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궁예미륵’석불입상의 구비전승적 연구 -안성 기솔리 석불입상, 포천 구읍리 석불입상을 중심으로-

        정성권 국립민속박물관 2012 민속학연구 Vol.0 No.30

        본 논문은 “궁예미륵”이라 불리는 석불입상에 관한 구비전승을 고찰한 논문이다. 그동안 궁예와 관련된 구비전승은 비교적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사실성이 매우 높다는 점이 밝혀졌다. 그러나 궁예 관련 구비전승 중 “궁예미륵” 석불과 관련해서는 전혀 연구된 바가 없으며 심지어는 궁예와는 전혀 관계가 없는 것으로 취급되어 왔다. 본고는 궁예 설화의 사실성에도 불구하고 “궁예미륵” 석불에 관한 구비전승이 허구로 취급되고 있는 점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궁예관련 구비전승의 사실성은 민속학과 국문학 분야에서는 물론 역사학 분야에서도 활발하게 논의 되고 있음에 반해 “궁예미륵” 석불에 관한 구비전승의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현재 “궁예미륵”이라 전칭되는 불상은 안성 기솔리와 포천 구읍리에서만 확인되고 있다. 각각의 지역에는 같은 지역내에 근접하여 각기 두 군데에 “궁예미륵”이 위치해 있다. 본고에서는 이 불상들 중 안성 기솔리 석불입상과 포천 구읍리 석불입상만이 궁예의 활동시기에 조성된 석불로, 원래의 “궁예미륵”으로 추정할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반면에 안성 기솔리에 위치하며 “궁예미륵”으로 더 많이 소개된 국사암 석조삼존불입상과 역시 “궁예미륵”으로 더 많이 소개된 구읍리 석조보살입상의 경우 조성시기가 궁예의 활동시기와 관련이 없으며 적게는 1세기 많게는 5세기 가량 후에 조성된 불상들임을 밝혔다. 궁예관련 설화의 사실성이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궁예미륵” 석불에 관한 연구가 전혀 없는 이유로는 궁예활동시기와 불상의 조성시기가 동떨어진 국사암 석조삼존불상과 구읍리 석조보살입상이 “궁예미륵”으로 더 많이 소개되었기 때문임을 논하였다. 본문에서는 안성 기솔리 석불입상과 포천 구읍리 석불입상이 “궁예미륵”으로 불리게 된 배경을 서술하였다. 배경을 설명하기 위해 석불 자체의 양식분석과 지정학적 위치에 대해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궁예미륵”에 관한 구비전승은 궁예 활동시기와 동떨어진 국사암 석조삼존불입상과 구읍리 석조보살입상이 더 많이 알려졌기 때문에 학술적 관심의 대상에서 멀어져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궁예의 활동시기와 일치되는 양식적 특징과 역사적, 지정학적 특징을 보여주는 기솔리 석불입상, 구읍리 석불입상의 경우 궁예 정권기에 조성된 “궁예미륵”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특히 기솔리 석불입상은 궁예의 직접적인 지시에 의해 조성되었으며 스스로 미륵이라 부른 궁예를 상징화하여 조성한 “궁예미륵”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하였다. 즉, “궁예미륵” 석불입상에 관한 구비전승은 기존에 연구된 궁예관련 구비전승과 마찬가지로 사실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경기도 내 통일신라 석불의 존재 가능성에 대한 고찰

        정성권(Jeong, Seong-Kwon) 부산경남사학회 2013 역사와 경계 Vol.86 No.-

        본 논문은 경기도 내 통일신라 석불의 존재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한 글이다. 현재 경기도에는 여주 계신리 마애불, 여주 포초골 석불좌상, 평택 심복사 석조 비로자나불좌상 등과 같이 나말려초기로 비정되는 석불이 여러 구 존재한다. 그러나 경기도 내에서 학자들 간의 이견이 없는 통일신라 석불은 알려져 있지 않다. 석불뿐만 아니라 석탑 역시 학자들이 모두 인정하는 통일신라 석탑은 존재하지 않는다. 한강유역을 포함한 경기도 일원은 이미 삼국시대부터 신라의 영역으로 포함되어 있었다. 그런데 통일신라 불상은 강원도 철원 도피안사에 존재하고 있으며 석탑에 부조된 불교조각의 경우 금강산을 비롯한 현재의 휴전선 인근에도 분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경기도 일원에 통일신라시기 조성된 것으로 알려진 불상이 한 구도 알려진 것이 없다는 점은 매우 의아스럽다. 필자의 이러한 의문은 안성 봉업사지에 세워진 고려시대 삼층석탑 기단부가 통일신라 석탑의 기단을 재사용하여 만들어진 것임이 발굴조사를 통해 밝혀지면서 조금씩 풀렸다. 통일신라 석탑의 존재는 이 지역에 통일신라 석불이 존재하였을 가능성이 있음을 말해주는 방증이었다. 이러한 의문점과 봉업사지 발굴조사를 통한 통일신라 석탑 부재의 출현은 봉업사지 일대 불상들의 조성시기에 대하여 재검토를 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 결과 봉업사지 일대의 많은 석불들 중에서 죽산리 석불입상이 통일신라시기 조성된 불상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본문에서는 죽산리 석불입상이 세워졌던 사역에 대한 발굴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 사역은 통일신라 말기에 폐허가 되었으며 10세기 후반 광종대 이후 다시 중창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죽산리 석불입상이 통일신라 시기 조성된 불상이거나 10세기 후반기에 조성된 불상임을 의미하였다. 발굴조사 분석과 더불어 본문에서는 죽산리 석불입상 주변의 불상들과 조성시기를 알 수 있는 불상들에 대한 양식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죽산리 석불입상은 10세기 후반경에 나오는 고려시대 불상들과 양식적 친연성이 적으며 오히려 통일신라시기의 불상들과 양식적으로 유사한 점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죽산리 석불입상은 그동안 알려진 바와 같이 고려초나 고려 전기에 조성된 불상이 아니라 통일신라 후반기에 조성된 석불임을 밝힐 수 있었다. This paper is the letter which it considers about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of the stone Buddhist image that was made in Unified Silla at Gyeonggi province. Presently, in Gyeonggi province, there are many images of Buddha which seems to be made in the near the early Koryo dynasty. However, in Gyeonggi province, the stone Buddha image that was made in Unified Silla without the objection between scholars is not known. In not only stone image of Buddha but also stone pagoda, It doesn"t exist that scholars admit as the stone pagoda altogether made in the period of united Silla in Gyeonggi province. The Gyeonggi region including the Han River basin was included from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in the territory of Shilla. The stone pagoda of the Unified Kingdom of Silla and image of Buddha is in the Cheolwon district and the three-story stone tower is at the Kumkang Mountains and near the armistice line. But it is very strange in the Gyeonggi region that there is no Unified Silla image of Buddha. This curiosity of mine could be solved through the excavation investigation. In the Bongupsa(奉業寺) site of temple excavation, the Unified Silla stone pagoda lower part was confirmed in the Goryeo dynasty stone pagoda under. The image of Buddhas on this region(竹州) were again examined due to this. Consequently, I could know that Juksanri image of stone Buddha was made with the period of united Silla. The temple foundation where there is the Juksanri image of stone Buddha was excavated. In 10 century first half year, the excavation result this site of temple became the ruin. Consequently, the Juksanri stone Buddha knew that it is not close in the Goryeo dynasty image of Buddhas and made of 10 century second half of the year. Rather, the Juksanri image of stone Buddha resembles the Unified Kingdom of Silla image of Buddha. In conclusion, this paper announced that Juksanri stone Buddha was made in the period of united Silla.

      • KCI등재

        나주 철천리 석불입상의 조성시기와 배경

        정성권(Jeong, Seong-kwon) 신라사학회 2014 新羅史學報 Vol.0 No.31

        나주 철천리 석불입상은 그동안 지방 호족에 의해 조성된 고려초 또는 고려전기의 불상으로 여겨져 왔다. 나주 철천리 석불입상은 영산강이남 지역에 조성된 불상임에도 불구하고 경기ㆍ충청 지역에 산재한 거석불과 양식적으로 공통된 점이 확인된다. 특히 안성 기솔리 석불입상과 밀접한 조각적 친연성을 보여준다. 안성 기솔리 석불입상은 필자의 연구에 의해 궁예 정권기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이 개진된 불상이다. 기솔리 석불입상의 조성배경으로는 중부지역의 패권을 놓고 양길과 자웅을 겨룬 비뇌성 전투의 승전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 된 바 있다. 안성 기솔리 석불입상에는 다른 불상에서는 거의 찾아 볼 수 없는 형식적 특징이 있다. 그 특징은 먼저 아육왕상 형식의 ‘U’자형 옷주름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抱腹式佛衣에서만 나타나는 한쪽 팔을 넘어가는 옷자락 표현이 조각되어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밖에 여래상임에도 불구하고 입을 벌리고 있으며 벌린 입 사이로 세로의 도드라진 선이 새겨져 있다는 점을 언급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찾아보기 드문 매우 희귀한 사례이다. 여래상의 입이 벌어진 채 조각된 예는 궁예 정권기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안성 기솔리 석불입상과 철원 동송읍 마애불입상에서 보이고 있다. 그런데 지역적으로 매우 떨어져 있는 나주 철천리 석불입상에서 안성 기솔리 석불입상에서 확인되는 특징이 나타나고 있다. 다른 불상에서 찾아 볼 수 없는 형식적 특징이 나주 철천리 석불입상과 안성 기솔리 석불입상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이유는 불상의 조성 주체가 동일하였기 때문에 가능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나주 철천리 석불입상의 조성 주체는 안성 기솔리 석불입상의 조성 주체가 궁예로 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궁예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파악하였다. 나주 철천리 석불입상의 조성 배경은 912년 덕진포 해전이 궁예의 친정일 가능성이 높다는 최근의 역사학 연구 성과를 반영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영산강 이남의 관방유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나주 철천리 석불입상이 세워진 부근에서 덕진포 해전과 관련된 전투가 벌어졌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결국 나주 철천리 석불입상은 912년부터 궁예가 왕좌에서 물러나는 918년 사이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조성 배경은 궁예가 나주 일대의 패권을 장악하는 덕진포 전투의 승리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This dissertation researched about historical backgrounds and timing of the Naju Cheolcheon-ri Buddha statue. To prove when Naju Cheolcheon-ri Buddha statue was made. This paper compared Naju Cheolcheon-ri Buddha statue and Ansung Gisol-ri Buddha statue. The author published the dissertation about Ansung Gisol-ri Buddha statue and revealed that Ansung Gisolri Buddha statue was made for commemoration of Gungye’s victory in the Benesung battle around early 10th century. Naju Cheolcheon-ri Buddha statue and Ansung Gisol-ri Buddha statue have very similar image. Especially, both Buddha statue have open mouth. It is very rare. In my opinion, there is no Buddha statue that open his mouse in the world. Nobody could open Buddha’s mouse because Buddha is the absolute being. Only Gungye who called himself as a Maitreya could open Buddha’s mouse. Gisol-ri Buddha’s mouse looks like a bow ? in the middle of the bow(lip) there is an arrow shape sculpture. Gungye(弓裔) means literally a descendent of bow. Because of that Gisol-ri Buddha statue symbolizes Gungye. Naju Cheolcheon-ri Buddha statue has many similar image with Gisol-ri Buddha statue. For this reason, Naju Cheolcheon-ri Buddha statue was made around early 10th century in Gungye regime.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the creation of the Naju Cheolcheon-ri Buddha statue related with the Dukjinpo battle that was happened in 912 between Gungye and Gyeonhwon. Until now, It is known that the victory in Dukjinpo battle was achieved by Wanggun who was second-in-command In Taebong(泰封). Recent research shows that Gungye led his army by himself in Dukjinpo not Wanggun. Gungye won a major victory near the Cheolcheon-ri againt the Gyeonhwon’s army. The old name of the Cheolcheon-ri was Geoseongdong which meas huge fortress village. This paper revealed the possibility that there was a battle between Gungye army and Gyeonhwon army. In conclusion, Naju Cheolcheon-ri Buddha statue was made for commemoration of Gungye’s victory in Dukjinpo battle.

      • KCI등재
      • KCI등재

        완주 鳳林寺址 三尊石佛의 훼손과 변천에 대한 試論的 考察

        이종철 전북사학회 2018 전북사학 Vol.0 No.52

        본 논문은 완주 봉림사지 삼존석불에 나타난 훼손 흔적을 통해 불상의 상대적인 시간성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삼존석불에 나타난 세 곳의 타격흔과 본존불-광배와의 맥락 관계를 통해 네 단계의 시간성을 설정할 수 있었다. Ⅰ단계는 후백제 초기부터 봉림사에 삼존석불이 존재하던 시기로 벽면을 배경으로 배치되어 있었다고 추정된다. Ⅱ단계는 고려 후기~조선 초기로 추정되는데, 광배 뒷면에 스님 도상이 새겨지고 사방에서 삼존석불을 볼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는 시기이다. Ⅲ단계는 조선 전기~중기에 불교 배척의 일환으로 삼존석불의 불두가 파괴되는 변고의 시기이다. 변고에도 불구하고 불두의 일부 혹은 전부는 석불의 주변에 존재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Ⅳ단계는 오랜 세월이 지난 일제강점기 어느 시점 이후에 폐허된 봉림사 터에서 본존불의 불신과 불두를 접착재로 다시 복원하여 개인적으로 치성을 드리는 시기이다. 이러한 일련의 단계 설정은 봉림사지의 역사적 변천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극히 적은 자료와 상황적 맥락을 바탕으로 사건 중심의 시간 축을 재구성하였다는 점에서 試論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완주 봉림사지의 연구는 관련 자료의 부족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본 글 역시 자료의 부족으로 말미암아 근거의 확대 해석이나 논리적 비약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한계는 앞으로 봉림사지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기와와 청자의 편년 및 성격, 건물지에 대한 조사 성과를 바탕으로 조금씩 극복해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the relative temporality of the Stone Buddha Triad at the Wanju Bongrimsa Temple Site by examining the traces of damages remaining on the stone statue. Based on the three damaged spots on the Stone Buddha Triad and the contex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statue and the aureole, the paper proposes that there were four main stages in the history of the triad. Stage Ⅰ begins from the Post-Baekje Period and ends at the point when the Stone Buddha Triad is definitely known to have existed at Bongrimsa Temple. It is speculated that the Stone Buddha Triad was placed with a wall to its rear. It is assumed that Stage Ⅱ coincides with the Late Goryeo Period∼the early Joseon. During this period, an icon of a Buddhist monk was created on the rear side of the aureole, and the statue could be seen from all four directions. Stage Ⅲ was the period during which the head of the Stone Buddha Triad was destroyed - probably as a result of the anti-Buddhist movement pursued by the early rulers of the Joseon Period. During Stage Ⅳ people began to take care of the Stone Buddha Triad, and the body and head of the main statue were put back together with plaster. This seems to have occurred sometim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of Korea. This multiple stage-based model may differ from how the Bongrimsa Temple Site actually changed throughout history. However, this paper could be valuable as a preliminary study because it provides a chronological timeline of important events based on very scant materials and situational contexts.

      • KCI등재후보

        경주 남산 삼릉계 석불좌상 보존 및 복원 연구

        정민호,지성진 국립문화재연구원 2010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3 No.3

        경주 남산지구는 불국토(佛國土)를 꿈꾸던 신라인들의 정신과 호국불교의 염원이 깃들어 있는 수많은 불교문화재가 전한다. 크고 작은 여러 계곡과 능선 정상부 곳곳에는, 예술성 높은 석불과 석탑을 비롯하여 다양한 마애불(磨崖佛)이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산재하고 있다. 이러한 경주 남산은 야외박물관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2000년 12월 ‘경주역사유적지구’가 세계문화유산(世界文化遺産)으로 등재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경주 남산지구에는 오랜 세월을 견디지 못하고 풍화되거나 무너져 훼손된 석조문화재가 많이 남아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삼릉계 석불좌상이다. 삼릉계 석불좌상은 8~9세기경에 만들어진 장대한 작품으로서, 일제강점기인 1923년과 근년에 정확한 고증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엉성한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그 결과, 불상의 안면은 콘크리트 모르타르로 적당히 보수 처리된 상태였으며 광배는 오랜 세월이 흐르면서 불상 뒤편으로 넘어져 크게 파손되었다. 원래 모습을 잃은 삼릉계석불좌상에 대한 보수와 안정적인 보존환경 조성이 시급하였다. 석불좌상이 위치한 주변 일대에 대하여 유적지 정비 작업에 선행한 학술적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불상과 석탑지의 원 위치를 확인하였다. 3D 스캔을 통하여 정확한 현 상태를 파악하여 불교미술사 등 관련분야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통일신라시대 불상의 상호로 재현하고자 보수 정비안을 제시하였다. 풍화훼손도를 작성하여 표면 오염물질에 대해서는 증류수를 이용한 표면세정을 실시하여 2차 훼손이 발생하지 않는 방법을 활용하였다. 해체 및 복원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위적인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여 별조식으로 조성된 불두의 안면 결실부와 광배의 결실부에 대하여 원형 복원과 전통기법을 활용한 원상 복구을 수행하였다. There are a large number of buddhistic cultural assets in the Mt. Gyeong ju Nam San. It has the spirit of the people of Shilla who were dream of the buddhist elysium and the buddhism for country. In the valley and the top of the mountain, Various rock cliff buddhas and stone (statue of) buddha and stone pagoda are harmony in nature. For that reason, Mt. Gyeong ju Nam San called open-air museum. So, It was played an important part of ‘Gyeong ju World Heritage property’. But there are many stone cultural assets which have been eroded away or were damaged by collapsing. The stone seated Buddha statue in Sam neung valley at Nam San is the one of them. It was created in 8th~9th century. And restored sloppily in 1923, recent years without exact historical research. As a result, the face of buddha was repaired with concrete mortar. The nimbus was fell backward and destroyed. Therefore, there is a necessity for doing restoration and repair And creating an stable environment of buddha. So we immediately started in restoration and repair. First, through the archaeological excavation around the buddha, we searched the original position of Buddha. We had 3D scanning the each resource of buddha for recreated the typical statue of buddha in unified Shilla dynasty. In addition, the jaw of Buddha and the damaged nimbus were restored through professional advice. Second, We made the weathering & damage map of buddha. And, to prevent the second damage, cleaned surface of contaminants by distilled water. Third, We studied the restoration method to prevent artificial damage. We made the part of face and part of halo in buddha. After that, each part of buddha were situated on original position. In the whole process of restoration, we used traditional techniques.

      • KCI등재

        안성 기솔리 석불입상 연구

        정성권(Jeong, Seong-kwon) 신라사학회 2012 新羅史學報 Vol.0 No.25

        궁예 정권기 조성된 것으로 확인된 불교조각은 현재까지 한 점도 없는 실정이다. 하지만 스스로 미륵이라 칭하고 직접 경전을 저술하기도 하였던 궁예의 행적을 고려한다면 태봉으로 대표되는 궁예 정권기에도 많은 수의 불교조각들이 조성되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궁예 정권기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안성 기솔리 석불입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불교 조각연구에 있어 나말려초기 이후의 불상들은 삼국시대나 통일신라시대의 불상처럼 양식분석만으로 조성시기를 추정하기에 무리가 있다. 이에 고고학·민속학·역사학간의 학제간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문에서는 먼저 궁예미륵으로 전칭되고 있는 안성기솔리 석불입상을 살펴보았다. 궁예관련 구비전승의 사실성은 이미 민속학·국문학학계에서 오래전부터 인정되고 있는 사실이다. 뿐만 아니라 근래 들어 역사학계에서도 궁예관련 전승의 사실성을 살펴보았으며 주변 지역 및 개태사 석조삼존불입상과의 양식비교를 시도하였다. 이밖에 안성 기솔리 석불입상과 유사한 양식의 통일신라 금동불과도 비교연구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양식 비교 이외에 기솔리 석불입상이 입을 벌린채 조각된 불상임을 확인하였다. 여래상이 입을 벌린채 조각된 경우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인도에서도 거의 보이지 않는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특별한 여래의 이미지를 만든 자로 스스로 미륵이라 칭한 궁예를 상정하였다. 기솔리 석불입상이 입을 벌린 채 조각된 모습을 확인하기 위해 불상 상호를 3D 스캔 하였으며 Z-map효과와 디지털 탑본 효과 이미지를 만들었다. 여래상이 입을 벌린 채 조각된 모습은 궁예 정권기 조성된 것으로 충정되는 철원 동송읍 마애불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밖에 안성 기솔리 석불입상이 궁예 정권기 조성된 불상임을 논증하기 위해 양식분석과 더불어 궁예 관련 구비전승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궁예 관련 구비전승은 그 사실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찰 결과 안성 기솔리에 전해지는 궁예관련 구비전승 역시 사실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안성 기솔리 석불입상은 궁예 정권기 조성된 불상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This paper investigates about stone Buddha statue which call "Gungye(弓裔) Maitreya". It is located at the gisolri in Ansung city. Gungye was a king who built a country which called Taebong(泰封). This is one of the country in the Later Three Kingdom. He called himself as a Maitreya. It is obvious that Gungye made many temple and Buddha statues. However, there is no Buddha statue which is proved in Gungye perid made. This paper presumed that Gisolri stone Buddha statue was made for commenmoration of Gungye"s victory in the Benesung battle. After this battle, Gungye could control middle of the Korean peninsula. Also this pater presumed that Gisolri stone Buddha face have Gungye"s face. Because Gisolri Buddha"s face have open lip that looks like a bow - in the middle of the bow(lip) there is an arrow. Gungye(弓裔) means literally a descendent of bow. In Korea, there is no Buddha statue that open his mouse. Nobody could open Buddha"s mouse because Buddha is the absolute being. Only Gungye who called himself as a Maiteya could made a Buddha who open his mouse. To prove Gisolri Buddha statue was made by Gungye, I made a digital rubbing that applied 3D scan technology. This digital rubbing image show that Gisolri Buddha statue certainly opened his mouse. In his article, compared Gisolri Buddha statue with Gaetaesa(開泰寺) Buddha statue. Gaetaesa was built by the order of Wnag Geon(王建) who was the founder of the Goryo(高麗) Dynasty in 940, four years after defeating the Later Pakje here. The comparsion study show that Gisolri Buddha statue was made before Gaetaesa. "Gungye Maitreya" means stoen Buddha images that have folktales related with Gungye. There are many articles which investigate about folktales that are relate with Gungye. The conclusion of the most articles is that Gungye"s folktales have strong reality. According to this kind of proof, this article could concluded that Gisolri buddha statue was made by Gunye.

      • KCI우수등재

        보령(保寧) 금강암(金剛庵) 석불좌상 연구

        손태호 불교학연구회 2017 불교학연구 Vol.53 No.-

        Geumgangam Hermitage in Boryeong enshrines a stone seated Buddha statue in the Mireukjeon (Hall of Maitreya Buddha). And along with the statue, a stone monument that gives a clue to the background of this temple’s foundation has handed down even though its bottom has been broken and lost. According to the memorial stone, Geumgangam was founded as a private temple for Royal Concubine Gwon under the responsibility of Venerable Yeongam who belongs to the genealogy of King’s Teacher Muhak. The Maitreya statue was created in winter, 1412 and sponsored by Gwon Hong, Mayor of Hanyang (capital of Joseon Dynasty, present Seoul), and his wife Princess Lee for their daughter Royal Concubine Gwon. Considering their situations, two motives of the creation of the statue can be suggested; first, for the conception of a son and second, for the investiture of Royal Concubine Gwon. Gwon Hong had some relationships with Ming’s imperial family, so it was thought that the Buddhist circle tried to use the influence of Ming to cope with the policy of suppressing Buddhism during the Dynasty Geumgangam stone Maitreya Buddha has unique characteristics in shape. Conspicuous of those are the okgaeseok (roof of stone stupa)-style canopy on his head and Younghwain mudra that is holding Yonghwa before the chest. The canopy is round and has six ridges on it, which makes it the one and single example of its kind. Also, the groove in the middle of each ridge shows the trace of dragon head-shaped ornaments that can be seen at the roof of stupa of Bogakguksa in Cheongyongsa site and that of stupa of Venerable Muhak. In conclusion, the stone Maitreya statue in Geumgangam is not only the single stone Buddha statue from early Joseon Period but also the earliest among extant statues from that period. Furthermore, with written record about the background and year of creation, it provides valuable sources for the study of Buddhist sculptors in early Joseon Period. 보령 금강암 미륵전에는 석조미륵불좌상이 1구 있고 절 창건과 조성배경에 단서가 적혀있는 비편이 전해져 오고 있다. 불상의 형식을 통해 얼굴이 크고 어깨가 좁은 세장한 신체, 좁은 무릎, 대좌 중대가 낮고 하대와 중대가 일석으로 치석한 점 등 전체적으로 고려후기의 영향력이 많이 남아있음을 확인하였다. 금강암 석불의 특징으로는 용화인과 천개의 착용이다. 용화인은 용화를 쥐거나 들고 있는 수인으로 인도 굽타시기부터 등장하여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 삼국시대 불상부터 나타난다. 고려후기 용화인 불상의 영향을 받은 금강암석불은 서울 약사사석불과 안성죽리 불상으로 이어졌다. 금강암석불은 마루가 표현된 옥개석형 천개를 착용하고 있는데 마루가 6개이고 원형인 유일한 작례이다. 이런 형태는 청용사지 보각국사 탑 옥개석과 무학대사 승탑 옥개석에 등장하는 용두장식 때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용두장식은 조선초기 왕실과 관련한 승려의 탑에서만 등장하므로 금강암 석불이 왕실발원 불상이기에 이러한 장식이 나타날 수 있었음을 제시하였다. 비편에 따라 금강암은 왕사 무학의 문도인 영암비구가 불사를 책임지어 궁주권씨의 원당으로 창건되었고 불상조성은 미륵불로 1412년 겨울에 이뤄졌으며 주관자는 판한성부사 권홍(權弘)과 옹주이씨라 알려졌다. 본 논문에서는 보다 자세한 창건과 불상조성 발원 내용을 당시 권홍과 궁주 권씨가 처한 상황을 유추하여 첫째 득남, 둘째 빈 책봉 이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 당시 태종대 불교억압책에 맞서 불교계의 대응의 한 방법으로 명 황실을 통해 불교억압책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인식이 있었으므로 안동 권씨를 활용하고자 하는 당시 불교계의 주류인 무학계 의도가 반영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금강암 석불좌상은 조선전기 현재 실물이 남아있는 왕실발원 불상 중 시대가 가장 빠르고 석불로는 유일한 불상이며 조성배경과 제작시기가 확인된 기년명 불상으로 조선전기 불교조각사에 매우 중요한 불상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북한산 출토 석불입상의 조성시기와 의미

        정성권 보조사상연구원 2022 보조사상 Vol.62 No.-

        The Bukhansan stone Buddha statue was introduced in its intact form through an excavation survey near Insubong Peak in Bukhansan in 2022. In this text, the time of the formation of the Buddha statue was estimated first. The face of the Bukhansan stone Buddha statue is very similar to the face of the Gaetaesa Buddha statue made around 936~940 and the Stone Bodhisattva statue in Maesan-ri, Anseong, presumed to have been built around 960~963. From this point of view,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Bukhansan stone Buddha statue was built around the second half of the 10th century.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the Bukhansan stone Buddha statue can be found in the will of the Goryeo central government, which tried to develop a transportation route that was close to a straight line from Gaegyeong to Gwangnaru, an important point crossing the Han River in the late 10th century. 북한산 석불입상은 2020년 북한산 인수봉 근처에서 발굴조사를 통해 온전한 모습이 소개되었다. 본문에서는 먼저 불상의 조성시기를 추정하였다. 북한산 석불입상의 상호는 936~940년경 만들어진 개태사 석조삼존불입상과 960~963년경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안성 매산리 석조보살입상의 상호와 매우 유사하였다. 북한산 석불입상 머리에 있는 보개 꽂이는 그 형태를 보아 장방형 보개일 가능성이 높았다. 이와 유사한 현존하는 보개는 981년 만들어진 이천 장암리 마애보살반가상의 보개가 있다. 북한산 석불입상의 복식 옷주름의 경우 바람에 펄럭이는 모습과 옷자락 끝단이 자연스럽게 여러 번 접히는 형태의 모습은 970년경부터 본격적으로 조성되기 시작한 논산 관촉사 석조보살입상에서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통해 보았을 때 북한산 석불입상의 조성시기는 10세기 후반경으로 추정할 수 있다. 북한산 석불입상의 조성배경에는 국가에 의해 빠른 교통로의 개척이 모색되었다는 점과 이를 관리하기 위한 노력이 반영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북한산 석불입상은 개경에서 광진까지 ‘ㄱ’형태의 도로인 ‘장단도로’가 국가의 기간 교통로로 이용되는 10세기 후반경 개경에서 광나루까지 직선거리에 가까운 교통로를 개척하고자 노력했던 고려 조정의 의지를 보여주는 불상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淸州 龍華寺 石佛像群의 硏究

        정지희(Jeong Ji-hee) 한국미술사학회 2003 美術史學硏究 Vol.- No.237·238

        Yonghwa-sa temple(龍華寺) in Chungju (淸州) was built Kwang-moo (光武) 6th (1902) in Daehan empire (大韓帝國) and has been known as a old temple site at Late Shilla and Early Koryo (羅末麗初) dynasty from old times. There remain 7 buddhist stone statues and parts of pagoda and stairway that dated Koryo dynasty. And then some buddhist statues are remarkable because they are large in scale and excellent in sculpture. Besides metal relics with inscription Sanae-sa C'GI:I'~~) discovered nearby Yonghwa-sa temple in 1993 and relation between Sanae-sa and Buddhist stone statues at Yonghwa-sa temple was often mentioned. However an investigation or a study on these statues hasn't been done so far. Therefore, I tried to study on buddhist stone statues at Yonghwa-sa temple. I want to confirm significance of these statues in Koryo buddhist stone statues. First of all, I discussed the origin of Yonghwa-sa buddhist stone statues. Some people said these statues were trasfered from several temple sites neighbourhood. But the possibility of this opinion is very weak, since Record of Yonghwa-sa temple establishment (『龍華寺寺蹟』) and old temple site nearby Yonghwa-sa Temple. What is more. according to excavation of metal relics of Sanoe-sa Temple sites (寺惱寺址), I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Yonghwa-sa buddhist stone statues are the Sanae-sa Temple's in origin. Secondly I researched the present situation and classified style of them. In regard of hair style and Usnisa (肉?), the central large stone statue of Buddha (中央大石佛立像) is very decorative and elaborate despite of large statue. Face styles are similliar, and eyetail is down-directed particularly. As the result, Buddhist statues of Yonghwa-sa temple are devided into 3 styles. The first style is large and elaborated including the central large stone statue of Buddha (中央大石立像). The second style is traditional style of Unified Shilla Dynasty such as the left and right standing stone statues of Buddha (左右石佛立像) and the small standing statue of Buddha (小石佛立像). The third style is more rigid style than previous two styles. The seated Buddist statue, the seated Buddhisatva, the lohan statue back to the left standing stone left standing statue are included in third style. However I think the date of Buddhist statues at Yonghwa-sa is almost same. Inferring that their common face expressions and the left standing Buddhist stone statue (左右佛立像) and the lohan statue which made at the same time. It is reasonable that Yonghwa-sa temple Buddhist stone statues were made nearly the same time. As above, I suppose Buddhist statues at Yonghwa-sa were made in late 10th century and early 11th century. Finally, I focused on the significance of Buddhist stone statues at Yonghwa-sa temple. Even though there remain many of old temple sites around Musimchun-river, little Buddhist statue exist there. According to that, these Buddhist statues at Yonghwa-sa temple are representative among Buddhist statues at Chungju. I suggested possibility that Buddhist statues at Yonghwa-sa temple were originally Sanoe-sa Temple statues in connection with metal relics of Sanoe-sa Temple sites. Moreover, they are very valuable. Because they have rare formality and the importance of iconography. - smooth and elegant dapery with wave shape of the left standing Buddhist stone statue, the existence of Vimalakirti (維摩居士) and so on. then because they attains various styles at once as well. Furthermore, in case of the central large stone statue of Buddha, it's sensitive and elaborate style which has been mainly discussed about Buddhist golden brass statues late Koryo dynasty. Therefore these statues will be very important data in study on Koryo Buddhist statues. So far studies on Buddhist statues of Koryo dynasty have been limited with narrow subject in spite of plenty of excellent relics remains. Therefore, I hope that this paper can be helpful to the further research about stone Buddhist statues in Koryo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