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민지 시대 ‘예술사진’과 풍경 이미지의 생산

        김계원(Kim, Gyewo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0 美術史學 Vol.- No.39

        이 논문은 식민지 시기 ‘예술사진’의 맥락에서 생산된 풍경의 의미와 재현 방식을 동시대 일본 ‘예술사진’과의 교차관계를 통해 고찰한다. ‘예술사진’은 1920-1930년대 아마추어 사진가들을 중심으로 신문지상의 공모전과 각종 전시를 통해 제도화된 역사적 범주이다. 당시 ‘예술사진’을 지향했던 아마추어 작가들은 자신의 작품을 영업사진, 신문사진 등 생계를 위한 사진과 목적 및 동기 면에서 차별화하고, 개인의 표현과 취향에 밀착한 사진활동을 추구하였다. 이들의 ‘예술사진’에서 풍경은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 주제물이었다는 점이 흥미롭다. ‘예술사진’의 바운더리에서 집중적으로 생산된 풍경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 논문은 이미지 생산 주체를 기준으로 나누어 접근한다. 첫째, 일본 ‘예술사진’에서의 풍경 개념과 재현의 방식을 ‘회화적 풍경사진’이라는 범주를 통해 살펴본다. 둘째, 재조선일본인 사진가들이 조선에서 제작한 ‘회화적 풍경사진’이 일본 사진계에서 어떠한 의미로 수용되었는지 추적한다. 셋째, 조선인 사진가들이 ‘회화적 풍경사진’을 번역, 수용하는 양상과 일간지의 납량사진공모전이 풍경의 재현과 학습, 그리고 ‘회화적 풍경사진’의 변형과 심화에 담당한 역할 또한 짚어본다. 논지를 전개하는 과정에서 연구자는 일본 ‘예술사진’과 재조선 일본인의 ‘예술사진’ 그리고 조선인 사진가의 ‘예술사진’ 사이에서 행해진 문화번역과 상호교섭에 초점을 맞추어, ‘예술사진’ 이라는 개념 자체가 품고 있는 다층성과 복수성을 드러내고자 했다. This paper examines the style and meaning of landscape images, produced within the cultural context of ‘Yesul Sajin (Fine Art Photography)’ during the colonial period of Korea. It particularly addresses how the landscape imagery of ‘Yesul Sajin’ developed in relation to, and through meditation of, Japanese ‘Geijutsu Shashin (Fine Art Photography).’ In contrast to the ‘professional artists’ leading today’s art scene, it was amateur photographers who inaugurated the movement of ‘Yesul Sajin’ in early twentieth century Korea and Japan. In order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commercial or documentary photographers, the amateur artists pursued ‘Yesul Sajin’ as the expression of their personal tastes and pastime activities, in which landscape w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subject-matters.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and implication of the landscape imagery of ‘Yesul Sajin’ by categorizing them into three different parts. First, it explores the style of ‘pictorial landscape photography,’ emerged and developed in the Japanese photographic circle around the turn of the century. Second, it addresses how Japanese residents in Korea developed their own style of landscape photography by portraying famous places in the colony; and in turn how their works received specific attention from the photographic circle within Japan. Third, it traces how Korean photographers came to achieve their own way of perceiving landscape, through the cultural translations of the landscape imagery of ‘Geijutsu Sajin.’ It also examines the integral role of popular photo contests in the discovery and visualization of a new mode of landscape imagery. Taken together, this paper seeks to address the formation of ‘Yesul Sajin’ not as a singular fixed category of aesthetics, but as a muti-layered discourse that emerged during the course of intersections and inter-mediations between the colony and the empire, and their communal formations of photographic agencies, materials, and institutions.

      • KCI등재

        蒼巖書論의 예술사적 의의

        김남형(Kim, Nam-hyeong) 한국서예학회 2013 서예학연구 Vol.22 No.-

        이 논문은 조선 후기의 저명한 서예가이자 서예비평가였던 蒼巖 李三晩(1770-1847)의 書論이 형성된 예술사적 배경과 그 의의를 해명하기 위하여 집필되었다. 창암의 서론은 ‘自然에서 출발하여 自然으로 돌아가야 한다’로 정리된다. 작가를 둘러싸고 있는 자연물과 자연 현상에 卽하여 그 특성을 정감적으로 체득하고 그것을 생동감있는 추상형식으로 상징화하여 필획을 통해 구현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창암의 書論은 조선후기 예술사의 문맥에서 보면 당시 문학ㆍ회화ㆍ음악 등 여러 예술 장르에서 제기된 문제의식, 즉 중국의 고전적 모델을 모방하는 풍조를 배격하고 작품창작의 動因이자 배경이 되는 자연을 강조함으로써 개인과 민족의 차원에서 개성과 독자성을 추구하려한 움직임과 괘를 같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점은 창암의 書論이 중국의 역대 書論과 확연히 다르며, 그가 조선인의 審美情緖에 합치하는 書風을 창출해낸 사실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볼 때 ‘自然’을 강조한 창암의 書論과 ‘行雲流水體’로 일컬어지는 그의 書風은 서예로 하여금 조선후기예술사에서 시대정신을 대변하고 先導하는 중요한 예술 장르의 하나로 자리잡게 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예술사적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rt history backgrounds and meanings of the calligraphic theory of Changam Lee Sam-man, a renowned calligrapher and calligraphic critic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His calligraphic theory can be summed up in "To start in nature and return back to it." He argued that artists should experience and learn the characteristics of surrounding natural objects and phenomena emotionally, symbolize them in lively abstract forms, and implement them through brush strokes. His calligraphic theory seems to be in line with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raised in various genres of art including literature, paintings, and music in the context of art history in the latter of Joseon or the movement of rejecting the trend of mimicking the classical model of China and pursu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ity in the aspect of individuals and the people. It is also confirmed by the facts that Changam's calligraphic theory was clear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calligraphic theories of China and that he created a calligraphic style that matched the aesthetic sentiment of Joseon people. In those aspects, his calligraphic theory emphasizing "nature" and his calligraphic style called "Haengwoonryusuche(行雲流水體)" made a huge contribution to calligraphy settling down as an important genre of art to represent and lead the spirit of the times in the art history of the latter of Joseon, which grants the meanings of art history to them.

      • KCI등재후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예술정보관의 <예술사 구술채록사업> 운영 현황

        이호신 한국무용기록학회 2007 무용역사기록학 Vol.13 No.-

        구술사는 최근 들어 역사학계와 문화인류학계를 중심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질적 연구 방법의 하나이다. 구술사는 문자로 자신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지 못한 사람들도 역사 서술의 주체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역사의 민주화'를 가져온 계기를 제공하였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구술사는 문자기록이 누락되거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기 위해서 서구의 도서관이나 아카이브에서 활발하게 도입되고 있다. <한국 근·현대 예술사구술채록사업>은 국내 최대의 문화예술 전문 도서관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예술정보관이 예술사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의 절대적인 부족을 해소하기 위한 시도로써 추진하고 있다. 국내의 다른 구술사 수행사례와 달리 사업시행 초기부터 자료의 수집은 물론 그 체계적인 관리와 효율적인 열람을 염두에 두고 있다. 2003년도 처음 개시 이래 2007년도까지 총 105명의 원로예술인에 대한 구술채록작업을 추진하였으며, 지난 2004년도부터는 그 성과물을 인터넷으로 서비스하고 있다. 예술사구술채록사업은 예술계를 비롯한 각계에서 커다란 반향을 일으키고 있으며, 당초 100명의 한정된 인원만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에서 아르코예술정보관의 항시 사업으로 자리를 잡는 성과를 거두었다. 예술사구술채록사업의 성과를 지속적인 성공과 확산을 위해서는 '생애사' 뿐만 아니라 예술사적 사건에 대한 채록도 병행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그 동안 예술사 서술에서 배제되거나 누락되었던 보다 다양한 예술가들의 증언을 폭넓게 채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연구성과의 질적 제고를 위해 채록연구를 수행할 연구자의 외연을 보다 확장하고 구술사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 훈련을 제공할 필요가 제기되고 있다. Oral history, which historians and anthropologists are concerned with in recent days, is one of the new methodologies of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oral history, people who cannot express their ideas and experiences with written languages can participate in recording history. For a long time, many libraries and archives in the western world have been doing oral history for their collecting archive material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make an introduction of Oral History Project on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s, initiated and managed by Arko Arts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 which is the largest special library for arts in Korea. First, I introduce some academic theories and historical backgrounds oral history. Second, I illustrate the progress of oral history projects having been launched in the western world. After that, I discuss the background, the development, and the outcomes of the Oral History Project on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s along with its services provided and use of its outputs. This project is aimed for collecting useful resources for studying on history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s. For 5 years (2003-2007), it has performed oral history interviews with 105 famous old artists. And it made so many useful materials-tape recordings, audio-video recordings and transcripts etc about life history of artists. Some of this materials can be used at homepage of Arko. Finally, I propose some ideas for the development of this Project. To sustain performances of this project, I think it will be expanded with not only life history of artists but also testimony about accidents of history of arts. And I suggest needs of systematic training and education about oral history methodology and interview skill for interviewers.

      • KCI등재

        21세기 예술사회학: 창작과 수용의 경계에서

        정미숙 한국연기예술학회 2020 연기예술연구 Vol.19 No.3

        이 연구는 예술의 창작과 수용의 경계에서 21세기 예술사회학의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21세기 예술사 회학이 사회학보다는 예술을 중점으로 하고, 예술가와 작품과 관객의 유기적 작용으로 예술가 뿐 아니라 작품과 관객도 생산자로 접근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공간과 드라마로부터 자유로운 연극, 배우와 관객이 함께 만드는 연극, 관객의 참여와 체험에 주목하는 현대 연극의 현상을 살펴본다. 예술과 사회의 관계는 주로 사회학자와 인문주의자들에 의해 사회학적 관점에서 연구되었다. 더욱이 연극은 아직까지 사 회학적으로 접근하는 학문으로 활발하지 못하다. 연극은 공연을 통하여 사회를 반영하고 동시대 관객과 소통한다. 연극은 가장 밀접하게 사회 내부로부터 잉태되고 지속적으로 사회성을 드러낸다. 현대 연극예술 은 무대 공간으로부터 자유롭고, 관객의 참여와 체험에 주목하면서 장소특정적 연극, 플레이백 씨어터와 같은 새로운 실험적 시도로 창작과 수용의 경계를 넘나들고 있다. 연극예술은 새로운 미적 가치와 미적 경험 속에서 소통과 공감, 교육과 치유로 창작을 확장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연극예술과 사회관계에 대한 접근은 예술가, 예술작품, 관객의 관계를 유기적 관계로 볼 수 있다. 이 관계 속에서 첫째, 작품은 사회적이고 일상적인 공간에서 의미 보다 감성적 소통을 지향한다. 둘째, 관객은 생산자로서 스스로 느끼고 공유하고 공감하며 자기 식의 해석을 통해 자신을 재구성할 수 있다. 셋째, 창작자는 텍스트 보다 퍼포먼스, 대본보다 구술, 로고스 보다 파토스, 연속 보다 불연속을 의미화 한다. 본 연구 결과는 연극을 중심으로 예술가와 작품과 관객의 유기적, 생산적 관계를 전제로 사회학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현대 예술사회학의 전망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논문은 연극이 창작의 공간과 수용의 공간을 구분하였던 과거 의 공간을 벗어날 뿐 아니라 역사와 기억과 일상의 공간을 통합적 예술양식으로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수용함으로써 창작과 수용의 경계를 허무는 시도를 하고 있다. 이러한 연극예술의 창의적 실험과 실천들을 바탕으로 21세기 예술이 사회학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 예견을 목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future of sociology of art in the 21st century which is at the cusp of creative art and expropriation art. It observes modern theater that is free from space and drama, that which is created by both the actors and audience, and that which focuses on the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of the audience in order to propose evidence for the artwork and audience to approach the art as a producer alongside the artist through the organic interaction between the artist, artwork, and audience by focusing on the fact that sociology of art in the 21st century focuses more on the art aspect than the sociology aspect.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society has mostly been studied by sociologists and humanists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Moreover, theater has not yet been studied extensively from an academically sociological perspective. Theater reflects society and interacts with audiences of the same age through performance. Theater is birthed from the innermost places of society and consistently displays sociality. Modern theater art is free from the stage and focuses on the audience’s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It continues to go back and forth between creation and expropriation through new experimental attempts such as site-specific theater and playback theater. Theater art is stretching the concept of tradition through interaction, sympathy, education, and healing based on new aesthetic values and experiences. Within such changes, one can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st, artwork, and audience organical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ater art and social relationships. In this relationship, firstly, the art piece pursues emotional communication in a social and familiar space rather than space. Secondly, the audience feels, shares, and sympathizes as a producer and can recompose oneself through personal interpretation. Thirdly, the creator signifies performance over text, speech over script, pathos over logos, and discontinuity over continuity. The study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an suggest the future of the modern sociology of art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re is an organic and produ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 artwork, and audience in theater.

      • KCI등재

        구술기록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 설계 : 예술사구술채록사업 결과물을 중심으로

        이호신 한국구술사학회 2012 구술사연구 Vol.3 No.1

        이 글은 구술기록의 기록물로서의 특성을 고려해서 그 맥락과 출처를 온전히 보존하 면서, 구술사 연구기관들이 보유하여 서비스하는 다른 자료들과의 효과적인 통합 정보서 비스가 가능한 메타데이터의 구조와 요소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그 가운데에서도 국립 예술자료원이 수행하고 있는 예술사구술채록사업의 결과물의 기술을 위한 메타데이터 요 소를 산출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이 글에서는 관련 선행연구의 결과를 간략하게 살펴보고, 선행 연구를 적용한 개별기관의 사례를 조사하고, 국립예술자 료원의 예술사구술채록사업의 현황과 특성, 정보서비스 현황을 개괄하고, 이에 따라 FRBR 개념을 반영한 구술기록 메타데이터 요소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프루스트와 예술사의 논리

        김주원(KIM Joowon)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21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75 No.-

        이 논문은 마르셀 프루스트의 미학이론에 대한 연구의 일부로서,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 예술사의 구축이 표상되는 방식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프루스트는 당대의 실증주의적 문학사에 거리를 두었으나, 문학, 미술, 음악 등 모든 예술을 주제로 삼아 작품의 수용과 창작이 지닌 역사적 성격을 서사적으로 재현했으며, 예술사 서술의 인식론적 조건을 검토하고 다양한 모델들을 실험했다. 그는 먼저 예술의 인식적 기능에 착안하여 수용이 작품의 의미를 규정하는 과정을 탐구했으며, 작품 감상이 선행하는 담론에 의존한다는 사실을 토대로 결정론적인 예술사 이해를 반박했다. 또한 프루스트는 비평적 상대주의를 극복하기 위하여 창작이 예술사의 구축에 능동적으로 작용하는 예를 보이는 한편, 예술사가 현재의 관점에서 계속해서 새롭게 구성된다는 사실을 의식하면서 혁신적 작품이 고전의 지위를 확보하는 역사적 과정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

        "명대 문인화(文人畵)의 예술사상과 영향 -동기창(董其昌)의 '담'(淡) 미학을 중심으로-"

        하동아,박명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2 조형미디어학 Vol.25 No.2

        Chinese literati painting is an important branch of Chinese painting art, which has rich research significance and value. In particular, Dong Qichang, as the most influential literati painter in the Ming Dynasty, has made great achievements in the practice of artistic creation and left a wealth of painting theories. Among Dong Qichang's many painting theories, the most representative and influential theory is "Serenity(淡)" aesthetics. "Serenity(淡)" aesthetics condenses Dong Qichang's artistic thinking and reflects he's understanding of literati painting art. However, the current academic research on the artistic thought of literati painting in the Ming Dynasty represented by Dong Qichang's "Serenity(淡)" aesthetics is insuffici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studies Dong Qichang's core theory "Serenity(淡)" aesthetics, analyzes the aesthetic thought of his literati painting creation, as well as the artistic thought in Chinese literati painting in the Ming Dynasty. At the same time, with Dong Qichang's "Serenity(淡)" aesthetics as the center, this paper explores the artistic thoughts of literati painters in the Ming Dynasty in painting creation and painting theory, and analyzes the impact of literati painting in the Ming Dynasty on the development of Chinese literati painting in future genera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we will explore the practical significance and time value of "Serenity(淡)" Aesthetics, then find the significance of "Serenity(淡)" aesthetics to the development of today's artistic thought. 중국 문인화(文人畵)는 중국 회화예술의 중요한 분파로서 풍부한 연구 의의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특히 동기창(董其昌)은 명대의 가장 영향력 있는 문인 화가로 예술 창작 실천에서 큰 성과를 거두었을 뿐만 아니라 풍부한 회화이론을 남겼으며 수많은 회화이론 가운데 가장 대표적이면서도 영향력이 있는 이론으로 '담'(淡) 미학이 있다. 동기창의 '담'(淡) 미학은 회화예술에 대한 그의 사색이 응집된 것으로 문인화 예술에 대한 동기창의 인식과 자각을 잘 보여준다. 그러나 동기창의 '담'(淡) 미학이 대표하는 명대 문인화의 예술사상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동기창의 핵심 이론인 '담'(淡) 미학을 연구하고 대표되는 명대의 문인들이 그가 창작한 문인화에서 어떤 예술사상을 구현하였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중국 명대 문인화에서 예술사상의 미학정신을 깊이 연구하는 데 의의가 있다. 아울러 동기창 '담'(淡) 미학을 중심으로 명대 문인 화가가 회화창작과 회화이론에서 보여준 예술사상을 탐구하고, 명대 문인화가 후대에 중국 문인화 발전에 끼친 영향을 분석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담'(淡) 미학의 현실적 의미와 시대적 가치에 대하여 모색할 것이며 나아가 '담'(淡) 미학이 현시대 예술사상 발전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 KCI등재

        예술사진과 현대미술의 지형도 변형

        이필(Lee, Phil) 서양미술사학회 2015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42 No.-

        본고는 1980년대를 전후로 예술사진의 수집과 전시가 활발해지는 과정을 거쳐 2000년대에 이르러 사진이 미술관의 전시실을 장악하고 수집가의 주요 소장대상이 된 현상의 한 근원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예술사진의 부상은 광범위하게는 현대미술의 지형도 변형을 일으켰다. 저자는 1960년대 개념미술을 중심으로 독일과 미국 미술의 교류를 이끌었던 갤러리스트들이 예술사진의 부상에 큰 역할을 했음에 주목하고, 일레나 소나밴드(Ileana Sonnabend), 콘라드 피셔(Konrad Fisher), 매리앤 굿맨(Marrian Goodman)과 같은 갤러리스트이자 수집가들이 개념미술의 맥락에서 사진을 부각시키는데 기여했음을 고찰한다. 그들의 활동은 뉴욕 미술시장에 베허 부부(Bernd and Hilla Becher)와 그 제자들을 유입시켜 국제적인 예술 사진의 부흥을 주도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저자는 그들의 활동이 더 나아가 이후 전반적인 사진의 전시 및 수집의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궁극적으로 이후의 주류 현대 미술사를 움직이는 주요 동인이 되었다고 본다. 본고는 이들 갤러리스트의 활동이 미술시장, 미술품 전시와 수집문화에 미친 파급력, 더 나아가 미술사, 미술이론과 미술비평에 끼친 영향력 등을 논하고 이들의 활동이 광범위하게는 현대 사진사와 현대 미술사에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조명한다. The collection and exhibition of photography became active around the 1980s. Photography has covered walls of major museums and purchasing needs of major collectors since the 2000s. This essay explores leading gallerists and collectors who collected and exhibited photographs in their own belief and contributed to the current phenomenon of the prevalence of photography in the art world. It explores activities of Ileana Sonnabend, Konrad Fisher and Marrian Goodman who initiated German-American institutional exchanges and the emergence and vitalization of photography in the mainstream art world of the 1960s. They introduced the Bechers to the New York art world. This made a road of entrance to America for their students who eventually have led the international prevalence of photography. It explores processes and contents of collections of those gallerists and collectors, and their power over the art market and exhibition culture. It illuminates their crucial roles on the formation of a history of contemporary art more broadly by analyzing their influences on art history, theory, and criticism.

      • KCI등재후보

        근대 지식인 최남선의 예술사 기술(記述)에 활용된 신화적 상상력 연구 - <조선상식문답속편>을 대상으로 -

        표정옥 ( Pyo Jung-ok ) 영주어문학회 2017 영주어문 Vol.37 No.-

        본고는 최남선의 『朝鮮常識問答續編』속에 기술된 한국의 예술사를 신화적 상상력이라는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다루고자 하였다. 최남선은 초기 신화와 역사와 종교에 대한 논의에서부터 말년의 연구 저서에 이르기까지 문화를 총체적이고 유기적으로 보고자 하였다. 역사와 신화와 종교와 문화가 따로 구분되기 보다는 늘 서로 유기적 상호작용을 하면서 어우러져 있는 종합적 산물임을 강조하고 있다. 기행문 하나를 통해서도 역사와 신화와 종교와 예술이 함께 등장한다. 이는 현대 융합적 사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눈여겨 볼 만하다. 본고는 『朝鮮常識問答續編』의 예술사에 대한 논의를 세 가지 지점에서 점검하였다. 첫째, 한국의 역사를 관통해서 예술사를 기술하는 과정 속에서 한국 예술의 창의성과 독창성이 존재하고 있다는 점을 초지일관 견지하고 있는 것에 주목했다. 둘째, 한국의 예술은 종교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면서 일종의 신화성을 가진다는 점을 중요하게 보고자 했다. 셋째, 한국의 예술사를 기술함에 있어서 문학과 인문정신을 가미한 융합정신을 살피고 있는 점에 주목하고자 했다. 즉, 본 연구를 통해 근대 시대에 인문정신이 어떨게 융합적인 예술 문화사 기술에 활용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into the Integrated imagination used in Modern Intelligent Choi NamSun's Art History Description, focusing on “The Sequel Question and Answer of Chosun Common Knowledge <朝鮮常識問答續編>”. To build up the Integrated imagination in the modern mental artistic space, Choi Nam-sun utilized Cosmopolitanism, Religiosity, and Integrated literature. The first, this article researches into Choi Nam-Sun's cultural Cosmopolitanism sharing beyond the boundary of cultural space. Dangun Myth is the most important sharing East Asian knowledge. Choi think of the nation as an oppositive consciousness. The second, Choi thought that the Chosun’s Art History showed dynamic cultural knowledge with religious mythicality. Particularly, Buddhism was the Korean religious art culture with a mythical viewpoint with climbing many famous mountains. This article aims to research into reconstructing a cultural art history through Choi’s various religion travels. The Third, Choi's method of studying the artistic imagination was cultural and Integrated. He thought that the Art History was a driving power to build national future. Namely, Integrated literary consciousness became a modern artistic knowledge.

      • KCI등재

        벨팅의 예술종언론과 현대미술의 기술 방법

        최병길 ( Byung Kil Choi ) 한국동서철학회 2010 동서철학연구 Vol.58 No.-

        19-20세기로의 전환기 예술가들은 창작의 목표를 대상의 모방적 정확성에 두었지만,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이것은 예술사의 본성에 의문을 제기함과 동시에 재현적인 정확성의 목표도 포기하도록 이끌었다. 그 상황을 반영하는 학설들은 제들마이어의 근대예술비판론, 그리고 벨팅, 후쿠야마, 단토, 모건, 쿠스피트로 이어지는 예술종언론이었다. 벨팅은 자신의 『예술종언론?』 후반부에서 바자리의 『예술가열전』을 분석하면서 예술의 역사적 발전, 그리고 추후의 예술사 저술의 발전에 미친 영향을 시험했다. 예술이 르네상스로부터 지속된 전통적인 예술사학자들이 수행한 규범적 판단의 문맥 속에서 시험되기보다는 차라리 현재에 유행하고 있는 태도들의 문맥 속에서 시험되어야만 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가 당시에는 결정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다가 2000년 이후에야 현대미술의 전개를 당대의 다양한 문화사적, 인종사적, 더 나아가서는 인류학적 맥락에서 기술되어야 한다는 주장으로 전환하고 있다. 그는 새로운 전형을 제안하기보다는 차라리 개별적인 작품들에 대해 관심을 늘릴 것을 권유한다. 그가 고민 끝에 제시한 예술사 방법론은 이미지 이론과 형상인류학이었다. 결론적으로 그는 지구촌의 시대에 부응하여 인류학을 예술사학에 끌어들임으로써 그 학문의 지평을 전 세계적으로 확장하고 있는 것이다. Hans Belting, through an examination of Vasari`s Lives of the Artists in the second-half of his The End of the History of Art?, inspected the influence up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art, and the development of subsequent writings of art history. It implies that any kind of art history which does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contemporary art practice, function and experience is ultimately inadequate. For art must be considered not from the canonical judgment persistently pursued by traditional art historians in the Renaissance period, but from the attitude in vogue recently. Various art movements produced since the modern times were a worldwide trend beyond the limits of race or region. Thus it would be compulsory to avoid a method to discuss an art form that belonged to a country or cultural network like the Renaissance period. The pivotal theme of his The End of the History of Art? was to attempt to discover a method for overcoming the separation of modern art history from the contemporary art practice and experience. What is meant by his book is not an end of that discipline, but that of a special concept such as art-historical development as a continuity of meaningful and developing history. It was to grope at a methodology to write about an art form after modernism, proceeding in a pattern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ast. Well, Belting advises us to increase our concern on individual artworks rather than to propose a new type. For he saw the unprecedented variety of modern art. His final methodology of art history was image theory and Bildanthropologie. For instance, the images that he suggested with Video art were real and fictional ones, that is, which speaks for the phenomenon of modern culture. He grasped a methodical motif for writing about modern art by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Belting is endeavoring to write about modern art with Video art, just as Danto`s attempt to write about modern art with Pop art, who argued the end of art in a voice as same as him. Additionally, he is expanding the horizon of that discipline worldwide, by inducing anthropology into the realm of art history in accordance with globalization. From that sense, his innovative art history could be called a broad-sense art history or image art history or anthropological art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