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문학 활동이 유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남혜정 한국가정보육학회 2009 가정보육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문학 활동이 유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문학 활동이 유아의 언어발달(어휘력, 언어이해력,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과 성별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문학활동(산책을 통한 문학 활동)이란 산책 장소에서 모여 앉아 선정된 동화책을 듣고 난 후산책활동을 진행하면서 직접적 경험과 함께 동화책에 포함된 어휘와 표현들을 자연스럽게 익히게 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연구 대상은 만 4세아 20명과 만 5세아 20명 총 40명의 유아이며 7주간 총 20회에 걸쳐 실험처치가 이루어졌다. 본 실험에 사용된 도구는 산책 장소 및 주제에 적합한 내용으로 각 주제와 관련된 어휘, 독창적·창의적 표현 등이 포함되어 구성되어진 동화책 20권을 선정하였다. 또한, 유아의 언어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장영애(1981)가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4~6세아의 수준에 맞게 제작한 언어능력 검사를 박애자(1996)가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처치 전 사전 검사를 통해 실험집단의 언어능력 발달정도를 검사하고 문학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유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문학 활동이 유아의 성차에 따른 언어능력 발달에 차이가 없음과 남·여 모든 유아의 언어능력 및 각 하위영역(어휘력, 언어이해력, 언어표현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문학확장활동 관련 연구 분석 -문학확장활동의 교육적 효과를 중심으로-

        채종옥 ( Jong Ok Cha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문학확장활동을 활용한 국내 연구들을 대상으로, 각 연구들이 밝힌 문학확장활동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고 바람직한 문학확장활동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관련 연구(56편)들이 제시하는 문학확장활동의 교육적 효과는 능력 증진(32편), 사고 및 행동 변화(16편), 능력 증진과 사고 및 행동 변화 (8편)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련 연구들이 활용한 문학 확장활동의 유형은 통합적 문학활동(22편)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토의하기(13편)였다. 또 통합적 문학확장활동은 능력증진에 효과적이며, 토의하기는 사고 및 행동 변화에 효과적인 활동유형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본 연구를 기초로 앞으로의 문학확장활동은 문학감상이 추구하는 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보다 문학작품에 충실한 문학확장활동이 실행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wo- fold; one is to identify major findings of recent research papers on educational effect s of literature extending activities in Korea; the other is to suggest more desirable literature extending activitie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purpose, 56 research papers are exam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32 papers reported ``improvement in competence of children``, the 16 papers reported ``changes in thoughts and behaviors of children``, and the 8 papers reported both ``improvement in competence and changes in thoughts and behaviors`` as the educational effects of literature extending activities. Among Literature extending activities which are adopted by the researchers, the ``integral activity on literature`` was most frequently used, and the ``discussion on literature`` was the next. The 22 papers adopted the ``integral activity``, and the 13 papers adopted the ``discussion`` as literature extention activity. The ``integral activity`` was effective to improve ``competence``, and the ``discussion`` was effective to ``change thoughts and behaviors`` of children. It was suggested that literature extending activitie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to enhance literature appreciation of children.

      • KCI등재

        활동 중심 문학 교수-학습의 문제점과 그 극복방안

        김규선,진선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4 한국초등국어교육 Vol.26 No.-

        문학 영역에서 '활동'중심 교수-학습의 의의와 한계를 밝혀 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살펴보고, 실제 현장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활동중심 문학 교수-학습은 여러 가지 의의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교수-학습의 상황에서는 자칫 학습독자들에게 진정한 문학 감상이나 체험을 제공하지 못한 채 학습독자들이 활동 자체에 매몰되어 활동은 있었으되 문학 감상은 없는 수업이 되는 경우 등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보다 효율적인 활동중심 문학 교수-학습의 전개를 위한 방안으로, 계획된 활동이 어떤 문학능력을 기르려고 하는 것인지를 교사와 학생모두 교수-학습의 전 과정에서 분명하게 인식하도록 여러 번 되새기는 기회를 갖는 것과 더불어 활동의 결과와 과정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전개되는 학생 활동을 교사의 계획적이고 의도적인 발문에 의해 관리하고 지도하는 것, 교수-학습의 목표에 맞추어 활동들의 시간을 적절하게 배분하는 교사의 능력, 활동의 방향을 조절하고 통제할 수 있는 간단한 메타적 조작과정을 병행하는 것 등을 활동중심 문학 교수-학습이 가진 문제점을 극복하는 각명(inscription)장치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activity-based' teaching-learning methods adopted in literature in terms of i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to search for the alternatives to solve the problems, an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their application to the field. Despite the many implications, the activity-based literature teaching-learning method does have some limitations such as failing to provide true literary appreciation or experiences to the students under specific teaching-learning situations and letting the students be lost themselves in the activity itself with no literary appreciation. The followings are the plans to overcome those limitations and to make the activity-based literature teaching-learning method more effective: first, they should remind themselves of what literary capacities are targeted in the planned activity over and over again so that both the students and the teachers can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m throughout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They also need to do reflective thinking on the results and process of the activity. The teachers need to use their planned and intentional postscripts to monitor and guide the student activities, to increase their ability to allocate time to each activity properly according to the goals of teaching-learning, and to introduce a simple meta-manipulation process to adjust and control the directions of the activities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s of the activity-based literature teaching-learning method.

      • KCI등재

        朝鮮後期 女性文學의 文學史的 考察

        金呂珠(Kim Yeo ju)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4 교육연구 Vol.38 No.-

        조선후기의 문인들은 京華士族이라는 명칭 아래 이전과는 다른 양상을 보여주는데, 그 특징은 서울을 주된 생활공간으로 하면서 地城的·黨派的·身分的 紐帯關係를 기반으로 하여 政 治的 活動·詩社活動에서 그룹적 성격을 지닌 집단을 형성하는 것이다. 서울의 도시적 발달과 생산성 향상은 삶의 방식에도 변화를 일으켜 사대부나 中庶계층의 심미적 취향이 확산되었다. 정치적으로 볼 때 조선후기는 탕평책 실시로 안정을 이룬 듯 보이면서도 노론의 湖洛분열과 남인의 淸濁대립에 時僻의 대립이 더하여 각 분파간의 정치적, 문화적 활동은 서로 대립적인 양상을 띠었고, 그러면서도 당색과 학파를 뛰어넘는 개방적인 집단 문화활동이 전개된다. 이러한 분위기는 女性作家들에게도 예외일 수 없어서 18,9세기에 이르러서는 女性作家들의 문학활동도 보다 활발해지면서 집단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이 時期 女性作家들의 문학활동이 남성들의 활동상황 내에 정식으로 편입되어 한 부분을 차지하였던 것 같지는 않으나, 여성의 문학활동에 대한 사회적 시선이 여전히 곱지 않았던 상황에서 여성작가들과의 詩社 活動은 그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이에 경화사족들이 서울 도성과 근교에서 시사 활동을 전개하였던 상황을 개략적으로 확인하면서, 이 시기의 여성작가들이 시사활동 등을 펼칠 수 있었던 서울의 도시적 분위기를 살펴보았다. 특히 한강변 五江樓·一碧亭을 시작으로 용산 三湖亭에서 본격적으로 詩會를 가지면서 詩作活動을 전개하였던 妓女出身으로 淵泉 金履陽의 小室이었던 金雲楚와 奎堂學士 金德熙의 小室로서 금강산 遊覽 紀行을 詩文으로 남긴 金錦園, 그리고 朴完彦의 庶女로 松湖 徐箕輔의 副室이었던 朴行西의 詩·文 作品 硏究를 통해 활동 상황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조선 사대부 사회의 모범이라 할 만한 士大夫家 女性 徐令壽閤의 詩文學 硏究를 보충하여 朝鮮俊期 女性文學의 활발하고 다양했던 활동상황과 그 文學的 特徵을 總括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18,9세기 다양하고 활발하였던 韓國漢文學史上에 있어서 女性文學의 文學史的 의의를 재정립하기 위한 것이다. The literary men for the latter period of Chosen show an aspect different from before, under the name of Gyeonghwasajok (scholars based on Seoul), and its characteristic is a thing to form a group with a group nature in political activity and Sisa (Meeting of poetry coterie) activity on the basis of the regional, factious and social-standing relation, while making Seoul of a major living space. Seoul's urban development and productivity enhancement did bring about a change even in a way of life, thus the aesthetic fondness of Sadaebu or middle-class bracket was spreaded. Given seeing politically, while the latter period of Choweon seems to attain stability due to execution of Tangpyeongchaek, because of adding the Sibyeok's opposition to the Horak (a different theory of personality nature) disruption and Namin's confrontation of purity and impurity, the political and cultural activities of each branch did display mutually ambivalent aspect, at the same time the open group cultural activity beyond the party color and a doctrinal faction is unrolled. This atmosphere can not be exception even to female writers, and reaching the 18C and 19C, female writers' literary activities during this period seem not to have been included formally in men's activity circumstances and not to have possessed one portion, but under a situation that a social sight as to women's literary activity is not still favorable, female writers' Sisa activity can be said to have the large significance itself. Accordingly, while confirming roughly the circumstances which Gyeonghwa-sajok had unrolled Sisa activity in the capital city and around Seoul, ti did examine the urban atmosphere of Seoul where female writers during this period could spread the Sisa activities. In particular, it did consider the activity circumstances through a study on poetry and literature works of Kom Un cho who was Yeoncheon Kim I yang's concubine, as being from a Ginyeo who had developed a versification activity while having had a poetry association in earnest at Samhojeong(三湖亭) in Youngsan, starting from Ogangru(五江樓) and Ilbyeokjeong(一碧亭) on the riverside of Hangang river, Kim Keum won who did leave a traveler's sightseeing journal with poetry and prose, as a concubine of Kim Deok hi who is Grudanghaksa, and Park Jook seo who was a concubine of Songho Seo Gi bo, as an illegitimate daughter of Park Jong eon. Also, it did sum up the activity circumstances of female literature for the latter period of Choseon, Which were active and diversified, and its literary characteristic, by supplementing a study on poetry and literature of Seo yeongsuhap who is a woman of Sadaebu family enough to be said as an example of Choseon Sadaebu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stablish the meaning of literary history for female literature in terms of Korean Chinese-literatures ideology which was diverse and active in the 18th and 19th century.

      • KCI등재

        조선 후기 여성시회의 지향의식과 문학사적 의미 -삼호정시회(詩會)를 중심으로-

        한성금 동아인문학회 2022 동아인문학 Vol.60 No.-

        This study aimed to speculate on the orientational consciousness and meaning of literature history through literature activities of women poetry clubs in the late Joseon Period. Group literature activities of women to whom they were not familiar one another were first revealed in the 19th century through Samhojsoeng Poetry Club. To understand what meaning the club had in Chinese poetry history of the late Joseon Period, this study gave a focus on investigating their desire of creative activities, self-esteem, life and dream as they continued to pursue for as nobility and limitations in status. They wanted to communicate with society and make themselves famous like a man through writing Chinese poetry. In respect to the meaning of Samjojsoeng Poetry Club, it was assumed that a small social bond would be made among women. In the society of only men, as it was positioned as ‘women society,’ women’s Chinese literature trend was changed. This poetry club was a field where women could freely write what they wanted to write as a women’s subjective literature activity space. However, the members of the Samhojeong Poetry Club were aware of unfairness of the society in which women could not follow their dreams as they were women although they were talented, expressed conflicts that they could not be real family members as they were concubines. Although they had the consciousness of progress that broke down social conventions, they were forced to follow the social order of patriarchy. In addition, the poetry club was not organized further and broken up as some of the members were dead and moved to other districts. 이 글은 조선 후기 여성 시회의 문학활동을 통한 그들의 지향의식과 문학사적 의미 고찰에 목적을 두었다. 雲楚, 瓊山, 鏡春, 竹西, 錦園 등의 소실들로 구성된 여성들만의 집단적 문학활동은 19세기에 처음 드러났는데, 바로 삼호정시회이다. 이 시회가 조선 후기 한시문학사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찾기 위하여, 그녀들의 한시작품에 드러난 시창작의 욕구와 자존감, 끝없이 추구한 사대부적인 삶과 꿈, 신분적 한계점을 고찰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기생첩이나 소실들이라는 미천한 신분이지만 최초의 여성시회를 결성한 의미는 결코 작지 않다. 그녀들이 자신들의 삶을 살아내기 위하여 어떤 지향의식을 갖고 있었는지, 그 의미와 한계는 무엇인지를 고찰하는 것은 조선 후기 여성들의 집단적 문학활동과 그녀들의 삶의 대처 방식이 드러나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녀들은 사대부들의 영역인 책을 읽고 한시를 창작하여 소통하고 싶은, 남자의 삶을 지향하였다. 자신들의 문학적 재능이 사대부들의 영역이었기 때문에 그들의 사유와 삶의 방식을 추종할 수밖에 없었다. 삼호정시회의 의미는 먼저 여성들끼리의 작은 사회적 연대를 형성하였다고 볼 수 있다. 기존의 집단적 시회가 남성들의 문학활동을 위한 모임으로 연대를 형성하고 시단을 이끌어갔다면, 삼호정시회는 ‘여성시회’로 자리매김을 함으로써 여성 한시의 문학적 흐름을 변화시켰다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 여성 한시의 주체인 사족녀들의 한시는 오랜 세월동안 규방문학을 벗어나지 못했고 소통에 있어서도 대부분 가족의 범위를 넘지 않았다. 다른 부류인 기녀들의 한시는 양반 사대부들과 밀착되어 있어서 주체적인 시작활동에 한계를 보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조선 후기의 삼호정시회는 규방을 벗어나서 여성들만의 주체적 시회를 시작함으로써 기존의 여성 한시의 문학활동과는 다른, 여성들의 한시 문학사에 하나의 의미를 갖게 하였다. 이 시회는 여성들만의 주체적 문학활동 공간으로 자신들이 쓰고 싶은 글을 쓸 수 있었다. 사대부들과 함께한 시회에서는 표현적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는데, 자신들만의 시회에서는 성정에 기반한 진실된 시를 쓸 수 있었다. 삼호정시회의 한계는 본인들이 재주를 가졌지만 여자이기 때문에 세상에 펼 수 없는 부당함을 자각하였다는 것이고, 소실로서 남편들의 가문에 진입하지 못한 갈등을 표출 한 점이다. 그녀들은 사회의 통념을 깨는 진보의식을 갖고 있었지만 결국 사회적 질서를 따를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또 다른 하나는 詩會를 좀 더 체계화시키지 못한 점이다. 회원의 죽음과 이사로 인하여 와해되었다. 이와 같이 여성들만의 최초의 집단적 문학 활동을 재조명하고 의미를 정립하는 작업은 조선 후기 여성의 문학적 단면이 드러나므로 여성 한시 문학사의 한 축을 조망하는 일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정의적 영역 성취기준을 반영한 문학 교과서학습 활동 연구 - 2015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자아 성찰과 타자 이해’를 중심으로 -

        김두열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4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o reflect the content of learning related to 'self-reflection and other understanding' in the literary textbook among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affective domain. In this way, we can understand that the personality education can be achieved by presenting the affective domain as creative learning activity in literature education. Creativity is shared between a cognitive and an affective personality, so learners can perform both knowledge and personality education while engaging in creative activities. In addition, for the education of the affirmative domain, we must utilize 'process-oriented evaluation', 'creative learning activity', and 'education to understand me and forget others'. There are ten literary textbooks based on the 2015 curriculum. The literary works selected for the achievement criteria of self - reflection and others' understanding change the attitude of the speaker and the characters in the works. They have the subject consciousness that is appropriate to the achievement standard. When analyzing learning activities reflect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affective domain, it is necessary to critically evaluate the criteria such as 'arrangement of learning', 'consideration of the level of learners', and 'schematized learning activities'. Considering the arrangement of learning, existing textbooks are likely to be the null curriculum at the end of the textbook, the achievement standard unit of the affective domai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achievement standard of the affective domain in the beginning of the textbook so that continuous personality education is possible. Depending on the learner level, we should use the medium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er's interest, and organize the activities so that voluntary reflection occurs. In criticizing schematized learning activities, there are schematized internalization, diary writing activities, and diagramming of activities for gen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perform "step-by-step and specific internalization activities", "appreciation activities using counseling techniques", and "activities taking into account conflicts and round characters". 이 논문의 목적은 정의적 영역의 성취기준인 ‘자아성찰과 타자이해’와 관련한 학습 내용을 문학교과서에 어떻게 반영해야 하는가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문학교육에서 창의적인 학습활동으로 인성교육을 할 수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창의성은 인지적 성격과 정의적 성격을 공유하고 있다. 따라서 창의적인 활동은 학습자들에게 지식 교육과 인성 교육의 기회를 동시에 제공한다. 학습자들은 창의적인 활동을 하면서 지식 교육과 인성 교육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정의적 영역의 교육을 위해서는 ‘과정 중심 평가’, ‘창의적 학습 활동’, ‘나를 알고 나를 잊어 타인을 이해하는 교육’을 해야 한다. 2015 교육과정에 근거한 문학 교과서는 10권이다. 자아성찰과 타자이해의 성취기준에 선정된 문학 작품은 대부분 작품 속 화자와 인물의 태도변화를 담고 있다. 또한 성취기준에 적합한 주제의식을 가지고 있다. 정의적 영역의 성취기준을 반영한 학습 활동을 분석할 때에는 ‘학습의 배열’, ‘학습자 수준을 고려한 내용’, ‘도식화된 학습활동’ 등의 기준을 가지고 교과서를 비판적으로 바라보아야 한다. 학습의 배열을 고려했을 때, 기존의 교과서에선 정의적 영역의 성취기준 단원이 모두 교과서 마지막에 제시되어 영교육과정이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정의적 영역의 성취기준을 교과서의 앞부분에 구성하여 지속적인 인성 교육을 도모해야 한다. 학습자 수준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흥미를 고려해서 매체를 활용하고, 자발적인 성찰이 일어날 수 있도록 활동 중심으로 학습활동을 구성해야 한다. 도식화된 학습 활동에는 도식적인 내면화, 일기쓰기 활동, 갈래별 활동의 도식화 등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단계적이고 구체적인 내면화 활동’, ‘상담 기법을 활용한 감상 활동’, ‘갈등 처리 과정과 입체적 인물을 고려한 활동’ 등을 제시할 것이다.

      • KCI등재

        재미있는 고소설 교육을 위한 실천적 수업활동의 실제

        이민희 ( Lee Min-heui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6 문학교육학 Vol.0 No.52

        고소설 작품을 대상으로 한 수업 시간에 학습자들은 여전히 어려움을 토로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본 연구는 현 고등학생 7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결과를 토대로고소설 수업 시 어렵다고 느끼는 요인을 분석했다. 그리고 문제 해결의 일환으로 학습자들이 재미있는 고소설 수업이 라 여기는 활동들을 제안 받아 이를 실제 수업 현장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구체 적인 활동들을 제시해 보고자 했다. 고소설 수업 시 문학의 수용과 생산, 그리 고 적용이란 측면을 고려해 고소설 어휘 교육과 인물 교육, 그리고 사건 교육 관련 여러 수업활동들을 설계해 보았다. 문학의 수용 단계에서는 고소설 작품 이해의 근간이 되는 어휘 이해와 내용 이해 중심 활동이 중요하다. 한자어 교육 및 벼슬명 교육, 그리고 인물관계도 와 사건기차를 통한 내용 파악 활동, 인물평을 담은 신문기사 작성 활동, 고소 설 속 인물이 되어 SNS에 글 써 보기 같은 활동, 고소설 작품을 소재로 한 웹 툰 작품과의 비교 활동 등이 작품의 내용 이해를 돕는 활동으로 유용하다. 특히 복잡한 서사구조와 갈등을 지닌 작품의 경우, ‘사건 기차’ 활동지를 활용한 활동이 효과적이다. 둘째, 문학의 생산 단계에서는 고소설 작품 이해 후 학습 자의 표현 및 창작 능력을 키우는 활동이 요구된다. 본문을 시나리오 대본 또 는 만화로 바꿔보는 창작 활동에서도 새로운 학습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마 지막으로 문학의 적용 단계에서는 고소설 작품 이해와 창작 활동을 토대로 현 실생활 속에서 적용 가능한 활동들, 이를테면. 선인과 악인에 대한 상장 수여 활동, 고소설 속 인물의 현상수배지 만들기, 작품 주제를 소재로 한 문학재판 활동, 또는 인물에 관한 문학 토론 활동 등을 활용해 흥미로운 수업을 설계할 수 있다고 보았다. 현 고등학생들이 기대하는 흥미로운 수업 활동은 단순히 수업 초기에 흥미 유발을 목적으로 한 준비활동이 아닌, 본격적인 수업 속에서의 활동을 의미한 다. 수업 전반에 걸쳐 재미를 느끼며 행할 수 있는 활동들, 곧 본문 작품 이해를 달성하고 폭넓은 체험 활동과 통합교육을 지향하는 실천적 활동들이 고소 설 수업 시간에 요구된다. 이런 점에서 여기서 제안한 수업활동 중 일부는 교 과서 본문 내용이해를 위한 학습활동으로도 충분히 활용 가능하다. 재미있는 고소설 수업의 설계와 실천적 활동은 재미가 교육 수단뿐만이 아닌 교육적 목 표가 될 때 더욱 그 의미가 커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how to practice specific and fun activities for the classic novel work in the classroom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btained by conducting a survey of the current 73 high school students.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learn chinese vocabulary, main characters and events in the lesson of classic novel. It is required for students to feel fun about classic novel work, and to do many practical activities for more in-depth understanding. Students think that the strange Chinese vocabulary and a frequent title(position name) changes used on the classic novel text in textbook make themselves not to understand the work easily. The translated text using easy vocabulary in textbooks will need for students to feel interested. Therefore, here this paper suggest the fun activities that teach the classic novel work in class. These are so good activities in relation to character study that to create a character relationships map, to write on SNS in a view of figures in classic novel work, to make a certificate of merit for giving to the good and the wicked, to make a leaflet seek for character wanted in connection with a crime in classic novel work, and to write newspaper articles to introduce a good or bad person in classic novel work and etc. And when you want to analyze the classic novels with a complex narrative structure and conflict, you can take advantage of the fun activities in connection with event in classic novel work like following ;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classic novels can use the ``train incident`` activity. And an activity of changing original text in classic novel work into the scenario script or cartoon is also effective. A classic novels trial or literary discuss with content of classic novel work may also attempt to use activities. Providing interesting lessons design and practical activities are necessary in order to dispel the negative perception that lesson for classic novel is difficult and tedious. The classic novel class a fun-borne navigation is possible in the hope that it can also be educational means as well as educational goals.

      • KCI등재

        사회·문화적 관점에서의 반응 중심 읽기 교육 고찰 : 문화 · 역사적 활동이론을 중심으로

        정정순 ( Jung Jung Soon ) 한국독서학회 2018 독서연구 Vol.0 No.49

        문학 읽기 교육은 문학 작품의 의미와 독자의 반응 중 무엇을 더 중시하는가에 따라 각각 결과 중심의 문학 읽기 교육, 반응 중심의 문학 읽기 교육으로 나누어 이해할 수 있다. 결과 중심의 문학 읽기 교육은 해당 문학 작품이 누구의 작품이고, 어떤 맥락에서 쓰였으며,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학습자가 알게하는 데에 초점을 둔다. 반면 반응 중심 읽기 교육은 문학 작품에 대한 독자의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수용을 강조한다. 전자가 문학 작품을 매개로 특정 앎에 도달하게 하는 것을 중시한다면, 후자는 독자가 어떤 읽기 동기를 지니고 어떻게 읽기 활동에 참여하는가, 해당 작품이 독자에게 어떤 의미를 불러일으키는가 하는 것을 중시한다. 반응 중심 읽기 교육의 실천태를 구체적으로 모색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활용하여 실제 교실 수업에서 실현한 반응 중심 읽기 활동을 분석하였다.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은 인간의 유목적적인 활동을, 그 활동의 목표와 활동에 참여하는 주체 및 활용하는 도구 그리고 활동을 둘러싼 문화적 맥락 등을 중심으로 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이론적 틀이다. 이러한 이론적 틀을 통해 반응 중심 읽기 활동을 분석한 결과 매개의 설정 및 공동체 내에서의 주체의 읽기 위치 설정이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반응 중심의 읽기 활동의 설계를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긴밀하게 관계된 문학 텍스트 선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동시에 교실 맥락에서 결과 중심의 읽기 활동이 아닌 반응 중심의 읽기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수자 및 학습자의 독자 위치 조정 및 설정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Reading literature pedagogies can be featured by two differing orientations; reading-as-outcome pedagogies and reading-as-response pedagogies depending. Reading-as-outcome pedagogies focus on letting learners know who wrote literary works, in what context, and what they mean. On the other hand, reading-as-response pedagogies emphasize the subjective and active appreciation of readers about literary works. The latter emphasizes how readers are motivated to read, how they participate in reading activities, and what meaning they evoke while reading.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response - centered reading activities in real classrooms using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The theory i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nalyzing the activities of the human being, focusing on the objectives of the activities, the subjects participating in the activities, the tools used, and the cultural context surrounding the activities. Through this theoretical framework, it was confirmed that the setting of the mediation and the setting of the reading position of the subjects in the community are critical in developing activities. In designing such response - centered literary classes, it is important to select proper literature texts that act as mediators of learner's socio-cultural literacy practice. At the same time, it is important to adjust and set the reader's position of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 so that the response centered reading activity can be achieved in the classroom context.

      • KCI등재

        유아교사의 문학작품 소개활동에 관한 연구: 작가소개 활동과 실태를 중심으로

        김지은 ( Ji Eun Kim ),김은영 ( Eun Young Kim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2 동화와 번역 Vol.24 No.-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의 문학작품 소개활동과 작가 소개활동 실태를 알아보고, 두 활동 간의 관계는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어린이 집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201명이었다. 교사들에게 작가 소개활동과 문학작품 소개활동 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빈도분석과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문학작품의 작가 소개활동의 빈도는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문학 작품의 소개활동 실태에서는 그림책 읽어주기를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들이 선호하는 문학작품 소개활동으로는 인형동화로 나타났다. 또한 매체 제작방법은 상품화 된 것을 구입하거나, 기존의 것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작가 소개활동과 문학작품 소개활동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작가소개활동과 문학작품 소개활동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교사들이 문학 활동을 전개해 나가는데 작가 소개의 필요성을 제시해 주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introducing the literary writers and work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day care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01 teachers. The data was examined by frequency and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the activities about the literary works of writers were generally low. Introducing activities that children prefer their literary works appeared to be a picture book to be read in the status and dolls to be conduct. Also teachers were used to existing commercial media material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ctivities about the introducing literary writers and literary works appeare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Results in general indicated that activities about the introducing the literary writers and works for children were very meaningful activities.

      • KCI등재

        과정별 활동 중심 아동문학 교육

        김명희 한국어교육학회 2008 국어교육 Vol.0 No.125

        The papers concentrate on the appreci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through an multiple activity for each course and By applying the way to real works the papers closely inspect how much interests and response to works of children's literature it is different from previous activities. In chapter II the papers grope for setting a goal and positively understanding to a learner as a strategy to reading works for children and theoretically constructivism and reaction reading are applied to this chapter. In chapter III the papers compared post activities to previous activities after showing the characteristic of multiple activity for each course and procedure in the work of children's literature, 「MUNJAEA」. As a result literature appreciation of an activity affected children's positive attendance and reaction(26.4% higher than before), remarkably improving an aspect of understanding( 25% higher than before). The children who learn the direction of appreciation of activity literature are rising in familarity and curiosity, take positive response to expressing their thoughts. It is expected that multiple activity for each course will grow interests of works and make a communication between reader and writer lively. But the appreciation of activity literature would incline toward a method or a procedure regardless of a real acknowledge or notion. Therefore it will be found that the organization is somewhat lack. Therefore it is good to take an activity focusing on the understanding of contents. Also the reason that literature education according to an activity isn't performed for each course in class is due to the way of evaluating. Objectivity will be improved if formal evaluation is used with informal evaluation together and evaluates records that someone writes down about activities. 이 글은 단편적인 지식 전달 방식의 문학 교육은 문학 감상 능력을 향상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아동문학의 효율적인 감상 능력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참여와 반응이 우선시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이 논문은 다중 활동 중심 문학 교육의 특징과 적용 방법을 찾아보고 과정별 활동 수업을 받은 반(실험반) 아이들의 반응이 그렇지 않은 반(비교반)에 비해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살피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제Ⅱ장에서는 아동문학 작품 읽기 전략 측면에서 아동문학의 목표 설정과 학습자에 대한 적극적 인식을 모색하고 이론적 바탕으로는 구성주의와 반응중심 이론을 살펴보았다. 제 Ⅲ장에서는「문제아」를 과정별로 읽기 전 활동, 읽는 중 활동, 읽은 후 활동으로 나누어 각 과정별 활동 전략을 작품에 적용하였다. 활동 후 반응 평가는 과정별 활동에 대한 질문 항목을 두어 비교반과 실험반 학생들의 반응을 T검사를 적용해 비교하였다. 본 논문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과정별 활동 중심 아동문학 감상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2. 과정별 활동 중심 아동문학 감상은 문학에 대한 이해와 감상 능력을 향상시키는가? 3. 과정별 활동 중심 아동문학 감상은 활동 후 반응에 변화를 가져오는가?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