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유학생의 코로나 바이러스 위험정보 탐색의 선행요인 분석 : 인식된 지식 불충분성의 조절된 조절효과 및 인식된 지식의 조절효과 분석

        진범섭,윤영집 한국소통학회 2021 한국소통학보 Vol.20 No.3

        지난해 발생한 코로나 바이러스를 둘러싼 다양한 공중들의 위험정보 관련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대한 이해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위험정보 탐색 관련 이론 가운데 계획된 위험정보 탐색 모델(PRISM)을 토대로 COVID-19 위험정보 탐색의 선행요인들인 탐색 태도, 탐색 관련 주관적 규범, 인식된 탐색 통제, 인식된 지식, 인식된 지식 불충분성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바이러스 위험정보 탐색 의도에 미치는 선행요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들 선행요인들과 탐색 의도 간의 관계에 있어 인식 된 지식의 조절효과가 인식된 지식 불충분성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 다. 이를 위하여 국내 대학에서 수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의 대부분을 차지고 하고 있는 중국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탐색 태도, 탐색 관련 주관적 규범, 인식된 탐색 통제는 COVID-19 위험정보 탐색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선행요인과 탐색 의도 간의 관계에 있어 인식된 지식의 조절효과가 인식된 지식 불충분성에 조절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인식된 지식 불충분성의 수준이 높은 집단 사이에서, 각 선행변인의 인식 수준이 높아질수록 자신이 현재 인식하는 위험 지식수준이 높다고 지각할수록 탐색 의도가 더욱 강해지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의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은 헬스커뮤니케이션 캠페인 전략 개발에 위험정보 탐색의 선행요인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해야 함을 시사한다. With regard to the outbreak of COVID-19 last year, understanding of the risk information-related communication process of various publics is becoming more critical. Based on the Planned Risk Information Exploration Model (PRISM) as a risk information seeking related theory,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attitudes toward seeking, seeking-related subjective norms, perceived seeking control, perceived knowledge, and perceived knowledge insufficiency. The study tested the influence of the antecedents on COVID-19 risk information seeking intention. Furthermore, it also examined whether the moderated effect of perceived knowledge between each antecedent and seeking intention could be moderated by perceived knowledge insufficiency.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Chinese students who took up most of the foreign students studying at domestic universities. Findings reveal that attitudes toward seeking, seeking-related subjective norms, perceived seeking control te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COVID-19 risk information seeking intention. Moreover it also found the moderated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knowledge insufficiency. Specifically, among a group with a high level of perceived knowledge insufficiency, the higher the perceived level of each antecedent, the stronger the intention of seeking, when the level of perceived knowledge is higher.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suggest that the antecedents of risk information seeking should be effectively used in designing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strategies.

      • KCI등재

        공중의 감염병 위험인식 수준이 예방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 효능감·반응 효능감·집단 효능감의 조절효과 분석

        진범섭 한국소통학회 2021 한국소통학보 Vol.20 No.1

        헬스커뮤니케이션에서 위험인식 및 효능감은 예방행동을 결정짓는 주요 개념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험인식의 두 가지 수준을 분류하여 각 위험인식이 효능감 변인들의 수 준에 따라 예방행위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기존의 연구들은 위험 인식을 둘러싼 미디어·커뮤니케이션의 내용, 유형, 프로그램 등에 초점을 두었다. 그러 나 본 연구는 결핵에 대한 개인적·사회적 수준의 위험인식이 예방행동 의도에 끼치는 영향력이 개인적·집단적 수준의 효능감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편의표집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사회적 수준의 결핵 위험인식이 개인적 수준의 결핵 위험인식보다 예방행위 의도에 더 큰 영향 력을 확인하였으며, 자기·반응집단 효능감 모두 예방행위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입 증하였다. 위계적 다중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예방행위 의도에 대하여 개인적 수준의 위험인식이 미치는 영향력은 자기·반응 효능감에 조절되지 못함을 검증하였다. 그러나 예방행위 의도에 사회적 수준의 위험인식이 미치는 영향은 집단 효능감에 의해 조절되는 경향을 밝혔다. 즉, 집단 효능감이 높은 집단은 그렇지 못한 집단보다 사회적 수준의 위 험인식이 예방행위 의도에 더욱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연구의 이론적·실무적 시사점 은 헬스커뮤니케이션 학자들과 실무가들이 감염병 예방 캠페인 전략 개발에 위험인식 및 효능감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특히, 위험인식의 개인적·사회적 수준을 이해함으로써 각 수준에 맞는 캠페인 타겟층의 효능감을 파악해야 할 것이다. In health communication research perceived risk and efficacy beliefs are thought to be significant concept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whether risk perceptions could affect preventive behavioral intent according to the levels of efficacy beliefs variables by categorizing risk perceptions into the personal vs societal level. Past research focused on the contents, types, and programs of media and communication regarding risk perception. However, the study examined whether the personal- and societal-level risk perceptions of TB on preventive behavioral intent could be moderated by the personal and collective level of efficacy beliefs. To this end the study used a survey metho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Results found that the effect of societal-level risk perception on the TB preventive behavioral intent would be more likely to occur than the personal-level risk perception, while both self and response efficacy beliefs significantly affected the behavioral intent. Moreover, hierarchical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impact of personal-level risk perception on the behavioral intent was not moderated by self and response efficacy, whereas the impact of societal-level risk perception was significantly moderated by collective efficacy. That is, for those with high perceived collective efficacy, the societal-level risk perception is more likely to affect the preventive behavioral intent, compared to those with low perceived collective efficacy. The study sugges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at health communication scholars and practitioners should more effectively utilize risk perceptions and efficacy beliefs to develop infectious diseases prevention campaign strategies. In particular, they need to figure out the proper level of efficacy beliefs of campaign target audiences by identifying the personal- and societal-level risk perception.

      • 기후위험 관리를 위한 이해관계자 참여방안 연구

        이승준 ( Seungjun Lee ),김영욱 ( Yungwook Kim ),( Thomas Schinko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8 기후환경정책연구 Vol.2018 No.-

        본 연구에서는 기후위험 관리에 있어서 일반인의 기후변화 위험 인식 파악이 효과적 정책 소통과 참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에 바탕을 두고, 기후위험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이해관계자 참여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기후위험 관리의 이해관계자 참여에 대한 전반적인 틀을 마련함과 동시에, 이해관계자 참여에 참고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기후위험에 관한 일반인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 사례의 분석을 통해 실질적인 참여방식을 고찰하고, 기후위험 관련 이해관계자 참여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기후위험 관리는 현황에 따라 구체적 이해관계를 논의하거나 조정해야 하는 이슈부터 포괄적이고 일반인 대상 소통이 필요한 이슈까지 다양한 주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후위험 관리의 특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논의 주제의 성격과 이해관계 및 갈등의 성격에 따라 이해관계자 참여방식을 구분하는 틀을 제시하였다. 논의 조제의 성격이 어느 정도 포괄적인지, 다루는 주제가 다양한지, 혹은 사회적 합의를 필요로 하는 주제인지 등에 따라, 기후변화 위험 전반에 대한 인식제고나 태도변화를 포괄적으로 유도하는 경우 잠재적 이해관계자의 전 국민 대상 기후변화 캠페인이나 소통방안으로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구체적이면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을 경우에는 이해관계자 참여를 공론화나 갈등조정 방식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해관계나 갈등이 잠재적이면서 이슈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공유하고 숙의 과정을 통해 사회적 합의를 도출해 내고자 하는 경우 공론화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고, 이해관계나 갈등이 이미 표출되어 첨예하게 대립하는 이슈에 관해서는 갈등조정 과정을 거칠 필요가 있다.일반인이 인식하는 기후변화 위험은 개인의 경험이나 사회문화적 요소들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데,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해관계자 참여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 위험에 관한 일반인들의 인식을 분석하고 유사한 인식을 보이는 군집을 분류하여 특성을 정의하였다. 분석 결과, 기후변화 위험에 관한 군집을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첫 번째, 개인차원 문제인식해결 군집을 기후변화의 심각성과 위험성에 대한 인식이 높고 환경에 대한 책임감과 관련 행동의지가 강해 개인 효능감이 높다. 그러나 정부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 정책 효능감이 낮고 이슈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나 관심도 상대적으로 낮은 집단이다. 이들에게는 형평성이나 신뢰 등의 가치가 중요하다. 두 번째, 적극적인 문제인식해결 군집은 위험성 인식이나 책임감 및 행동의지가 높으며 정부에 대한 신뢰도와 정책 효능감이 높고 중요성 인식과 관심도 높은 집단이다. 주로 40대 이상의 높은 연령대와 고학력자, 고소득, 자녀가 있는 기혼자가 높은 분포를 보이는 집단으로 자신의 주변 환경상태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세 번째, 소극적인 문제인식해결 군집은 기후변화에 대한 주용성 인식이나 관심은 높은 편이지만, 전반적으로 위험 인식이나 환경에 대한 책임감 및 관련 행동의지가 낮고 개인 효능감이나 정책 효능감이 낮은 집단이다. 주로 낮은 연령대의 미혼자가 높은 분포를 보였고, 문화이론의 세계관에 있어서는 운명주의자의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세가지 군집에 대해 공중상황이론을 적용하여 소통 및 참여방안을 제시하였다.본 연구에서는 기후위험 관리에 관한 오스트리아 사례분석과 인식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후위험 관리 이해관계자 참여 과정을 위한 핵심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핵심 고려사항들은 총 4가지의 영역, 즉 효과적 참여도구 마련, 인식의 격차 및 불확실성 극복, 지역적 특성 고려, 참여자 배려 및 능동적 참여 유도로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각 영역에 대해 기존 이해관계자 참여에 관한 일반적 지침은 생략하고 기후위험 관리를 위한 이해관계자 참여에서 특히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할 세부사항을 제시하였는데, 이 사항들은 기후위험 관리 이해관계자 참여 과정에서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다.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는 기후위험 관리정책에 있어서 이해관계자 참여가 요구되는 이슈를 발굴하고 실제로 이해관계자 참여 과정을 실행하는 프로젝트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에서 제시하는 참여 지침과 접근의 틀을 이해관계자 참여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적용가능성을 검증함으로써 수정이 필요한 부분을 파악하고, 이를 수정해 나가는 것이 가장 중요한 향후 과제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trategies for effective stakeholder engagement in climate risk management, based on the fact that understanding the way the laypeople perceive climate risk is crucial for effective policy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We suggest a framework for stakeholder engagement in climate risk management, while analyzing the perception that laypeople have on climate risk in order to apply the analyzed results to a stakeholder engagement process. We also provide insights into stakeholder engagement by studying Austrian cases in climate risk management.Climate risk management encompasses various issues from those resolving specific conflicts to those that are comprehensive and need to be communicated to the public. Considering the wide spectrum of topics in climate risk management, we suggest a framework of selecting appropriate methods for stakeholder engagemen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pic and the exposed level of conflict.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pic, a climate change campaign or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would be appropriate when it is intended to draw a specific societal consensus. Regarding the exposed level of conflict, public discussion may be preferred when the conflict is still latent and it is required for the potential stakeholders to share information and discuss deliberatively for a societal consensus. Conflict resolution, however, would be supported for issues revealing sharp conflict.Risk perception of laypeople is largely influenced by personal experiences or sociocultural factors. We provide a typology of perception on climate risk b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s. The first group, called the ‘individual group’, has strong self-efficacy with a clear perception of climate risk and responsibility for climate action, while they maintain low confidence in the government and its policy. Although the individual group seems to be less interested in the climate issue, it tends to place more weight on the values such as equity or trust. The second group, called the ‘active problem-facing group,’ has strong self-efficacy as well as high confidence in the government. This group is more interested in climate issues and satisfied with the living environment. Statistically, more people with older age, higher income, higher education, and children are distributed in this group. The third group, called the ‘passive group,’ shows the lowest self-efficacy and responsibility for climate risk among the groups, while they claim that climate issues are important. Statistically, more people who are younger, unmarried, and believe in fatalism are distributed in this group. We suggest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strategies for these three groups by referring to the situational theory of publics.We also suggest key points to be considered in a stakeholder engagement process especially for climate risk management based on Austrian case studies and perception analysis. The key points are categorized by four areas: the preparation of effective participation methods, reduction of a perception gap and uncertainty, consideration of regional attributes, and care for participants. The detailed key points in each area would be used as guidance for a stakeholder engagement process in climate risk management.It is recommended that following research projects focus on practical aspects, such as finding climate risk management issues that are related to stakeholder engagement and conducting pilot projects of the stakeholder engagement process from planning to evaluation. By applying the insights from this study to stakeholder engagement projects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reinforced or improved.

      • KCI우수등재

        위험가능성 인식 유형에 따른 예방행동에 대한 예측효과 검증 : 절대·비교 및 조건·무조건적 위험 인식의 예측효과 비교

        정성은,김율리,심민선 한국언론학회 2022 한국언론학보 Vol.66 No.2

        위험가능성 인식과 예방행동에 관한 기존 연구는 절대 위험 인식과 비교 위험 인식, 그리고 조건적 위험 인식과 무조건적 위험 인식을 혼재하여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위험가능성 인식의 각 유형과 예방행동 사이의 관계를 논리적으로 규명하고 위험가능성 인식의 효과 검증 방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어떤 유형의 위험가능성 인식이 감염병 예방행동을 예측하기에 가장 적합한지 규명하기 위해 코로나19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N = 445). 본 연구는 첫째, 여러 위험가능성 인식 유형 중 조건적 절대 위험 인식이 코로나19 예방행동 실천정도를 가장 잘 예측함을 발견하였다. 조건적 절대 위험 인식은 무조건적 절대 위험 인식, 직접 비교 위험 인식, 간접 비교 위험 인식에 비해 예방행동 실천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예방행동에 대한 예측력이 가장 높았다. 둘째, 조건적 절대 위험 인식이 예방행동 실천 정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미래의 위험 인식 즉 무조건적 절대 위험 인식을 감소시킴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발견점들은 위험가능성 인식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예방행동에 대한 예측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건적 절대 위험 인식을 사용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위험소통을 통한 신뢰가 위험인식에 미치는 효과 - 유전자조작기술, 나노기술, 체세포복제기술에 대한 전문가그룹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Chan Won Kim,Hae Ryong Song,Won Je Kim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5 Crisisonomy Vol.11 No.6

        본 연구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유전자조작기술, 나노기술, 체세포복제기술에 대한 국내 위험소통 인식과 위험관리그룹(정부, 과학자, 언론, 시민단체, 기업 등)에 대한 신뢰, 그리고 위험인식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들의 유전자조작기술, 나노기술 및 체세포복제기술에 대한 국내 위험소통 인식과 이들 과학기술영역에 대한 위험관리그룹에 대한 신뢰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문가들의 위험소통 인식은 위험관리그룹에 대한 신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가들의 유전자조작기술, 나노기술 및 체세포복제기술 관련 위험관리그룹에 대한 신뢰와 각 과학기술영역별 위험인식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문가들의 위험관리그룹에 대한 신뢰는 각 과학기술영역별 위험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rust through risk communications on risk perception focused on the survey of experts about genetic engineering, nano technology and somatic cell clone technology. The results revealed that risk communication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management group’s trust in genetic engineering, nano technology and somatic cell clone technology. Second, risk management group’s trust i influenced negatively on risk perception of genetic engineering, nano technology and somatic cell clone technology. Therefore, this study revealed that trust through risk communications was the determinants of experts’ risk perception on genetic engineering, nano technology and somatic cell clone technology.

      • KCI등재

        위험사회와 미래정부의 역량: 정부의 민첩성, 관리역량, 그리고 정부신뢰가 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KHALTAR ODKHUU,김태형,문명재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19 정부학연구 Vol.25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government's agility and managerial capacity on the perception of economic risk, social risk and environmental risk through trust in government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dicates that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government’s agility and managerial capacity by the public lowers the economic risk perception and environmental risk perception through increased the trust in the government. Additionally, a positive perceptions of the governments’ managerial capacity has exhibited a direct reduction on the perception of economic risk and environmental risk. Conversely, the agility and managerial capacity of government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government's trust, although it fail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ocial risk perception. Furthermore, government agility has been shown to an indirect effect on lowering the perception of environmental risk through improved trust in the government, however it directly has a positive effect on environmental risk perception. Lastly, in terms of demographics, older people, women, and those with a progressive political orientation were found to have a higher risk perception.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analyzed the effects of the government's agility and managerial capacity that were previously overlooked in prior studies and identified the role of trust in government. 본 연구는 위험관리 주체인 정부의 민첩성과 관리역량에 대한 인식이 정부신뢰를 통해 국민의 경제위험 인식, 사회위험 인식, 환경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정부의 민첩성과 관리역량에 대한 국민의 긍정적인 인식이 정부신뢰를 향상시킴으로써 경제위험 인식과 환경위험 인식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의 관리역량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국민의 경제위험 인식과 환경위험 인식을 직접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정부의 민첩성과 관리역량은 정부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회위험 인식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의 민첩성은 정부신뢰를 통해 간접적으로는 환경위험 인식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접적으로는 환경위험 인식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개인의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여성일수록, 진보적인 정치성향을 가질수록 위험을 더욱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국민의 위험인식을 기존 연구에서 간과하였던 위험관리 주체인 정부의 민첩성과 관리역량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정부신뢰를 통한 간접효과와 직접효과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감사위험에 대한 감사인의 인식 조사 연구

        이성희(Seong Hee, Lee) 한국국제회계학회 2017 국제회계연구 Vol.0 No.75

        본 연구는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다양한 비재무적 감사위험 요인들과 관련하여 감사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감사인을 대상으로 이들 요인에 대한 감사위험의 인식 수준을 직접 설문을 통해 조사․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배․종속관계, 기업 환경변화, 경영자 관련 특성, 지배․종속 기업 간 거래, 특수관계자 간 채권․채무거래, 신용평가등급 및 기업 규모 특성 요인이 감사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이라는 감사인의 인식 수준은 대체로 높게 확인되었으며, 특히, 지배․종속관계, 기업 환경변화, 경영자 관련 특성 요인에 대해서는 감사위험 증가 요인이라는 인식 수준이 매우 높게 확인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 수준은 일부 요인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였으나 감사인 규모나 감사인의 개별 업무 경력과 관계없이 일관되게 확인되었다. 둘째, 소유구조 특성 요인이 감사위험 증가 요인이라는 감사인의 인식 수준은 매우 낮게 확인되었으며, 이에 대한 감사인 규모나 업무 경력에 따른 인식 수준 역시 동일하게 확인되었다. 셋째, 지배구조 및 전산화 정도와 관련한 특성 요인이 감사위험 증가 요인이라는 감사인의 인식 수준에서는 감사위험 증가 요인이라는 응답과 그렇지 않다는 응답이 유사하게 나타나 감사인의 인식 수준을 명확하게 결론 내리기가 어려웠다. 그리고 이러한 맥락은 감사인 규모나 업무경력에 따른 인식 수준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감사인에 대한 직접 설문조사를 통해 감사업무를 수행하는 감사인의 다양한 감사위험 요인에 대한 심리적 인식 수준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고, 이를 통해 회계감사의 품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일부 감사위험 요인에서의 선행연구들의 실증분석 결과와 실제 감사인들이 인식하고 있는 감사위험 수준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감사품질 제고를 위해 실무적으로나 제도적으로 관리 또는 통제가 필요한 비재무적 감사위험 요인을 검토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도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다양한 감사위험에 대한 감사인의 심리적 요인이 반영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동일 혹은 유사한 감사위험 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분석 결과 간 차이의 원인을 해석하는 하나의 단초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PA"s perception on audit risks and the investigation of this study focuses on non-financial factors of audit company related audit risk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CPA"s perception on the audit risk of a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 and related transactions, company environment change, CEO characteristics, related party transactions, credit rating and business size feature, most of auditors responded say that they are high audit risk factors. Especially, in CPA"s perception on the audit risk of a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 company environment change and CEO characteristics, most of them responded say that they are very high risk factors. And this perception is consistent regardless of auditor’s size or individual audit experience. Second, in CPA"s perception on the audit risk of the ownership structure, most of them responded say that they are not high risk factors, and this perception is consistent regardless of auditor’s size or individual audit experience. Third, in CPA"s perception on the audit risk of governance and degree of computerization, it was difficult to clearly conclude the auditor"s perception level because the respondents who answered that they are one of the in audit risk were similar to those who did not. Also, this result is similar in CPA"s perception on the audit risk of the size of auditor and the individual audit experience.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 of psychological perception of auditor"s various auditor"s risk factors through direct questionnaires. In that point,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This suggests that policy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accounting firms can be presented. In particular, we examine the non-financial audit risk factors in order to improve audit quality by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some audit risk factors and the audit risk level that real auditors are aware of. In this regard, policy implications can be provi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reflects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the various audit risks, can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the 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the same or similar audit risk factors.

      • KCI등재

        서울시민의 환경보건 위험인식과 정책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장미정,김정훈,이은주,김규상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19 대한보건연구 Vol.45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risks perceived by Seoul citizens, opinions on environmental health risks, and the effects on risk perception and policy needs through a quantitative psychology method and to build a basic reference in establishing environmental health polici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for 6 days in August 2017 from 2,000 adult men and women aged 19 or older, who had lived in Seoul for more than 1 year. The present study referenced a psychometric paradigm study for the risk perception tool, identified 20 perceived risks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health, and measured 6 risk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added general perception and the needs of preventative policies, used factor analysis to reduce factors into two risk perception structures, and measured the size of their effects. Results: The average of Seoul citizens’ general perception about environmental health risks was calculated by age, gender, marital status and revealed that the risk they perceived as most hazardous was radioactive contamination. In regards to policy needs, the respondents said particulate matter needed policies mo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6 risk characteristics were categorized into two attributes—dread risk and controllable risk—and four different types. Higher dread risk and lower controllable risk had a larger effect on both risk perception and policy needs. Conclusions: A gender difference was observed in environmental health risks perceived by Seoul citizens, and general risk perception and policy needs varied depending on dread risk and controllable risk. When enforcing environmental health policies, it would be important to consider the above, identify priorities, and provide appropriate adjustments and interventions. 연구목적: 서울시민이 느끼는 위험인식과 환경보건위해에 대한 의견, 위험인식과 정책 필요성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심리학적 방법에 따른 분석을 통해 환경보건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자료는 서울시에 1년 이상 거주한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2017년 8월 총 6일간의 온라인 설문조사로 수집되었다. 위험인식에 관한 도구는 심리측정패러다임 연구를 참고하여 환경보건분야로 한정한 20개의 위해요소를 도출하고 6개의 위험특성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위험인식과 예방 정책 필요성을 추가하고 요인분석을 통해 위험인식 구조를 2개로 축소한 후 그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20개 환경보건위해요인에 대한 일반적인 위험인식 순위를 성별, 연령별, 혼인상태별 평균값 순으로 나열한 결과 방사능의 위험인식이 가장 높았고 정책 필요성 순위는 미세먼지가 가장 높았으며 항목마다 집단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서울시민의 환경보건위해요인에 대한 서울시민의 일반적인 위험인식을 평균값에 따라 도출한 결과 방사능, 산업폐수, 환경호르몬 순으로 위험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정책의 필요성에 대한 응답으로는 미세먼지, 자동차 배기가스, 산업폐수 순으로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6개의 위험특성은 위험에 대한 두려운 정도와 위험의 통제가능성 정도의 2개의 속성과 4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위험에 대한 두려운 정도가 높을수록, 위험에 대한 통제가능성이 낮을수록 위험인식과 정책 필요성 모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서울시민이 체감하는 환경보건위해는 성별, 연령별, 혼인상태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위험의 두려운 정도와 통제가능성 정도에 따라 일반적인 위험인식과 정책 필요성이 변화하였다. 환경보건정책 집행 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파악한 적절한 조정과 중재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감염병의 사회적 표상이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메르스(MERS)에 대한 서울시민 인식을 중심으로

        최진식(崔辰式) 한국공공관리학회 2021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5 No.2

        감염병은 개인적 위험이면서도 사람 간 전파에 의하여 감염되는 사회적 위험의 속성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위험의 심리측정모형과 사회적 표상이론을 결합하여 감염병의 사회적 표상이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조사하고자 한다. 2019년 11월에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메르스의 사회적 표상과 위험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타자화는 위험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감염확산 가능성, 감염관리 불가능, 두려움에 대한 인식을 증가시켜 간접적으로 위험인식을 증가시켰다. 둘째, 음모론은 위험인식을 감소시킨 반면, 감염확산 가능성과 감염관리 불가능에 대한 인식을 증가시켜 간접적으로 위험인식을 증가시켰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종합해 보면, 음모론 표상의 직접효과 외에는 사회적 표상은 낙관편향을 초래하기 보다는 오히려 위험인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사회적 표상은 위험인식의 원인이면서 동시에 원인의 원인이기도 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감염병 위험인식을 단지 개인적 차원의 막연한 두려움 또는 무지에 의한 것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이에 스며든 사회적 표상의 영향도 함께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학생의 기후변화 위험인식 유형별 특징에 관한 연구

        박우용(Woo-Yong Park),서은정(Eun-Jung Seo) 한국환경교육학회 2021 環境 敎育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기후변화 위험인식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위험인식 유형별 특징을 자세히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그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군집 분석하여 3개의 위험인식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3개의 위험인식 유형은 각각 ‘소극적인 위험인식 유형’, ‘위험인식 중립 유형’, ‘적극적인 위험인식 유형’으로 명명하였는데, ‘적극적인 위험인식 유형’에 속한 학생들은 기후변화를 위험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크고, 평소 환경 문제에 관심이 많으며, 개인의 행동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의지가 상대적으로 강했다. 반면, ‘소극적인 위험인식 유형’의 학생들은 환경 문제에 관심이 적을 뿐만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려는 개인적 노력뿐만 아니라 국가 정책에 있어서도 효능감을 낮게 평가하였으며, 미래에 대해서도 부정적으로 전망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적극적인 위험인식 유형’의 학생들이 ‘소극적인 위험인식 유형’의 학생들보다 과거 기후변화 관련 교육 활동에 참여한 경험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들 연구 결과는 기후변화 교육의 방향과 목표를 설정하는 데 있어, 필요한 충분한 논의와 고려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In this study, the climate change risk percep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classified by type, and we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isk perception type in detail.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7th-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by cluster analysis of the obtained data, we were able to classify the responses into three types of risk perception. Risk perception types were named as “passive risk perception type”, “risk perception neutral type”, and “active risk perception type”. Students in the “active risk perception type” tend to perceive climate change as a risk, are usually interested in environmental issues, and have a relatively strong will to change individual behavior.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of the “passive risk perception type” not only showed little interest in environmental issues but also underestimated the effectiveness of national policies and personal efforts to solve the problems. In addition, they tended to forecast negatively about the future. Furthermore, the percentage of experiences in which students with the “active risk perception type” participated in past climate-change-related educational activities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passive risk perception type”. From this, we believe that sufficient discussion should be made in terms of the direction and goals of climate chang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