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리랑>의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목록 등재로 비롯된 한중간 문화갈등 배경 연구 - 중국 조선족 문화의 이중정체성을 중심으로 -

        이정원,공정배,김용범 한민족문화학회 2012 한민족문화연구 Vol.40 No.-

        This paper is the study about the background of cultur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and trends and prospects of the expected future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that were originated from listing folksong <Arirang> in 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of UNESCO. Cultur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raised by China's Northeast Project 'research projects in 2002 is surfaced as <Gangneung Dano festival> in korea is listed in the Unesco in 2005 and showed contending aspect as China listed <Dragon Boat Festival>, changing the name, in 2009. What is more, when the 「Tonguibogam 주제어 : 중앙아시아 고려말, 종결어미, 대화 등급, 중앙아시아 고려인 소설, ≪레닌기치≫, ≪고려일보≫of Korea is listed in 2009, China listed <Chinese Sewing Kit> in 2011. And cultur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is being run in contending aspect for preoccupancy of item while China listed <Nongak> of Korean race as <Farmer's Dance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in 2006.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Chinese Ministry of Culture selected <Arirang>, <Pansori>, <Gayageum art> as China's national cultural heritage material through the notification of State Council for the third national cultural heritage materials registration in 2011. China is claiming to advocate the policies that protect minorities' cultural heritage, but behind them the intention that lead the flow of the East Asian cultural identity through preoccupancy of listing heritage that is shared by South Korea, North Korea, and China in Unesco is laid. In its origin, there is ethnic Koreans with different cultural double identity in China as a Chinese citizen in national identity and as Koreans in ethnic identity. And, the conflict that takes place and is overlapped with korea in process ethnic Koreans represent the position of China in culture terrain of international society is the source of cultur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The problem is the fact that the cultural conflict which encircles <Arirang> is just beginning. Korea and China share 17 ethnic Koreans' cultural heritage among three Northeastern provinces of the country's cultural heritage materials in China. The number of cultural heritages that are shared by two countries is increased to 60 when a level is lowered to district cultural heritage material. District cultural heritage material is upgraded to national cultural heritage material through evaluation in any time. When upgrading is regarded as a being listed, the ethnic Koreans' cultural heritages are the factors of cultural conflicts between Korea and China. 본고는 민요 <아리랑>의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목록 등재로 비롯된 한중간 문화갈등 원인 및 배경과 향후 예상되는 양국 간 갈등 추이 예측에 관한 연구이다. 2002년 중국의 ‘동북공정’ 연구 사업으로 불거진 한중 문화갈등은 2005년 한국의 <강릉단오제>가 유네스코에 등재됨에 따라 양국 간 문화마찰이 표면화되고 뒤이어 2009년 중국은 <용선축제>로 이름을 바꿔 등재하는 경합 양상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2009년 한국의『동의보감』이 등재되자 2011년 중국은 <중국침구>를 등재했고, 2006년 중국이 한민족의 농악을 <중국에 거주하는 조선족의 농무>라는 이름으로 등재하는 등 경쟁적 아이템 선점 양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2011년 중국 문화부는 제3차 국가급비물질문화유산 등록에 대한 국무원 통지를 통해 <아리랑>, <판소리>, <가야금예술>을 중국의 국가급비물질문화유산으로 선정하였다. 중국은 국가 차원에서 자국 소수민족의 문화유산을 보호하겠다는 정책을 표방하고 있으나, 그 이면에는 한국 중국 북한이 공유하는 문화유산의 유네스코 등재 선점을 통해 동아시아 문화정체성에 대한 흐름을 주도하려는 의도가 내재되어 있다. 그 근원에 중국 국민으로서 국가정체성과, 한민족으로서 민족정체성이 상이한, 문화적 이중정체성을 지닌 조선족이 존재하며, 이들이 국제사회 문화지형 내 중국의 입장을 대변하는 과정에서 한국과 중첩되어 벌어지는 갈등이 한중 문화갈등의 근원이다. 문제는 <아리랑>을 둘러싼 한중 문화갈등이 시작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중국 동북3성의 국가급비물질문화유산 중 17개의 조선족 문화유산을 한국과 중국이 모두 공유하고 있다. 한 단계 아래의 성급비물질문화유산으로 내려가면 한중 양국이 공유하는 문화유산의 수는 60개로 늘어난다. 성급비물질문화유산은 언제라도 심사를 거쳐 국가급비물질문화유산으로 승급할 수 있으며, 승급이 유네스코 목록 등재를 전제한다고 볼 때 조선족의 문화유산은 한중간 문화갈등의 잠재 요소들이다.

      • KCI등재

        물질문화의 개념 수정과 연구 전망

        배영동(Bae Young-Dong) 한국민속학회 2007 韓國民俗學 Vol.46 No.-

        민속학에서 물질문화 분야의 연구는 미미할 뿐만 아니라, 관심을 가진 연구자도 소수다. 게다가 민속학뿐만 아니라 여러 학문에서 널리 쓰이는 물질문화란 용어는 명확히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채 ‘문화의 산물로서 인공물(artifact)’이라는 뜻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물질문화를 그렇게 규정할 경우 오히려 인공물을 통한 문화연구는 차단되어 버릴 소지가 크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공물과 문화의 결합체’를 물질문화라고 규정해야 한다. 종래의 물질문화 개념을 이렇게 수정하면, 물질문화라는 용어가 성립될 수 없다는 주장도 성립되지 않는다. 또한 인공물과 문화의 결합체를 물질문화라고 하면 물질문화도 문화연구의 중요한 분야가 되게 마련이다. 그 대신 종래 물질문화로 여겨지던 인공물에 대해서는 ‘물질문화자료’로 명명하는 것이 적절하다. 물질문화자료에 대해서는 자연환경과 관련지어 분석하는 연구와 사회문화와 관련지어 분석하는 것이 연구의 출발점이 된다. 왜냐하면 물질문화자료는 모두 자연자원을 변형하여 인간생활에 유익하게 만든 것이며, 그것을 만들고 사용하는 과정에서는 사회문화적 방식이 개입되고 반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질문화자료를 통해서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화연구의 일반적 관점을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물질문화자료의 생산(제작)과 소비(사용)의 과정은 의미의 교환이므로, 물질문화자료의 생산과 소비에 대해서 기술적·정치적·경제적·이념적 과정으로 접근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The research of material culture is not sufficient in folklore. The term of material culture has always meant “artifacts as the products of culture.” However, if material culture is defined like this, the research of culture through artifacts could be excluded. To solve this matter, material culture needs to defined as a ‘combination of artifacts and culture.’ If material culture is a ‘combination of artifacts and culture,’ material culture will occupy the most important place in the study of culture. Instead, artifacts, which have been considered as material culture thus far, will be appropriately designated as ‘material objects’ means tangible objects of material culture. To implement the right study, ‘material objects’ should be analyzed as a division of natural environment-related study and society and culture-related study. Because social and cultural methods are necessarily added and reflected in the process of making and using ‘material objects’ ; they have been made so by the transformation of natural resources for the benefits of human life. Accordingly, to understand culture through ‘material objects,’ the general perspectives of cultural research should be applied. Furthermore, as the process of producing and consuming(using) ‘material objects’ is the exchanges of meanings, their products and consumption must be approached and analyzed as technological, political, economic and ideological processes. Nevertheless, the researchers in folklore should pursue the understanding of folk culture by studying ‘material objects’ which are used broadly in folk life.

      • KCI등재

        농악문화유산으로서 물질 · 비물질 자료의 활용가능성 타진

        박혜영(Park, Hey-Yeong) 실천민속학회 2017 실천민속학연구 Vol.29 No.-

        농악이 문화적 표현물로서 감정이나 사유를 전달하고 공감을 이끌어내는 전승공동체의 예술행위라면, 농악을 발굴하고 기록하며, 오감을 만족시키도록 재가공하는 과정 또한 사회적 여건 속에서 미적가치를 생산해내는 창조적 행위이다. 오늘날 농악의 예술적 테크닉이 수려해지는 것은 물론, 연행을 가능케하는 물적 기반도 기술력을 바탕으로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예술적 형식 뿐 아니라 전승자의 경험을 전달하거나 전통을 재현하고 재창조하는 일련의 과정에 온갖 첨단의 기술력이 동원된다. 농악의 발굴 · 기록 · 보존 · 전시 · 교육에 있어서도 이러한 현실이 반영되어 있다. 농악을 둘러싼 문화적 스펙트럼과 이를 배태한 문화적 기반들을 통칭하여 농악문화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 공동체에 의해 끊임없이 재생산되는 농악과 농악을 둘러싼 총체적인 문화 전반을 아울러 ‘농악문화’라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다루었다. 농악의 행위 그 자체와 더불어 이 연행을 가능하게 하는 물질적 구성요소들을 농악을 이루는 물질문화로서 주목하였다. 농악문화유산을 물질 · 비물질 자료로 구분하여 살피고, 발굴조사와 기록 및 전시 사례를 제시하며, 기 · 예능의 전승활동에 있어 교육적 활용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물질 자료의 수집과 그 필요성, 기존에 발굴 · 조사된 비물질자료의 재생산과 보존 및 전시, 농악문화유산의 활용과 교육과의 연계성에 중점을 두었다. 농악의 연행은 전승집단이 지닌 공동체성의 발현이다. 그러기에 농악인들이 사용하던 각종 물질자료들은 소모품이기 이전에 공적 유물이자 자원이다. 여기에는 전승집단이 누대로 이어온 문화적 고유성과 그리고 경험의 축적으로 꽃피워온 문화적 지식이 배어있다. 농악문화유산의 생명력을 살리는 작업은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미래유산의 재발견에 다름 아니다. 세대 간 전승이나 지역적 전승권역을 뛰어넘어, 디지털 매체들을 활용하여 시공간적 경계를 초월하는 새로운 전승활로를 모색하는 것은 농악을 서민대중의 일상생활 속으로 다시금 뿌리 내리게 하는 전략이기도 하다. If Nongak as a cultural expression is an artistic activity of transmission community that has communicated emotions and thoughts and evoked empathy, the process in which Nongak has been excavated and recorded and also recreated to satisfy five senses is another creative behavior producing an aesthetic value in a certain social condition. Today, artistic techniques of Nongak are more elaborated and the material foundation of it, which makes it possible to conduct the performance, is also repeatedly changed based on technology.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not only artistic forms but also experiences of transmitters have been communicated or the tradition has been represented and recreated involve many kinds of technology. Such a fact is also reflected by excavation, recording, preservation, exhibition and education of Nongak. The spectrum and cultural foundations of Nongak may be commonly called the Nongak culture. This paper dealt with Nongak continuously recreated by the community and the whole of culture around it as the ‘Nongak culture’, a comprehensive concept. In this paper, the author focused on activities of the performance and material elements that allow it, by extending them to the entire material culture constituting Nongak.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ultural heritance of Nongak by dividing it into material/immaterial culture data, discussed excavation research, recording and exhibition, suggested some specific cases and sought educational availability of transmissions of skills and performing arts. It emphasized collection and necessity of material culture data, reproduction, preservation and exhibition of immaterial culture data previously excavated and examined, and connectivity between use of the cultural heritage of Nongak and education of it. The performance of Nongak is a manifestation of the communal character of the transmission group. Therefore, a lot of kinds of material culture data used by persons who engaged in Nongak are public artifacts and resources rather than consumables. Cultural inheritance and identity which have been passed by the transmission group through successive generations and cultural knowledge flourished by the accumulation of experiences are embedded in them. They are nothing but a rediscovery of future heritage that connects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Such an exploration of a new transmission channel crossing temporal and spatial boundaries by using digital media beyond spheres of local tradition or transmission between generations is also a strategy for Nongak to take root in daily life of ordinary people again.

      • KCI등재

        몽골비사에 반영된 몽골 유목민들의 물질문화 연구

        박환영 동아시아고대학회 2012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29

        본 논문 몽골비사 속에 반영된 몽골 유목민들의 물질문화를 통하여 몽골 유목민들의 생활문화를 구체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생활문화 중에서 물질문화는 문화의 가장 기초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물질문화 속에는 공동체 구성원들의 정신문화와 사회문화가 잘 반영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물질문화의 이러한 측면을 고려한다면 몽골의 대표적인 역사문헌자료이자 몽골 민족의 대서사시인 몽골비사에는 물질문화에 대한 내용이 많이 들어있다. 예를 들어서 몽골의 물질문화를 다른 문화권 혹은 지역의 물질문화와 구별해 주는 색깔, 재료, 기능, 사용방법 등 유목문화를 반영해 주는 내용이 많은 편인데, 특히 13세기 몽골의 유목문화 중에서 물질문화와 관련하여 말(馬)과 관련한 민구(民具), 의식주와 관련된 생활재(生活財), 사냥 및 어로활동과 관련한 각종 도구, 군대 및 전투용 무기, 의례와 축제와 관련된 민구 그리고 기타 유목생활과 관련한 일상적인 생활도구에 대한 부분이 주목할 가치가 있다. 몽골비사에 내재되어 있는 몽골의 물질문화와 관련해서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유목생활에서 중요한 가축인 말(馬)과 관련한 민구가 많이 등장한다는 점이다. 또한 사냥이나 전쟁에서 필수적인 생활도구이면서 무기였던 화살에 대한 내용을 보면 화살의 세부적인 부분에 대한 묘사와 각종 종류의 다양한 화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잘 묘사되어 있다. 예를 들어서, 작은 상처를 내어서 새를 잡는데 사용하는 살동개에서부터 장거리용 화살 그리고 대량 살상용 화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화살에 대한 내용이 잘 기술되어 있다. 한편 유목민들의 의식주 생활에 필요한 여러 가지 종류의 민구에 대한 내용도 제법 많이 나오며, 몽골 유목민들이 가졌던 의례와 축제와 관련한 도구에 대한 내용도 재미있다. 그 외에도 일상적인 유목생활과 관련한 민구로는 수레와 수레바퀴에 대한 내용이 많고, 죄인이나 포로를 잡아두거나 이동을 할 때 주로 사용되었던 형구(形具)인 목에 쓰는 칼에 대한 내용도 몽골의 유목문화를 고찰하는데 좋은 자료를 제공해 준다. 좀 더 구체적으로 몽골비사에 나오는 물질문화의 내용을 분석해 보면 크게 네 가지 영역에서 당시(13세기)의 유목문화를 접근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예를 들면 생업활동, 자연관 및 방향관, 젠더(gender) 그리고 군대 및 전투와 관련한 무기 등이 두드러진다. 즉 생업활동과 관련해서 사냥과 물고기를 잡는데 필요한 도구에 대한 내용이 잘 반영되어 있다. 또한 전통적인 몽골 유목민들의 자연관과 방향관이 내재되어 있는 주거 공간인 게르(ger) 내부와 외부의 구조와 공간의 배치 그리고 젠더와 관련해서 일상적인 유목생활 속에서의 생업공간이 젠더에 의하여 구분되었음을 알 수 있게 해주는 내용이 몽골비사 속에 들어있다. 덧붙여서 몽골비사에는 활과 화살과 같은 13세기 유목민들이 즐겨 사용했던 병기(兵器)와 무기(武器)에 대한 기능과 재질 등이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어서 유목사회의 군사문화를 이해하는 물질문화로도 큰 가치를 가지고 있다

      • KCI등재

        미국 민속학에서 물질문화에 대한 인식과 연구

        배영동(Bae, Young-Dong)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5

        여러 나라 민속학 연구에서 물질문화(material culture)는 후발 주자로 성립된 분야이다. 이 글은 20세기 후반 미국 민속학에서 물질문화가 과연 어떻게 인식되었고 어떻게 연구되었는지를 살핀 것이다. 다만 설화를 연구하여 공식적으로 미국 최초의 민속학박사가 되었지만, 물질문화 연구로 주전공을 재설정한 워렌 E.로버츠(Warren E. Roberts, 1924~1999)의 연구에 한정하여 그 경향성과 의의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로버츠는 설화연구자로 유명한 스티스 탐슨(Stith Thompson)의 제자였으나 고국 노르웨이에서 민속학을 연구한 경험을 계기로 물질문화 연구자로 전향하였다. 그 후 인디애나대학 민속학과 교수로 물질문화 분야를 담당하였다. 그의 물질문화 연구는 민중생활(folklife)이라는 테두리 속에서 혹은 민중생활과 관련하여 예술품(art), 공예품(craft), 건축물, 그리고 제작 도구를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졌다. 로버츠가 말하는 물질문화는 이와 같이 사물(물건, 물질문화자료)로 구체화된 것이었다. 그의 이러한 물질문화에 대한 인식은 물질문화 연구를 지속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데 걸림돌이 된다. 그럼에도 전통적 공예품을 만드는 장인들을 주목한 것은 소비자보다 생산자를 훨씬 중시했기 때문이며, 사람 본위로 물질문화를 연구하는 길을 연 것이다. 또한 농민들의 생존활동 가운데 상당 부분을 수공기술의 관점에서 이해하려 한 점, 농부들의 삶과 활동을 생계형 수공기술(subsistence crafts)의 개념으로 연구한 점이 주목된다. 그의 물질문화에 대한 기본적인 시선은 산업화와 더불어 사라지는 민중들의 전통적 물질문화를 조사·연구·보전하는 것이었다. 물질문화에 대한 접근방법은 물질문화라는 대상을 중심에 놓고 관련되는 문화요소를 최대한 풍부하게 조사하여 연구하는 것이었다. 로버츠는 역사지리학적 방법, 연대기적 방법, 기능주의적 방법, 맥락주의적 방법으로 물질문화를 연구하였다. 그의 물질문화 연구는 미국 민속학 발전 초기에 수행되었으며, 야외박물관 설립 노력과 병행되었고, 민중생활의 맥락 속에서 풍부한 현지조사를 통하여 물질문화의 변천을 설명하고 분포지도를 작성하고, 기능적 고려와 적합성을 조사하여 서술하는 형태였다. 그는 장인들의 활동에 주목하였지만, 물질문화를 ‘행위의 체계’ 속에서 연구하는 학문적 전통을 분명하게 확립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Material culture in the folkloristics of many countries is a field that began to be studied relatively late. This paper has examined how material culture was perceived and studied for American folkloristics in the late 20th century. It focused on studies by Warren E. Roberts (1924~1999) and investigated their tendency and meaning. Warren E. Roberts committed himself to studying folktales and became the first titlist of Ph.D. in folklore in USA. Later he changed his major field to the study of material culture. Roberts was taught by Stith Thompson, the famous researcher of folktales. However, he changed his research field to material culture after he studied folklore in Norway, his native country. Afterwards he became a professor in charge of material culture in department of folklore at Indiana University. He studied material culture within the frame of folklife, focusing on art, craft, architecture and manufacturing tools which were related to folklife. What he referred to as material culture was what was concrete in objects (things and physical matters). His perception of material culture is an obstacle to that continuously activates the material culture studies. Nevertheless, he paid attention to artisans/craftsmen who made traditional craftworks because he valued producers much more than consumers. Such an attitude led to the research of material culture which valued human beings. It is notable that he examined farmers’ subsistence activities in terms of crafts and that he studied farmers’ lives and activities from the viewpoint of subsistence crafts. His basic job for material culture was to survey, research and preserve traditional material culture of folk which was disappearing on account of industralization. His approach was to investigate and research as many cultural elements as possible related, placing the objects of material culture at the center. Roberts used a historical-geographical method, a chronological method, functionalism and a contextual approach to study material culture. His study of material culture wa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facts: his material culture study is made early in the American folkloristics; it was made along with efforts to establish an outdoor museum; and his study investigated and narrated changes of times, distribution-map drawing, and functional consideration and propriety through a lot of field studies in the context of folklife. Regrettably, though it paid attention to artisans’ activities, this study has not firmly established an academic tradition whereby material culture can be studied in behavioral systems.

      • KCI등재

        탈물질주의와 민주주의

        김욱(Wook Kim),이이범(Rhee Beom Lee) 한국정당학회 2006 한국정당학회보 Vol.5 No.2

        이 글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정치문화, 그 중에서도 탈물질주의를 중심으로 한 정치문화 변동을 비교분석 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 양국 모두 탈물질주의화라는 가치 변동을 경험하고 있으나, 그 과정이나 유형 면에서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먼저 탈물질주의화의 단계 면에서 일본이 한국보다 앞서 있음은 물론이다. 한국에 비해 일본의 경우 물질주의자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으며 반대로 탈물질주의자의 수는 많다. 보다 중요하게는 한국에서는 세대별로 탈물질주의의 분포가 극명한 차이를 보임에 반해, 일본의 경우 세대별 차이가 매우 작다. 이러한 차이의 근본적인 원인은 양국 정치문화의 안정성 혹은 획일화 성향의 차이라고 본다. 한국의 정치문화가 상대적으로 덜 안정된 가운데 다양한 요소를 인정하는 반면에, 일본의 정치문화는 매우 안정적인 상태에서 보다 강력한 획일성을 추구한다고 할 수 있다. 조금 각도를 바꾸어 말하면, 한국의 기존 정치문화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문화의 형성을 억제할 능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반면, 일본의 경우는 기존 문화의 연속성향 혹은 보수성향이 강해 젊은 세대가 새로운 문화를 형성해 나가기가 그만큼 어렵다는 것이다. 한편 세대별 탈물질주의의 분포 면에서 한국과 일본 양국이 보이는 이러한 차이는 양국의 민주정치,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정치참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국과 일본 양국 모두에서 탈물질 주의적 가치는 투표 외에 보다 어려운 정치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영향력이 한국의 경우에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결집되어 나타나는 반면, 일본의 경우에는 그렇지 못하다. 정치 문화의 변동(혹은 가치 변동)이 실질적인 정치적 힘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그것이 한데 뭉쳐 있어야 한다. 한국의 최근 선거에서 나타난 젊은 유권자들의 각종 행태(노사모 결성, 촛불 시위)와 세대간 극명한 투표 행태의 차이는 젊은층 유권자들의 정치적 영향력을 극대화시켜 주었다. 한편 일본의 경우는 젊은 세대의 유권자가 하나의 정치적 힘으로 결집되지 못하고 있다. 그들은 기성세대와 특별히 다른 자기들만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가치 정향을 갖고 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요인을 통제하고 나면 그들은 기성세대보다 오히려 어려운 정치참여에 가담할 확률이 낮다. 그 결과 일본의 선거과정에서 젊은 유권자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는 찾기 어렵다. This paper compares the processes of cultural changes in Korea and Japan,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post-materialism. While both of the two countries have become more post-materialistic, there are som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hem in the way the cultural changes take place. First of all, and most obviously, Japan is far ahead of Korea in the process, thus having a greater number of post-materialists. More important is the stark difference between the countries in terms of the generational distributions of post-materialists. While Japan has a relatively small variance across generations in the distribution of post-materialists, Korea’s post-materialists are heavily concentrated in the younger generations. Although this distributional difference is expected from the different stages in which the two countries find themselves, it is far greater than expected. One fundamental cause of this unexpectedly huge difference might be that the two countries differ in terms of the cultural stability or uniformity. Korea’s political culture is relatively less stable, thus allowing various elements within it, but Japan has more stabilized political culture, seeking a greater degree of uniformity. In other words, while Korea’s existing political culture cannot effectively control the emergence of a new political subculture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Japan’s existing political culture is so stable and conservative that the Japanese young voters find it difficult to form their own subculture. Meanwhile, this distributional difference has significant effects on the two countries’political processe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 particular. In both countries, post-materialistic values te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difficult forms of political participation such as campaigning and demonstration. The difference is that this effect is manifested drastically centering the younger voters in Korea while it is dispersed across the generations in Japan. For a value change to be transformed into a significant political force, it must be manifested in a concentrated form. In Korea, the young voters have been able to maximize their political influence in recent elections by acting together as a distinct political group. They were not only active in forming voluntary campaign organizations and initiating a series of candle-light demonstrations, but also uniform in their voting behavior. In contrast, Japan’s young voters have not been able to form a distinct political group, as they do not have their “own”values that distinguish themselves from the old.

      • KCI등재

        한국 중산층의 소비문화

        남은영 한국사회학회 2010 韓國社會學 Vol.44 No.4

        이 연구는 중산층의 소비문화를 문화예술소비와 물질소비로 구분하고 중산층범주와 계급범주를 활용하여 집단별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의 효과를 중심으로 문화예술소비와 물질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함께 고찰하였다. 문화예술소비는 핵심적 중산층일수록 더 활발하며, 계급뿐 아니라 연령, 교육수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연령, 소득, 교육수준을 통제할 경우 물질소비에 비하여 문화예술소비가 계급적인 경계를 드러내주는 영역임을 발견하였다. 또한 성장기 문화자본이 풍부할수록 문화예술소비가 더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예술소비에 적극적일수록 해외여행이나 골프 선호, 가치나 스타일 중시, 웰빙소비와 같은 물질소비, 즉 지위소비성향이 더 증가하여, 문화예술소비와 물질소비는 서로 밀접히 연관되어 있으며 동시에 추구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물질소비와 문화예술소비에서 문화자본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지위소비성향이 증가할수록 합리소비성향도 증가하여 소비문화에서 지위와 합리성의 추구는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맥이 많고 단체 활동이 활발할수록 문화예술소비와 물질소비에도 적극적이어서 문화예술소비와 물질소비에 미치는 사회자본의 효과를 발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성장기 문화자본, 문화예술소비 및 지위소비성향 등은 중산층의 특성을 나타내는 지위표시물(status marker)이며 중산층의 소비문화가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의 소유를 둘러싸고 가시적으로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농악문화유산으로서 물질·비물질 자료의 활용가능성 타진: 발굴·기록·보존·전시·교육을 중심으로

        박혜영 실천민속학회 2017 실천민속학연구 Vol.29 No.-

        If Nongak as a cultural expression is an artistic activity of transmission community that has communicated emotions and thoughts and evoked empathy, the process in which Nongak has been excavated and recorded and also recreated to satisfy five senses is another creative behavior producing an aesthetic value in a certain social condition. Today, artistic techniques of Nongak are more elaborated and the material foundation of it, which makes it possible to conduct the performance, is also repeatedly changed based on technology.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not only artistic forms but also experiences of transmitters have been communicated or the tradition has been represented and recreated involve many kinds of technology. Such a fact is also reflected by excavation, recording, preservation, exhibition and education of Nongak. The spectrum and cultural foundations of Nongak may be commonly called the Nongak culture. This paper dealt with Nongak continuously recreated by the community and the whole of culture around it as the ‘Nongak culture’, a comprehensive concept. In this paper, the author focused on activities of the performance and material elements that allow it, by extending them to the entire material culture constituting Nongak.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ultural heritance of Nongak by dividing it into material/immaterial culture data, discussed excavation research, recording and exhibition, suggested some specific cases and sought educational availability of transmissions of skills and performing arts. It emphasized collection and necessity of material culture data, reproduction, preservation and exhibition of immaterial culture data previously excavated and examined, and connectivity between use of the cultural heritage of Nongak and education of it. The performance of Nongak is a manifestation of the communal character of the transmission group. Therefore, a lot of kinds of material culture data used by persons who engaged in Nongak are public artifacts and resources rather than consumables. Cultural inheritance and identity which have been passed by the transmission group through successive generations and cultural knowledge flourished by the accumulation of experiences are embedded in them. They are nothing but a rediscovery of future heritage that connects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Such an exploration of a new transmission channel crossing temporal and spatial boundaries by using digital media beyond spheres of local tradition or transmission between generations is also a strategy for Nongak to take root in daily life of ordinary people again. 농악이 문화적 표현물로서 감정이나 사유를 전달하고 공감을 이끌어내는 전승공동체의 예술행위라면, 농악을 발굴하고 기록하며, 오감을 만족시키도록 재가공하는 과정 또한 사회적 여건 속에서 미적가치를 생산해내는 창조적 행위이다. 오늘날 농악의 예술적 테크닉이 수려해지는 것은 물론, 연행을 가능케하는 물적 기반도 기술력을 바탕으로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예술적 형식 뿐 아니라 전승자의 경험을 전달하거나 전통을 재현하고 재창조하는 일련의 과정에 온갖 첨단의 기술력이 동원된다. 농악의 발굴․기록․보존․전시․교육에 있어서도 이러한 현실이 반영되어 있다. 농악을 둘러싼 문화적 스펙트럼과 이를 배태한 문화적 기반들을 통칭하여 농악문화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 공동체에 의해 끊임없이 재생산되는 농악과 농악을 둘러싼 총체적인 문화 전반을 아울러 ‘농악문화’라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다루었다. 농악의 행위 그 자체와 더불어 이 연행을 가능하게 하는 물질적 구성요소들을 농악을 이루는 물질문화로서 주목하였다. 농악문화유산을 물질․비물질 자료로 구분하여 살피고, 발굴조사와 기록 및 전시 사례를 제시하며, 기․예능의 전승활동에 있어 교육적 활용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물질 자료의 수집과 그 필요성, 기존에 발굴․조사된 비물질자료의 재생산과 보존 및 전시, 농악문화유산의 활용과 교육과의 연계성에 중점을 두었다. 농악의 연행은 전승집단이 지닌 공동체성의 발현이다. 그러기에 농악인들이 사용하던 각종 물질자료들은 소모품이기 이전에 공적 유물이자 자원이다. 여기에는 전승집단이 누대로 이어온 문화적 고유성과 그리고 경험의 축적으로 꽃피워온 문화적 지식이 배어있다. 농악문화유산의 생명력을 살리는 작업은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미래유산의 재발견에 다름 아니다. 세대 간 전승이나 지역적 전승권역을 뛰어넘어, 디지털 매체들을 활용하여 시공간적 경계를 초월하는 새로운 전승활로를 모색하는 것은 농악을 서민대중의 일상생활 속으로 다시금 뿌리 내리게 하는 전략이기도 하다.

      • KCI등재

        현용준의 물질문화 연구 -제주도 무속을 중심으로-

        최진아 한국무속학회 2018 한국무속학 Vol.0 No.37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rends and achievements of the material culture research by Hyun Yong-jun, putting focus on the shamanism of Jeju Island,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At the time when Hyun Yong-jun was active in research activities, the material culture of shamanism was not the subject of attention. As a result, very few basic data related to the material culture have been accumulated. On the contrary, Hyun Yong-jun has identified the material culture of Jeju shamanism as a subject of individual study since the 1960s and made an attempt to study it. In that respect, he is a researcher who made it possible to discuss the shamanistic research of Jeju island from various views. Among the research achievements made by Hyun Yong-jun, the study related to the shaman material culture hold significance in many aspects. First, after the shamanism of Joseon had been studied by Japanese researchers, Murayama Jizen 村山智順) and Akiwa Takashi (秋葉隆), Hyun Yong-jun contributed to the accumulation of research results related to the material culture of shamanism, which had been neglected for a while. Second, Hyun’s work focused on materials, shapes and compositions, which lay the foundation for the research on material culture, and thereby allowed discussions to be made. Third, Hyun’s research provided empirical archive of basic data for discussions to be made on the history of material culture of Jeju shamanism and offered figures for a more precise understanding of the material through diagrams. Forth, Hyun’s work summarized in details various ritual symbols of the material. For instance, when it comes to Sinkal and Sanpan which are the ritual tools used by Shimbang, a ritual presider of Jeju shamanism to show the intention of God during the ceremony, Hyun’s research presented a variety of cases as pictures, described and analyzed the meaning, which varies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or types of the ritual. Fifth, Hyun Yong-jun analyzed the origins of Sindang (a ritual space for shamanism), sacrifice, Mengdu and Singan in Bonpuri (epic ritual music), which is the most remarkable element in Jejudo shamanism. He saw sacrifice as the least changing element among cultural elements, revealed the food that God favors or does not like in Bonpuri, and analyzed the divine hierarchy in it. Although Hyun Yong-jun’s work has the significance described above, it has several pitfalls. Hyun Yong-jun’s research on the material culture has not progressively analyzed the intermediary tendency that Kime and Mengdu holds in order to compare Shimbang and shaman; analyzed the meaning of sacrifice in Bonpuri in a fragments; and neglected discussions on the influence with other religions. Although it has shortfalls, Hyun Yong-jun’s research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research not only on Jeju shamanism but also on the material culture: It recognized the material culture of shamanism as a necessary subject to understand Jeju shamanism and allowed to approach research on Jeju shamanism from various angles. 본 연구는 제주도 무속을 중심으로 현용준의 물질문화 연구의 경향과 성과를 살펴보고, 그 연구의 특징과 연구가 갖는 의의를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현용준이 활발하게 활동하던 당시 무속의 물질문화는 주목받는 대상이 아니었다. 그로 인해, 물질문화와 관련된 많은 기초자료 또한 축적되지 못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와 달리, 현용준은 1960년대부터 제주 무속의 물질문화를 개별적인 연구대상으로 파악하여 이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제주도 무속연구를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가 가능하게 한 연구자라 할 수 있다. 현용준의 연구 성과 중 무속의 물질문화와 관련된 연구는 여러 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첫째, 일제강점기에 조선의 무속을 연구하였던 일본인 연구자들인 무라야마 지준(村山智順)과 아끼바 다까시(秋葉隆) 이후 한동안 간과되어 왔던 무속의 물질문화에 관심을 갖고 그와 관련된 연구 성과를 축적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둘째, 현용준의 연구는 물질문화 연구에 가장 기초가 되는 재료 및 형태와 구성요소에도 주목하여 그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셋째, 제주 무속의 물질문화 연구사를 논의하기 위한 실증적인 아카이브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과, 도식화 자료를 통해 물질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를 할 수 있게끔 하였다는 점이다. 넷째, 물질이 갖는 다양한 의례적 표상을 상세하게 정리했다는 점에 있다. 예를 들어, 제주 무속의 의례주재자인 심방이 의례 과정에서 신의 의사를 알려주는 신칼과 산판의 경우 여러 다양한 경우의 수를 그림 자료로 제시하여 이를 설명하고, 의례의 상황에 따라 혹은 의례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의미를 분석하였다. 다섯째, 현용준은 제주도 무속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요소라 할 수 있는 서사무가인 본풀이 속에서 제의공간인 무속의 신당과 제물 그리고 멩두와 신간의 기원과 유래를 분석하였다. 제물의 경우, 문화요소 중에서 가장 변화가 더딘 요소로 보고, 본풀이 속에서 신이 즐기는 음식과 그렇지 않은 음식을 밝혀내고 그 속에서 신의 위계 관계를 분석해 내기도 하였다. 위와 같은 의의를 지니지만, 현용준의 연구에서 몇 가지 아쉬운 점도 존재한다. 현용준의 물질문화 연구 중 심방과 샤먼의 비교를 위해 기메와 멩두가 지니는 매개적 성향에 대한 분석이 발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점과 본풀이를 중심으로 제물에 대한 의미 분석이 단편적으로 이루어졌을 뿐 아니라 타종교와의 영향 관계 속에서의 논의는 간과했다는 점 등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용준의 연구는 무속의 상징물을 제주무속을 이해하기 위해 놓쳐서는 안 될 대상으로 인식해 제주 무속 연구를 다각도로 접근할 수 있게 하였다는 점에서, 그의 연구는 제주 무속 뿐 아니라 물질문화 연구에 있어서도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죽음의례 물질문화에 표상된 다가치성 해석 : 문화사적 관점에서 본 무속을 중심으로

        최진아(Choi, Jina) 한국역사민속학회 2021 역사민속학 Vol.- No.60

        본 연구는 문화사적 기반 위에서 무속의 죽음의례 물질문화에 표상된 다가치성을 해석하기 위해, 통시적이고 공시적인 접근을 통해 얻어진 기초자료를 중심으로 죽음에 대한 관념과 타종교의 신념체계를 비교 분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교의례는 당대의 시대성만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세대를 걸쳐 그 사회의 문화적 가치관과 다양한 종교의 신념체계를 수용하여 성장하고 발전한다. 무속의 죽음의례는 한국 문화 속에서 오랫동안 지속되어 오면서, 문화사적으로 심층적으로 내재된 죽음의 관념과 타 종교와의 영향관계 속에서 성장해 왔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한 사회의 문화에 내재되어 있는 죽음의 문화적 가치가 물질문화에 미친 영향력을 죽음의 시간성 · 공간성 · 문화적 맥락 속에서 살펴보았다. 이는 곧 한 사회에서 죽음을 바라보는 가치관을 문화사적 배경 속에서 살펴보려는 의도이다. 죽음의 시간성은 초상을 시발점으로 한 정상적인 죽음의 상징물이 중심인 반면, 공간성은 죽음의 장소와 관련된다는 점에서 비정상적인 죽음에 집중하였다. 무속의 죽음의례는 유교의 상중제례의 영향을 받아 사자에 대한 기억과 애도의 의례를 시기별로 행한다. 사회에서 바라보는 죽음에 대한 시선은 사자의 죽음의 맥락적 상황과 공간의 영향을 받아 비정상적인 죽음에 대한 관념을 생산해 내고 있다. 이를 반영하여 해당 의례를 위해 준비되는 상징물은 정상적인 죽음을 맞이한 죽음의례의 것과 차별성을 지닌다. 문화와 종교는 상호 영향관계 속에서 성장하고 발전하기에 타종교가 무속에 미친 영향력도 함께 논의하였다. 유교와 불교가 한국인의 죽음관에 미친 영향력은 지대하여, 이 두 종교의 죽음관은 한국 문화 깊숙이 자리 잡은 탓에 한국인의 죽음관과 별반 다르지 않다. 물질에 부여된 상징은 문화 변용의 단계와 마찬가지로 그 의미가 새로 만들어지기도 하고 변화되기도 하고 또 소멸되기도 한다. 이러한 의미체계는 여러 시대를 걸쳐오면서 해당 사회의 문화적 요소들에 영향을 받아 생성되고 변용되어온 이미지들이 외적인 형태를 갖추어 구체화된 것이다. 그러한 맥락에서 무속은 불교와 유교의 영향을 받아 종교 사상 및 의례 형식에 변화를 가져와 현재와 같은 모습을 갖춘 것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그 반대로 이들 종교 간에 서로 타 종교의 관념과 사상이 투영되어 상호영향을 미친 점도 규명하였다. 이 연구는 인간 삶의 본질적 과제인 죽음에 대한 문화적 가치를 물질문화에 내재된 다가치적 의미 분석을 통해 무속에 미친 죽음에 대한 다양한 관념을 해석하고, 문화사적인 기반을 고려하여 한국 문화에서 죽음이 갖는 의미를 재고해 보았다는 점에 가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notions of death and the belief system of other religions based on the data obtained through synchronic and diachronic approach to interpret the multivalency represented in shamanic death ritual material culture on cultural historical basis. Religious rituals not only reflect the times of the day, but also grow and develop over generations by embracing the cultural values of the society and the belief systems of various religions. The death rite of shamanism has long been continued in Korean culture, and has grown in deep cultural historical notions of death and interaction with other religions. Therefore, the influence of the cultural value of death inherent in a society’s culture on material culture was examined in the context of time, spatiality, and culture of death. This is the intention to examine the values of death in a society in the cultural historical background. In Korean culture, Buddhism and Confucianism influenced on the notions and the rituals of the memory and mourning for the dead as well as shamanism. The perspective of death in society affected by the context and space of death produces an idea of abnormal death. Symbols reflecting such cultural values prepared for rituals are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normal death. The influence of other religions on shamanism also discussed because culture and religion grew and developed in mutual influences. Confucianism and Buddhism have a great influence on Korean view of death, so the view of death of these two religions are not different from that of Koreans. Symbols given to materials, like the stage of cultural transformation, can be newly created, changed, and disappeared. This semantic system not only contains the contents of the time, but also embodies images that have been created and transformed by cultural elements of the society throughout the ages. In this context, shamanism was influenced by Buddhism and Confucianism, which led to changes in the form of religious ideas and rituals. On the contrary, the ideas of different religions were projected from each other. In this study, we looked into the cultural value of death, an essential task in human life, focusing on material culture. It is valuable to interpret various death notions of shamanis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ultivalent meaning inherent in material culture and reconsider the meaning of death in Korean culture considering the cultural historical ba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