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임스 레게가 이해한 맹자의 성선설 유교 성선설과 - 기독교 원죄설의 절?Q 가능성에 관한 논쟁 -

        이주강(Lee Joo-Gang) 영남퇴계학연구원 2019 퇴계학논집 Vol.- No.24

        본 논문은 19세기 중국에서 활동한 선교사인 제임스 레게가 맹자의 性善說을 동중서의 性未善說로 보았음을 밝혔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기독교에서 볼 때 절충주의 입장에 가까운 레게는 맹자의 성선설을 성유선유악설 또는 성가선가악설에 가깝게 해석했다. 그는 기독교의 원죄설과 유교의 성선설을 절충하기 위해 善性을 선의 가능성 또는 선을 향한 경향성으로 해석한 뒤, 인성 가운데 선의 가능성을 제외하고 남은 악의 가능성 자리에 기독교의 원죄를 할당했다. 그는 이로써 유교의 성선설과 기독교의 원죄설을 하나로 묶는데 성공했다고 믿었다. 반면에, 기독교에서 볼 때 근본주의 입장에 가까운 셰필드는 맹자의 성선설은 ‘선을 향한 경향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본성은 선하다’고 말했을 따름이라고 주장한다. 맹자의 성선설에는 기독교의 원죄설이 끼어들 여지가 없다. 유교의 성선설과 기독교의 원죄설은 절충 불가능하다. 그리고 이 때문에, 셰필드는 중국에 들여올 기독교는 유교에 대한 보완재가 아닌 대체재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유교와 기독교는 교리 상 양립할 수 없으므로, 중국에서 기독교가 유교를 대체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동중서는 인간에게 善質과 惡質이 있다고 주장했다. 여기서 質이 곧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했던 가능태이다. 善質이란 곧 ‘선의 가능태’를 의미한다. 동중서는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고 말하는 대신, 未善하다고 말한다. 그리고 未善이 完善으로 성취되기 위해서는 황제의 교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동중서가 인간은 선질과 악질을 모두 지니고 있다고 주장한 것은 레게가 선의 가능태로서의 善性과 원죄를 동시에 인정한 것과 같다. 한편, 동중서는 完善한 황제가 未善한 백성을 교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未善한 인간 본성 속에 존재하는 죄악을 씻기 위해 完善한 하느님의 개입이 필요하다고 본 레게의 입장과도 일치한다. 과거는 물론이거니와 현재에도 여전히, 맹자의 성선설을 동중서의 인성론으로 오역하는 번역 학풍이 지속되고 있다. 서양과 중국의 적지 않은 유학자들이 성선설을 잘못 이해하고 있는 현실 속에서 한국 유학계가 서양과 중국 학계의 맹자 이해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 더욱 분명해진다. This paper aims to show that James Legge who served as a missionary in China in 19th century mistook the philosophy of Mencius for that of Dong Zhongshu. In order to compromise between Christian concept of Original Sin and Confucian notion of the goodness of human nature, Legge translate the good human nature as “the tendency of human nature towards goodness.” As a result, there remains the tendency towards evil in human nature. He assigned Original Sin to that evil tendency. Legge believed that he succeeded in joining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 together. On the other hand, another missionary from the U.S. whose name is D. Z. Sheffield asserted that Legge’s translation is wrong. He believed that Mencius simply said of the goodness of human nature instead of the tendency towards goodness. He also argued that by human nature Mencius meant the human nature in real life, not in ideal state.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 cannot be mixed. Confucian is a system of self-culture, starting from the basis of a perfect nature. The Confucianist wants no atoning Savior to cleanse away his sins, as he has no profound conception of the sinfulness of sin. As a result, he concluded that Christianity comes to China, not as a supplement to Confucianism, but as a substitution for Confucianism. Now let’s turn to the theory of Dong Zhongshu.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Han Empire, he tried to take advantage of both Mencius and Xunzi. Like Legge, he interpreted Mencius’s the goodness of human nature as the good potentiality in human nature. And he also found that there exists a bad potentiality in human nature as well. According to him, all the citizens need to be enlightened by education from the emperor to get rid of bad potentiality and cultivate good potentiality. We can see that there is a striking similarity between theory of James Legge and that of Dong Zhongshu.

      • KCI등재

        초기 유가의 자유 지향적 경향성과 성선설

        손태호 새한철학회 2024 哲學論叢 Vol.116 No.2

        초기 유가의 성선설은 공자 당시로부터 그 사상적 원천을 이어받고 그 일관된 특색도 가지는 사맹학파의 특유한 사상으로 생각되는데, 맹자는 맹자 에서 사맹학파의 계승자로서 충실히 성선설적 신념을 표출한 것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관련된 최근의 연구 결과물들을 보면, 성선설은 사맹학파의 집단적 연구 업적이라는 결론을 내린 학자들이 상당히 많으며, 성선설이 맹자의 창작이라기보다는 공맹지간(孔孟之間 : 공자가 살았던 시대에서 맹자가 살았던 시대까지의 기간)에 서서히 익어간 사상적 성과물이라는 의견이 득세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추세에 의해, 맹자 이전의 상당 기간에 걸쳐서 성선설 창출의 점진적인 과정이 있었다고 볼 수 있는 증거들이 보강되어 가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초기 유가의 성선설 창출 과정에 대하여 관심을 집중시켜 보면, 소위 공맹지간의 시대적 특수성에도 주목하게 된다. 초기 유가들의 자유 지향적 경향을 엿보게 해주는 기존의 문헌은 논어 , 맹자 , 대학 , 중용 등이 가장 기초적인 문헌들이라 할 수 있는데, 최근에 곽점초간(郭店楚簡)과 상박초간(上博楚簡) 등 출토 유물들이 정리되고, 그것들의 연구 과정에서, 자유 지향성과 결부된 성선설의 점차적인 창출에 대해서 이론적 보충이 가능한 문헌적 근거들이 추가된 바 있다. 맹자는 이러한 ‘공맹지간’의 성선설의 계승자로 여겨지지만, 맹자의 성선설에 대한 설명에는 거기서 더 나아간 면도 있다. 즉, 공자의 발언을 인용한 ‘민중 기원설’에 입각하여, 상당히 근원적인 면모가 추가되어 있는 것과 함께, 성선설을 뒷받침하기 위해 보다 광범위하고 근원적인 성선(性善)의 존재 의의를 탐구한 흔적도 보인다. 특히, 시경 의 내용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민중의 성향 속에서 보편적 성선(性善)의 근원성을 탐구한 작업의 흔적으로 인해서, 결국 “성선설은 백성(民)에서 기원했다”는 관점도 가능하다. 성선설의 의의를 파헤쳐보면 ‘자유 지향성’과 어느 정도 맥락이 닿는다는 생각을 자연스럽게 도출할 수 있다. 고대 사회라는 한계 속에서도 ‘성선’을 전제하면, 개인과 집단의 자유가 허여될 수 있었으리라는 상정이 가능한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보면, 성선설은 초기 유가들이 당시의 군주들에게, 신하들과 백성들의 자유를 어느 정도는 허여하게 유도하기 위한 사상적 전제 조건으로서의 인간관으로 제시했을 가능성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상적 포괄성 및 근원성과 그 기초의 견고성으로 인해 초기 유가들과 맹자가 개념정리해 놓은 성선설은 후대의 유가사상의 중추 개념 중의 하나가 될 수 있었다. 그리고 앞으로도 성선설은, 유가사상의 의의를 환기시키는 중심 개념으로서 현대는 물론 미래에까지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A considerable number of modern Chinese scholars believe that ‘the theory of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 is not the creation of Mencius, but rather an ideological achievement that was slowly ripened in the middle of Confucius and Mencius's era. It seems that the early Confucianism came up with ‘the theory of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 to allow the monarchs of the time some freedom of the subjects and the people. It is possible that ‘the theory of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 was presented as an ideological prerequisite for securing freedom. For human society, the issue of humanity, especially the issue of morality, is inevitably a very important issue because it is directly connected to survival. This tendency to value morality is bound to be sharp in relations between individuals, but it can also be very significant in relations between groups and individuals, or between groups and groups. For this reason, even in the realm of realistic politic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the issue of morality often emerges as a central issue of sharp confrontation. ‘Theory of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 have been traditionally formed the central axis of Confucianism, and it has its own practical value for modern people. That is to say the modern utility of liberal Confucianism is found. It seems that ‘theory of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 is more appealing to modern world people who are diagnosed to have exhausted their sense of affection, in the way of thinking that relies on a logical positivism or the cold-headed perception of humans and the world by existentialism. The appeal of the humanism-based way of thinking, which is the basis of trust in humans, is thought to work for modern people, and is regarded as a theory that can provide the basis for its existence in liberalism in the modern sense. In this sense, Mencius's theory that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 which refers to the good will of the people, is not without ideological value as well as practical value. In fact, it may not be easy to prove that the people are good, but its utility seems to be great. Even today,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 can be a driving force to create a social atmosphere that does not take human evil behavior as "natural in human nature", and take to find fundamental motivations for finding solutions. Furthermore, it also makes possible for anyone, regardless of class, country of origin, or race, to start a trust-based meetings.

      • KCI등재

        제임스 레게가 이해한 맹자의 성선설 - 유교 성선설과 기독교 원죄설의 절충 가능성에 관한 논쟁 -

        이주강 영남퇴계학연구원 2019 퇴계학논집 Vol.- No.24

        This paper aims to show that James Legge who served as a missionary in China in 19th century mistook the philosophy of Mencius for that of Dong Zhongshu. In order to compromise between Christian concept of Original Sin and Confucian notion of the goodness of human nature, Legge translate the good human nature as “the tendency of human nature towards goodness.” As a result, there remains the tendency towards evil in human nature. He assigned Original Sin to that evil tendency. Legge believed that he succeeded in joining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 together. On the other hand, another missionary from the U.S. whose name is D. Z. Sheffield asserted that Legge’s translation is wrong. He believed that Mencius simply said of the goodness of human nature instead of the tendency towards goodness. He also argued that by human nature Mencius meant the human nature in real life, not in ideal state.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 cannot be mixed. Confucian is a system of self-culture, starting from the basis of a perfect nature. The Confucianist wants no atoning Savior to cleanse away his sins, as he has no profound conception of the sinfulness of sin. As a result, he concluded that Christianity comes to China, not as a supplement to Confucianism, but as a substitution for Confucianism. Now let’s turn to the theory of Dong Zhongshu.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Han Empire, he tried to take advantage of both Mencius and Xunzi. Like Legge, he interpreted Mencius’s the goodness of human nature as the good potentiality in human nature. And he also found that there exists a bad potentiality in human nature as well. According to him, all the citizens need to be enlightened by education from the emperor to get rid of bad potentiality and cultivate good potentiality. We can see that there is a striking similarity between theory of James Legge and that of Dong Zhongshu. 본 논문은 19세기 중국에서 활동한 선교사인 제임스 레게가 맹자의 性善說을 동중서의 性未善說로 보았음을 밝혔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기독교에서 볼 때 절충주의 입장에 가까운 레게는 맹자의 성선설을 성유선유악설 또는 성가선가악설에 가깝게 해석했다. 그는 기독교의 원죄설과 유교의 성선설을 절충하기 위해 善性을 선의 가능성 또는 선을 향한 경향성으로 해석한 뒤, 인성 가운데 선의 가능성을 제외하고 남은 악의 가능성 자리에 기독교의 원죄를 할당했다. 그는 이로써 유교의 성선설과 기독교의 원죄설을 하나로 묶는데 성공했다고 믿었다. 반면에, 기독교에서 볼 때 근본주의 입장에 가까운 셰필드는 맹자의 성선설은 ‘선을 향한 경향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본성은 선하다’고 말했을 따름이라고 주장한다. 맹자의 성선설에는 기독교의 원죄설이 끼어들 여지가 없다. 유교의 성선설과 기독교의 원죄설은 절충 불가능하다. 그리고 이 때문에, 셰필드는 중국에 들여올 기독교는 유교에 대한 보완재가 아닌 대체재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유교와 기독교는 교리 상 양립할 수 없으므로, 중국에서 기독교가 유교를 대체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동중서는 인간에게 善質과 惡質이 있다고 주장했다. 여기서 質이 곧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했던 가능태이다. 善質이란 곧 ‘선의 가능태’를 의미한다. 동중서는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고 말하는 대신, 未善하다고 말한다. 그리고 未善이 完善으로 성취되기 위해서는 황제의 교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동중서가 인간은 선질과 악질을 모두 지니고 있다고 주장한 것은 레게가 선의 가능태로서의 善性과 원죄를 동시에 인정한 것과 같다. 한편, 동중서는 完善한 황제가 未善한 백성을 교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未善한 인간 본성 속에 존재하는 죄악을 씻기 위해 完善한 하느님의 개입이 필요하다고 본 레게의 입장과도 일치한다. 과거는 물론이거니와 현재에도 여전히, 맹자의 성선설을 동중서의 인성론으로 오역하는 번역 학풍이 지속되고 있다. 서양과 중국의 적지 않은 유학자들이 성선설을 잘못 이해하고 있는 현실 속에서 한국 유학계가 서양과 중국 학계의 맹자 이해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 더욱 분명해진다.

      • KCI등재

        일반논문 : 맹자(孟子) 성선설(性善說)의 근거-량심(良心)

        김상래 ( Sangrae Kim ) 온지학회 2015 溫知論叢 Vol.0 No.45

        공맹이후 유학사상에서 인간은 배우는 존재이며, 도덕적인 존재로 정의된다. 공자의 사상이 집약된 <「논어(論語)」>가 학습의 문제에 대한 언급으로 시작되며, 인간의 윤리적 행위의 올바름에 대한 내용들이 주로 포함되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한다면, 인간을 배움의 존재와 윤리도덕의 실천자로 규정하는 것은 공자 이래 유학사상의 주요한 학문적 전통이라고 할 수 있다. 공자는 인간의 어떤 행위가 최고의 도덕적 규범인 <인(仁)>에 해당하며, 인간의 이상적 윤리적 목표를 현실사회에서 실현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에 관한 다양한 담론들을 우리들에게 제공하였다. <맹자(孟子)>는 윤리 도덕적 행위의 심리학적이고 철학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공자 이래의 유가사상의 학문적 깊이를 보완한 사상가이다. 그는 성품(性)과 마음(心)의 문제에 대한 해명으로부터 인간의 도덕적 문제를 해결하고 윤리적인 사회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깊이 있는 논의 를 전개하였다. <성선설(性善說)>의 확립과 마음에 대한 깊이 있는 해명들이 이에 속한다. 맹자가 인간의 윤리도덕적 문제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인성론의 구조에는 마음과 성품의 관계에 대한 문제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은 유학의 인간 이해에 대한 정통적 이론으로 평가되는 맹자성선설의 근거에는 마음에 대한 다양한 분석, 특히 ‘<양심(良心)>’이라는 개념을 창출하여 인간의 윤리 도덕적 행위를 설명하는 방식이 엄존해 있음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위한 방법론으로 맹자의 인간이해와 윤리이론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인성론과 심성론의 주요 문제들을 ‘양심’과의 연계라는 관점에서 해명하였다. 논자는 이미 이 주제와 관련있는 선행연구(「맹자 윤리사상의 특징」- 良心을 중심으로(「동양고전연구」(제52집), 2013)를 발표하였다. 이 논문은 이 연구성과를 원용하면서 성선설로 대표되는 맹자 윤리학설을 이해하는 핵심적 개념으로 ‘양심’을 제시하고, ‘양심’이 맹자 윤리사상의 핵심인 성선설의 철학적 근거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방법 및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전국시대의 사상가인 맹자(372∼ 289B.C.)가 ‘양심’이라는 개념을 최초로 유학사상에 등록시켰으며, 이후 ‘양심’이라는 용어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철학과 심리학, 그리고 윤리학의 주요 학술용어로 사용되고 있으며, 둘째, 맹자의 사상체계 속에서 ‘양심’은 유가사상의 대표적인 도덕적 덕목인 <인의예지(仁義禮智)>와 깊은 연계를 이루고 있음을 해명하고자 한다. 셋째, 성선설을 주창하는 맹자의 사유구조에서 도덕적 마음의 의미를 <사단(四端)>과 <사덕(四德)>으로 분배하여 설명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성선설의 이론적 해명을 위해 ‘양심’과 ‘성선’의 윤리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This paper is focused on reading the conscience of the system in Mencius`` moral theory. In confucian tradition Mencius had shown to us the innate emotional good mind for developing moral act of human at first. That proper and good mind(良心) by Legge``s translation is connected with the human good nature. Mencius had thought that human nature is intrinsically good, the moral doing is the ability to do get the four moral value like the inherent morality of human being which driven by the moral mind. In this paper, I have presented Mencius`` moral theory which based on the proper and good mind(良心). Mencius had firstly originated the concept, the proper and good mind(良心) in his writing. This concept is mainly used to elaborate the basis of human moral act in nowadays. Mencius said that Nature (性) is rendered moral by humans’ moralistic interpretation. Mencius insisted that morality is merely determined by human mind and that there are no moral truths which is independent of human judgments and beliefs. In this point, in the Mencius`` moral theory the moral mind had the essential status for understanding the moral issues of human acts.

      • KCI등재

        『맹자』 인용시 연구 - 성선설(性善說)을 중심으로 -

        진예숙 ( Jin Ye-suk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8 儒學硏究 Vol.43 No.-

        맹자는 자신의 철학이나 사상을 정당화하는 논리에 대부분 『詩經』과 『書經』을 인용하여 논거로 삼거나 주장을 강화하는 데 적극 활용하고 있다. 본 논문은 『孟子』에 인용된 30편의 시 중에서도 성선설(性善說)과 관련하여 인용된 시를 중심으로 그 사상적 배경과 목적, 의의 등을 조명하고, 이 인용시들이 성선설의 논리구조에 어떤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성선설(性善說)은 맹자의 사상적 토대를 이루고 있는 핵심적인 주장으로 이와 관련된 인용시는, 대아(大雅) <蒸民> · <旣醉> · <思齊> · <文王> 등 4편의 시들이다. 이 중 <文王>은 맹자가 가장 많이 인용한 시로, 전체적으로 총 4회에 걸쳐 인용되고 있으며, 동일한 시구가 2회에 걸쳐 중복 인용되고 있어 그 위상과 중요성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먼저 성선설(性善說)과 관련하여 맹자는, 공자의 인(仁) 사상(思想)을 더욱 진전시켜 인간의 본질인 성(性)을 선(善)으로 규정하였고, 대아(大雅) <蒸民>의 시 인용을 통해 그 기원을 언급함으로써 자신의 학설을 강화하고 그 정당성과 전통성에 권위를 부여하고 있다. 다음으로 성선(性善)의 확충과 관련하여 맹자는, <旣醉>의 시를 단장취의(斷章取義)하여, 자신에게 고유하게 내재되어 있는 고귀한 천작(天爵)을 자각하고 인의(仁義)를 충족시킬 것을 촉구하고 있다. 또한 대아(大雅) <思齊>를 인용하여 문왕(文王)의 수신(修身)의 공효가 제가(齊家)와 치국(治國)에까지 이르렀음을 밝히고, 인간 개개인에서 시작된 사랑이 어떻게 바람직한 이상사회를 형성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내성외왕(內聖外王)의 이상적(理想的) 인간상(人間像)과 관련하여 맹자는, 성선(性善)의 선단(善端)을 확충하는 방법이 바로 ‘반구저기(反求諸己)’임을 주장하고 있다. 그는 성선(性善)이 확충되면 그 효과는 천하가 귀의하는 데까지 극대화될 것임을 강변하고, 문왕(文王)을 그 모델로 제시함으로써 성선(性善)에 관한 확실한 근거로 내세우고 있다. 이상과 같이 맹자는 그의 사상적 토대를 이루는 성선(性善)의 근거로 시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그가 인용한 4편의 시들은, 성선(性善)의 연원을 밝혀 그의 주장을 뒷받침하거나 천작(天爵)의 자각을 통한 성선(性善)의 확충(擴充)을 촉구하려는 의도에서 인용되었던 것이며, 또한 성선(性善)을 사회적·단계적으로 확충(擴充)하는 방법을 제시하거나 이를 통해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경지를 보여줌으로써 그 실천 의지를 고무시키고 진작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인용되었던 것이다. Mencius is known to have made active use of poems mostly quoted from The Book of Odes and The Book of Documents to provide grounds for his arguments or reinforce his arguments about the logic to justify his philosophy or ideology. This paper set out to investigate the ideological background, purpose and significance of 30 poems quoted in Mencius in relation to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 and examine the roles of the quoted poems in the logical structure of the theory. The theory is Mencius' core argument that is his ideological foundation. He quoted four poems related to the theory including Daea Jeumgmin, Gichui, Saje, and Munwang. The same phrases from Munwang were cited two times by Mencius, which helps to estimate its status and importance. Mencius advanced Confucius' In ideology further, defined Seong that was human nature as good, and mentioned its origin by citing Daea Jeumgmin to reinforce his theory and grant authority to its legitimacy and traditionality. With respect to the expansion of good human nature, Mencius cited parts of Gichui without taking into consideration its overall meanings, thus inspiring people to realize their unique natural nobility inherent in them and fulfill Inui. He also cited Daea Saje, showing that Munwang's Gonghyo of Susin led to Jega and Chiguk and demonstrating how love, which would begin at the individual level, would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n ideal and desirable society. Finally, Mencius maintained that "Bangujegi" should be a method of expanding the Seondan of good human nature with regard to an ideal human image. He persistently argued that the expansion of good human nature should maximize its effects to the point of the entire world's dependence and trust and proposed Munwang as its model to provide a certain ground for good human natur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Mencius made active use of poems as grounds for good human nature that was his ideological foundation. He cited the four poems to support his arguments based on the origin of good human nature or facilitate the expansion of good human nature through the realization of natural nobility. His intention behind his citation was also to encourage and promote the will for the practice by introducing a way of expanding good human nature socially by stages or demonstrating the stage of man-Heaven unity achievable through Bangujegi.

      • KCI등재

        性善說의 메타-윤리학적 구조

        이찬(Chan Lee) 한국동양철학회 2010 동양철학 Vol.0 No.33

        이 글은 “맹자의 性善說은 철학적으로 논증 가능한 명제인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한다. 중국철학사에서 인성 이해에 대한 예외적 견해였던 맹자의 성선설은 송대 도학의 확립 이후 유가의 인성론을 대표하게 된다. 이는 북송대를 거치며 맹자 성선설에 대한 재해석의 과정을 통해 가능하게 되었다. 그와 같은 재해석 또는 맹자 성선설의 전변과정을 논자는 메타-윤리학적 관점에서 이해하기를 제안한다. 성선설은 인간이라고 하는 현실의 사회적 존재가 도덕적이냐를 따져 묻는 것이 아니라 자연적 존재성 자체가 도덕적 가치와 합일함을 주장하는 일종의 도덕적 자연주의의 한 예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것은 천인합일이라고 하는 중국철학의 매우 전통적인 형이상학적 맥락과 일치하며 아울러 그와 같은 天人觀은 이미 周易과 中庸의 사유로부터 배태되어 왔음을 기술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인식 하에, 「繫辭傳」 上 5章으로부터 시작하여 无妄卦, 體用論을 통해 중국철학의 맥락에서 성선의 문제를 메타-윤리학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배경을 검토할 계획이다. 아울러, 易을 통해 성선설을 도덕적 자연주의로 해석할 수 있는 계기를 朱熹의 논의에서 발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성의 선함’이라고 하는 주장이 단지 도덕규범과 관련한 인간의 본성 차원이 아니라 세계의 질서에 대한 형이상학적 통찰에서 연유하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This paper starts by answering to the question as follows: “Can the Mencian theory of natural goodness be philosophically proved?” The Mencian theory of natural goodness represents the Confucian account of human nature since the establishment of neo-Confucianism constituted by literati of Song China, which implies process of reinterpreting the Mencian theory of natural goodness in terms of a metaphysical perspective. Through such a reinterpretation, we can consider the theory of natural goodness as a kind of moral naturalism in the light of meta-ethical framework, which means that moral facts are identical with natural facts. I think that this perspective perfectly succeeds traditional idea of the unity between Heaven and human beings that has been formed by philosophical foundation of the Yizhuan. Thus, I will examine chapter 5 of the Yizhuan, the hexagram of Wuwang, and the Ti-yong framework in order to interpret the theory of natural goodness as moral naturalism.

      • 맹자의 효 중시의 교육사상(Ⅰ)

        민정기 ( Min Jung-ki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19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34 No.-

        맹자(B. C. 372~289)의 학설은 성선설에 기반하여 교육환경을 중시하는 인성교육사상을 강조하였다. 즉, 인간의 양지양능(良知良能)이 성선설의 근거임을 변증하면서, 성선설에 입각한 인성교육에 주력하였다. 특히, 전국시대에 팽배한 우환의식을 극복하기 위하여 맹자의 성선설을 태동시켰으며, 인의(仁義)의 인성함양(人性涵養)과 덕성수양(德性修養)에 주안점을 두었다. 본 논문은 『맹자』의 성선설(性善說)과 교육방법론의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현대적인 의미로 재해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실천에 있어 인간의 본성이 선한 것으로 인간내면의 인(仁)을 따르고, 밝히는 명명덕의 이치를, 또 다른 한편으로는 의(義)를 택하여, 말하고, 행동하는 친신민의 이치를, 이를 바탕으로 지어지선(止於至善)한 인성교육의 이론을 연구하였으며, 또한 실증적인 효행 방법의 사례로 살펴보았다. 맹자는 성선(性善)을 양지양능으로 보고, 사람이 이를 실천하면 모두 즐겁게 따르게 되는 것이므로, 이를 교육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며, 또한, 효(孝)의 윤리를 뽑아내어 실천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고 보았다. 향후 맹자의 효 윤리를 더욱 확장하여 현대에 접목시켜 현대교육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Mencius (B. C. 372~289) was a figure of the Chu Dynasty in the national era(戰國時代), He succeeded the cause of Confucius and asserted the cause of humanity and justice(仁義) in his own view. claimed the thoughts of personality education which improve educational environment based on the doctrine of innate goodness. That is, demonstrated that men's synderesis(良知良能) is the basis of the doctrine of innate goodness and concentrated on creating good educational environment based on it learning Confucius during life. Especially, it must well be understood that he created the doctrine of innate goodness to overcome consciousness of anxiety which were in large supply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like Confucius' words, ‘Seongsanggeun(性相近)Seupsangwon(習相遠)’(By nature, men are nearly alike; by practice or environment, they get to be wide apart) and put emphasis on humanity cultivation and moral cultivation of humanity and justice(仁義). It is very regrettable that true truth of Mencius who always organized the theory which is close to our life has been forgotten and apart from us. S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contents of the doctrine of innate goodness(性善說) and educational methodology in the phrases written in the Mencius(book) and reinterpret them in the modern sense. Therefore, it studied the theory of personality education that human nature is consistent with goodness and abides in the highest good about reason of manifesting the clear character to see, follow, and clarify benevolence or reason of loving the people who speak and behavior by selecting justice. And it also examined positive examples of filial behavior science. This thesis was written on the basis of the Mencius(book), one of the four Confucian classics. Mencius regarded innate goodness(性善) as synderesis and said that everybody has this innate goodness and education is required for this because everybody pleasantly follows it when practicing it. And he used every endeavor to create filial behavior science as the action plan.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the theory of filial behavior science to keep good nature by selecting logic of filial piety mentioned in the Mencius (book). The researcher tries to extend and continue to study this in the future.

      • KCI등재

        ‘의상론(意象論)’의 형성과 유학적 본성론의 우주·생태주의적 확장 -‘인공지능 윤리’를 위한 유학의 ‘성선설’과 ‘의상론’ 연구-

        김현미 ( Kim Hyun-mi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3 한국 철학논집 Vol.- No.76

        최근 인공지능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인간의 본성과 의식에 대한논의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유발 하라리(Yuval Noah Harari)는 의식이 없는 초지능이 얼마나 큰 위험을 초래할지에 대한 우려를 드러냄으로써 인공 지능의 개발 성과와 비교하여 본성과 의식의 연구에 소홀했던 현대 과학 기술에 자각과 반성을 촉구하고 있다. 그간 철학의 고유 영역이었던 인간의 본성과 의식의 문제는 AGI(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의 개발을 앞두고 전 인류가 주목하는 논제가 되었다. AGI의 사유 원리, 판단 근거, 행동 원칙 등은 인류 사회를 비롯한 지구 환경과 조화를 이루어야 하므로, 우리는 AGI의 개발에 앞서 선한 본성을 고민해야 한다. 또한 AGI의 발명은 기계와 구분되는 우리의 독자적 가치를 증명해야 할 실존적 과제를 스스로 부여하는 일이다. 우리는 AGI와 구분되는 가치를 어떻게 증명할 수 있을까? 인공지능 시대의 본격적인 개막이 예고되는 현 시점에서 인류에게 주어진 주요 과제는 기계의 제작 기술이 있다기보다는 마음과 의식의 영역에 있다. 그리고 유학의 성선설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데 적절한 지혜를 제공할 수 있다. 동아시아의 유학은 서구 유럽 사회의 인간 철학이 매우 긴 세월 동안 ‘기계주의적 우주관’에 기초하여 전개되었던 것과는 달리 ‘유기체적 우주관’에 바탕을 두고 선한 본성을 논해 왔다. 동아시아의 ‘유기체적 우주관’에서 인간은 우주의 한 부분이자 우주를 닮은 소우주로서, 전체와 더불어 조화를 이루는 선한 본성을 타고 난다. 그리고 우리가 제작할 ‘인공지능’도 우주 전체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이런 까닭에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 시대를 위한 철학적 과제를 해결하는 일에 동참하기 위하여 유학의 성선설이 형성되고 발전되어가는 과정을 논하였다. ‘인’ 사상에서 출발한 공자의 인식론은 맹자의 심신상 관론으로 이어져 성선설의 골격을 이루었고, 여기에 ‘유기체적 우주론’ 인 ‘기화우주’와 한의학의 연구 성과가 더해지면서 심신일체의 인식론인 ‘의상론’이 형성되었다. ‘의상론’으로 인하여, 유학의 성선설은 실재하는 의학적 근거를 갖추게 되었으며, 자연으로서의 우리 ‘몸’을 통하여 인식 범위가 우주·생태주의로까지 확장되었다. ‘의상론’의 형성으로 유학의 성선설은 개인의 ‘주체성’과 ‘자율성’을 강조하는 만인을 향한 민주와 평등의 자세를 함유하게 되었으며, 앉은 자리에서도 전체를 사유한 유학자들의 책임 의식은 인류 사회를 넘어서 우주·생태계로까지 공감과 배려의 대상을 넓히게 되었다. 그러므로 유학의 성선설에 기초하여 전개된 유학의 본성론은 우주 전체와 조화를 이루며, 인류 사회를 풍요롭게 할 ‘인공지능 윤리’의 정립에 크게 기여할 현대 사회의 필수 학문이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recent years, discussions on 'human nature' and consciousness have emerged as a hot topic. Since AGI's thinking principles, grounds for judgment, and principles of behavior must be harmonized with the global environment, including human society, we should consider the good nature of AGI before developing it. In addition, the invention of AGI is to give itself an existential task to prove our independent value, which is distinguished from machines. How can we prove the value distinguished from AGI? At this time when the full-fledged opening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is expected, the main task given to mankind is in the area of mind and consciousness rather than the technology of making machines. And the theory of human nature in Confucianism can provide appropriate wisdom to solve such problems. Confucianism in East Asia has discussed 'Good human nature' based on 'Cosmology of organisms', unlike the human philosophy developed based on 'Cosmology of machines' for a very long time. In East Asia's 'Cosmology of organisms,' humans are a small universe that resembles the universe and are born with a good nature that harmonizes with the whole. And AI that we're going to produce should also be in harmony with the entire universe. For this reason, this paper discussed the process of forming and developing the theory of human nature in Confucianism to participate in solving philosophical tasks for AI era. Confucius' epistemology, which originated from human philosophy, led to Mencius' psychosomatic correlation theory, forming the framework of 'Good human nature' theory, which was added to 'Cosmology of organisms' and the research results of oriental medicine. Due to the 'Yixiang' theory, 'Good human nature' theory of Confucianism has an actual medical basis, and the scope of perception has expanded to space and ecologicalism through our body as nature. Along the formation of 'Yixiang' theory, the theory of 'Good human nature' in Confucianism included a democratic and equal attitude toward all, emphasizing individual self-reliance and autonomy, and the responsibility of Confucian scholars who thought of the whole expanded their empathy and consideration beyond human society to space and ecosystem. Therefore, the theory of human nature in Confucianism, developed based on the theory of 'Yixiang', is an essential study in modern society that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I ethics' that will enrich human society.

      • KCI등재

        정약용 성선설에 대한 품사적 재해석

        박창식,박균열 한국윤리학회 2019 倫理硏究 Vol.127 No.1

        Mencius suggested that Seong(性, Xing) has an inevitable fixedness to the good through the theory of seongseon(性善, XingShan). And Zhuzi(朱子) solidified the theory of the SeongSeon, which assumes human beings as the possessor of good by putting the good inside humans through metaphysical systematization. Dasan also supports the theory of the SeongSeon. However, unlike Zhuzi(朱子), virtue and Sangjecheon(上帝天) are not inherent in Dasan’s theory. Instead, he proves Seongseon by using inclination as seong(性). Dasan's argument for proving Seongseon might have been seen as a Seongmuseonakseol(性無善惡說) or a Seongseonakhonseol(性善惡混說), and led to a misunderstanding that it had not been successful. Despite being a typical theory of Seongseon, theory of Seonggiho(性嗜好) suggested by Dasan was misunderstood by modern Dasan researchers, as well as Munsan(文山) who was the neo-confucian scholar at that time.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at the Seong(性) should be read as a verb especially in the Dasan’s Seongseon(性善), and be named as Hoseonseol(好善說). 맹자는 성선설을 통하여 성이 선에 대해 필연적 고정성이 있음을 제기하였다. 주자에 이르러 형이상학적 체계화를 통해 선을 인간 내부에 둠으로써 인간을 선의 담지자로 상정하는 성선설이 확립된다. 다산도 성선설을 주장한다. 그러나 주자학의 그것과 달라서 덕과 상제천은 내재하지 않는다. 대신 그는 성이 기호라는 주장으로 성선을 증명한다. 이런 다산의 주장은 성무선악이나 성선악혼설로 비춰지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다산이 성선 증명을 위해 제시한 논거는 성공적이지 못하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정약용이 제시한 성기호설은 전형적인 성선설임에도 불구하고 당대의 문산(文山)을 위시한 주자학자로부터 현대의 다산 연구자들에 이르기까지 적잖게 오해를 받았다. 이 연구는 그간의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는 다산이 말하는 성선에서 성을 동사로 읽어야 함을 밝히고, 호선설(好善說)로 명명해야 함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 퇴계학(退溪學)과 『맹자(孟子)』, 그리고 맹자(孟子)

        홍원식 ( Won Sik Hong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5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36 No.-

        孟子와 맹자 사상은 맹자 사후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맹자는 그가 죽은 뒤 1,000여 년이 지나 程나 朱熹와 같은 朱子學者들에 의해서 ‘발견’된다. 정이는 맹자의 性善說과 養氣說에 주목했으며, 주희는 정이의 관점을 이어받아 자신의 철학 체계를 세우고, 또한 그것으로 맹자를 해석해 孟子集註를 지었다. 주자학을 계승한 退溪 李滉의 맹자에 대한 전문적 저작으로 유일하게 孟子釋義가 있다. 이 책은 제목 그대로 맹자에 대한 글풀이를 한 것이지 뜻풀이를 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 책 속에서는 맹자나 주희의 맹자 해석에 대한 퇴계의 생각을 읽어내기가 어렵다. 오히려 이 책은 맹자에 대한 口訣과 諺解史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맹자와 퇴계학의 관계에서 보다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은 철학적인 면에서이다.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주자학자들은 맹자를 발견하기는 했지만, 한편으로 상당한 誤讀을 하고 있다. 퇴계학은 바로 그 맹자 철학에 대한 오독을 바로잡는 데 적극적인 의미가 있다. 맹자는 성선설을 바탕으로 누구나 堯舜과 같은 聖人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하지만 맹자를 새롭게 발견한 주자학자들은 맹자의 성선설을 받아들이고, 또 궁극적 목표가 맹자와 같이 성인이 되는 데 있다는 것을 동의하면서도, 그 과정을 너무 멀고 어렵게 만들어 놓았다. 퇴계학은 주자학자들이 만들어놓은 너무 두터운 도덕형이상학의 무게를 덜어내며, 마음에 대한 철학적 무게를 실어주고 마음을 바탕으로 성인에 이르는 길에 더 무게를 실어줌으로써 그만큼 더 성인이 되는 길이 가깝고 쉽게 된 것이다. 이것은 곧 본래의 맹자 철학으로 회귀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Mencius and Mencius' philosophy has not been noticed much since his death. From such a context is Mencius ‘found’ by Neo-confucian such as Cheng-Yi and Zhu-Xi 1000 years after he was died. Cheng-Yi notices Mencius' theory of Xingshan(性善說) and of Yangchi(養氣說), and Zhu-Xi establishes his system of philosophy by succeeding to Cheng-Yi's viewpoint and writes Mengzijizhu(孟子集註)by understanding Mencius. The only special writing of Toegye who succeeds to Zhu-Xi is Maengjaseokyi(孟子釋義). It is not the explanation of meaning but that of characters as the title shows. So it's not easy to read Toegye's idea about Mencius or Zhu-Xi's Annotation of Mencius. Rather it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e Korean suffixes to a Chinese text or the history of Korean annotation of a Chinese character. What is more important in the relation between Mencius and Toegye's Learning lies in the philosophical aspect. As mentioned above, Neo-Confucian find Mencius, but they misinterpret him to a great extent. What Toegye's Learning has a positive meaning is that it corrects the misinterpretation of Mencius' philosophy. Mencius said that any human can be the Sages like Yao and Shun, based on the theory of Xingshan. But the Neo-Confucian who find Mencius newly accept the theory and agree that the ultimate goal is to become the Sages just as Mencius' idea, while they make the way to the goal too long and difficult. Toegyehak reduces too heavy a weight of moral metaphysics, adds the philosophical weight about the mind(心), and increases more weight to the way to the Sage. Therefore, the way to the Sage is near and easy so much. This can be said to return to the original philosophy of Menci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