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周易』의 陰陽論的 삶의 의미와 과학성

        권일찬 한국정신과학학회 2009 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30 No.-

        주역의 음양론은 우주삼라만상을 음과 양으로 분류하여 이들 간의 상호관계를 나타낸 이론체계이다. 음양론의 변화관은 주역의 一陰一陽之謂道가 대표적인 내용이고, 음양간의 관계는 대대합일, 상호호근, 소장과 평형, 상호전화 등의 관계로 나타내고 있다. 음양론의 변화관과 상호관계론에 입각하여 우주론적 자연현상, 인간생활, 그리고 사회국가적 현상을 사례를 들어서 설명하여 보았다. 분석결과 모든 자연현상과 인간생활 그리고 사회국가적 현상은 음양론적 변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음양론적 변화 현상에 입각한 분석결과 우리의 삶에 도움을 주는 의미와 시사점은 네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모순적인 것을 현실적으로 인정할 수밖에 없으며, 흑백논리는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음보다는 양을 선호한다. 둘째, 반대적인 것은 배척적인 관계가 아니고 상호 성취와 보완적인 관계뿐만 아니라 운동의 추동력의 근거가 된다. 셋째, 시대적으로 주류만 인정할 것이 아니라 비주류도 어느 정도 인정을 해서 비주류가 주류가 될 때를 대비해야 한다. 넷째, 있을 때 겸허하고, 없을 때 절망하지 말고 정진하면서 희망을 가져야 한다는 과학적 교훈을 얻었다. 주역에서 인간의 삶의 가장 이상적인 모습은 우주론적 순환론적 자연의 이치 즉, 음양론에 맞게 사는 것이다. 이러한 음양론적으로 사는 모습이 바람직한 모습인지 알아보고자 실제적으로 사례를 들어서 입증을 하여 보았다. 그 결과 음양론적으로 사는 개인생활, 자연의 생활, 사회국가의 생활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역의 자연의 이치인 음양론적 삶의 모습이 바람직한 것으로 실제 나타나 과학성이 입증되었다.

      • KCI등재

        젠더적 관점에서 본 李卓吾의 음양론과 유교와 페미니즘의 비교 논의에서의 함의

        박찬영(Park Chan-Young) 한국동양철학회 2007 동양철학 Vol.0 No.27

          이 글의 목적은 젠더의 시각에서 이탁오의 음양론을 해석하고, 유교와 페미니즘의 관계 맺음의 논의 속에서 이탁오의 음양론의 의미를 찾는 데 있다. 이탁오의 남녀관은 어느 정도 젠더화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그의 음양론이 놓여 있다. 그러나 그의 음양론은 단순하지 않다. 그의 음양론은 동일성의 논리를 비판하면서 다름의 가치를 추구하고 동시에 서로 다른 음양의 감응 논리를 강하게 함축하고 있다. 그러나 이탁오의 음양론의 또 다른 특징은 「계사전」의 천존지비의 관점을 원용하여 부부 사이의 내적 관계를 군신의 존비 혹은 천지의 존비로 유비시킨다는 데 있다. 존비의 음양 관계라는 의미에서 이탁오의 음양론은 전형적인 젠더화된 사고방식으로 여전히 본질주의를 함의하고 있지만 그가 남녀의 소견에는 차이가 없다는 에세이의 주장에서, 교육이라는 공적 영역에 여성을 맞이하고, 무엇보다 다름과 감응의 함의를 동시에 견지하는 음양론을 함의한다는 데서 그의 음양론은 재래의 본질론으로 동일시할 수 없다. 이탁오의 음양론이 천존지비의 본질주의를 함의한다는 데서 전통의 음양론에 가까우나, 동일성의 논리를 거부하며 차이를 강조하고 그러면서 감응을 진리로 추구한다는 데서 그의 음양론은 재래적 음양론과 오늘날 차이의 페미니즘의 통찰을 염두에 둔 재해석된 여러 음양론의 사이에 두고 평가해야 옳을 것이다.   My purpose in this paper is to show the metaphysical justifications of gender conception in Li Chih" Yin-Yang Doctrine, and to assess Li Chih" Yin-Yang Doctrine in comparative study of confucianism and feminism critically. From the point view of feminism, Gendered Li Chih" male and female relationship which is on the basis of his Yin-Yang Doctrine implies that gender equality thought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point of insight, but it justifies the traditional relationships of the husband and wife as Heaven superior and Earth inferior. By reading Li Chih" Yin-Yang Doctrine, on the one hand, Li Chih" Yin-Yang Doctrine can be considered as Yin-Yang Doctrine of difference and the sympathy, but on the other it can be considered as the traditional Yin-Yang Doctrine as Heaven superior and Earth inferior. From the comparative study of confucianism and feminism, his Yin-Yang Doctrine can be evaluated as a bridge between the traditional Yin-Yang Doctrine and contemporary difference feminism.

      • KCI등재

        음양론 관점에서 본 서왕모(西王母) 인식 변화 고찰

        조민환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2 대순사상논총 Vol.42 No.-

        The phenomenon of veneration for Queen Mother of the West [西王母 Chn: Xiwangmu Kr: Seowangmo] is a ‘cultural flow’ that has garnered great interest not only in China but also in Korea for many years. To properly understand the cultural trend regarding the Queen Mother of the West, it is essential to view the related mythology as it corresponds to East Asian women as well as the transformation of society’s view of women. In addition to the outcomes that result from the establishment of a patriarchal society, the relationship between goddesses and gods gradually becomes a relationship of discrimination based upon differences. Accordingly, as women change into objects that are given meaning rather than subjects that give meaning, the de-sacredization of the goddess occurs. This paper focused on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the Queen Mother of the West from the view of Yin-Yang theory. This approach shows a transition process of transforming wherein she has morphed into an assistant or spouse of a god as part of a trend that deemphasizes the divinity of her as a stand-alone goddess. Yin-Yang theory is the key to understanding culture, history, and art as well as Chinese philosophy. This key can be further applied to the theme of women in mythology. What is particularly noteworthy about the process by which the Queen Mother of the West was defined as a goddess is that she was original described as half-human and half-beast and yet by the time her depictions became fully human and fully woman, she was described instead as an absolute beauty endowed with great artistic talent. In this paper, it will be revealed that the perception of the Queen Mother of the West, as an absolute beauty and artistic talent, is embedded with the male societal desire for an image of the feminine as understood via Yin-Yang theory. Queen Mother of the West as she was depicted in the Classic of Mountains and Seas (山海經 Chn: Shanhaijing Kr: Sanhaegyeong) had a half-human half-beast form that instilled people with fear of disasters and punishments from heaven. However, in the Han Dynasty, her religious significance became that of an object to ward off evil and attain blessings. By the time of the novel, Tales of the Strange (志怪小說 Chn: Zhiguaixiaoshuo Kr: Jigoesoseol), from the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she was transformed into a goddess in the image of beautiful woman in charge longevity and immort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Yin-Yang theory,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Queen Mother of the West was found to contain the following meaning: as an extension of the establishment of a patriarchal system and subordinate laws, her new form was made to be pleasing to the male gaze and Yin-Yang theory was brought in to support those changes later. 서왕모(西王母) 존숭 현상은 고금에 걸쳐 중국은 물론 한국에서도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었던 이른바 ‘문화적 흐름’의 한 현상을 엿볼 수 있는 대상에 해당한다. 서왕모에 관한 이같은 문화적 흐름을 이해하는 것은 동아시아 여성과 관련된 신화는 물론 여성관의 변모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가부장제 사회의 정착과 더불어 여신과 남신의 관계도 점차 차이에서 차별의 관계로 만들어진다. 이에 여성은 의미를 부여하는 주체보다는 의미를 부여받는 대상으로 변화함에 따라 여신의 탈신성화가 일어나게 된다. 본고는 여신의 탈신성화 경향에 나타난 여신의 남신의 보조자 혹은 배우자로 탈바꿈하는 이런 변천 과정에는 음양론 사유가 작동하고 있음을 서왕모 인식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음양론은 중국의 철학은 물론 문화와 역사 및 예술을 이해하는 관건인데, 이런 점은 신화와 여성이란 주제에도 그대로 적용되었다. 서왕모가 반인반수(半人半獸)의 여신으로 규정되다가 여선으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특히 주목할 것은 이른바 절대 미인이면서 예술적 재능을 가진 인물로 묘사된다는 점이다. 본고에서는 이같은 절대미인이면서 예술적 재능을 가진 서왕모에 대한 인식에는 음양론 차원에서 이해된 여인상 및 가부장제 사회에서 남성이 바라는 여인상에 대한 바람이 담겨 있다는 점을 밝혔다. 『산해경(山海經)』의 서왕모는 하늘의 재앙과 형벌을 주관하는 반인반수의 공포감을 주는 형상이지만, 한대에는 벽사(闢邪)와 기복(祈福)의 대상으로 신앙화되고, 위진남북조의 지괴소설(志怪小說)에서는 장생불사를 주관하는 여선(女仙)으로 변모하는 과정에 담긴 서왕모에 관한 인식 변화에는 음양론 관점에서 봤을 때 주대 종법제(宗法制)에 의한 가부장제 확립과 더불어 이후 형성된 음양론에서의 양 위주의 사유 및 남성 위주의 시선이 작동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도덕교육론의 철학으로서의 음양론에 관한 연구:일본의 도덕교육을 일예로

        洪顯吉 한국일본교육학회 2012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역경의 음양론을 과학적으로 고찰하여 음양의 개념을 명확히 한 연구 이다. 연구의 목적은 문화에 내재한 도덕교육론의 파악과 이해를 위한 철학으로 음 양론을 정립하기 위해서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음양론을 기초로 일본의 도덕교 육을 일예로 고찰한 연구가 되겠다. 다시 말해 세계화 되어가는 지구사회에서 각 나 라 문화의 기저를 이루고 있는 도덕교육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는 철학으로 음양론 을 정립하는 새로운 연구의 시도라 하겠다.

      • KCI등재

        유교문화에서 음양론과 여성의 감정

        정용환(Chung, Yong-hwan) 대한철학회 2013 哲學硏究 Vol.125 No.-

        이 글의 목적은 『내훈』과 『여사서』를 중심으로 하여 유교문화에서 음양론에 근거해 여성의 감정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었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유가의 음양론은 실제의 삶에서 유덕한 도덕 주체를 형성하기 위해 적절한 감정이 요청된다고 본다. 다만, 음양론은 음/양이라는 우주론적 존재 분류법에 따라 여성이 음척 존재로서 타고난 감정을 적절하게 개발함으로써 덕을 갈러야 한다고 본다. 음/양 패러다임에 의하면 양으로서 남성은 발산하고 주도하는 감정을 타고나며, 음으로서 여성은 수렴하고 순종하는 감정을 타고난다. 음양론에서 여성의 감정은 대상에 대한 긍정적 감정으로서 사랑,대상에 대한 부정적 감정으로서 미움, 자아에 대한 긍정적 감정으로서 긍지, 자아에 대한 부정적 감정으로서 소심 등 네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여성은 이들 영역들 중에서 열(烈), 효(孝), 자(慈), 친(親) 등과 같은 사랑 계열의 감정과 정(貞), 절(節), 청(淸), 순(順) 등과 같은 소심 계열의 감정에 익숙할 것을 요구 받는다. 한편 분노(忿), 성냄(怒), 질투(疾), 원망(怨) 등과 같은 미움 계열의 감정과 욕망(欲), 즐거움(樂), 안일(安逸), 기쁨(悅) 등과 같은 긍지 계열의 감정은 신중하게 억제해야 할 것으로 인식된다. 그 결과 여성은 상대에 대한 미움 계열의 감정들을 억제함으로써 평등한 사회적 자아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들 뿐만 아니라, 자신에 대한 긍지 계열의 감정들을 자유롭게 표출하지 못함으로써 자율적 주체성을 형성할 수 있는 경험적 기반이 제약되는 현상을 불러온다. 특히 자긍심 및 분노의 감정에 대한 지나친 제약은 도덕적 주체성의 형성 과정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사실은 적절한 감정 활동이 수반되지 않을 경우에 우리의 도덕 판단 및 도덕 실천이 불완전한 상태에 봉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스토리텔링을 위한 소쇄원의 음양론적 해석에 관한 연구

        조인철 ( In Choul Zho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3 호남학 Vol.0 No.53

        본 연구는 소쇄원을 동양사상의 한 부류인 음양론(陰陽論)을 바탕으로 해석한 것이다. 소쇄원은 드러남과 가림의 측면에서 또는 입지적 측면에서 주변의 여러 원림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음의 성격을 가진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애양단(愛陽壇)과 광풍각(光風閣)은 소쇄원의 이러한 음의 성격을 보완하여 음양의 조화를 이루게 하는 요소이다. 소쇄원의 동선은 반 시계방향으로 순환하게 되어 있으며, 동선상의 다양한 음양변화는 관람객에게 감동을 주는 요소이다. 광풍 각은 손님을 위한 공간이며, 제월당(霽月堂)은 주인을 위한 공간이다. 당호(堂號)의 관점에서 보면 광풍각은 양이고, 제월당은 음이다. 한편, 소지(小池)는 맑은 물로 채워짐으로 양, 연지(蓮池)는 탁한 물로 채워짐으로 음이 된다. 물론 위에서 언급한 각각의 대상은 보는 기준에 따라 각각의 음이 각각의 양이 될 수 있다. 그것이 음양론이 가진 특징이기도 한데, 하나의 대상을 놓고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음이 되기도 하고 양이 되기도 하는 것이다. 그것은 음속에 양이 있고, 양속에 음이 있다는 태극이론과 통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소쇄원이 오늘날에도 가고 싶은 음양조화를 이룬 생태적 공간으로서, 그것이 어떤 방식의 음양조화를 이루는지, 이야기 거리가 풍부한 문화유산으로서, 음양적 관점에서 어떤 이야기 거리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인지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소쇄원을 널리 알리고 많은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서 스토리텔링을 위한 기초자료로 본 연구가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resent paper suggests an interpretation of Soswaewon (瀟灑園) based on the theory of Yin and Yang, which is a part of orientalism. Soswaewon can be defined as having Yin characteristics, relatively to other Wonlim (園林, a garden of the oriental style). Aeyangdan (愛陽壇, the sunny open space) and Kwangpoonggak (光風閣, the name of this architecture means light and wind, open style pavilion) are the elements that make harmony with making up the Yin characteristics. The flow of Soswaewon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diverse change of Yin-Yang in the flow may impress the visiters. Kwangpoonggak is for the guests, Jeweoldang (霽月堂, a house named after a full moon after the rain) is for the master. With the respect of building name, Kwangpoonggak is Yang and Jeweoldang is Yin. Soji (小池, a small size pond) is filled with clear water, so therefore Yang is, and Yeonji (蓮池, pond of lotus) is filled with muddy water, so Yin is. Yin and Yang discussed above is interchangeable with each other depending on the point of view. This is the very characteristics that theory of Yin and Yang has, where Yin become Yin or Yang vice versa. That is also related to the Theory of Tageuk (太極) which says that Yang has Yin in it, and Yin has Yang in it. To attract more interest and introduce the study in the present field, I hope the present paper can contribute to develop the part of storytelling. In conclusion, the author believes Soswaewon is ecological space, which keep the balance of Yin and Yang and has cultural heritage with valuable, numerous stories.

      • KCI등재후보

        蒼巖李三晩의 書藝美學的인식과 ‘蒼巖體’와의 상관성

        문정자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와예술연구 2014 문화와예술연구 Vol.3 No.-

        본고는 창암의 서론(書論)과 서적(書跡)의 내용을 중심으로 ‘창암체’ 형성 기반으로서의내면적 사유(思惟)와 용필법(用筆法)의 특징을분석 하고 ‘창암체’에 투영된 양상을 논의하였다. 창암은 당대서풍의 문제점을 개혁하고 옛 법을 회복하여 서예의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하기 위하여 서론(書論)을 저술하였다. 書를 書道로 천명한 창암은 자연의 경지에 계합하는 서를 이루기 위해 음 양(陰陽)의 상반응합(相反應合)의 조형원리를 도입하고 귀어자연 (歸於自然)의 목표를 설정하였다. 뿐만 아니라 극공(極功)의 연마를 강조하면서 내면적 사유와 실제 글씨와의 일체경계를 지향하였다. 즉 서가의 도정(道程)으로 유법(有法)의 연마에 극공을 기울여 마침 내 무법(無法)의 자연에 계합할 것을 제시하였다. 그가 용필법을 중 시한 이유는 필법의 오묘함을 터득했을 때에야 만물의 형태가 기묘 한 書로 드러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본고에서 논의한 것처럼 창암의 사유(思惟)와 필법적 특징은 ‘창암체 (蒼巖體)’에그대로투영되었다. 창암은내면적 사유와실질적필법이란 두 측면을잘 융합시킨것이다. ‘창암체’는 순수(純粹), 소박(素朴), 졸박 (拙朴), 생동(生動)의 풍격을 띠고 있으며, 자연만물처럼 소박하고 단순 하면서도 무궁한 것을 함유하고 있어 일명 ‘행운유수체(行雲流水體)’라 는별칭을얻기도하였다. 창암이서예를자연물과동일한층차(層次)의 존재물로보고자연을담아냄으로써‘창암체’는자연만물과같은객관성 과 실재성을 지니게 된 것이다. 서예사적관점에서볼때창암의친자연주의적서예관은동국진체(東 國眞體) 서가들의 천인합일적 서예관념을 계승한 한편으로, 자연이 書 의전형이자귀착점이라고인식했던창암자신의미학적사유의결과이 다. 그는 조선의 산천과 조선인의 심상에 부합하는 새로운 풍격의 서예 미학을개척하여한국적고유성의영역을확장함으로써결국19세기동 국진체 서가로 우뚝 선다. 결과적으로 서예로서 시대정신을 대변하고 선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창암은 조선 후기 예술사에서 서예의 위상을 확고히 한 인물이라 할 수 있다. Based on main concerns of Changam's calligraphic theory and artworks, this study sought to characterize his internal thoughts and yongpil-beob (command of brush writing) as the foundations of ‘Changamche’ and discuss aspects projected on ‘Changamche.’ Changam authored the Theory of Calligraphy (書論) to reform the issues of his contemporary calligraphic trends, recover traditional rules of calligraphy and introduce a new milestone of calligraphy. He clarified calligraphy (書) as seodo (書道, a part of artistry realized with calligraphy). In order to implement calligraphy complying with the stage of nature, Changam introduced a formative principle of sangban eunghab (相反應合) between yin (陰) and yang (陽), and also set a goal toward guieojayeon (歸於自然). Furthermore, he underlined cultivation with extreme efforts (極功) and pursued integration of internal thoughts with practical writings. In other words, Changam advised that radical efforts should be made to cultivate yubeob (有法) through processes required for calligraphers, and ultimately harmonize with nature of mubeob (無法). The reason why he valued yongpil-beob is that the mastery of subtle and profound artistry of pilbeob is considered to make all things formed and revealed in marvelous calligraphy. As discussed in this study, internal thoughts and pilbeob characteristics of Changam became projected on ‘Changamche (蒼巖 體).’ He successfully combined these two aspects - internal thoughts with practical pilbeob - with each other. ‘Changamche’ is well characterized by purity (純粹), simplicity (素 朴), coarseness (拙朴) and vividness (生動). This calligraphic style encompasses something humble, simple but unlimited like all things in nature, so it is also called ‘Haengun-Yusuche (行雲流水體).’ Changam viewed calligraphy as a being on the same level of natural creature before expressing nature with his calligraphy. That is why ‘Changam-che’ came to have objectivity and practicality like all things in nature. From the viewpoints of calligraphic history, Changam's nature-friendly insight of calligraphy is the result of his aesthetical thoughts that nature is a model and ultimate conclusion of calligraphy as well as his succession to the calligraphic ideology of Cheonil Habil (天人合一) pursued by Donggukjinche (東國眞體) calligraphers. Changam pioneered a new style of calligraphic aesthetics to comply with the nature of Korea and the image of Korean people, so he extended the sphere of Korean originality enough to deserve an outstanding position of Donggukjinche calligrapher in the 19th century. As a result, Changam played a major role as calligrapher in representing and leading his contemporary mentality, so he deserves a title of Korean calligrapher who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 standing of calligraphy in the history of pre-modern Korean art during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 KCI등재

        주역과 현대정치철학의 정의론

        장동진(Dong-Jin Jang) 한국정치사상학회 2010 정치사상연구 Vol.16 No.2

        이 글은 주역의 원리에 입각하여 현대 정치철학에서 논의되고 있는 정의론을 조명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대 정치철학에서 특히 자유주의적 정의관은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강조함으로써 개인을 사회로부터 고립시키게 된다. 이러한 자유주의적 정의관의 문제를 지적하고 개인과 사회의 연루성과 공동선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현대공동체주의 정의관이 등장한다. 한편 개인과 사회의 연루성을 민족성이나 인종문화적 정체성에 초점을 맞추어 소수민족이나 인종문화적 집단에 특별한 집단차별적 권리를 주장하는 다문화주의 정의관이 등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이론적 입장들은 공통적으로 인간과 사회를 우주자연의 질서나 목적성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있다. 정의 문제가 궁극적으로 인간의 좋은 삶과 행복의 실현 문제라면, 인간과 사회를 우주자연의 질서나 원칙과 결부시켜 파악하는 시도가 보다 절실히 요구된다. 주역은 인간, 사회, 자연의 삼자 관계를 유기적으로 파악하여 인간 삶의 생존 논리를 총체적으로 표현해 낸다. 그것은 자연 및 우주질서의 논리를 인간행위 및 사회운영의 논리와 연결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주역의 입장은, 개인 상호간의 신념의 차이나 또는 공동체 상호간의 정의관의 차이가 발생하였을 때, 이것을 자연 또는 우주와 연관한 인간 삶의 본질과 목적성에 비추어 판단할 수 있는 반성의 기회를 제공해 준다. 특히 음양론은 우주자연의 질서와 인간사를 연결시키고 있는 핵심적 논리이다. 음양론의 교역과 변역, 그리고 잠재적 전환성의 원리는 개인이 지니는 정의감 및 도덕준칙, 그리고 공동체의 정의 및 도덕 원칙을 자연의 질서와 연관한 인간 삶의 궁극적 본질에 비추어 평가해 볼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그리고 그것은 하나의 고정된 원칙에 집착하기 보다는 그 원칙의 해석의 융통성, 상황과 시의에 적합한 해결책을 모색할 것을 요구한다. 주역의 정의관은 자연과 우주의 질서원리에 입각한 자연적 정의로서 사람들의 일상적 생활을 통해 표현되는 삶의 원칙이다. 이러한 삶의 정의관은 공적인 정치적 원칙은 물론 우리가 하나의 신념으로서 가지고 있는 도덕관을 성찰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This paper is aimed at reviewing theoretical debates on justice in comtemporary political philosophy in light of the Yin-Yang theory in the Book of Change. Specifically contemporary liberal conceptions of justice begin with the priority of individual freedom and liberty, thus ignoring the relationship of individuals and community. As a response to this liberal separation of individuals and society, contemporary communitarians attempted to restor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in theorizing justice, which triggered the liberal-communitarian debates. And also we see another line of approach, that is, multiculturalism, which attempts to connect individuals to the membership of particular society or cultural community, specifically focusing on national minorities or ethnic groups.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nationality or ethnicity in shaping the identity of individuals, it advocates the politics of groupdifferentiated rights. However, it seems that contemporary debates on justice fail to take seriously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e in theorizing justice. The Book of Change attempts to induce basic principles for society and individuals by identifying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nature and universe. It sees the Yin-Yang interaction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nature and universe. It grasps the Yin-Yang as the fundamental cause of change and movement of the universe that keeps life of nature as well as human beings. That is, without the Yin-Yang interaction, there would be no change and movement, and further without change and movement, there would be no life. The Yin-Yang theory has been interpreted traditionally in two ways. One is the opposite interaction in space, which means that Yin and Yang interacts with each other in the opposite. The other is the changing interaction in time, which means that Yin and Yang interact with each other, producing the rise and decline of the two respectively. In addition to the two interpretations, I suggest the principle of potential conversion of Yin and Yang. That is, Yang involves Yin and vice-versa, which means that Yang in itself may converse itself into Yin and vice-versa. The Yin-Yang theory runs through the universe, society, and human beings. First of all, this understanding of the fundamental connectedness of human beings and the universe should be the bedrock for theorizing public justice that most contemporary debates on justice are concerned with. Basically the Yin-Yang theory provides basic guidelines for managing society as well as leading individual life, which might be called common justice in daily life. This common justice, even if incomplete and open to various interpretations, may play a role of criticizing as well as complementing public justice which is also inevitably incomplete and unstable because of our incomplete capability of understanding, limited generosity towards others, and relative scarcity in resources.

      • KCI등재

        풍수논리 속의 물(水)

        박정해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5 민족문화논총 Vol.60 No.-

        In this study, what is th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water and Feng shui is enlightened from the view of geomorphic condition(形勢) and Lichi(理氣) theory. Life has been born and continued through the water. The origin of human and civilization is intimate relation with river. The Nile River, the Yellow River, the Tigris River and the Euphrates River has been known as the cradle of human civilization. This features are contained in the recognition of Feng shui. Ultimate purpose of Feng shui is to find out realistic solutions and take comfort life through Hyeol(穴). Yin yang philosophy is at a salient position in the logic of Feng shui. And the water is to be a crucial factor because the water is the matter belonging to Yang(陽). With these reasons, the water is cognized as the root of creation in Confucianism, and as an universal opening of heaven and nature in Buddhism, and as the most high-leveled virtue in Taoism. As the water has various features, it appears in diverse expressions in the reality. The continuance and creation of human life is based on the water, and the origin and progress of civilization lies at the root of the water. With the same logic, the water and wind made the logic of Feng shui realized from the view of geomorphic condition and Lichi theory, by playing a fundamental role. 본 연구는 물이 풍수와 어떠한 관련성을 바탕으로 구성되었는지 형세적 관점과 이기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물에서 생명이 탄생하였고 생명의 유지도 물에 의해 이루어진다. 인류의 탄생과 문명의 기원은 강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졌다. 이러한 특징들은 풍수인식조차도 그대로 수용하는 모습을 보인다. 풍수의 최종적인 의미는 혈(穴)을 통해 현실에 안착하게 되는데, 물이 바로 그 한축을 차지하는 것이다. 음양론이 풍수구성논리의 핵심적인 의미를 갖는데 있어서 물은 곧 양(陽)을 상징하는 물질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들로 유가(儒家)에서는 물을 사물의 이치를 밝히는 작용으로, 불가(佛家)에서는 자연세계와 천상의 세계가 열리는 것으로, 도가(道家)에서는 최상의 선으로 각각 인식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물은 풍수를 구성하는 핵심요소로써, 형세론과 이기론의 관점에서 보다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틀 속에서 구체화되었다.

      • KCI등재

        음양론과 여성철학: 유교 노동관을 중심으로

        김미영 한국여성철학회 2016 한국여성철학 Vol.26 No.-

        본고는 유교 여성관을 논할 때면 중심주제로 떠오르는 음양론을 유교 노동관을 통해서 재해석해보고자 하였다. 유교에서는 ‘양인 하늘은 높고 음인 땅은 낮다.’라는 의미에 따라, ‘양인 남자는 높고 음인 여자는 낮다.’고 한다. 이는 오랫동안 ‘유교는 여성비하적이다.’고 평가하는 근거로 작용해왔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유교에서 음과 양은 반드시 생물학적인 여성과 남성으로 대별되지 않는다는 점을 유교 노동관을 통해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음적인 영역에 해당되는 노동 영역을 유교에서는 천시하였다는 일반론이 성립될 수 없음을 유교의 은둔 개념을 통해 설명하였다. 또한 음적인 존재로서 노동영역인 가정에 귀속된 전통사회의 여성들에게 붙여진 여성군자 개념은 양-군자 음-소인이라는 의미규정에 따른다면 성립할 수 없는 개념이다. 이러한 예는 양-군자-남성, 음-소인-여성의 의미배열이 절대적이지 않음을 단적으로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은둔을 선택한 남성은 군자인 남성이 음적 영역인 노동 영역에 자신을 자리매김한 예이며, 여성군자는 소인인 여성이 음적 영역인 노동 영역에서 자신을 군자로 세운 예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의지를 가지고 활동하는 인간에게 남성-양-공적 영역과 여성-음-가정(노동 영역)이라는 의미배열은 절대적이지 않고 자신이 의지를 가지고 활동하면서 새로운 의미를 창출할 수 있는 여지가 무한히 열려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