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노인자살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김형수 ( Hyoung Soo Kim ),허평화 ( Pyung Hwa Heo ) 慶熙大學校 社會科學硏究院 2010 社會科學硏究 Vol.36 No.3

        우리사회에서 노인자살에 관한 연구가 2000년 이래로 증가하기 시작했다. 이는 노인자살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심각한 노인문제의 일 유형으로 자리 잡고 있음과 이에 대한 예방전략이 절실함을 의미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대부분이 연구가 노인자살의 대체개념인 자살생각을 중심으로 자살요인을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으며, 연구방법에 있어서도 설문조사로 대표되는 양적 연구방법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데 반해서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자살시도나 자살행위에 이른 사례를 검토한 연구는 거의 미미한 실정이다. 게다가 노인자살의 예방대책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는 별로 없고 있다하더라도 대부분이 개괄적이고 제안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노인자살에 관한 연구 논문(지난 10년간 학술진흥재단 등재 전문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논문 총 47편)을 분석하여 그 동향과 한계점을 진단해 보고 이를 통하여 노인자살연구의 향후 과제를 도출하여 궁극적으로는 보다 효과적인 노인자살의 예방전략을 강구하는데 일조를 하고자 한다. Research on elderly suicide has increased since 2000. It indicates that elderly suicide is receiving a great attention as a part of elderly problems, and policy efforts are needed. However, most of existing research on elderly suicide have done with the limited certain way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iew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professional journals(2000-2009). To achieve this, the relevant research papers among academic journals registered with KRF are analyzed. For this purpose, the 47 articles on the topics of elderly suicide were collected from the journals. The published time, key words, research types, research methods, policy proposals, and so on were analyzed for this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fforts on the various research methods of themes and objects are recommended for better researches on elderly suicide. Ultimately, this efforts will contribute to develope the more effective prevention strategies in the future.

      • KCI등재

        「발달장애연구」학술지의 연구방법 및 내용 분석

        조재규(Jae-Gyu Jo) 한국발달장애학회 2020 발달장애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한국발달장애학회’에서 발간하는「발달장애연구」학술지에 2011년부터 2019년까지 게재된 248편의 논문들에 대한 연구방법 및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내용으로는 연도별 게재논문, 연구자의 특성, 게재논문들의 연구방법을 알아보고,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게재논문 총 248편을 분석한 결과, 연평균 27.6편을 발행하였으며, 제1저자는 대학 교수, 특수교육 전공이 많았다. 소속대학은 전남대학교, 연구자 수는 2인 공동연구, 연구방법은 조사연구 논문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제1저자의 배경변인과 연구방법을 교차 분석한 결과, 조사연구는 특수교육학과 사회복지학, 문헌연구는 교육학, 상관연구는 아동·가족학 전공자가 많았으며, 조사연구는 교수와 박사과정, 실험연구는 교사와 석사과정, 석사, 상담 및 치료사가 주로 하였다. 둘째, 실험연구 논문 40편을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은 주로 초등학교 지적장애 학생이었으며, 실험집단 수는 5명 이하, 통제집단 수는 26명 이상, 실험설계 유형은 사전사후 단일집단 설계, 연구윤리는 미 제시, 실험기간은 8~12주 미만, 실험회기는 11~20회기, 통계도구는 SPSS, 통계방법은 독립표본 t 검정을 사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하지만 사회적 타당도와 중재충실도, 관찰자간 신뢰도를 제시하지 않은 논문이 매우 많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연구」학술지의 질적 향상을 위한 연구방법 개선 방안을 논의 및 제언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methods and contents of the 248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between 2001 to 2019 by ‘The Korean Association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earch contents included research on publications by year, characteristics of researchers, and methods of research on published papers, and analyzed the contents based on experimental research. Following are the major findings from the study: First, classifying the 248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showed that 27.6 papers on average annually were published in this journal, and the most frequently the profile of the first author was a professor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The most frequent affiliation wa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the most frequent authorship was co-authorship with two authors and the most frequent method of research was conducting a survey. A further cross-analysis between the first author’s background and methodologies as variants indicated that special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is the most frequent in among survey research articles, pedagogy is the most frequent among literature research, and papers with the method of correlation analysis was mostly conducted by children and family studies majors. Mostly survey research articles were written by professors and PhD program, and experimental research by teachers, master s course, master s degree, counselor and therapist.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40 experimental research papers, research subjects were mostl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elementary schools, with less than 5 experimental groups and more than 26 control groups. Also, the most common type of experiment design was pretest-posttest single group design. Most of the papers did not present research ethics. The most common study was the experiment period of less than 8 to 12 weeks, the experimental period of 11 to 20 sessions, the statistical tools of SPSS, and the statistical method of using the independent sample t test. However, there were a lot of papers that did not provide social validity, treatment integrity and inter-observer reliability.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this study discusses and suggests a guideline for improving research methodology,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Journal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 한국 연구시설장비정책의 변동 분석 및 발전 방안

        황병상 한국기술혁신학회 2020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20 No.11

        한국에서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및 문재인 정부가 추진한 연구시설장비정책의 변동에 대해 연구하였다. 즉, Hogwood & Peters(1983)의 이론을 확대·발전시켜 정책목표와 정책수단과 같은 새로운 변수를 추가함으로써 총 6가지 변수로 정책변동 유형과 그 흐름을 분석하였다. 이 정책의 변동유형 흐름은 일반적인 흐름과는 달리 정책혁신→정책혁신→정책승계→정책승계의 순으로 진행된 것으로 나타나, 각 정부가 의도적으로 높은 단계의 정책변동을 도모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모두 12가지의 정책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① 연구산업진흥법 제정, ② 표준지침의 연구시설장비 가동율 지표 개정, ③ 표준분류체계 개정, ④ 국가적 차원의 협의회 구성·운영, ⑤ NFEC의 전문성 강화, ⑥ 연구시설장비구축비의 효율적 사용과 장비개발 예산의 안정적 지원, ⑦ 정책 효과성 평가 후 ‘제3차 고도화계획’에 반영, ⑧ 연구시설장비 예산심의제 개선, ⑨ 실태조사의 개선, ⑩ 연구시설장비 등록창구 일원화, ⑪ 활용성과 관리체계 정립, ⑫ 대형연구시설 구축 로드맵의 실효성 증진이 바로 그것이다. Changes on research facilities & equipment policies promoted by Rho administration, Lee administration, Park administration, and Moon administration in Korea were studied. By developing the theory of Hogwood and Peters(1983) and adding new variables such as policy goals and policy means, a total of 6 variables were used to analyze policy change types and their flow. The policy turned out to display different flow than general flow of policy change types. It was processed in the order of policy innovation → policy innovation → policy succession → policy succession, implying that each government made a high level of policy change purposely. Through this analysis, a total of 12 policy enhancements were proposed: enactment of the Research Industry Promotion Act; revision of utilization index in standard guidelines; revision of the standard categorization structur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national council; strengthening the expertise of NFEC; efficient use of establishment fee and stable support of equipment development budget; reflect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3rd promotion plan after evaluation of policy effectiveness; improvement of budget deliberation, etc.

      • KCI등재

        융합연구정책의 효율적 논의를 위한 과학기술분야 융합연구과정에 대한 질적 탐구

        황광선 ( Kwangseon Hwang ) 한국정책학회 2015 韓國政策學會報 Vol.24 No.4

        정부의 투자가 증대되는 시점에서 효율적인 융합연구정책 논의를 형성하고 과학기술분야 연구자들의 생산적인 융합을 촉진하는 정부 역할에 대한 논의가 절실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정부의 융합연구정책의 기본은 “융합연구 현장 깊숙이” 있다는 인식 하에, 융합연구의 과정을 질적으로 탐구해 보았다. 연구자들이 노력해야 할 부문과 국가에서 제도적으로 뒷받침 해주어 할 부문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44명의 과학기술분야 융합연구자 인터뷰 분석에 따르면, 대부분 연구의 시작, 중간, 마무리의 단계에서 융합연구자들이 보이는 행태는 연구자들의 개인적인 역량, 관계, 노력의 문제로 나타난다. 연구의 시작단계에서는 개발될 결과물의 실효성에 대해 미래의 실수요자에 대한 충분한 검토, 과제 목표 및 역할 분담, 리더십, 참여연구자의 역량, 소통 등이 중요하고, 연구 중간 단계에서는 참여 연구원간 신뢰, 비정기적 미팅, 연구자 간의 배려 및 마음 소통, 인력교류, 담당역할에 대한 기술적 이해 및 타 분야의 기술방향 이해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적 측면에서는 융합연구의 방향성, 성과평가에 대한 부문, 융합연구에 대한 후속지원 강화에 대한 부문이 정부가 집중해서 논의하고 지원해야 할 융합연구정책으로 나타났다. With the increase of R&D investment on technology convergence, we need to examine the role of governmen in accelerating technology convergence. This study looks into scientists who research in the field of technology convergence in a qualitative way. The goal of the study is to figure out the way how government should support the researchers thereby revitalizing technology convergence. According to the analysis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44 interviewees, it seems that most responsibilities within the process of technology convergence lies on the researchers themselves. For example, at the beginning stage of the convergence project, researchers’ anticipation on the utility of the research results, setting the goal and dividing roles, leadership, participants’ capacity, communications are important. After the research is initiated, trust among the researchers, non-regular meetings, understanding one another, interaction between researchers are crucial for the successive convergence research. For the discussion of R&D policy of technology convergence, the government should redouble efforts in the arena of direction of convergence research policy, performance evaluation, and follow-up support.

      • KCI등재

        대형국가연구개발사업 정책의 제도적 분석

        염재호(Jaeho Yeom),이민호(Minho Lee) 한국기술혁신학회 2012 기술혁신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형국가연구개발사업 정책의 제도적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대표적 사업인 G7 프로젝트, 21C프론티어사업, 차세대성장동력사업을 대상으로 제도의 지속성과 변화를 분석했다. 분석을 위해 신제도주의이론에서 논의하는 정책제도의 지속과 변화, 그리고 진화에 대해 이론적 논의를 했다. 이론적 논의를 통해 정책제도를 분석할 때 거시적 수준, 중범위 수준, 미시적 수준으로 나누어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세 개의 대형국가연구개발사업을 대상으로 각 수준별로 정책제도의 이념 또는 정책목표와 정책제도의 참여주체, 그리고 정책수단을 대상으로 제도의 지속과 변화의 특성을 분석했다. 분석결과 거시적 차원에서 우리나라 대형국가연구개발사업이 제도적 지속성을 갖고 있는 것을 밝혀냈다. 하지만 중범위 수준에서는 정책제도가 정권의 변화와 국내외 정치경제적 상황에 따라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시적 수준에서는 정책제도가 정책목표의 상징성과 관료이익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중범위 수준과 미시적 수준의 정책제도의 변화는 중층적으로 축적 되어 정책제도가 진화하기도 하고 획기적인 정책제도로 변화할 수도 있다고 보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large scale national R&D policies in Korea. The analysis examined the continuity and change of the policy institution. It dealt with G7 Project, 21C Frontier Project, and Next Generation Growth Engine Project as the major large scale national R&D policies in Korea. The theoretical approach of this study is to the continuity and change or evolution of policy instit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new institutionalism. Based on the theoretical analysis, it emphasized the analysis of the institutions in three different levels: macro, meso, and micro level. In the analysis, the research examined the idea of policy institution or policy goal, participants in the policy institution, and policy instruments in different levels. The outcome of the analysis shows that the policy of large scale national R&D in Korea has the institutional continuity in the macro level. In the meso level, however, the policy institution changes due to the administration change and the influence of political economic environment. In the micro level, the policy institution changes based on the symbolic influence of policy goal and the interest of bureaucrats. The research finds that the micro and meso level institutional changes cause the evolution of policy institutions and the major change of policy institution.

      • KCI등재

        ‘시각장애연구’ 학술지의 최근 연구 동향 분석

        송건,정진자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0 시각장애연구 Vol.36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udies related to visual impairments published in the journal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and present future research tasks and trends in the field of visual impairments.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113 papers related to visual impairments were analyzed in the journal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in the last 5 years(2015-2019). Results: First, the number of authors was the largest in single research and two joint research, and each author was found to publish about 0.5 papers. Second, there were many professors as the first authors. Third, there were many studies on visually impaired students. Fourth, research subjects were found to have many research subjects related to education. Fifth, there were many survey research on the research types. Sixth, the types of research based on the research subject had many research and literature studies in the studies related to the subject education. Conclusi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suggested the direction of research in the journal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by presenting future research tasks and trends for the study on visual impairment.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장애연구’ 학술지에 게재된 시각장애와 관련된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시각장애 분야의 연구 과제 및 연구 경향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최근 5년(2015년-2019년)의 ‘시각장애연구’ 학술지에서 나타난 시각장애와 관련된 논문 113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저자 수는 1명 단독연구와 2명 공동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저자 1명당 약 0.5편의 논문을 게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1저자 신분은 교수가 많았다. 셋째, 연구대상은 시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다. 넷째, 연구주제는 교과교육과 관련된 연구주제가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유형은 조사연구가 많았다. 여섯째, 연구주제에 따른 연구유형의 경우, 교과교육 관련 연구는 조사연구 및 문헌연구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는 향후 시각장애 관련 연구 과제 및 연구 경향을 제시하여 ‘시각장애연구’ 학술지의 연구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학술연구 : 코스닥 상장기업의 기업지배구조, 기업가치, 자본비용 및 연구개발투자간 연계관계 분석

        김학건 ( Hak Kon Kim ),이재호 ( Jae Ho Lee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2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15 No.2

        기업에서는 경영자와 주주, 소유경영자와 외부주주간의 이해상충에 따라 여러 가지 대리인문제(agency problem) 및 정보비대칭현상(information asymmetric)에 따른 역선택 비용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고 이로 인한 기업성과와 가치의 하락을 방지하는 방안으로 최근 기업지배구조의 중요성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관련 연구 또한 활발하다. 그러나 기존 연구의 대부분이 대기업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중소기업의 지배구조 개선과 기업의 성과 및 가치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제 기업지배구조의 개선이 대기업과 마찬가지로 기업성과와 가치의 상승으로 연계될 수 있는지 분석한다. 또한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가치와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살펴본 선행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는 자본비용과 연구개발투자를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가치의 관계분석을 위한 중간경로변수로 활용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수한 기업지배구조를 갖춘 기업일수록 기업성과가 향상되었는데, 이는 건전한 지배구조가 경영자를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감시하여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행동을 제약하고, 기업성과를 제고시키는 의사결정을 유도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둘째, 건전한 기업지배구조를 갖춘 기업일수록 자본비용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우수한 기업지배구조가 정보위험과 대리인위험을 완화하고, 이에 대한 위험프리미엄(risk premium)을 낮추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특히, 지배구조 메커니즘 중 주주권리보호가 강한 기업일수록 자본비용이 매우 유의하게 낮아졌는데, 이는 주주권리보호가 강한 기업일수록 경영자의 비금전적 혜택(non-pecuniary)추구 경향을 효과적으로 감시하고 징계하여, 대리인비용(agency cost)의 발생에 따른 자본비용의 상승효과를 억제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셋째, 건전한 기업지배구조를 갖춘 기업일수록 연구개발투자가 증대되고 이에 따라 기업가치가 상승하였는데, 이는 지배구조가 우수한 기업일수록 소유경영자의 사적이익 추구 및 안주적 성향을 효과적으로 견제하여 연구개발투자증대를 통한 기업가치의 극대화를 유도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들은 아직까지 부족한 중소기업의 지배구조에 대한 선행연구결과들을 보완하고 이 분야를 연구하는 학자는 물론 중소기업 경영실무자 및 정책입안자에게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Agency problem and asymmetric information can happen between owner-managers and outside stockholders in a company. These problems can incur agency and adverse selection costs which will lower the value of small businesses. However, prior studies on corporate governance has been mostly focusing on large companies and rarely researched on small businesses. In this paper, we analyze empirically the impacts of corporate governance on firm performance, value, costs of capital, and R&D investment using data of the KOSDAQ-listed firms. We use individual firm`s corporate governance scores (KCGS) for estimating the quality of corporate governance and conduct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First of all, the study examine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firm performance (computed as ROA) using 2SLS. Second, it examines how corporate governance (measured as protection of shareholder`s right, disclosure policy, and board of directors) affects cost of capital (WACC) by OLS. Third, it analyzes the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measured as protection of shareholder`s right and board of directors) and firm value (computed as Tobin Q and M/B ratio) via R&D investment using 2S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re outstanding corporate governance a firm has, the better performance it shows. The reason is likely that these firms have internal governance structure for preventing owner-manager from abusing power, so they reduce the agency cost.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cost of capital (WACC). Especially, the firms that have a strong protection of shareholder`s right lower the cost of capital because this protection can mitigate asymmetric information and reduce adverse selection problem between managers and investors. Third, it is found that corporate governance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R&D investment, which, in turn, leads to the increase of firm value. This is likely because sound governance structure can prevent owner-managers in small businesses from remaining complacent with R&D decreasing behavior by effective monitoring.

      • KCI등재

        ADHD 아동 교육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1999-2008년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정순주 한국특수교육학회 2010 특수교육학연구 Vol.44 No.4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효율적인 중재프로그램 개발과 중재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1999년부터 2008년까지의 ADHD 아동 교육 관련 석ㆍ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논문은 국회전자도서관 소장 ADHD 아동 교육관련 학위논문 중 박사학위논문 23편과 석사학위논문은 당해 연도별 논문 30% 기준 비율층화무선표집법에 의한 144편으로 총 167편을 선정하였다. 대상논문 중 중재전략을 적용한 113편의 실험연구는 중재환경, 중재전략 및 중재기간을 별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유형은 실험연구, 조사연구, 문헌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연구주제로 박사학위논문에서는 진단-평가, 중재방법, 문제행동 개선 순이었으나, 석사학위논문에서는 중재방법, 문제행동 개선, 행동특성 연구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주로 ADHD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대상으로 51명 이상의 남녀 모두를 포함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ADHD 진단평가준거로 DSM-Ⅳ와 다른 준거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연구는 중재환경으로 일반학교 교실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중재전략은 치료중심 중재와 인지행동수정 중재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중재기간은 26회기 이상 계속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향후 ADHD 아동교육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an analysis of M.A and Doctorial theses from 1999 to 2008 to study the trend in Korea on education for children with ADHD. A selection of 167 theses were made, 23 Doctorial theses and 144 M.A ones which were chosen by 30% proportional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from each year M.A.' thesis at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The selected theses were analyzed on research type, research subject, and selection criteria. 113 theses, of which were proven in their effect with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analyzed on intervention setting, intervention strategy, and intervention period.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follows; Experiment research, survey, and literature analysis were the major topics the methodology of research. In Doctorial theses, the most researched topic was diagnosis evaluation, followed by intervention methods and improvement of problem behaviors, whereas in MA theses, the most researched was intervention method, improvement of problem behaviors and characteristics of behaviors. Children with ADHD in elementary school were most favored subject. The number of subjects was generally over 51, and includes both male and female. The choice of major selection criteria for ADHD was mostly DSM-IV used with other instrument. In terms of intervention setting, regular school class rooms were found to be the most favored. Activity based interventions such as art therapy and play therapy and cognitive-behavior modification intervention were the most employed intervention strategies, and most researches went on over 26 ses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조음음운장애의 국내 연구 동향

        박상희,강안영,강민구,이송구 한국언어치료학회 2012 言語治療硏究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on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To that end, 347 papers published from 1990 to June 2012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ategories: basic concepts, characteristics, accompanying disorders, development, diagnosis, therapy, multiculture, and phonological awarenes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basic concepts articles numbered 45. Second, characteristic articles numbered 71. Accompanying disorders articles numbered 91. Development articles numbered 13. Diagnosis articles numbered 40. Therapy articles numbered 36. Multicultural articles numbered 20. Finlly, phonological awareness articles numbered 31.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조음음운장애의 연구를 조사하여 국내 조음음운장애의 연구경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국내에서 언어치료분야와 관련있는 대표적인 연구지 6개를 선정하였다. 연구지는 언어치료연구, 언어청각장애연구, 말소리, 음성과학, 말소리와 음성과학,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이었고 검색 연도범위는 1990년부터 2012년 6월까지로 하였다. 6개의 연구지에 수록된 논문 중 조음음운장애 관련 연구는 총 265편이었으며 이 논문을 8개의 분류항목을 기준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초 개념연구는 45편(16.9%), 일반 아동의 발달 관련 연구는 13편(4.9%), 장애 유형과 그 특성에 관한 연구는 각각 71편(26.7%), 91편(34.3%)으로 나타났다. 진단 항목에 따른 연구는 40편(15.1%), 치료 접근 유형에 따른 연구는 36편(13.6%)이었다. 발달연구의 편수가 제한적이었고 이중언어 및 다문화에 관한 연구는 200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것은 사회적인 현상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공업사연구의 쟁점과 과제

        배석만(Bae, Suk-Man) 효원사학회 2015 역사와 세계 Vol.- No.48

        이 글은 일제강점기 공업사와 관련한 한국과 일본 연구자들의 그간의 연구성과를 정리한 것이다. 일제강점기 공업사연구는 초창기 朝鮮史硏究會를 중심으로 활동한 일본 연구자들에 의해 주도되었지만 본격적이라고 말하기 힘들다. 연구가 본격화되는 것은 민족경제론과 사회구성체논쟁, 그리고 이를 토대로 1980년대말 촉발된 근대화논쟁이 계기였다. 관련하여 1987년부터 시작된 한일 공동연구조직인 한국근대경제사연구회가 1990년대 초까지 생산한 일련의 연구성과가 1990년대 공업사연구를 활성화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1990년대 공업사연구의 본격화는 일제에 의한 식민지 공업화(경제개발) 과정과 결과에 대한 평가, 조선인자본(가)의 존재 양태 및 성장, 쇠퇴의 문제 등과 관련한 주목되는 여러 편의 연구성과를 생산하였다. 경제학의 경제사연구자들의 연구는 식민지근대화론의 실증적 토대를 보다 튼튼히 하는데 기여하였고, 역사학계 경제사연구자들의 연구는 그에 대한 반격을 본격적으로 모색하는 것이었다. 2000년대 이후는 1990년대 이후 본격화된 일제강점기 공업사연구의 심화와 확산이 이루어졌다. 새로운 자료의 출현과 디지털화 등으로 자료접근이 용이해진 점 등에 힘입은 것으로, 일제말 전시체제기 연구, 식민지에서 활동한 일본인 자본가에 대한 연구, 조선인자본가 연구의 외연확장, 산업사연구의 활성화 등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들 심화되고 확산된 연구가 기존 일제강점기 공업사의 쟁점들에 어떻게 수렴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 경제사 연구자의 인력풀이 갈수록 엷어지고 있다는 점 등은 개선해야 할 당면과제이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results of Korean and Japanese researchers" studies of industrial histo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Research on industrial histo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began in earnest by researchers of Japan studies, who were active centering around the Joseon History Research Institute in the early days, but it was not truly earnest research. The studies became in earnest, with the theory of national economy, the debate over social formations debate and the dispute over modernization stirred in the late 1980s as a momentum. Regarding this, a series of research results produced till the early 1990s by the Korean Modern Economic History Research Institute, a Korea-Japan joint research organization founded in 1987, served as a direct momentum for vitalizing studies of industrial history in the 1990s. Earnest studies of industrial history in the 1990s produced several noticeable research results concerning evaluations of the processes and results of colonial industrialization (economic development) by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aspects of existence, and the problems of the growth and decline of Joseon capital (or capitalists). Studies of researchers of economic history in the field of Economics contributed to strengthening the empirical foundation of the theory of colonial modernization, while studies of researchers of economic history in the circles of History sought a counter strike against them in earnest. In the 2000s, studies of industrial histo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ccelerated since the 1990s have been deepened and proliferated. This was because of the fact that the access to data became easier with the emergence of new materials and digitization. Studies of the period of the war basis at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 and Japanese capitalists who were active in the colony were conducted, studies of Joseon capitalists have expanded and studies of industrial history have been vitalized. However, the facts that there are almost no studies of how these in-depth and proliferating studies converge to the existing issues of industrial histo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at the pool of economic history researchers gradually decreases as time passes by are urgent issues to be resol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