propose improvement plan by researching current state of Korean syllable education. Syllable Education enables analytic thinking about language, facilitates an understanding of the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and the excellence of Hangeul. However, the difficulty of defining syllables and the difference of syllable structures make it difficult to teach syllabic knowledges. Data were obtained from Educational Curriculum, phonetics units in 16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questionnaire survey on syllable recognition.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rom 181 middle school students and 20 middle school teachers in Seoul. Results showed that 1) students cannot acquire the knowledge about Korean syllable implicitly such that the explicit education is unavoidable; 2) students were not proficient in counting syllable number; 3) students considered deep syllable as ‘syllable’. Lastly, instructional implications for the classroom were also discussed. It is necessary to adopt syllable education in curriculum, to introduce the explanations of syllable and the curricular activities in textbooks, and to implement syllable education along with foreign languages. 본 연구는 국어 음절 교육의 필요성과 난점을 고찰하고, 중학교 국어 음절 교육의 현황(교육과정, 16종 교과서, 교사와 학습자의 인식)을 조사하여, 음절 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음절 교육은 언어에 대한 분석적 사고를 가능하게 하고, 음운의 변동 현상 및 어문 규범, 한글의 우수성을 이해하게 하며, 스피치 교육에 필요하다. 그러나 음절 개념의 복잡성, 언어마다 다른 음절 구조, 음절 교육의 중요성 인식 부재로 인해 교육에 어려움이 있다. 중학교의 교사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 음절에 대한 지식이 저절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는데, 실제 현장에서 잘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았다. 학생들은 음절수를 잘 알지 못하거나, 표면음절보다는 기저음절을 음절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에서 음절 교육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어야 하고, 교과서에서 음절에 대한 설명, 학습활동이 제시되어야 하며, 외국어와 연관 지어 음절 교육을 해야 한다.

      • KCI등재

        국어 겹받침 발음의 원리와 교육에 대하여

        이창덕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9 No.-

        In modern Korean, 11 final double consonants ‘ㄳ, ㄵ, ㄶ, ㄺ, ㄻ, ㄼ,ㄽ, ㄾ , ㄿ, ㅀ , ㅄ’ a re u sed to w rite w ords i n sentenc es. These double consonants are regarded very difficult for the most Korean learning students to pronounce exactly by ‘The regulation of Korean Pronunciation Standard’. This paper aims to find out the principle of final double consonants’pronunciation in Korean syllable and to devic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about double consonants’ pronunciation. I have made clear that ‘the closed syllable preference’ regulates all the course of final consonants pronunci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gulation,the way of the 11 final double consonants’ pronunciation can be explained more systematically than the provision of ‘The regulation of Korean Pronunciation Standard. To the regulation of closed syllable preference, I suggest to change the rule of final ‘ㄼ’ sounds become to [ㅂ] sound not to [ㄹ] sound in the end of a word or in front of other consonants. And I insist the word ‘여덟’ have to be written as ‘여덜’ because ‘ㄼ’ of ‘여덟’is p ronounc ed a s [ㄹ] in all c ircumstanc es . To have students understand the way final double consonants’pronunciation, ‘The regulation of Korean Pronunciation Standard’ should be revised according the rule of closed syllable preference. After that various textbooks on the Korean pronunciation and other teaching materials have to be arranged with teacher’s training about that. 이 논문은 현대 국어 겹받침 발음에 적용되는 기본 원리를 제시하고, 현재 혼란양상을 보이고 있는 국어 겹받침 발음의 교육 개선 방향을 제시한 논문이다. 현대국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11개의 겹받침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의발음이 어렵게 여겨지거나 교육 현장에서 혼란스럽게 가르쳐지고 있는 이유는 국어겹받침 발음의 원리를 제시하지 않고 가르쳐 온 것이 주요 원인임을 지적하고, 국어음절 발음에서 ‘폐음절 선호 원리’를 겹받침 발음의 기본 원리로 제시해야 함을 밝혔다. 지금까지 겹받침 글자의 앞뒤 순서나, 한글 자모의 순서 등의 기준을 가지고 겹받침 발음을 가르치려고 하고, ‘국어 표준발음법’에서도 복잡한 조항과 [붙임] 등으로여러 예외 조항을 두어 설명하면서 받침 발음 교육의 어려움을 가중시킨 부분이 있었음을 지적했다. 국어 음절의 받침 발음에서 적용되는 원리로 ‘폐음절 선호 원리’를 밝히고, 그에맞추어 국어 표준 발음법을 일부 수정 보완하여 정비하고, 학교 교육에서는 국어 발음 교육의 내용을 정리하고, ‘폐음절 선호 원리’와 같은 원리 중심으로 효과적인 발음교육을 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 논문에서 제안한 내용은 모국어 교육으로서 국어교육뿐만 아니라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 영역에서도 그대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의 교육용 어휘목록』Ⅰ, Ⅱ단계의 어휘에 나타난 말소리 특성

        권회연(Kweon Hoe-yeon),박중휘(Park Joong-hui)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9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2 No.2

        이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의 교육용 어휘목록으로 권회연 등(2017)의 연구에서 제시한 100개의 어휘를 대상으로 음소, 음절, 단어 등의 언어학적 단위에서 말소리의 특징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어휘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100개의 어휘에 나타난 자음자의 활용실태를 살펴보면, ‘ㄷ’의 출현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이 ‘ㄴ’, ‘ㄱ’, ‘ㄹ’의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초성으로 사용된 자음자로 한정한 경우, ‘ㄷ’의 출현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종성으로 사용된 자음자의 경우에는 ‘ㄹ’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았다. 경음의 경우, ‘ㅃ’이 초성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종성에서는 ‘ㅆ’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겹받침의 경우에는 ‘ㄵ’, ‘ㄶ’, ‘ㄺ’, ‘ㅀ’, ‘ㅄ’이 각각 1회씩 나타났다. 둘째, 모음에서는 ‘ㅏ’의 출현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는 모음자뿐만 아니라, 자음자를 포함하여도 가장 출현빈도가 높은 음운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ㅣ’, ‘ㅓ’, ‘ㅜ’, ‘ㅗ’, ‘ㅡ’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모음은 전체적으로 출현빈도가 높지 않았다. 셋째, 음절 유형에서는 자음자와 모음자로 구성된 2유형의 음절 유형이 전체의 43.5%로 가장 높은 출현빈도를 보였다. 다음은 자음과 모음, 자음으로 구성된 4유형 음절 유형이 36.4%로 나타났다. 넷째, 음절수 측면에서는 2음절 어휘가 전체의 6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음절의 어휘가 19.0%이고, 1음절 어휘는 18.0%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장 많이 사용된 음운현상은 경음화로 16회 나타났으며, 다음은 받침법칙으로 11회 나타났다. 그 외 ‘ㅎ’ 축약이 4회, 마지막으로 연음화가 1회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어휘교육의 함의를 도출하고 후속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a list of educational vocabulary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ffective vocabulary education. Among the 1,000 vocabularies presented in the study of Kweon et al(2017), 100 vocabulary which is the most functional and most urgent as educational vocabulary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use of consonants in 100 vocabularies shows the highest occurrence frequency of c . The following appeared 26 times as ㄴ and 25 times as a and appeared at the same frequency. Next, 22 cases of ㅁ and ㅅ appeared. The next one was f , i , o .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ㄷ was the highest when it was limited to the consonants used as the beginning. In the case of ㅃ appeared 3 times in the beginning, ㅆ appeared 3 times in the final consonants. Second, the frequency of a appeared the highest, so it was used 101 times. This result showed that the most frequent phonemes included not only vowels but also consonants. Next, ㅣ and ㅜ were used 25 times, followed by ㅓ and ㅜ respectively 16 times. Next, ㅗ and ㅡ were 15 times and 14 times.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the double vowels as a whole was not high. Third, two types of syllables composed of consonants and vowel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43.5%. The four types of syllables consisted of consonants, vowels, and consonants shows the highest occurrence frequency as 36.4%. Fourth, in syllable number, two syllables was the highest at 60% of the total. Fifth, the most frequently used phonological phenomenon appeared 16 times as a result of tense conson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of vocabulary education were derived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follow up study.

      • KCI등재후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영어 발음 교육 자료 개발

        윤여범 ( Yeo Bom Yoon ),김용구 ( Yong Gu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2 한국초등교육 Vol.23 No.3

        2009년도에 개정된 초등영어 교육과정에서는 국제어(global language)로서의 영어의 성격이 강조되고 있으며, 특히 발음 교육의 측면에서는 영어 원어민 수준의 정확성보다는 학습자 자신의 발음을 상대방에 무난히 이해시킬 수 있는 정도, 즉, 이해도(intelligibility)의 상승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발음 교육에 관한 최근 문헌(Jenkins, 2000; Rogerson-Revell, 2011, Walker, 2010)을 살펴보면 영어 발음의 이해도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다. 본 논문은 Jenkins(2000)의 국제어로서의 영어 발음의 핵심 요소(LFC: Lingua Franca Core)를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초등영어 교육 환경에 적합한 요소를 추출하여 발음 교육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 자음에서는 /l/과 /r/의 구별, /p/와 /f/의 구별, 자음군의 발음, 모음에서는 /i:/와 /i/의 구별, /u:/와 /u/의 구별, 강세에서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2, 3음절 단어의 강세 연습, 억양에서는 성조 음절이 우리나라의 초등영어 교육 현장에서 필수적으로 지도되어야 할 발음의 요소로 나타났다.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for Primary English brought many important changes, one of which is the emphasis of English as a global language. This change is closely related to the debate on the goals of teaching English pronunciation: gaining native-like competence vs. improving intelligibility. In an EFL setting like Korea, the latter goal is considered more realistic. Moreover, the change in the national curriculum is in favor of the latter more realistic goal of teaching pronunciation. In this paper, five main aspects of English pronunciation (i.e., consonants, vowels, stress, rhythm, and intonation) are compared in terms of their contribution to the intelligibility of Korean learners of English,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particular. The four concepts are suggested as core teaching materials in primary English pronunciation: (1) contrasts in consonants (/l/ vs. /r/; /p/ vs /f/) and consonant clusters; (2) length contrasts in vowels; (3) stress in two- and three-syllable words; and (4) the tonic syllable in intonation. This selection, of course, does not mean that other concepts are not important, but it suggests that the four concepts need to be taught first.

      • KCI등재

        초등학생의 영어 단음절 구조의 지각 양상에 관한 실험 연구

        김민성(Kim, MinSung),김정렬(Kim, JeongRy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8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초등학생의 영어 단음절 구조 지각 양상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자는 초등학교 4학년으로, 이틀 동안 실험 1과 실험 2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 1은 음성 유사성 실험으로서, 학생들은 40개의 단어쌍을 듣고 음성 유사성 정도를 6단계 척도로 표시하였으며, 한 학급당 소요시간은 약 10분으로 비교적 간단한 실험이었다. 모든 단어쌍은 단음절 단어로 이루어졌으며, 공유하는 요소(각운, 음절체, 초두자음과 말미자음, none)에 따라 네 가지 유형의 단어쌍으로 구성하였다. 실험 2는 단어 유추 읽기 실험으로서, 학생들로 하여금 단서 단어와 음 절하위단위(각운, 음절체, 모음, none)를 공유하는 네 가지 유형의 단어를 읽게 하였다. 실험 2는 실험 목적에 부합하는 학생 선발을 위해 사전에 예비검사를 실시하였 으며, 그 결과 평균 수준의 영어 읽기 능력을 보이는 29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학생들은 단어를 읽기 전, 단서단어를 읽는 법을 먼저 배움으로써 단어 유추 읽기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개별 실험으로서 학생 1인당 평균 소요시간은 약 5분 내 외였다. 연구 결과, 실험 1에서 학생들은 음절체를 공유한 단어쌍을 들었을 때 가장 유사하다고 느꼈으며, 실험 2에서 학생들은 단서단어와 음절체를 공유한 단어 읽기에서 가장 높은 수행을 보였다. 본 연구의 주된 관심사는 음절체와 각운에 있는데, 두 가지 실험을 통해 초기 영어 학습 단계의 한국 아동은 단어를 인지할 때 각운보다 음절체를 우선적으로 지각하는 양상을 보이며, 음절체를 근거로 하여 단어를 읽어내는 경향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ual aspect of English monosyllabic structure. In this study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and the participants were fourth-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44 for experiment 1, 29 for experiment 2). In experiment 1, students were asked to listen to 40 stimulus pairs and rate the sound similarity of the pairs on 6-point scale. All the pairs were composed of monosyllabic words and there were four types of pairs that shared rimes, syllable bodies, two consonants, and none of them. In experiment 2, students were asked to read four types of words which shared sub-syllabic units with the clue words-rimes, syllable bodies, vowels, and none of them. Before they read the words, they first learned how to read the clue word so that they can use analogy in word reading. In experiment 1, the result showed that the students rated words which shared syllable bodies as most similar. In experiment 2, the students showed the best performance in reading the words that shared bodies with the clue words. This study mainly focused on students’ response to the words shared bodies and rimes. Both experiments indicated that Korean children at the early stages of learning English have a preference for the body-coda structure over the onset-rime structure when they perceive words and have a tendency to read words based on the syllable body.

      • KCI등재

        중국어와 일본어 모어 화자의 한국어 음절 종성 산출 차이 연구

        장향실 ( Hyang Sil Chang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5 No.-

        본고는 한국어 음절 종성에 대한 일본어와 중국어권 화자의 산출 차이에 대해고찰하였다. 중국어권 학습자와 일본어권 학습자는 공통적으로 한국어의 종성 ‘ㄱ, ㄷ, ㅂ’ 등을 제대로 발음하지 못하는데, 그 이유는 학습자의 모국어인 중국어 및 일본어와 목표어인 한국어의 음절 구조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런데 주목을 요하는 것은 두 언어권 학습자의 발음 산출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중국어권 학습자들은 대개 음절 종성을 탈락시켜 발음하는 경향이 강한 반면, 일본어권학습자들은 음절 종성을 후행 음절의 초성으로 재음절화하여 발음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한국어의 CVC 음절을 가지는 단어에 대해 일본어권 학습자는 CV.CV로 산출하는 데 비해 중국어권 학습자는 CV로 산출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기존의 음운론 연구에서는 외국인 학습자의 목표어 음절 종성 발음은 목표어의 음절종성이 가진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하지만 한국어의 같은 종성 자음에 대해 두 언어권 학습자가 달리 산출한다는 것은, 그 원인이 학습자 모어의 음절구조 및 음절화 원리에서 비롯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와 중국어의 음절 구조 특징 및 음절화 원리를 살펴보았다. 특히 두 언어가 모두 기본적으로 CV 음절 구조를 가지는 언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산출 결과가 나오는 원인에 대해 주목하였다. 분석 결과일본어권 학습자가 한국어의 CVC 음절을 CV.CV로 산출하는 이유는 그들이 한국어의 음절 종성을 일본어의 촉음 廷와 발음 ん로 대응하는 데서 비롯되는것으로 파악된다. 일본어권 화자는 한국어의 종성을 일본어의 촉음이나 발음으로 대응시키는데, 이들은 CV-Q.CV, CV-N.CV의 구조로만 나타나야 하는 음절 구조 제약을 가진다. 이 때문에 한국어의 CVC 음절을 CVC.CV구조로 발화하는 것이다. 중국어권 학습자의 경우, 한국어 종성 탈락은 그들이 하나의 형태소를 하나의 음절로 인식하여 음절화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하나의 형태소(문자)를 하나의 음절로 인식하기 때문에 한국어를 인식할 때에도 음절 단위로 표기되는 한국어의 표기에 많이 견인되어 오류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different outputs of Korean syllable-final consonant that are pronounced by Chinese and Japanese learners. The Chinese and Japanese who are learning Korean samely pronounce Korean syllable-final consonant incorrect especially, syllable final consonant ㄱ, ㄷ, ㅂ. The inaccuracy results from the difference in syllable structure among the Korean, Chinese, and Japanese. Other study on Korean phonology regard the error of foreign learners`` pronounce as being due to the nature of syllable-final consonant of target language. But different output of syllable-final consonant in Korean between Chinese and Japanese learners shows that the causes of error result from the syllable structure of foreigners`` mother tongue. By the way, it is different that the output of Korean syllable-final consonant pronounced by Chinese and Japanese learners. The Chinese learners are generally apt to eliminate syllable-final consonant of Korean. But the Japanese learners usually resyllabicate the consonant in coda as the next initial consonant. It means that the Chinese learners pronounce the word which is CVC syllable structure like CV syllable structure word. But the Japanese pronounced like CV.CV structure word. The reason for the Japanese learners output as CV.CV structure in pronounce CVC structure word is that the Japanese learners unconsciously regarded the syllable-final consonant as Japanese ``廷`` or ``ん``. As result, the Japanese learners outputs as CV-Q.CV CV-N.CV structure. But the Chinese learners`` eliminating the syllable-final consonant are result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which is the certain syllable boundary. The Chinese learners are affected by the characteristic of their syllable structure.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outputs of Korean syllable-final consonant produced by foreign learners, especially Janpanese and Chinese learners. The foreign learners`` error are caused by the syllable structure of their mother tongue.

      • KCI등재

        한국어 어말 종성 발음의 유형적 특성

        김선정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0 한국학논집 Vol.0 No.78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language-specific characteristics of syllable-final consonants pronunciation, and to find a way to make use of them when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In English, final obstruents in words such as ‘cook [kuk], cat [kæt], pop [pɑp], bus [bʌs], cheese [ʧi:z], massage [mæsɑʒ], beach [bi:ʧ], chief [ʧi:f], cave [keiv]’, etc. are pronounced according to their phonetic values. However, in German, final obstruents are not pronounced according to their phonetic values, but rather as their voiceless counterparts, as can be seen in ‘Wald’ and ‘Hund’ pronounced as [valt] and [hunt] respectively. This syllable-final devoicing process also takes place in Dutch, Uzbek, and several other languages. On the contrary, in Korean, the pronunciation of ‘입’ and ‘잎’ is identical, and so is the pronunciation of ‘낫’, ‘낮’, and ‘낯’. In other words, in Korean, the distinction of plain and aspirated is neutralised, and the distinction of fricative and affricates is lost. This is caused by the unreleasing phenomena, which is also found in Thai and Vietnamese. Yet, in the case of Vietnamese and Thai, in contrary to Korean, the syllable-final liquids are not pronounced. On the other hand, we know well than in Mandarin Chinese only ‘n’ and ‘ŋ’ can be pronounced in that position, whereas in Japanese only ‘n’ and ‘m’ are pronounced, unless one of the consonants sharing the same place of articulation is followed i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following syllable. Such characteristics cause a negative transfer on their Korean pronunciation when learning the language, with each of the pronunciations displaying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earner’s mother tongue. For instance, English, German, and Uzbek speakers pronounce Korean syllable-final obstruents as released plosives, while Thai speakers almost never pronounce them as released plosives, yet they tend do pronounce the syllable- final ‘ㄹ’ as [n]. On the other hand, Chinese speakers completely eliminate the syllable-final consonants in their pronunciation, and Japanese speakers pronounce them with an addition of the vowel [u]. For this reaso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languag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syllable-final consonants pronunciation, and seeks a way to make use of them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한국어 어말 종성 발음의 유형적 특성이 연구의 목적은 언어유형론의 한 분야인 음운 유형론의 시각에서 자연언어의 어말 종성의 발음에 나타나는 특성을 유형별로 나누어 보고, 이를 한국어의 종성 자음 교육 방안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한국어 발음 교육과 관련된 연구를 보면 한국어의 ‘달’을 타이어 화자들의 경우에는 [단]으로 발음하고, 일본어 모어 화자들의 경우에는 [다루]와 같이 발음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영어 단어 ‘bonus’와 massage’를 한국어에서는 각각 [보너스]와 [마사지]로 발음하는 반면에 타이어에서는 각각 [보넏]과 [마삳]으로 발음한다. 이러한 사실은 한국어교육에서 나타나는 오류나 언어 차용 시 나타나는 어말 음운 조정현상이 음절 구조 차원의 설명만으로는 부족하고, 음절을 이루는 음소 차원으로까지 확대되어야 적절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어말 종성 발음과 관련된 선행 연구나 자연언어의 음운 정보를 통계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그 어느 곳에도 어말 종성의 발음에 관한 항목은 없다. 예를 들어, 자연언어의 특징을 149개의 entry로 나누어 제공하고 있는 WALS(The World Atlas of Language Structures)에도 자음과 모음을 비롯하여 자음과 모음의 비율, 음절 구조 등에 관한 많은 정보는 제시되어 있으나 자음의 위치별 특징, 특히 종성 발음에 관한 정보는 없다. 또한 세계 451개 언어의 음운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UPSID(UCLA Phonological Segment Inventory Database)에도 종성 발음에 관한 정보는 전혀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한국어교육에서 나타나는 발음 오류나 언어 차용 시 나타나는 음운 조정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연언어의 종성 발음에 관한 특징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언어유형론(Linguistic Typology)을 활용하여 좀 더 효과적으로 한국어를 교육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해 살펴보기로 한다. 특히 다수의 한국어 학습자가 모어로 사용하고 있는 언어들의 어말 종성(syllable-final consonants, coda)의 발음을 유형별로 나누고, 이를 활용한 한국어 종성 자음 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남북한 교과서로 본 말소리 교육 비교

        이규범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2 한국어문교육 Vol.4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phonological education in South and North Korea. First, the textbooks in South and North Korea both present 19 consonants and 21 vowels, but the textbooks in South Korea focuses on systematizing phonemes according to classification criteria, while those in North Korea focuse on distinguishing sounds according to pronunciation differences. Regarding phonological variations, the study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ent. However, the textbooks in South Korea mainly show phonological variations that cause differences between underlying and surface forms, whereas the textbooks in North Korea mainly show phonological variations that cause differences between written and pronounced forms. The phonological education in South and North Korea differs not only in educational contents but also in methods. Therefore, when preparing for phonological education for the unification era, it will be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phonological education in North Korea, which emphasizes the practicality of grammar education and pays attention to practical speech. 본고의 목적은 남한과 북한의 교과서를 중심으로 말소리 교육을 비교하고 방법적 측면에서의 차이를 살피는 것이다. 우선 말소리의 단위와 관련하여 남북한 모두 자음 19개와 모음 21개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없지만 남한은 분류 기준에 따른 음운의 체계화에, 북한은 발음의 차이에 따른 말소리의 구분에 중점을 두고 있다. 말소리의 변동 역시 내용의 큰 차이는 없지만 남한은 기저형과 표면형 간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음운 변동을, 북한은 표기와 발음 간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음운 변동을 주로 제시하고 있다. 결국 남북한 말소리 교육은 다루고 있는 교육 내용뿐만 아니라 방법적 측면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통일 시대 말소리 교육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문법 교육의 실용성을 강조하고, 실제적인 말소리에 주목하고 있는 북한의 말소리 교육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영어 구사력과 강세박자의 상관관계

        윤여범 ( Yeo Bom Yoo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4

        영어와 국어 발음의 대표적인 차이 중의 하나는 리듬이다. 발음상의 리듬이란 특정 요소가 규칙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하며, 영어는 강세 음절이 규칙적으로 나타나는 강세박자 언어이며 국 어는 모든 음절이 동일한 길이를 갖는 음절박자 언어이다.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 구사력에 따른 강세박자의 경향을 음성분석 프로그램 프랏(praat)을 활용하여 문장 발화 시간과 모음의 길이 두 가지 측면으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상위 집단의 문장 발화 시간은 원어민 집단과 유사하게 강세박자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하위 집단의 문장 발화 시간은 강세의 수보다는 음절의 수에 의해 결정되는 음절박자 경향을 보였다. 모음의 길이 측면에 있어 서도 상위 집단은 원어민 집단과 유사하게 성조활강에 의한 장모음화가 일어났지만, 하위 집단에 서는 장모음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본 논문의 이러한 결과는 초등영어교육 현장에서 강세박자와 관련된 발음 지도가 강조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s in the phonology of English and Korean lies in the way they treat rhythm. English is well-known as a typical stress-timed language, where the number of stresse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duration of sentences. In contrast, Korean is a syllable-timed language, where the number of syllable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Because of this important difference in rhythm, Korean learners of English have great difficulties acquiring fluency in speaking English.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whethe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a stress-timed rhythm or not in speaking English, depending on their levels of proficienc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level group showed a tendency toward stress-timing, whereas the lower-level group showed a tendency toward syllable-tim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learners`` proficiency and the degree of stress-timing and that more time and effort should be invested for the teaching of English rhythm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in Korea.

      • KCI등재

        일반논문 : 한국어 발음 교육에 대한 재고(再考) -분절음 발음과 음절구조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이현숙 ( Hyun Suk Yi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4 용봉인문논총 Vol.- No.45

        외국인 학습자들은 정확한 한국어 발음을 위해 음운 규칙을 학습하게 된다. 이들 중 언어 보편적 음절 구조인 CV를 형성하는 연음 규칙과 음절 말음에 적용되는 평폐쇄음화는 교육 순서의 상위에 놓이고, 그 중 연음 규칙은 학습자들의 오류도 적어 학습과 습득이 용이한 규칙으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실제 학습자들의 발음 오류 경향을 살펴보면 음절 말음과 관련된 발음에 많은 문제를 보였으며 그 영향으로 연음규칙 뿐만 아니라 인접 자음과 관련된 음운 규칙에서도 상당 부분 오류를 나타내고 있다. 연음 규칙과는 달리 음절말 평폐쇄음화는 언어 보편적 규칙으로 볼수 없고, 특히 받침이 없는 많은 언어권 화자들은 받침 발음에 대한 오류가 많을 수밖에 없는데 연음 규칙이 외국인 학습자들이 가장 쉽게 습득할 수 있는 규칙이라 하더라도 음절말 자음과 관련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연음 규칙과 연결되는 다른 음운 규칙 적용에서의 오류가 계속 생산될 것이다. 따라서 실제 연음 규칙 적용의 오류는 적을 지라도 음절말 자음과 관련된 문제에서 야기되는 연쇄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분절음 학습 단계에서부터 자음의 분류별 학습이 필요하며 CVC 음절에 대한 이해와 음절말 평폐쇄음화의 정확한 습득이 우선되어야 하겠다. 또한 실제 많은 음운 규칙들은 ‘발음의 편의’라는 대전제가 적용되므로 자음의 분류별 학습을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Foreign learners learn phonological rules to pronounce Korean words correctly. Among such rules, the liaison rule forming CV, which is a linguistically universal syllable structure, and the syllable final consonant rule applying to syllable final consonants are privileged in instruction. Particularly, the liaison rule is regarded as being easier to learn and acquire in that learners make relatively few mistakes. In practice, however, many incorrect pronunciation issues were associated with the syllable final consonants. Subsequently, phonological rules related to adjacent consonants, liaison rules and resultant aspiration lead to pronunciation errors. Unlike the liaison rule, the syllable final consonant rull of syllable final consonants cannot be considered as part of linguistically universal rules. Notably, speakers of many languages without final consonants cannot but pronounce such consonants incorrectly. In this context, in order to cope with a series of issues caused by syllable final consonants, it is necessary to learn different categories of consonants from the level of segment learning although the liaison rule leads to few mistakes. Likewise, learners should first understand CVC syllables and acquire the syllable final consonant rule of syllable final consonants correc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