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치매의 인지재활

        이주강 대한뇌신경재활학회 2015 뇌신경재활 Vol.8 No.1

        Cognitive rehabilitation refers to the cognition-based approaches that aim to induce people with cognitive impairment to achieve or maintain an optimal leve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functioning. Many models and definitions of cognitive rehabilitation exist. In this review, cognitive rehabilitation would be briefly reviewed as three categories; cognitive stim- ulation, cognitive training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Cognitive stimulation is a range of group activities and discussions targeting general enhancement of cognitive and social functioning. Cognitive training is guided practice of standardized cognitive task-set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levels. Cognitive rehabilitation is an individual approach using rehabilitation strategy for cognitively disabled person. Goal-setting is essential and emphasis is on improving performance in everyday life.

      • KCI등재후보

        孟子ㆍ退溪의 反戰論과 孝宗의 義戰論

        이주강 영남퇴계학연구원 2014 퇴계학논집 Vol.- No.15

        본 논문은 不忍人之心을 인간의 本性으로 삼았던 맹자가 전쟁에 반대 했으며, 퇴계는 맹자의 사상에 따라 反戰論을 편 반면 효종은 맹자의 사 상에 反해 北伐論을 펼쳤음을 보이는 것을 목표한다. 맹자는 ?春秋?에 보이는 여러 전쟁들 가운데 義로운 전쟁은 없으며, 나아가서 전쟁 자체가 義롭지 않음을 역설했다. 실상 맹자의 反戰論은 不忍人之心을 인간의 本性으로 삼은 그의 생명존중사상에서 비롯되었다. 퇴계는 사량진왜변을 일으킨 대마도 일본인들과도 화친을 맺는 쪽이 戰禍를 피해 조선 백성들의 생명을 보전하는 길이라고 보았다. 반면에 효종은 병자호란 이후 조선의 民生이 극도의 어려움을 겪고 있음에도 불 구하고, 자신이 겪은 치욕에 대한 復?를 위해 북벌을 계획한다. 일찍이 맹자는 “百姓이 가장 귀하고, 社稷이 다음 가고, 君主는 귀한 정도가 셋 중 가장 가볍다.”고 말했다. 따라서 孝宗처럼 君主가 자신과 社稷의 복수를 위해 百姓을 전쟁터에 몰아넣는다면, 맹자가 제시한 귀한 순서를 어기게 된다. 이를 통해 퇴계의 반전론이 맹자의 사상에 부합하 며, 진정한 유학의 길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소크라테스와 왕양명의 지행합일설에 관한 연구

        이주강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2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52 No.-

        지와 행의 관계에 관한 논의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다루어졌는데, 이 복잡한 논의는 간단한 명제로 압축된다. 즉 “선을 알면 선을 행한다.” 와 “선을 알면서도 악을 행한다.” 또는 “아는 대로 행한다.” 와 “아는 대로 행하지는 않는다.”의 두 진영이 서로 다른 견해를 놓고 대립하고 있다. “선을 알면 선을 행한다.” 는 지행합일의 입장이며, “선을 알면서도 악을 행한다.”는 지행괴리의 입장이라고 볼 수 있다. 서양에서 지행합일을 주장한 대표적 철학자는 소크라테스이며, 동양에서 지행합일을 주장한 대표적 철학자는 왕양명이다. 소크라테스와 왕양명은 모두 지와 행이 본체적 의미에서 분리되어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그러나 소크라테스는 지행합일(知行合一)의 知가 선천적으로 내재해 있으며 인식을 통해 인간에게 확인된다고 본 반면, 왕양명은 지행합일의 知가 行을 통해 인간에게 획득되며, 행위가 아니고서는 확인되지 않는다고 보았다. 따라서 소크라테스는 선지후행(先知後行)을 주장했으며, 왕양명은 선행후지(先行後知)를 주장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 왕양명이 지행합일설을 주장했지만 실질적으로 그의 논리체계 속에서 지행합일이 붕괴되며, 왕양명의 지행합일설이 사실상 지행괴리설(知行乖離說)임을 밝힐 것이다. 둘째, 지행합일을 주장하면서도 知가 아닌 行을 강조하는 양명학보다, 知를 강조하는 주자학이 오히려 지행합일설의 본래 의미에 부합함을 밝힐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21세기 유학(儒學)을 선양하는 데 있어 올바른 논리적 틀을 제공할 수 있는 학문은 양명학이 아닌 주자학임을 보일 것이다. The debate about the 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conduct be united has long history and it boils down to this :“If someone knows good, then he conducts good.” or “Even if someone knows good, it is possible that he could not conduct good.” Of the two, the former claims that knowledge and conduct are in the state of oneness and the latter claims that knowledge and conduct are separated. The most typical philosopher who claims that knowledge and conduct are in the state of oneness is Socrates of western world and Wang Yang-Ming(王陽明) of eastern world. Both of them state that knowledge and conduct are essentially in the state of oneness. But Socrates claims that knowledge logically comes before conduct, while Wang Yang-Ming claims that conduct comes before knowledge. This thesis aims at studying the oneness between knowledge and conduct in Socrates and Wang Yang-Ming’s theory. This thesis is composed of four Chapters as a whole : The first chapter was referred to the object of this study in the preface. The second chapter is dealt with the oneness between knowledge and conduct in Socrates’ theory. Socrates claims that knowledge logically comes before conduct. He also separates episte - me- from ale-the-s doxa and claims that episte-me- deserves true knowledge. The third chapter was referred to the oneness between knowledge and conduct in Wang Yang-Ming’s theory. Wang Yang-Ming claims that conduct comes before knowledge. And what Wang Yang-Ming consider as knowledge cannot be regarded as true knowledge of Socrates, because it is acquired knowledge, not innate knowledge. The fourth chapter was concluded with summarizatio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제임스 레게가 이해한 맹자의 성선설 - 유교 성선설과 기독교 원죄설의 절충 가능성에 관한 논쟁 -

        이주강 영남퇴계학연구원 2019 퇴계학논집 Vol.- No.24

        This paper aims to show that James Legge who served as a missionary in China in 19th century mistook the philosophy of Mencius for that of Dong Zhongshu. In order to compromise between Christian concept of Original Sin and Confucian notion of the goodness of human nature, Legge translate the good human nature as “the tendency of human nature towards goodness.” As a result, there remains the tendency towards evil in human nature. He assigned Original Sin to that evil tendency. Legge believed that he succeeded in joining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 together. On the other hand, another missionary from the U.S. whose name is D. Z. Sheffield asserted that Legge’s translation is wrong. He believed that Mencius simply said of the goodness of human nature instead of the tendency towards goodness. He also argued that by human nature Mencius meant the human nature in real life, not in ideal state.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 cannot be mixed. Confucian is a system of self-culture, starting from the basis of a perfect nature. The Confucianist wants no atoning Savior to cleanse away his sins, as he has no profound conception of the sinfulness of sin. As a result, he concluded that Christianity comes to China, not as a supplement to Confucianism, but as a substitution for Confucianism. Now let’s turn to the theory of Dong Zhongshu.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Han Empire, he tried to take advantage of both Mencius and Xunzi. Like Legge, he interpreted Mencius’s the goodness of human nature as the good potentiality in human nature. And he also found that there exists a bad potentiality in human nature as well. According to him, all the citizens need to be enlightened by education from the emperor to get rid of bad potentiality and cultivate good potentiality. We can see that there is a striking similarity between theory of James Legge and that of Dong Zhongshu. 본 논문은 19세기 중국에서 활동한 선교사인 제임스 레게가 맹자의 性善說을 동중서의 性未善說로 보았음을 밝혔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기독교에서 볼 때 절충주의 입장에 가까운 레게는 맹자의 성선설을 성유선유악설 또는 성가선가악설에 가깝게 해석했다. 그는 기독교의 원죄설과 유교의 성선설을 절충하기 위해 善性을 선의 가능성 또는 선을 향한 경향성으로 해석한 뒤, 인성 가운데 선의 가능성을 제외하고 남은 악의 가능성 자리에 기독교의 원죄를 할당했다. 그는 이로써 유교의 성선설과 기독교의 원죄설을 하나로 묶는데 성공했다고 믿었다. 반면에, 기독교에서 볼 때 근본주의 입장에 가까운 셰필드는 맹자의 성선설은 ‘선을 향한 경향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본성은 선하다’고 말했을 따름이라고 주장한다. 맹자의 성선설에는 기독교의 원죄설이 끼어들 여지가 없다. 유교의 성선설과 기독교의 원죄설은 절충 불가능하다. 그리고 이 때문에, 셰필드는 중국에 들여올 기독교는 유교에 대한 보완재가 아닌 대체재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유교와 기독교는 교리 상 양립할 수 없으므로, 중국에서 기독교가 유교를 대체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동중서는 인간에게 善質과 惡質이 있다고 주장했다. 여기서 質이 곧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했던 가능태이다. 善質이란 곧 ‘선의 가능태’를 의미한다. 동중서는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고 말하는 대신, 未善하다고 말한다. 그리고 未善이 完善으로 성취되기 위해서는 황제의 교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동중서가 인간은 선질과 악질을 모두 지니고 있다고 주장한 것은 레게가 선의 가능태로서의 善性과 원죄를 동시에 인정한 것과 같다. 한편, 동중서는 完善한 황제가 未善한 백성을 교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未善한 인간 본성 속에 존재하는 죄악을 씻기 위해 完善한 하느님의 개입이 필요하다고 본 레게의 입장과도 일치한다. 과거는 물론이거니와 현재에도 여전히, 맹자의 성선설을 동중서의 인성론으로 오역하는 번역 학풍이 지속되고 있다. 서양과 중국의 적지 않은 유학자들이 성선설을 잘못 이해하고 있는 현실 속에서 한국 유학계가 서양과 중국 학계의 맹자 이해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 더욱 분명해진다.

      • KCI등재

        공맹의 즐거움과 음악, 그리고 여민동락

        이주강 영남퇴계학연구원 2022 퇴계학논집 Vol.- No.31

        This paper starts with the observation that all humans pursue joy and love to play by nature. The first goal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at joy derived from human nature is the basis and source of music. And the second goal is to derive from the ideas of Confucius and Mencius that music can be established as a medium for integrating society. There are many previous studies on the music theory of Confucius and Confucianism.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previous studies that consistently prove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nature and joy and that pleasure is the basis of music. This study will carry out a philosophical work to investigate the music theory of Confucius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nature starting with the clue of joy. In Confucianism, humans seek human joy by nature. From the ruler's point of view, human joy is the best way to unite all the people. And art such as poetry, painting, dance, and singing that can show joy in accordance with human nature is an excellent medium for releasing and encouraging human emotions. Confucius and Mencius consistently argued that “music comes from joy by human nature, and music is more enjoyable when enjoyed with all the people,” laying the foundation for Confucian art and expanding its social function. Music theories of Confucius and Mencius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music and festivals of Joseon dynasty. 본 논문은 모든 인간이 본성상 즐거움을 추구하고 놀이를 좋아한다는 경험적 관찰에서부터 출발한다. 본 연구의 목표는 첫째, 인간 본성에서 비롯된 즐거움[樂]이 음악[樂]의 인성론적 기초이자 근원임을 밝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둘째, 獨樂보다 同樂이 더욱 즐거운 까닭에 음악은 개인을 포함한 사회를 통합하는 매개체로 성립 가능하다는 점을 공자와 맹자의 사상에서부터 도출하는 것이 목표이다. 공자 및 유가의 음악 이론에 대해서는 적지 않은 선행 연구가 있지만, 인성과 즐거움의 관계, 그리고 즐거움이 음악의 근간이 된다는 점을 일관성 있게 밝힌 선행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물은 ‘인간다운 즐거움’이라는 단서에서부터 시작하여 공맹의 음악 이론을 性情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철학적 기초 작업을 수행할 것이다. 공맹의 유학에서 인간은 본성상 ‘인간다운 즐거움’을 추구하기 때문에, 통치자의 입장에서 볼 때 인간다운 즐거움이야말로 상하를 아울러 만백성을 통합할 수 있는 왕도의 방법론이다. 그리고 인간의 본성에 부합하는 인간다운 즐거움을 펼칠 수 있는 시와 그림, 춤과 노래 등의 예술이야말로 인간의 감정을 풀어주고 북돋는 훌륭한 매개체이다. 공자와 맹자는 ‘음악[樂]이란 인간 본성에서 비롯된 즐거움[樂]에서 비롯되며, 음악은 만백성과 함께 즐겨야 더욱 즐겁다[樂]’라는 논리를 일관되게 이끌어냄으로써, 유가 예술의 인성론적 기초를 닦고 그것의 사회적 기능을 확장했다. 이와 같은 공자와 맹자의 음악이론은 후대 조선의 음악이나 宴享 등에 깊은 영향을 끼쳤다.

      • KCI등재

        『孟子』의 王道경영과 『孫子兵法』의 詭道경영

        이주강 영남퇴계학연구원 2016 퇴계학논집 Vol.- No.18

        본 논문은 『孟子』의 王道경영은 相生을 추구하고 信賴를 주장하는 반 면에, 『孫子兵法』의 詭道경영은 獨食을 추구하고 不信을 허용한다는 점 을 보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대 경영전략이론은 예외 없이 전쟁철학에 기초하며, 이에 따라 현대 인들의 사고방식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경영학 교과서들은 그 사 상적 연원을 동서양의 兵書에 두고 있다. 본 연구는 동서양의 병서에 담 긴 전쟁철학은 결코 相生과 信賴의 경영을 낳을 수 없음을 보임으로써 현대 경영학을 재정립하고자 하는 첫 번째 작업에 해당한다. 본 논문은 수 천 년 동안 동아시아 지역에서 가정에서부터 천하에 이 르기까지 모든 집단의 경영철학을 제공해 온 유학은 21세기에도 여전히 유용한 경영학임을 밝힘과 동시에, 오늘날 점점 목소리를 높여 가고 있 는 ‘깨어 있는 자본주의(Conscious Capitalism)’에 철학적 기반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 뇌졸중 후 삼킴장애의 역학, 자연경과, 장기예후

        이주강 대한연하장애학회 2014 대한연하장애학회지 Vol.4 No.1

        Post-stroke dysphagia is frequent following acute stroke. It is estimated that between 1/3 to 1/2 of patients show dysphagia in the acute stroke phase. Dysphagia i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short-term and long-term outcome of stroke. The incidence of aspiration and silent aspiration is high in the stroke survivors. Dysphagia and aspiration are high risk factors of aspiration pneumonia in the stroke patients. Many post-stroke dysphagia resolves rapidly in the early stage of the disease. Small portion (about 10%) of post-stroke dysphagia patients continues to show dysphagia in the chronic stage. The severity of dysphagia also decreases in time.

      • KCI등재

        경막외 주사 후 발생한 경막외 농양과 척추 골수염-증례보고-

        이주강,임윤명,임오경,배근환,김성환,이광래,최충환,정점순 대한재활의학회 2008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32 No.3

        Epidural abscess and vertebral osteomyelitis induced by epidural injection is rare but one of the most serious complications. A 58-year old woman complained of aggrevating radicular pain to bilteral lower legs, tenderness on coccygeal area and claudication, after epidural injection for management of intractable sciatica. MRI and ultrasound revealed epidural abscess compressing dural sac at the level of L5-S1 vertebral body, sacrococcygeal abscess, and later S5- 1stcoccyx osteomyelitis. We report epidural abscess and vertebral osteomyelitis induced by caudal epidural inj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