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주의 도덕경제

        이상민(Lee Sang Min) 한국사회학회 2007 韓國社會學 Vol.41 No.5

        본 연구는 전근대 농민이 주체였던 도덕경제 개념을 현대의 시장경제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농민의 도덕경제와 주주의 시장경제라는 이분법적 도식에서 벗어나 ‘주주의 도덕경제’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였다. 주주의 도덕경제란 그 체제가 작동하는 장소는 시장경제 체제속이지만, 그 작동원리는 과거 농민의 도덕경제와 유사한 경제체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미국의 사회책임투자를 역사적으로 분석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시장에서 매개가 가능한 상품으로 진화하였는지를 경제사회학적 시각으로 접근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미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개념의 발달과정을 짚어보고, 이를 통해 시장중심의 도덕경제가 정착되는 기제를 도출하였다. 또한 미국의 사회책임투자에 초점을 맞추어 그 현황과 이를 뒷받침하고 있는 사회문화적 맥락들을 밝힘으로써 어떠한 과정을 통해 도덕이 경제적 이익극대화와 접합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미국에서 시장경제의 규모가 커질수록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 역시 증가하였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는 사회적 책임의 수행이 시장경제의 부작용을 완화시키는 도덕경제의 기제로서 상당부분 그 역할을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더불어 사회책임 투자를 통해 과거 농민의 도덕경제에서 중요한 작동원리였던 호혜성의 원리가 현대 시장경제 체제에서도 일정부분 살아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사회책임투자가 주주로 하여금 스스로를 ‘도덕적 인간인가’ 아니면 ‘합리적 인간인가’와 같은 이분법적 도식으로부터 자유롭게 해주는 기능을 수행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도덕경제에서의 주주들은 이윤극대화만을 추구하지도, 그렇다고 낭만적인 도덕규범에만 충실하지도 않는다. 대신 기업들이 사회와 맺고 있는 사회적 관계의 정도 그리고 질에 따라 투자를 결정하며, 이러한 투자방식이 단기적인 시세차익은 거두지 못하더라도 장기적으로는 더 큰 이익을 자신들에게 가져다줄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Today 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SRI) is increasingly emerging as an issue that demands a response from business community. 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 is regarded as an important tool in embedding the way in which shareholders work for society. For company, trust from society would be a crucial social capital. In this respec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is one of the best way in which a company can get trust from society. In this study, I seek to explain the growing influence of 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 in the US. This study introduced a new concept the moral economy of shareholders’ on 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 to explain relationships between the moral shareholders and the rational corporations.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s to presen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oral economy of the peasant and the market economy of shareholders. This research interest is centered around the developmen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 figures of 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 in the US. This study found that there is a major difference between the market economy of shareholders and the moral economy of shareholders: the moral economy of shareholders is no longer based on the self-interest maximization, but on the social exchange of reciprocity as in the moral economy of the peasant. This study found that the American firms regar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s social investment so that social responsibility must be inherent in an organizations objective strategy. Also, this study found that the American institutional investors are interested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but they also pursue financial success.

      • KCI등재

        율곡철학에 있어서 ‘도덕’과 ‘경제’의 상함성(相涵性)

        황의동 ( Hwang Eui-dong ) 동양사회사상학회 2014 사회사상과 문화 Vol.29 No.-

        ‘도덕’과 ‘경제’는 유학의 지대한 관심사였다. 유학의 여러 경전들 속에서 도덕과 경제는 항상 병칭되어 왔다. 물론 유학이 궁극적으로는 경제보다 도덕적 가치를 중시하지만, 기본적으로 도덕과 경제는 상보적으로 인식되어 왔다. 율곡은 이러한 유학의 전통을 계승하여 도덕과 경제의 상함성에 주목하였다. 율곡의 義利相涵論은 그의 성리학에 기반 한다. 즉 율곡은 존재론적으로 理와 氣의 相涵을 전제한다. 理 없는 氣도 없고 기 없는 리도 없다. 리와 기는 그 홀로서는 불완전하다. 리는 기를 통해 온전해지고 기는 리를 통해 온전해진다. 이는 ‘理氣之妙’라는 율곡의 철학적 입장에서 연유한다. 이기지묘는 가치적으로 도덕과 경제의 상함과 조화를 의미한다. 또한 율곡은 전인적 인간관을 기본으로 하는데, 그의 이러한 심성정에 대한 이해는 도덕과 경제를 상보적으로 인식하는 가치관의 토대가 된다. 율곡은 인간을 지성, 덕성, 감성, 욕망을 아울러 지닌 전인적 인격체로 보았다. 즉 理氣가 조화된 인간이 율곡의 인간관이요 그의 이상이다. 율곡은 이러한 이기관과 심성관을 기초로 하여 「時弊七條策」에서 是非와 利害의 갈등을 時中之道의 논리로 그 해법을 제시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得中合宜論’이다. 우리는 시비 문제에 집착하다 이해관계를 망각하기 쉽고, 또 이해에 매달리다 시비를 잊기 쉽다. 시비에서 옳음을 구하고 이해에서 이로움을 구하고자 하는데, 율곡은 中을 얻고 마땅함에 맞으면 그 가운데 옳음과 이로움이 갖추어진다 하였다. 율곡은 이러한 得中合宜論을 현실적인 개혁론이나 정책론에 반영하고자 했다. 또한 율곡은 정치에 있어서도 養民과 敎民의 조화를 추구하였다. 양민은 백성을 물질적으로 풍족하게 하는 것이라면, 교민은 백성을 교화시켜 지적, 도덕적 수준을 제고하는 것이다. 율곡은 맹자의 왕도정치에 입각해 양민과 교민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양민 없는 교민이나 교민 없는 양민은 부족한 것이다. 이 양자의 조화와 균형이 왕도정치의 이상이다. 이러한 율곡의 도덕과 경제의 상함성은 현대적으로도 그 의의가 크다. 현대사회는 경제를 매우 중시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윤리도덕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고 있다. 경제와 윤리의 조화 이것이 이 시대의 지향점이고 이상이라고 한다면, 그 해법을 유학 내지 율곡에서 찾아도 좋을 것이다. Confucianism puts much emphasis on moral and economic values. Inheriting the tradition, Yulgok(栗谷) recognized that morality and economy supplement each other. He thought morality without economy as well as economy without morality is incomplete. This idea is from his I-Gi-Ji-Myo(理氣之妙) philosophy and the whole-person theory. Yulgok suggested “Deuk-Joong-Hap-Ui(得中合宜) theory” in his < Shi-Pye-Chil-Jo-Chek(時弊七條策) >. His understanding was that right and wrong, and useful and harmful should be balanced. If you are obsessed with right and wrong, you may forget what is actually useful and harmful, while if you try to judge useful and harmful too much, you may forget what is right and wrong. Everyone pursues what is useful and right. Yulgok tried to address the issue by using circumstantial logic. He explained, in other words, if anything is moderate and reasonable, there exist usefulness and rightness in it. And as for politics, he acknowledged that feeding the people and enlightening them should be harmonized. His idea was that true politics should balance economic abundance and moral justice. Such ideas have significant values even in the modern society.

      • KCI등재

        도덕경제론과 미디어 경제 연구

        임영호(Yung-Ho Im)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7 언론정보연구 Vol.54 No.2

        근대 경제학에서는 행위의 합리성 문제를 비용 대 편익이라는 효율성 측면에서 접근하는데, 이러한 사고방식은 경제학을 넘어 사회과학 전반으로 널리 확산되었다. 하지만 경제적 논리로는 설명하기 어렵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낳은 현상도 많이 존재한다. 특히 도덕이나 규범은 경제 현상의 작동 방식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설명하는 확장된 경제 이론이 필요하다. 도덕경제론은 바로 이러한 문제를 다루는 접근 방식이다. 이에 따르면 경제 활동에서 개인의 효용극대화와 합리적 선택을 강조하는 경제학의 기본 가정 역시 초시대적으로 통용되는 가치가 아니라 자본주의 등장 이후에 형성된 역사적 현상에 불과하다. 경제적 원칙은 당대의 도덕적 규범에 의해 구성되는 상대적인 가치이기 때문에, 경제활동이나 영역과 관련된 규범적 측면을 고려해 재구성해야 한다. ‘도덕경제(moral economy)’론은 바로 이처럼 경제 현상에서 규범이나 문화의 역할 문제를 다루는 접근 방식이다. 이러한 시도는 경제와 관련된 사회 현상을 이해하는 데에서 경제학적 접근 방식의 편협성과 한계를 해결하는 데에도 풍부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기존의 도덕경제론에서 다룬 주요 쟁점과 개념을 소개하고, 이 논의가 미디어 경제를 이해하는 데 주는 함의, 쟁점 등을 검토한다. The economic ways of thinking, which understands the rationality of an action in terms of cost versus utility, has reached beyond the parochial academic discipline of economics and increasingly permeated social sciences in general. Nevertheless, moral and ethical considerations constitute influential elements in the ways economic phenomenon operates. While modern economics underscores maximization of individual utility as the motivating force for agents in economic activities, such an assumption represents only a historically-bound phenomenon materialized after the rise of capitalism, rather than trans-historical values. In the sense that so-called economic principles in their modern forms are primarily embedded in contemporary moral norms, it is necessary to reformulate them in the context of ethical-moral norms with regards to economic practices. ‘Moral-economy’ approach aims to deal with the role of ethics and culture in economic phenomenon. Such attempts may provide fresh insights in overcoming limitations of previous economic theories for alternative theorizations of media economics. This paper addresses major issues and concepts in moral-economy literature and explores their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media economy.

      • KCI등재

        인도네시아 도덕경제 시스템의 담론의 유래와 현황

        송승원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8 국제지역연구 Vol.12 No.3

        During the New Order era (1966-1998) in Indonesia, the discourse of the Pancasila Economic System was considered by the public as a die-hard reactionary move against the liberal mode of society. This economic system was characterized by: restriction of liberal economic approaches, i.e., free competition, which was seen as leading inevitably to monopoly; emphasis on self-reliance while restricting foreign investment; nationalization of foreign ownership and natural resources; protection of indigenous interests against foreign businesses; promotion of cooperatives and the government sector as agents of the moral economy; and the state's strict intervention in the economy in order to implement these schemes. This system was introduced to achieve social justice and narrow the economic gap between pribumi (indigenous Indonesian) and foreigners, especially the Indonesian Chinese. President Sukarno (1945-1966) and Suharto (1966-1998) claimed to implement this economic system in an authentic and consistent way. Yet, Sukarno's Guided Economic System, a systematized version of moral economy, failed because of political turmoil in the 1960s. Suharto maintained its socialistic rhetoric of Guided Economy with minor modifications. Yet, the Suharto government essentially adopted a capitalist economy in which private companies took dominant roles while the role of cooperatives in the national economy was fairly marginal. Furthermore, the government launched an open-door policy and exerted huge efforts to attract foreign capital. In sum, unlike its commitment to the Pancasila Economic System, the New Order's economic direction was, as the government also emphasized, development-oriented, prioritizing growth over wealth distribution and social justice. While seeing the gap between the New Order's economic practice and its rhetoric, the Indonesian public ridiculed the government's advocacy of the system and believed that the New Order's inheritance of the rhetoric of Pancasila Economy had a malicious political motive or merely a unsubstantiated populist rhetoric. Thus, the New Order's attempt to implement the Pancasila State failed without creating the public consensus crucial to its success. By the end of the New Order period, the subject of Pancasila occasionally became the butt of public jokes and ridicule by the public for its contradictions and its existence as an empty concept in the service of the state. However, since the mid-2000s, the discourse bounced back to the public discourse. The current interest was generated by the public realization that, in the era of globalization in the post-Suharto period, the problems of social justice and the widening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became more tangible than ever, and the Pancasila Economic System actually contained a constructive meaning for the Indonesian society. The history of the Pancasila Economy reveals that successive regimes in Indonesia have faced a dilemma that they had to adopt two economic directions (a development-oriented economic direction and a moral economic direction)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achieve economic growth and social justice. The difficulty in balancing these two demands became the major reason for the public suspicion that the New Order government was using the discourse of the moral economy only for its lip service. 이 논문은 1945년부터 현재까지 인도네시아 사회에 지속되고 있는 도덕경제, 또는 빤짜실라 경제에 대한 담론에 관한 연구이다. 도덕경제는 효율적인 분배정책을 통해 사회의 빈부의 격차를 억제하고 빤짜실라의 사회정의를 실현하자는 경제론으로 특히 인도네시아 토착인과 외국인 간의 경제적 격차를 줄이려는 목적이 강하게 드러난 경제시스템이다. 수카르노 및 수하르토 대통령은 자신들의 정부가 이 도덕경제시스템을 구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수카르노의 도덕경제시스템인 교도경제는 정치운영의 미숙함과 더불어 빠른 시일 내에 소멸했으며, 교도경제를 이어받은 수하르토의 빤짜실라 경제시스템도 제대로 작동하지 못했다. 수하르토는 실질적으로 도덕경제와 정 반대의 노선, 즉 성장위주의 경제정책을 실시했고, 이러한 이론과 현실의 괴리는 인도네시아 대중으로 하여금 빤짜실라 경제시스템이란 정부의 인기영합주의적 도구에 불과하다고 비판하였다. 그러나 포스트-수하르토기에 도덕경제에 대한 담론이 소수 지식인을 중심으로 다시 그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렇다면 신질서 시기의 도덕경제는 정말 정부의 립서비스 차원에서 실시되었던 것일까? 왜 정부는 실제 경제정책과 정반대의 도덕경제 담론을 대외적으로 강조해야만 했을까? 포스트-수하르토기의 도덕경제의 담론은 왜 재생성되고 있으며 그 내용은 교도경제나 빤짜실라 경제와 어떻게 다른가? 이 논문은 이러한 질문에 답하고자 작성되었다.

      • KCI등재

        모리배의 탄생 : 해방기 소설에 나타난 ‘빈자(貧者)’의 도덕과 ‘경제적 인간’의 정치학

        임세화 상허학회 2017 상허학보 Vol.50 No.-

        This study aims to inspect various aspects, possibilities of lives and the ways to understand human beings which novels during the liberation era showed. In South Korea during the liberation era, overcoming poverty and distribution of wealth were the most important economic agenda connected to the ideal goal of the building-independent-nation. However, senses about the ideal distribution and the need of survival were divided between official slogan which emphasized ‘the nation’ and private dimension, and were restructured each ways. Systems and decrees which US military government employed in South Korea during the liberation era caused terribly unstable and chaotic economic situation, which was called ‘the state of anarchy’ sometimes. Although the liberation era was represented as the period of political liberation which joyful emotion accompanied, economic chaos during the liberation era made the individual sense the vulnerability of the state. They questioned how to earn a living, how to protect and keep their lives which the state could not take care of. And they answered their own question in private ways. They could not internalize public perspectives about human beings and the world, systems, and regulations any more. New human types, new art of living, and new moral sentiments in contrast to the notion of ‘the nation’ appeared instead. In this respect, the liberation era was an important turning point. The acts that abusing the law, cheating or swindling others were called the act of ‘Mori(謀利)’. ‘Moribae’(the profiteers, 謀利輩) as anti-national actors who pocketed national property and sabotaged the state-building were condemned and thought as main culprit behind economic chaos and difficulties. So-called ‘Moribae’ as anti-national actors were a new human type who appeared on chaos of new econoic-system formed in a dissolution of Japanese empire’s economic area and controlled economic system. The birth of ‘Moribae’ and the criticism to them show that the sense of economic moral and values changed remarkably. To put it concretely, these show a irreconcilable point between the sense of political moral justified in the name of ‘nation’ and the sense of economic moral justified by the need of survival. ‘Moribae’ as opportunistic human type were the heterogeneous beings made by social inequality. And the birth of ‘Moribae’ and the criticism to them formed an archetype of ‘Homo economicus’ which also exist today in South Korea. 이 글은 해방기 문제적으로 지목되었던 ‘모리배’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현실의 빈곤 타개와 분배라는 경제적 의제가 민족주권국가 수립이라는 이상태와 교묘히 결합되며 해방기 최대의 현안으로 부상했던 상황에서 이상적 분배와 생존을 둘러싼 감각과 의식이 ‘민족’이라는 공동의 구호와 사적인 차원에서 각기 새롭게 재구성되던 맥락에 주목하여, 해방기 문학에서 ‘경제’와 인간의 접속이 주조해냈던 삶의 양태와 가능성, 인간 이해의 양가적인 방식에 내재된 이데올로기를 해명하고자 했다. 해방 이후 남한에서 미군정이 운용했던 체제와 법령들은 ‘무정부 상태’라고 호명될 만큼 불안하고 혼탁한 경제 상황을 초래하였다. ‘민족’의 일원이라는 당위는 해방을 맞은 사람들에게 ‘정치적 주체’로 바로 설 것을 요구했지만, 당장의 호구지책과 경제적 안정을 보장해줄 수는 없었다. 정치적인 해방을 맞은 기쁨의 시기에 도래한 경제적 대혼란은 각 개인들에게 국가가 얼마나 허약하게 작동하는 구성물인지를 감각하게 해주는 동시에 그렇다면 국가가 지켜주지 않는 생명, 생계의 문제를 어떻게 자족적으로 유지해나갈 수 있는가에 대한 답안을 체득하게 만들었던 분기점이었던 것이다. ‘모리배’로 통칭된 ‘경제적 인간’들은 민족국가의 이상적인 ‘정치적 주체’로서의 역할에서 스스로를 탈각시키고, 생존과 치부를 최우선시하며 도모했던 인간형이었다. 당대의 담론은 모리배를 악질적인 ‘반민족자’로 규탄했지만, 동시대의 소설들은 ‘모리행위’에 대한 단죄보다는 그것을 불가피한 선택으로 형상화했다. 이러한 (반)도덕적인 소설들의 서사는 ‘정치적 해방’과 ‘경제적 파멸’을 분리하여 감각했던 당대의 양가적인 도덕감각의 분화와 균열을 정확히 포착한 것이었다. 한편 모리배를 해방기 경제 혼란과 민생고의 원흉으로 지목했던 당대의 담론은 경제 혼란을 안정시킬 실질적인 정책과 대안이 부재했던 상황에서, 이른바 절대악으로서 ‘모리배’들을 타자화함으로써 안정과 결속을 꾀했던 정치적 수사이자 전략이었다. 이른바 ‘반민족적 모리배’는 일본 제국의 경제권역과 통제경제체제가 해체되면서 도래한 경제 상황 속에서의 무질서와 혼란의 격류를 틈타 다수로 생성된 인간 유형이었고, 그 층위와 종류를 한정할 수 없다는 점에서 현상적인 동시에 수사적인 용어였다고 할 수 있다. ‘모리행위’라는 문제적 삶의 처세와 이에 대한 비판은 해방기 사회를 구성하던 개인들의 경제도덕 감각과 가치관의 중핵에 중대한 변이가 일어났다는 점을 방증한다. 모리배의 준동을 규탄하는 당대의 목소리들은 공동체 구성원들의 도덕률의 변화를 기민하게 포착하고 이를 재조정하려던 움직임이었다. 공동체의 윤리가 더 이상 개인 삶의 내밀한 층위에서 합치되지 못하고, 그 좌절과 어긋남이 본격화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 도덕감각의 분화는 ‘민족’이라는 이념을 경유하여 도덕적 헤게모니를 구축하고 모리행위를 규탄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치부의 욕망을 성취할 수 있는 가능성이 현시되었던 해방기라는 도덕적 전환기의 한 축을 형성하고 있었다. 그 ‘반민족적’ 선택은 민족공동체의 일원이라는 정치적 주체로서의 상상적 기입이 각 개인에게 최소한의 생존과 안전에 대한 보장조차 해줄 수 없는 허위라는 사실을 인지한 사람들이 새롭게 수행할 수 있는 꿈의 최...

      • 도덕적 경제체제 모색 : 애덤 스미스 경제사상의 도덕적 한계와 공생주의적 대안

        양순석 통일사상학회 2022 통일사상연구 Vol.22 No.-

        필자는 자본주의의 사상적 원천이 애덤 스미스의 경제사상에 있는 것에 착안해 『도덕감정론』과 『국부론』을 중심으로 그의 경제사상의 도덕적 한계를 규명하고, 공 생주의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대안을 제시했다. 통일사상에 의하면, 사회는 인간과 구조적으로 상사성(相似性)을 띤다. 공생공영공의주의사회는 하나님을 중심하고 인 격을 완성한 인간에 의해 창조목적을 완성한 사회이므로 종교(생심)–정치(본심)–경 제(육심)의 구조이다. 애초에 애덤 스미스가 상정한 경제체제는 양심에 의해 자율적 으로 운영되는 자유방임적 자본주의이므로 종교(생심)–정치(양심)–경제(육심)의 구 조로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종전의 중상주의 경제체제와 이기심을 제어하는데 실패 한 현대 자본주의는 종교(생심)–정치(사심)–경제(육심)의 구조라고 할 수 있다. 현대 자본주의가 도덕적 경제체제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인간의 모순된 마음을 바로잡고 뒤틀린 사회구조를 혁신해야 한다. 이를 위한 공생주의의 대안은 첫째, 양심을 본심 으로 전환할 수 있는 인성교육의 강화, 둘째, 공의주의 문화를 확산할 수 있는 실천 적 프로그램의 실시, 셋째, 정부의 경제조율 기능의 인정과 경제성장이 사회 전체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는 사회제도의 마련 등이다. I identify the moral limits of his economic thought and suggest alternative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it and the ideas of mutual prosperity. According to the Unification Thought, society is structurally similar to humans. Since the society of interdependence, mutual prosperity and universally values is a society centered on God and completed the purpose of creation by humans who have completed the character, it has a structure of religion(spirit mind)-politics(original mind)-economy(physical mind). Initially, Adam Smith's envisioned economic system is a laissez-faire capitalism that is autonomously operated by individual conscience, so it can be expressed as a structure of religion(spirit mind)-politics(conscience)-economy(physical mind). On the other hand, contemporary capitalism, which failed to control the previous mercantilist economic system and selfishness, can be said to be a structure of religion(spirit mind)-politics(evil mind)-economy(physical mind). In order for contemporary capitalism to move toward a moral economic system, it is necessary to correct human contradictory minds and innovate the twisted social structure. The alternatives based on the idea of interdependence are first, strengthening character education that can convert conscience into the original mind, second, implementing practical programs that can spread the culture of universal values, third, preparing a social system that can correct economic inequality, and fourth, establishing international relations based on the Heart.

      • KCI등재

        도덕경제와 에로 장르 종사자의 직업 정체성 구성

        임영호,김은진,홍찬이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8 언론과 사회 Vol.16 No.2

        Media scholars need to investigate diverse ways whereby the logics of the economy and the culture intersect at the point of cultural production. Because E. P. Thompson’s notion of "moral economy" underscores the cultural embeddedness of the economy, it may bring some insights into understanding how economic practices in the production of popular culture incorporate the cultural dimension. Based on that concept, this paper attempts at a case study of how soft-pornography("Ero-video") makers in Korea understand and portray their job and genre. Authors made in-depth interviews with producers and directors at major production companies specializing in soft pornography in Korea. The position of this genre in the cultural industry has been problematic, because its legal legitimacy is undermined by its vulnerability to moral criticism. Consequently, interviewees apparently have developed diverse strategies of presentation of their job and genre, so that they may avoid potential moral and ethical blames both from outsiders and insiders. Those strategies take various forms, such as "neutralization," "legitimacy-building" and "ambivalence." These actors also tend to adopt different strategies depending upon their current position in the industry (i.e., ex-directors vs. incumbents, or producers vs. director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discusses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notion of moral economy for the future study of cultural production. 에로물은 이윤을 추구하는 문화산업의 일부이지만, 성을 둘러싼 도덕적 담론들은 이 장르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중추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 점에서 에로 장르는 경제와 도덕/윤리가 교차하는 도덕경제의 특성을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 연구는 에로 장르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자신의 직업 환경에서 작용하는 윤리적, 도덕적 압력에 어떻게 대응하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에로 장르의 도덕 경제적 특성을 조명하고자 했다. 에로 장르 종사자의 직업 정체성 구축과정에서 드러나는 특징들은 크게 행위자가 인식하는 맥락적 조건, 그리고 이에 대한 대응 전략으로 구분해서 정리했다. 우선 맥락적 조건들은 이 장르에 대해 윤리적, 도덕적 측면에서 사회적 편견이 강하게 작용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직업으로서는 상대적으로 만족스런 경제적 여건과 대우, 활동의 자율성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해당 부문의 부침이 심하고, 미래를 전망하기 어렵다는 점도 있었다. 이러한 맥락적 조건들에 대한 행위자들의 대응전략은 크게 중립화, 정당성 구축, 양면성 전략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덕적 가치에 의한 비판에 대응해 이 가치를 희석하거나(중립화), 다른 가치로 대응하거나(정당화), 상황에 따라 선택적 가치로 자신을 합리화하는 양상(양면성)으로 정리할 수 있다. 말하자면 에로 장르 종사자들이 자신을 둘러싼 환경의 도덕 담론에 대해 보여주는 대응 양식은 기존의 도덕 담론에 대해 탈도덕화로 대처하든, 새로운 대안적 가치로 대응하는 ‘재도덕화’를 추구하든, 상황에 따라 수시로 잣대를 바꾸는 ‘양면적 도덕화’를 취하든 도덕 담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즉 에로 장르 종사자들의 직업 관행과 정체성 구성 전략에서 도덕 담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는 도덕경제 개념이 대중문화 장르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 유용성이 있음을 말해준다.

      • KCI등재

        인간의 경제적, 도덕적 그리고 종교적 차원 - 애덤 스미스의 경제학과 윤리학을 넘어 왕양명과 키에르케고어의 종교적 존재로 -

        양선진 ( Yang¸ Sun-jin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0 퇴계학논총 Vol.36 No.-

        인간은 영혼과 함께 육체를 지닌 존재이기 때문에 인간의 육체적 욕망인 이기심을 극대화하려는 욕망과 욕구를 실현하려고 한다. 애덤 스미스((Smith, A., 1723 ~ 1790))는 인간이 이익을 추구하는 것은 자연스런 인간의 욕망이며 이러한 욕망이 결과적으로 타인에게도 이익을 제공한다면 전혀 문제될 것이 없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상호이익의 관점이 타인의 자비심에 의존하는 것보다 더욱 효율적인 사회라고 간주하였다. 왕양명(王陽明: 1472-1528)은 인간이 육체적 욕망과 영혼의 복합체인 형기(形氣)를 지녔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사욕(私慾)을 극대화하려는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는 점을 인정한다. 이런 차원에서 현실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주류 경제학은 인간을 기본적으로 이기적인 존재로 본다. 인간이 인간다움을 지닐 수 있는 근거는 바로 현실에 매몰되지 않고 삶의 가치와 의미를 추구하는 존재라는 사실이다. 이런 점에서 인간은 경제적 모습을 지니면서도 동시에 도덕적 삶을 추구하는 존재라는 사실이다. 애덤 스미스는 인간이 자신의 이웃에게 또는 자기 자신에게 자산의 성품과 행위가 드러날 때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도덕법칙, 즉 도덕감(moral sentiments)이 존재함을 인정한다. 왕양명의 심즉리는 인간의 마음이 자신의 비도덕적인 이기적 격정과 욕망을 제거하고 인간 내부의 양지(良知)의 목소리에 따라서 행동한다면 인간의 마음이 곧 도덕적 원리와 이치에 부합한다는 관점(心卽理)이다. 왕양명의 도덕적 원리는 사적인 욕망을 제거하고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유익이 되는 행동을 촉구하는 인간의 도덕적 감정(良知)을 의미한다. 키에로케고어(Søren Kierkegaard: 1813-1855)는 심미적, 윤리적 그리고 종교적 단계로 나눈다. 그는 인간의 정신 또는 인간의 영혼의 기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간 영혼의 근원자인 절대자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인간 영혼의 기원자에 접근하는 방법은 이성이나 감성이 아닌 인간이 지닌 신앙(영성)을 통해서 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는 인간의 본래적 본성을 회복하는 길은 바로 인간의 종교적 단계인 신앙 속에서 신과의 만남을 통해서 가능하다고 보았다. 왕양명은 인간이 지닌 생리적 욕구 또는 이기적 욕망이 인간 안에 자리 잡은 하늘의 이치와 원리를 제압하지 못하도록 통제하고 다스릴 것을 강조한다. 인간의 본성이 참다운 본성인 자연의 지배를 받는다면 인간이 인간다운 선한 도덕성을 발현할 수 있지만 인간과 자연이 하나라는 본성을 인지하지 못한다면 인간이 자연의 본성에 거역하는 행동을 하게 되기 때문에 비도덕적 행동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두 철학자를 이러한 3 단계로 나눠서 인간의 복잡하고 다양한 층위를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오늘날의 인간의 모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경제적 차원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는 차원에서 가장 낮은 단계인 감각적(심리적)단계 및 사욕의 단계를 경제적 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경제적 차원 이외에 인간의 도덕적 차원이 우리 사회에 어떠한 문화적 위상을 가지게 되었는지를 고찰할 것이며 마지막으로 인간의 도덕적 문화를 바르게 정착하기 위해서 종교적 차원이 왜 중요한지도 살펴볼 것이다. Adam Smith (1723-1790) found it efficient to pursue one's own interests within the scope of satisfying others' interests, and to rely more on mutual interests than to expect of others' benevolence. As such, human beings are physical beings with their souls, so they try to realize the desire and desire to maximize their selfishness, the physical desire of human beings. If understood from the philosophical point of view of Wang Yang-Ming (1472-1528), the human term means a complex of physical desires and souls, and the human term naturally flows in the direction of maximizing one's self-interest. In this regard, mainstream economics, which approaches at a realistic level, sees humans as basically selfish beings. The reason why human beings can be human is that they are not buried in reality but rather seek the values and meanings that life pursues. In this regard, human beings are both economically-looking and at the same time seeking moral life. Adam Smith explored the moral laws, or moral sensibilities, that occur in the mind when a human being enters into the nature and act of an asset to his neighbor or himself. Wang Yang-Ming's point of view is that if the human mind removes its immoral selfish passion and desire and acts according to the voice of the sheep within the human body, the human mind corresponds to the moral principle and reason. Wang Yang-Ming's moral principle refers to the moral feelings of humans that urge individuals to take actions that are beneficial to others' positions and remove desires for their own sake. Kierkegaard(1813-1855) argues that in order to understand the origin of the human mind or of the human soul, one must move on to the absolute, the source of the human soul. The originator of the human soul was not accessible by reason or sensibility, but only through the faith of man. Kierkegaard is divided into aesthetic, ethical and religious levels. And he saw that the path to restoring the fundamental nature of man becomes human through meeting with God in faith, which is the religious stage of man. Wang Yang-Ming stresses that men's physiological or selfish desires should be controlled and governed to prevent them from subdueing the reason and principle of heaven, where they are located in humans. If human nature is governed by nature, which is a true nature, human beings can express good morality like human beings, but if human beings do not recognize the nature of being one of nature, they can act against nature and act immorally.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e complex and diverse strata of human beings by dividing the two philosophers into these three stages. In particular, we want to look at the lowest level of sensory (psychological) and self-interest at an economic level in order to understand the human nature of today. And besides the economic dimension, we will look at what cultural status human moral dimension has become in our society, and finally, why religious dimension is important in order to properly establish human moral culture.

      • KCI등재

        질서자유주의의 규범성 및 경제윤리에 대한 함의

        김강식 ( Kang-sik Kim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6 질서경제저널 Vol.19 No.1

        질서자유주의에 대한 기존의 연구에서 경제윤리 측면은 비교적 소홀하게 다루어져 왔다. 본고에서는 질서자유주의의 윤리적, 규범적 측면을 발터 오이켄의 연구를 중심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독일의 경제윤리 관련 대표적 연구인 Homann의 도덕경제학과 Ulrich의 통합적 경제윤리는 둘 다 사회적 시장경제의 선구 역할을 한 질서자유주의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Homann을 중심으로 한 신제도주의자들은 질서자유주의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프라이부르크 경제학파의 이론을 선택적으로 수용해서 자의적으로 해석하고 있다. 반면 Ulrich는 질서자유주의에 대해서 이는 낡은 신고전주의적 사고로 회귀하는 것을 조장하며, 질서자유주의 질서정책은 그 체계가 불완전하고 시대에 맞지 않은 정치적, 철학적 기반을 가지고 있으며, 질서자유주의 경제윤리는 통합적 경제윤리가 아닌 단순한 교정적 경제윤리에 불과한 것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발터 오이켄의 질서자유주의 사상을 중심으로 Homann과 Ulrich의 주장을 검토하였다. 오이켄의 윤리적, 규범적 사상을 확인하고 명령자로서의 국가, 칸트사상에 근거한 오이켄의 인간상과 자유사상, 현대 경제윤리 및 기업윤리로서의 오이켄의 사상 등을 검토하였다. 또한 오이켄의 질서자유주의 사상이 Homann의 도덕경제학과 Ulrich의 통합적 경제윤리 사이의 어느 지점에 위치하는지, 또는 이와 별도로 독자적 지위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오이켄의 사상은 현대 경제윤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그의 자유 프로그램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경쟁질서의 명령자와 감시자로의 국가, 질서정책의 중점 설정, 과정정책의 부정, 경쟁력있는 법치국가와 입헌 민주주의 및 자유주의적이고 성과경쟁적인 제도적 경제질서간의 긴밀한 관계, 자유, 기본적 기준으로서의 인본주의와 사회 정의, 경제정책과 사회정책의 조화 및 자유와 질서의 조화, 권력의 제어와 자유의 실현 및 지속가능한 경제적 성과능력과 결합한 윤리적 적극성과 윤리적 의지. 오이켄의 질서자유주의는 현재의 경제위기 상황에서 현대 경제윤리에 대한 검토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철학과 경제, 시장과 도덕을 경제윤리적으로 의미있게 연결한 오이켄의 독자적이고 학제적인 접근방법은 대화를 위한, 그리고 통합적 경제윤리와 도덕경제학의 결합을 위한 중재의 기초로 활용될 수 있다. 오이켄은 경제 우선 또는 윤리우선 가운데 하나를 택하지 않고 성과능력과 동시에 인간존엄, 자유, 기회 평등, 인본주의 간의 균형을 강조하고 있다. 오이켄은 이와 같이 경제적 효율성과 사회적 정의 간의 목표갈등의 출구를 열었으며, 윤리적 측면과 경제적 측면의 연결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At the reception of the Freiburg School of ordoliberalism the perspective of economic ethics has been largely neglected. This paper tries to provide an insight into the ethical and normative thinking of ordoliberalism with the example of the work of Walter Eucken. It will deal with the determination of the social market economy as a functioning and humane order and the Eucken’s understanding of freedom as well as a classification Eucken in the modern economic and corporate ethics. The works of Eucken are important for the modern economic ethics in many ways. The important components of the program of freedom of Eucken are as follows: the state as ordering power and guardian of competition rules; focusing on order policy and negation of the process policy; close relation of powerful rule of laws, constitutional democracy and liberal and competitive institutionalized economic order; freedom, humanity and social justice as fundamental criteria; unity of economic and social policy and of freedom and order; prevention of power and enabling freedom and ethical activism and ethical will coupled with sustainable economic performance. This multi-faceted blocks of ordoliberalism of Eucken can be applied to the modern economic ethics - particularly in front of the background of the financial and economic crisis and the new methods dispute - to make it fruitful. One option would be a continuation of ordoliberal research program with a view to refocusing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financial and economic order while taking into account and integrating the concepts of Ulrich and Homann. As the discussion of the economic ethical approaches of Homann and Ulrich has shown, both approaches have overlaps and fundamental deviations from the position of Eucken. Eucken’s independent, interdisciplinary approach with to his economic ethics significant link between philosophy and economics, market and morality seems to be predestined as the foundation of mediation for dialogue, for a merging of integrative economic ethics and moral economics. Eucken stresses a balance of performance and human dignity, of freedom to present equality and humanity - without having to drawing on the primacy of economics or ethics. Thus Eucken provides a way out of the conflict of objectives of efficiency and equity and is thus capable of connection both in an ethical and an economic perspective.

      • KCI등재

        중국인 도덕에 대한 태도 연구 -CGSS 2013의 데이터를 중심으로-

        진남 ( 陳楠 ) 한중사회과학학회 2016 한중사회과학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2013년 중국 종합사회조사(CGSS)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사회집단의 도덕에 대한 만족도와 도덕요소에 대한 평가를 분석하였다. 또한 각 집단에 따른 사회도덕에 대한 태도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중국사회의 도덕 공감대와 표준을 건립하는데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 새로운 도덕의 지평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덕 만족도가 가장 높은 집단은 전통도덕을 가장 중요한 도덕요소로 평가하는 집단과 비슷한 특징을 보였다. 그들은 대부분 거주, 경제, 고용, 학업문제로 인하여 사회에서 불리함을 받고 있는 소외집단이었다. 둘째, 도덕 만족도가 가장 낮은 집단은 시장경제에 의한 도덕을 가장 중요한 도덕요소로 평가하는 집단과 비슷한 특징을 보였다. 그들은 사회의 여러 면에서 혜택을 받고 있는 엘리트집단이었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현재 중국인이 지닌 도덕요소 가운데 중국전통 도덕은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고 사회주의 도덕과 시장경제 도덕은 일정한 역할을 하고 있었으며 서양문화에 의한 도덕은 미약한 보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국인은 사회도덕 문제에 대해 낙관적이지 않은 태도를 보이고 있었으며 도덕요소는 다원성, 복잡성과 낙후성의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를 통해 사회 각 집단의 도덕만족도와 도덕요소에 대한 평가를 정확히 파악하고 각 사회집단간의 도덕 공감대를 찾아내어 공정한 사회분위기에 자신의 가치를 실현하는 것이 사회도덕 수준을 향상시키는 관건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아울러 공정한 사회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엘리트계층의 솔선수범이 중요한데 엘리트계층은 먼저 공평하고 공정하게 행동해야 사회의 부정적 행위를 바로잡을 수 있으며 본보기로서 일반 민중들을 이끌어 아름다운 도덕사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