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자 대학생의 비자살적 자해 유지에 대한 사례연구: 생물심리사회모델을 중심으로

        조영희,김지윤,이동훈 한국상담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self-injury among college students who maintain non-suicidal self-injury. For this purpose, 4 college students were interviewed and were analyzed using the cas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based on a biopsychosocial model. First, biological factors included psychiatric diagnosis, decreased pain sensitivity, and the role of endogenous analgesics. Second, in the cognitive factors, the cognitive level, the usual self-injury evaluation, and self-injury thoughts were identified. On the emotional factors, the participants' usual emotional treatment method, the negative emotions that triggered self-injury and the emotions after self-injury were identified. behaviors factors, indirect self-injury, self-injury preparation and implementation, and post-self-treatment behavior were examined. Third, as a social factor, we identified the non-acceptive home environment, past history, and the environment, strengths and assets, and self-injury exposure of participan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현재 비자살적 자해를 유지하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해의 경험과 의미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최근 12개월 이내에 자해를 한 경험이 있는 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Creswell(2013)의 사례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생물심리사회적 모델(biopsychosocial model)에 근거하여 생물학적, 심리학적, 사회학적 접근에 따라 비자살적 자해를 유지하는 대학생들의 경험을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3개의 차원, 17개의 공통주제와 46개의 개별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생물학적 요인으로 정신과적 진단을 동반, 통증 민감성의 감소, 내인성 진통제의 역할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학적 요인 중 인지적 차원으로는 평소 인지방식과 평소 자해평가, 자해 후 생각을 확인하였고, 정서적 차원으로는 연구 참여자들의 평소 정서처리방식과 자해를 촉발하는 부정정서 그리고 자해 후 정서를 확인하였으며, 행동적 차원으로는 간접 자해, 자해 준비 및 실행, 자해 후 처치행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셋째, 사회적 요인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비수용적 가정환경과 과거력, 자해를 촉발하는 환경, 강점 및 자산, 자해 노출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하였고,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통합적 접근을 통한 기독교 전인치유 모델에 관한 탐색

        이상복 ( Sang Bok Lee ) 한국성경적상담학회 2006 성경과 상담 Vol.6 No.-

        본 연구의 목표는 전인치유에 근접한 여러 모델들의 탐색을 통해 기독교적 전인치유의 모델들을 탐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방법론은 문헌연구를 기초한 메타 분석에 근거하고 있다. 본 논문은 기독교 전인치유모델을 형성하기 위해 일반 심리학에서 거론되고 있는 생물-심리-사회적 모델(Biopsychosocial Model)과 건강과 예방을 위한 통전적 모델(Holistic Model)을 문헌연구를 통해 살펴본 후 특별히 생물-심리-사회적 모델에 영적차원을 보완해 보았다. 그리고 하워드 클라인벨의 성장상담의 여섯 가지 차원들과 더불어 전인건강의 개념과 생태요법을 간략하게 소개했다. 또한 바울의 성경신학에 기초한 전인치유 모델과 함께 저자의 기독교 심리신경면역학(Psychoneuroimmunology)을 기독교 전인치유모델들로 상술했다. 전인치유의 핵심자원으로서 기독교 영성을 다루면서 영성의 역할을 네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설명했다; (1) 하나님과의 관계를 통해본 영성과 건강의 상관관계, (2) 동기부여, 삶의 목표설정 및 의미부여의 역동적 에너지로서의 영성, (3) 종교적 지지를 통한 건강향상 기능, (4) 종교적이고 영적인 갈등. 인간의 전인격적인 성품과 기능을 설명해주는 다양한 용어들을 본 논문에서 정의한 후 생물-심리-사회적 모델에 영적인 차원을 통합적으로 추가하여 전인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도식화해보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핵심 과제로서 기독교 심리신경면역학을 소개하고 인간의 면역기능 향상을 위해 기독교 자원 중, (1) 크리스천 기도, (2) 기독교 회심과 (3) 예배의식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상술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ole-person healing approaches from an integrative Christian perspective. Research method has been based on a meta-analysis reviewing relevant literature. In this study, after reviewing biopsychosocial and holistic models that are comprehensively oriented to whole-person treatment model, the author integrated spiritual dimension into these models. Also, the author introduced Howard Clinebell`s growth counseling and his theory of ecotherapy. The author delineated whole-person healing approaches in the light of Pauline Biblical understanding of total personhood and Christian psychoneuroimmunology. The author articulated Christian spirituality and considered it as the core resource for the whole-person healing. Christian spirituality has been categorized into four major areas: (1)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and health, (2) spirituality as a vital instrument for life-motive, quality of life and life-goal, (3) health promotion through religious support, and (4) religious and spiritual struggle. In the final section, the author explicated Christian psychoneuroimmunology as one of major healing methods in this study, and recommended that Christina prayer, Christian conversion and worship ritual be actively utilized to improve human immunity.

      • KCI등재

        공중보건모델에 따른 소년범죄 예방대책에 관한 고찰

        진성주(Jin, Sung Joo),박병선(Park, Byung Seon)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2021 교정상담학연구 Vol.6 No.3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각종 소년범죄의 원인을 분석하고자 생물심리사회적 모델에따라 선행연구를 이론적으로 정리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소년범죄의 실태를 살펴보고 그 특징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그 특징을 바탕으로 소년범죄 예방을 위해 도입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목적이 있다. 소년범죄의 실태와 특징을 살펴보고자 경찰청, 대검찰청, 법무연수원, 교정본부의 각종범죄관련 통계 등 문헌을 연구하였다. 소년범죄의 특징은 첫째, 초범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어 가정과학교 등 1차적 예방이 중요하다. 둘째, 우발적・즉흥적・충동적인 행동양식에 따른 범행동기가 많아사회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 재산범죄는 단순절도에서 지능적인 사기, 횡령 등으로다변화되고 있다. 소년범죄의 예방대책은 공중보건모델을 적용한 단계별 구조에 따라 기존 연구자료및 각종 위원회 등에서 제시하고 있는 정책 자료를 고찰하여 도출하였다. 구조화된 단계별 대책은다음과 같다. 첫째, 공중보건모델에 따른 1차적 예방대책으로는 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의 활성화,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운영의 효율화, 회복적 학교생활교육 운영의 활성화 등이다. 둘째, 2차적예방대책으로는 경찰단계 다이버전 제도의 내실화, 검찰단계 다이버전 제도의 내실화, 법원단계 다이버전 제도 운영의 내실화, 법원의 임시조치제도의 실질적 내실화 등이다. 셋째, 3차적 예방대책으로는교정시설 소년수용자 사회복귀 역량 강화, 정신장애 소년범죄인 등에 대한 지원체계 구축, 사회내보호제도 활성화 등이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juvenile delinquency in recent years, this study theoretically summarized previous studies based on biopsychosocial models. Based on this, we investigated the actual situation of juvenile delinquency and examined its characteristics.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e aim is to develop practical measures that can be introduced to prevent juvenile delinquenc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juvenile delinquency, we have studied literature such as various crime-related statistics by the National Police Agency, Supreme Prosecutors Office, Institute of Justice, and Correctional Service. The first characteristic of juvenile delinquency is that the rate of first offenses is increasing, and primary prevention such as at home and school is important. Second, there are many reasons for committing crimes based on accidental, improvisational, and impulsive behaviors, and efforts to improve social character are required. Third, property crimes have diversified from simple theft to intelligent fraud and embezzlement. Juvenile delinquency prevention measures were derived by considering existing research and policy materials presented by various committees, and based on a step-by-step structure to which the public health model is applied. Structured step-by-step measures are as follows: First, the initial preventive measures based on the public health model are to revitalize The Health and Family Support Center,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School Violence Countermeasures Committee, and revitalize school life education. Second, secondary preventive measures are to enhance the police, prosecution and court stage diversion systems, and to strengthen the court s temporary measures system. The third preventive measures include strengthening the rehabilitation capacity of juvenile inmates at correctional facilities, and establishing a support system for juvenile offenders with mental illness.

      • KCI우수등재

        정신건강복지법 개정에 따른 지역사회 정신건강 서비스 개선 방향

        김나은,제철웅,최기홍 한국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9 No.1

        The Korean Mental Health Act was amended to Act on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and the Support for Welfare Services for Mental Patients (in short, Mental Health Welfare Act) in May 2017. The revised act had major changes in the objective of the law, people who are subject to legal protection, and the definition of the term mental illness. These changes (e.g., involuntary hospitalizations requiring both the need for treatment and threat of harm to self or others, and rigorous assessment requirements applied in the admission to and discharge from inpatient units) are expected to greatly influence the direction of policy for the promotion of mental health, and foster social discussion on the process of hospitalization and discharge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in Korea. Controversial debates persist (e.g., human rights protection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vs. guaranteed right for timely treatment). Moreover, as the recent media highlighted criminal cases that might be related to severe mental illness, the need for the optimal infrastructure to provide psychosocial rehabilitation in our community and to provide emergency care at an appropriate time gained great attention. Licensed clinical psychologists are mental health professionals with expertise in the psychosocial evaluation process of severe mental illness and non-pharmaceutical psychosocial treatments. Thus, accurate understandings about these recent legal changes and the debates should be made to ensure proper treatment and human rights of their clients. The current study summarized the major revisions of the amended Mental Health Welfare Act including the changed hospitalization and discharge processes, discussed controversial issues relevant, and suggested a future role of clinical psychologists within a recovery-oriented psychiatric rehabilitation paradigm. 2017년 5월에 구 정신보건법이 약 20년 만에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이하 정신건강복지법)로 개정 시행되었다. 개정된 정신건강복지법은 법목적 및 보호대상, 정신질환에 대한 정의에 있어 주요한 변화가 있었다. 이는 정신건강증진 정책의 추진 방향에 있어 주요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정신병원 입․퇴원 과정에도 주요한 변화와 사회적 논의를 이끌고 있다. 특히 비자발적 입원을 위 해서는 자․타해 위험여부와 치료 필요성 조건을 동시에 충족해야 하며, 입원 적합성에 대한 보다 엄격한 평가가 요구되도록 법조항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변화가 비자발적 입원 과정에서 정신장애인의 인권을 보 호하는 절차라고 옹호하는 주장과 적정한 시기에 제공되어야 하는 치료권이 보장되지 못할 수 있다는 주 장이 양립하면서 사회적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더구나 중증정신질환과 범죄 사건들이 미디어에 왜곡되어 보도되면서, 정신질환자에 대한 사회적 낙인 해소, 당사자의 인권 보호, 적정한 시기에 응급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마련, 지역사회에서 정신사회재활을 제공하는 인프라 구축에 대한 논의가 지연되고 있 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신건강복지법의 주요 개정사항을 간략하게 요약하고, 입․퇴원 과정과 함께 입․퇴원 과정에서 논란이 되는 쟁점들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 기반 회복모델의 관점에서 현 재 다양한 지역사회 정신사회 재활 영역에서 전문 심리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국가의 지원과 심 리학자의 역할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신경성 폭식증 경향을 지녀온 20~30대 여성의 먹방과 함께 살아가는 삶

        이영주(Young Ju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8

        목적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경향성을 보이는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먹방 시청 이전에서 이후에 이르는 과정과 그 이후의 양상에 대한 탐색과 함께 폭식과 보상행동에 대한 경험을 이해하는 데 있다. 방법 Creswell(2013)의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신경성 폭식증 경향성이 있는 20~30대 여성 4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후, 면담자료를 생물심리사회모델(biopsychosocial model)에 근거하여 생물학적-심리적-사회적 차원으로 구분하여 그들의 경험을 살펴보았다. 결과 5개의 차원, 16개의 공통주제와 51개의 개별주제가 도출되었다. 생물학적 요인은 호르몬 변화, 유전적 요인, 약물진단 동반, 폭식 시 통증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요인 중 인지적 요인은 평소 인지 처리방식, 폭식 후 생각, 먹방 시청이 인지에 미치는 영향으로 나타났고, 정서적 요인은 평소 정서 처리방식, 폭식 후 정서, 먹방 시청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으로 나타났고, 행동적 요인은 평소 폭식 행동방식, 폭식 후 대처, 먹방 시청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요인은 과거력, 비수용적 가족환경, 폭식촉발 환경으로 나타났다. 결론 섭식장애를 위한 상담의 시사점 및 제한점을 탐색하여 섭식장애를 겪는 여성들을 위한 치료적 개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려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binge eating and compensatory behavior by exploring the process from before to after watching mukbang and its subsequent aspects targeti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tend to have Bulimia Nervosa. Methods Using Creswell's (2013)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women in their 20s and 30s with tendencies toward bulimia nervosa. Afterwards, the interview data was divided into biological-psychological-social dimensions based on the biopsychosocial model and their experiences were examined. Results 5 dimensions, 16 common themes, and 51 individual themes were derived. Biological factors were hormonal changes, genetic factors, drug diagnosis, and pain during binge eating. Cognitive factors among psychological factors were the usual cognitive processing method, thoughts after binge eating, and the impact of watching mukbang on cognition, and emotional factors. The behavioral factors were found to be the usual way of processing emotions, emotions after binge eating, and the effect of watching mukbang on emotions. Behavioral factors were shown to be the usual binge eating behavior, coping after binge eating, and the effect of watching mukbang on behavior. Social factors were related to past history. , it was found to be an unaccepting family environment and an environment that triggers binge eating. Conclusions By exploring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counseling for eating disorders, we seek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women suffering from eating disorders.

      • 장애인 생활체육의 필요성과 가치

        최승권 용인대학교 특수체육연구소 2004 특수체육연구 Vol.- No.2

        우리나라에서 장애 있는 사람들의 체육 활동의 가치는 일반체육활동의 이점과는 달리 재활이나 치료 수단으로 이해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며,그러한 사회적 인식은 장애 패러다임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변화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은 현대의 장애 패러다임의 변화를 점토하고 일반 생활체육 활동의 가치에 비추어 장애 있는 사람들의 생활체육의 필요성과 가치를 문헌적으로 재조명하고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오늘날 장애의 개념은 의료적 모델, 사회 환경적 모델을 거쳐, 생물사회심리적(biopsychosocial) 모델로 변모하였고, 장애 있는 사람들의 생활체육 활동은 재활이라는 소극적인 활동보다는 여가 사회 문화적 활동을 폭넓게 이해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장애 있는 사람들이 생활체육활동을 통하여 얻어지는 내재적 효과로는 신체적·사회적·정신적·심리적 가치 이외에 재활 및 예방의 가치를 가지며, 사회적으로는 사회통합 수단이다.

      • KCI등재

        대학생의 기질 및 성격 잠재 프로파일에 따른 심리 및 생물사회적 변인의 탐색적 연구

        정수동(Su Dong Jeong),이수진(Soo Ji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기질 및 성격 프로파일 잠재집단의 심리적 및 생물사회적 특성을 탐색하기 위해 첫째, 기질 및 성격검사의 일곱 가지 변인을 중심으로 잠재집단을 확인하고, 둘째, 도출된 세 잠재집단의 심리적 및 생물 사회적 특성 간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대학생 287명으로 Cloninger의 기질 및 성격검사,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척도, 아침형 조합척도,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 삶의 만족 척도를 활용하여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이용하여 잠재집단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7가지 기질 및 성격 요인을 활용한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3개의 잠재집단을 확인하였다. 둘째, 심리적 변인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긍정 및 부정정서와 생물사회적 변인인 일주기유형, 수면의 질, 그리고 삶의 질에서 잠재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타고난 기질 요인인 위험회피와 후천적으로 개발 가능한 성격요인인 자율성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적응적이고 성숙한 성격에 대한 심리 및 생물사회적 변인의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and bio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s latent profile group, first, the latent group was identified with the seven variables of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TCI), and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sychological and biosocial characteristics of three identified latent groups. A total of 287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and the latent groups was identified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a human-centeted statistical method, using Cloninger’s TCI,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CERQ),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PANAS), Composite Scale of Moriningness(CSM), Pittsburgh Sleep Qulity Index(PSQI), an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As result, first, three latent groups were identified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using the seven variables of TCI.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dentified in CERQ, PANAS, which are psychological variables, CSM, PSQI, and SWLS, which are biosocial variables among the latent groups. In conclusion, the importance of Self-Directedness(SD), a character factor that can be developed rather than Harm-Avoidance(HA), a temperament factor from nature, was confirmed. And the necessity of follow-up studies on psychological and biosocial variables for adaptive and mature personality was discussed.

      • KCI등재

        자해와 자살행동 메타분석 연구 개관: 생물심리사회모델에 따른 위험 및 보호요인을 중심으로

        김성연(Kim, Seong-Yeon),양모현(Yang, Mo-Hyun),박효은(Park, Hyo-Eun),김지윤(Kim, Ji-Yun),이동훈(Lee, Dong-Hun) 한국교육치료학회 2023 교육치료연구 Vol.15 No.1

        메타분석 연구는 특정 주제와 관련하여 여러 개별연구에서 다룬 변인들을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방식으로 포괄하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상호 연관성이 높음에도 그간 분리되어 연구된 자해와 자살의 영향요인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자해 및 자살 관련 메타분석 연구 문헌을 고찰하여 생물심리사회모델에 따라 영향요인을 개관하였다. 국내외 12개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17편(자해 3편, 자살 14편)의 메타분석 논문을 최종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 자해와 자살에서 공통으로 연구된 위험요인은 10개, 보호요인은 3개, 청소년 자해에만 연구된 위험요인은 22개, 보호요인은 7개, 청소년 자살에만 연구된 위험요인은 10개, 보호요인은 12개가 확인되었다. 전체연령 대상 연구에서 자해와 자살의 공통 위험요인은 7개, 자살에만 연구된 위험요인은 24개가 확인되었고, 보호요인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처럼 자해와 자살 연구의 영향요인은 공통되는 요인과 차별적으로 연구된 요인이 확인되어 향후 공통 및 차별 영향요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겠고, 위험요인에 비해 밝혀진 보호요인이 현저히 적어서 보호요인에 대한 활발한 탐색과 검증이 필요하겠다. Meta-analysis research encompasses the variables dealt with in several individual studies objectively and systematically.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self-injury and suicide, this study analyzed 17 meta-research literature that was searched through domestic and abroad databases. As a result, ten risk factors and three protective factors were commonly identified in youth self-injury and suicide, 22 risk factors and seven protective factors were identified in youth self-injury only, and ten risk factors and 12 protective factors were identified in youth suicide only. In the study for all ages, seven common risk factors for self-injury and suicide, 24 risk factors were identified only for suicide, and no protective factors were identified. Many common and discriminatory influencing factors were placed, and the factors that have been differentially studied need to be considered in an integrated way in the future.

      • KCI등재

        긴장형 두통의 건강심리학적 평가

        손정락 한국건강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5 No.4

        Most clinicians and researchers agree that the experience of pain is influenced by a wide range of psychological factors, which are important variables in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tension-type headache patients. However, there is lack of the systematic examinations that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psychological variables in tension-type headache. In this article, description and history of tension-type headaches, behavioral checklist, data of self report, interview with significant others, records of self-monitoring, bio-psycho-socio-spritual model in the assessment of tension-type headache, quality of life, and problem of psychometric tests in the assessment of tension-type headache were reviewed. That is, a multimodal psychological assessment strategy is important and considerable model in tension-type headache evaluation, and futher direction were discussed. 많은 임상가들과 연구자들이 긴장형 두통 환자들에 대한 평가와 치료에서 통증이 광범위한 심리적 요인들에 영향을 받으며, 또한 중요하다는 점에는 동의하고 있다. 그렇지만, 긴장형 두통에서광범위한 심리학적 변인들 간의 관계는 체계적으로 조사되지 않았다. 이 개관 논문에서는, 긴장형두통 내력 조사, 행동 평가목록, 자기 보고 자료, 지인 면담, 자기 탐지 기록, 긴장형 두통 평가에서 생물-심리-사회-영성 모형 및 삶의 질 평가를 다루었고, 또한 평가에서 쓰이는 심리측정검사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점을 다루었다. 즉, 다중양상 심리학적 평가 전략이 긴장형 두통 평가에서도 중요하게 고려되어져야할 모형으로 보았다. 끝으로, 앞으로의 연구 방향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우울증 환자를 위한 정신사회 재활치료

        황태연,Hwang, Tae-Yeon 대한생물정신의학회 1999 생물정신의학 Vol.6 No.1

        While depression is certainly a prevalent disorder, it is often severe and debilitating and does not always have the good prognosis we have been led to expect. Social approaches to affective disorders have not been subjected to the same level of scrutiny as the interventions used in the management of schizophrenia. Psychosocial Rehabilitation is now at a critical stage. Psychoeducation, social skill training, cognitive remediation, family education,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case management programs are essential for the rehabilitation of chronic de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