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빈곤 여부,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학업동기, 심리적 안녕감과 청소년의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송희원(Hee Won Song),최성열(Sung Yeol Choi) 한국교육심리학회 2012 敎育心理硏究 Vol.26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과 통합적인 이해를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가정의 빈곤 여부,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학업동기, 심리적 안녕감을 학교적응 관련 변인으로 설정하고, 각 변인들과 청소년의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와 영향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빈곤 여부,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학업동기, 심리적 안녕감과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가정의 빈곤 여부,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학업동기, 심리적 안녕감과 학교적응 간의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한 3개 중학교 2, 3학년 남녀 564명과 4개 고등학교 1, 2학년 남녀 739명으로, 총 1303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먼저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검사, 학업동기 검사, 심리적 안녕감 검사, 학교적응 검사를 실시하고, 보건복지가족부가 공표한 최저생계비를 기준으로 빈곤 가정 청소년과 비빈곤 가정 청소년을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학업동기, 심리적 안녕감, 학교적응 간의 상관분석 결과, 각 변인들의 관계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정의 빈곤은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학업동기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학업동기를 통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부모양육태도는 학업동기와 심리적 안녕감을 통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며, 학업동기와 심리적 안녕감은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동기와 심리적 안녕감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가정의 빈곤과 지각된 부모양육태도는 학교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학업동기, 심리적 안녕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검증한 결과, 세 변인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빈곤 여부,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학업동기, 심리적 안녕감은 모두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pproach and underst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multi-dimensionally and integratively.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and variables including poverty level,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ll of which are expected to influence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To achieve the objectiv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investigated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overty level,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Second, do poverty level,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ve an impact on school adjustment? A total of 1303 students including 564 boys and girls in the second and third grades of three middle schools, and 739 boys and girls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four high schools located in Daegu were studied for this research. First of all, tests of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were conducted. Then, based on the minimum cost of living releas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udents from poverty level and non-poverty level families were divid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passive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after analyzing correlations among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Specifically, poverty level influenced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and learning motivation indirectly, and it had an impact on school adjustment through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and learning motivation.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affected school adjustment through learning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earning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d a 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Second, this study shows that learning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ve a direct and indirect impact on school adjustment, and both poverty level and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indirectly. Through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indirect impact of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school adjustment, it is revealed that these variables have statistically meaningful meditation effects. Therefore, it is shown that poverty level,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chool adjustment.

      • KCI등재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아분화수준이 학교생활적응과 학교성적에 미치는 영향

        장경문 한국아동권리학회 2011 아동과 권리 Vol.15 No.1

        본 연구에서는 첫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이들의 자아분화수준, 학교생활적응 및 학교성적 간에는 어떤 상관이 있는지,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자아분화수준은 이들의 학교생활적응과 학교성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마지막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자아분화수준이 학교생활적응 및 학교성적에 미치는 영향은 아동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서울과 인천지역의 초등학생 총318명(남아 173명, 여아 145명; 5학년 146명, 6학년 17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아동의 자아분화와 학교생활적응 및 학교성적에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이 중에서 부의 심리적 통제는 학교생활적응과, 모의 심리적 통제는 자아분화와 좀 더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자아분화수준과 학교생활적응 및 학교성적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어 자아분화가 높을 때 학교생활적응과 학교성적이 더 높았다. 둘째,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은 자아분화수준과 부 통제의 영향을 받으며, 학교성적은 자아분화수준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설명력은 크지 않았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자아분화수준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은 아동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생활적응의 경우에, 남아는 자아분화, 여아는 부의 심리적 통제가 가장 중요한 예측변인이었고, 성적에서는 남아는 모의 심리적 통제, 여아는 자아분화가 가장 중요한 예측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ree-folds:the first is to investigate how the perceived paternal/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the level of children's self-differentiation are related to the school adjustmen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econd is to study the relative influences of paternal/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the children's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on their school adjustmen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third is to investigate if the influences of paternal/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the children's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on their school adjustmen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differ in the boys and the girls. The total of 318, 5th or 6th graders (173 boys and 145 girls) residing in either Seoul or Incheon area. The results are following:First, Both the paternal and the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re negatively related to the level of children's self-differentiation (except the subfactor of self-integration), school adjustment, as well as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o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 level of an individual's self-differentiation and p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were the two significant predictors, and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Third, Some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boys and the girls in the predictors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school adjustmen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parenting was discussed.

      • KCI등재

        재한 중국유학생의 인지적 종결욕구,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김소정,송하나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8 No.2

        본 연구는 인지적 종결욕구와 자아존중감이 학교적응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재한 중국유학생의 타문화권에서의 학교적응에 도움을 주고 추후 학교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얻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4년제 대학에 학부과정을 밟고 있는 중국유학생 120명으로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인구학적인 특성에 따라 인지적 종결욕구,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인지적 종결욕구와 자아존중감의 학교적응과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먼저 학교적응에서는 일반적 자아존중감, 모호함에 대한 불편함이 유의하게 나타났고, 심리적 안녕감에서는 일반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모호함에 대한 불편함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로써 재한 중국유학생의 인지적 종결욕구와 자아존중감이 학교적응과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짐으로써 재한 중국유학생의 학교적응과 심리적 안녕감은 일반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그리고 모호함에 대한 불편함에서 그 설명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시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major purposes of this study were whether need for cognitive closure and self-esteem have an influence on school adapt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 or not.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one hundred twenty chinese students who attended a sungkyunkwan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orea. As a non-experimental study, a questionnaire that consisted of need for cognitive closure, self-esteem, school adapt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us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unpaired t-test, one-way ANOVA, Turkey test,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need for cognitive closure according to grade, the length of stay and study in korea. Secon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ool adaptation according to gender and the length of study in korea. Thir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the length of study in korea. Last, there are significant effects the need for cognitive closure and self-esteem on school adapt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KCI등재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 학교생활적응과 일상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장성화 ( Sung Hwa Jang ),최은희 ( Eun Hee Choi ),이주연 ( Ju Yeon L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이 학교생활적응과 일상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생 321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초등학교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 학교생활적응, 일상 생활스트레스, 자아탄력성의 상관관계 분석, 심리적 안녕감과 학교생활적응, 자아탄력성, 학교생활 적응과 자아탄력성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심리적 안녕감과 일상생활스트레스, 일상생활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안녕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안녕감이 일상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일상생활스트레스를 낮게 지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자아탄력성이 부분매개 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안녕감이 일상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자아탄력성이 부분매개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in the effect of elementary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on adjustment to schol life and everyday life stress. To achieve the objective, the study targeted at 321 children who were enrolled in th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The study used SPSS 20.0 program to collect the data and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elementary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adjustment to school, everyday life stress, and ego-resilience shows that psychological well-being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ego-resilience,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also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go-resilience.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veryday life stress, and also between everyday life stress and ego-resilience. Secondly, regarding the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the result shows that a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was higher, the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 of adjustment to school life was higher. The result of examin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n everyday life stress shows that a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was higher, the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 of everyday life stress was lower. Lastly, the psychological well-being had a positive(+) effect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ego-resilience was working as a partial mediating facto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had a negative(-) effect on everyday life stress, and ego-resilience was working as a partial mediating factor.

      • KCI등재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과 학교적응의 통합모형 신경망분석

        소선숙,김동옥,최은정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integration mod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ts. In order to fulfill the purpose of the study, 716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PWBS), School Adjustment Scale, Rosenberg Self-Esteem Scale, Values in Action Inventory of Strengths for Youth (VIA-Youth),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EPQ), and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Scale. The research, according to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found the Final Path Model B which consisted of self-esteem, character strengths, neuroticism, and problems in family communication was proved as a good model. In addition, in the analysis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ANN), comprehensive mod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which included socio-demographic variables indicated a high prediction of 89.2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ignificance of the integration mod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adolescents’ adjustment to school, which an important life environment.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positive psychotherapy programs and build up its educational conditions to enhanc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본 연구는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및 학교적응에 대한 통합모형을 구성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및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의 영향력을 밝히는 한편, 청소년전기와 후기를 구분하여 발달단계에 따른 차이점을 비교함으로써 발달적인 함의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의 6개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여학생 716명이었으며, 이들에게 심리적 안녕감 척도, 학교적응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성격강점 척도, 아이젱크 성격검사, 그리고 부모-자녀 의사소통 검사를 실시하였다. 심리적 안녕감 및 학교적응에 대한 보호요인인 자아존중감과 성격강점, 그리고 위험요인인 신경증적 경향성과 부모-자녀 간 문제형 의사소통의 최적 경로를 통합하여 수정 절차를 거친 최종 경로모형(B)은 우수한 모형임이 입증되었다. 최종 경로모형(B)을 청소년전기와 청소년후기의 표집에 따로 적용하는 중다집단 비교과정을 적용한 결과, 고등학생 집단에서는 부모-자녀 간 문제형 의사소통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경망 분석을 이용하여 보호요인과 위험요인,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 및 학교적응과 유의한 관련이 있는 인구환경적 변인을 모두 투입하고 종속변인으로 심리적 안녕감과 학교적응을 교체 투입하여 전체모형의 설명력을 비교한 결과, 학교적응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포괄적인 신경망모형(모형 1)은 89.23%의 높은 예측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함의와 추후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학생의 심리적 특성, 관계특성, 수업만족,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구조 분석: 2013년 서울소재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권순달,이현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5 敎員敎育 Vol.31 No.2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심리적 특성과, 관계특성, 수업만족 등 관련 요인들이 학교생활적응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중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에서 수집한 2013년의 서울교육종단연구(SELS)자료 가운데 2013년 중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중학생들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자기통제력 등 심리적 특성이 긍정적일수록, 교우, 교사, 학교와의 관계가 우호적일수록,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 수준도 높았다. 둘째, 교우, 교사, 학교와의 관계는 수업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었으며, 이러한 관계요인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효과를 보일 뿐만 아니라 심리적 특성과 학교생활적응 간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개인적 특성들은 수업만족에는 직접 효과를 나타냈으나 학교생활적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중학생들의 심리적 특성과 관계 특성, 수업만족 요인들 가운데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는 관계 특성요인, 수업만족 요인, 심리적 특성 요인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선행연구 결과들과 함께 논의하였으며, 학교생활 적응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school adaptation and their relationships in the first-year students of middle school in Seoul, 2013. Based on previous studies, it established a structural model which include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self-esteem, self- control, self-resilience) as exogenous variables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s(school, peer, teacher), the school adaptation(school climate, school satisfaction), and instructional satisfaction(Korean language, Mathematics, English) as endogenous variabl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726(2013) middle school students. The goodness of model-fit was evaluated to meet the recommended criterion of RMSEA, GFI, and CFI.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 was the most powerful predictable variables for school adaptation. Relational characteristic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chool adaptation. And also, instructional satisfaction didn't influence on school adapta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intervention mechanism for school adaptation and also considerations for relational problem-solving ability improvement are needed.

      • KCI등재

        청소년 여가활동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행복감과 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연구

        염미진,정철상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leisure activities o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djustment to school lives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leisure activities and adjustment to school lives, review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happiness and academic stress. For this stud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of the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s were surveyed over two weeks from November 1 to November 15, 2021, followed by empirical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isure activities of teenager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psychological happiness. Second, the leisure activities of teenagers had a negative impact on academic stress. Third, the leisure activities of teenagers had a positive impact on school life adjustment. Fourth, the psychological happiness felt by teenager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adjustment to school lives. Fifth, the academic stress of teenagers had a negative impact on school life adjustment. Six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ies and school life adaptation, psychological happiness and academic stress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d theoretical and empirical data for developing a strategy to help teenagers adapt to school and cope with school stress with sound leisure activities and high happiness. 본 연구는 학교생활적응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여가활동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청소년의 여가활동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심리적 행복감과 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경기지역에 소재하는 중․고등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2주간(2021년 11월 1일-11월 15일) 조사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여가활동은 심리적 행복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여가활동은 학업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여가활동은 학교생활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심리적 행복감은 학교생활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는 학교생활적응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청소년의 여가활동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심리적 행복감과 학업스트레스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이 바람직한 여가활동, 높은 심리적 행복감, 낮은 학업스트레스, 학교생활에의 적응을 갖추는 삶을 살기 위한 방안 마련에 이론적이고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가정의 심리적 환경, 배려,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정희선,안도희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3 교육혁신연구 Vol.3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family process, care,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data from the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 and analyzing 2,942 3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ir third year of middle school in Busan Metropolitan Cit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o examine the inter-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and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process, care,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were analyzed using AMOS 26.0.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inter-correlations between the family process, care,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Family process, care, and self-esteem had a positive direct and indirect impact on school adjustment. Finally, care and self-esteem were found to hav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process and school adjustment.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family proces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 this study aimed at middle school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found that the family process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It suggests that providing a stable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is important for adolescents who spend relatively more time at home. This research would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on the significance of family processes, care, and self-esteem for improving school adjustmen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가정의 심리적 환경, 배려,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부산교육종단연구(BELS: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데이터를 활용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교 3학년 총 2,942명을 최종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각 변인들 간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구하였으며, AMOS 26.0을 활용하여 가정의 심리적 환경, 배려,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정의 심리적 환경, 배려,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 간의 관계는 상호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의 심리적 환경, 배려 및 자아존중감은 학교적응에 직·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배려와 자아존중감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볼 때, 가정의 심리적 환경은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배려와 자아존중감을 함양시키는 요소인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코로나19 시기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는 가정의 심리적 환경이 학교적응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가정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난 청소년들에게 안정적인 가정의 심리적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본 연구결과는 중학생의 학교적응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부모 및 교사의 심리적 환경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과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장암미,안도희 한국자료분석학회 2015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2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f parents' and teachers' psychological environments on students' school adjustment via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in Korean junior-high schools. The participants were 802 junior-high school students (i.e., 422 males, 376 females, and 2 unidentified) in Seoul, Korea. Their average age was 13.83 years. Measures of parents' psychological environment, teachers' psychological environment,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were administered.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mediated between teachers'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students' school adjustmen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he participants supported that parents'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teachers' psychological environment had positive indirect effects on students' school adjustment via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Moreover, teachers' psychological environment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students' school adjustment. Therefore, to improve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parents and teachers should provide positive psychological environments to students.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ir implications in school settings.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들의 심리적 안녕감이 부모 및 교사의 심리적 환경과 학교 적응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그리고 학교 적응에 부모 및 교사의 심리적 환경과 심리적 안녕감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 7개 중학교의 재학생 총 802명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은 부모 및 교사의 심리적 환경이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심리적 환경은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을 거쳐 학교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와 교사가 제공하는 심리적 환경이 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은 물론 이들의 원만한 학교적응을 도모하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가정과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보다 긍정적인 심리적 환경을 조성해주기 위해 세심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강구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학교적응 간의 관계: 희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오연경,임정하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9 No.3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서울과 강원지역의 중·고등학생 403명을 대상으로 t검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희망 수준은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학교적응 중 학교교사 요인에서 남학생 집단의 평균이 여학생 집단의 평균보다 높았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고 희망을 매개로 하여 학교적응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즉, 청소년들은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높게 지각할수록 희망 수준이 낮았고, 희망 수준이 낮을수록 학교적응력도 낮았다. 이러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희망 및 학교적응의 관계는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청소년이 적응적인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감소시키고 청소년의 희망을 증진시키는 다양한 개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dolescent school adjustment mediated by hope of adolescents. Four hundred thre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Pearson’s correla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d multi group analysis. The average level of school adjus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 adolescent group compared to female adolescent group. Adolescents’ hop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The proposed mode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s a function of gend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could be improved by reducing level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enhancing adolescents’ ho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