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일자리 사업’참여자의 자서전쓰기 프로그램에서 나타난 전환학습 사례연구

        이경진,최일선 한국노년교육학회 2023 노년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 사업에 참여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서전쓰기 프로그램에 나타난 노인학습자들의 삶의 맥락과 전환학습을 탐색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연구참여자는 2022년 9월∼11월까지 A시 B복지관에서 진행한 12회차 노인 자서전쓰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9명이었다. 연구자는 자서전쓰기 프로그램의 강사로 참여관찰하면서 연구참여자들의 자필자서전, 개별 면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참여자들의 삶에서의 관점전환과 자서전쓰기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과정에서의 전환학습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참여자들은 자발적이지 않은 상황에서 자서전쓰기 프로그램에 참여했지만, 다른 참여자들과의 활발한 소통을 통해서 자신의 생각과 삶을 성찰하고 열린 마음으로 다른 사람의 생애에도 귀 기울였다. 이 과정에서 인식의 변화가 일어나고, 지나온 인생 경험의 의미를 찾고 보다 개방적이고 수용적인 태도로 앞으로의 삶을 계획하는 태도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저학력 노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노인 자서전쓰기 프로그램의 의의와 평생교육차원에서의 노인 자서전쓰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that explores the context of life and transition learning of elderly learners in the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 The study participants were nine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12-time elderly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 held at B Welfare Center in A City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22. The researcher collected and analyzed handwritten books and individual interview data of research participants while participating in the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case of conversion learning in the process of changing perspectives in the life of the study participants and conducting an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 in a non-voluntary situation, but through active communication with other participants, they reflected on their thoughts and lives and listened to other people's lives with an open mind. In this process, changes in perception occurred, finding the meaning of life experiences that have passed and showing an attitude to plan for the future life with a more open and receptive attitude. This study aims to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the elderly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 for low-educated elderly learners and the importance of writing elderly autobiographies in terms of lifelong education.

      • 노인 자서전쓰기에 나타난 생애사 학습의 의의

        박성희 한국질적탐구학회 2016 질적탐구 Vol.2 No.1

        As they grow older, competences and performance of the elderly tend to diminish. In this case, the elderly often lose their identity. To live a quality life, the resources the elderly need to be fully activated. This was aimed to guarantee a self-determined lifestyle for the elderly, so they should become competent to fight their way to overcome their own problems in their environ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meaning of biographical learning. The focus is on writing autobiographies, with six elderly. In the research, a core cases from these elderly - who experienced dramatic changes in life - are identified and described. In reviewing the life history, different approach was adopted by the period of childhood, youth, marriage, middle age and old age to analyze how the life took its turn with the environmental changes. The identity the elderly established through biographicity writing was described as a reflection from life history they learned. In the end, the writing of autobiographies was proposed as a channel of self-directed learning for the elderly and the meaning of biographical learning was highlighted. 정체성이 상실되는 노인을 위한 노인교육은 스스로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자원을 개발하여 끊임없는 성장이 계속되도록 자기주도적 교육방법을 이용한 생애사 학습이 적용되어야 한다. 노인이 자신이 살아가는 환경 속에서 경험하게 되는 내적인 갈등을 극복하고 자기결정에 의한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도록 지원하려면 자신의 문제들을 극복하고 자신만의 고유한 생애사성을 자신의 삶 속에서 창출해 낼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자서전쓰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6명의 노인학습자들이 자기이해를 통하여 자신의 생애사성을 발견해 내고 주체적인 노년기 삶을 확립해 가는 과정을 분석하여 생애사 학습의 의의를 도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외부의 환경에 의해 극적인 삶을 살아간 여성노인 1명의 사례를 핵심사례로 선정하여 아동기, 청소년기, 결혼기, 중년기, 노년기로 나누어 Schuetze의 방법으로 분석하고, 6명의 자서전쓰기에 나타나는 전환되는 노년기를 살아가는 지식, 즉 생애사성을 도출하였다. 학습자가 자서전쓰기를 통하여 발견하는 생애사적 역량은 자신의 삶 속에서 맥락적으로 구성되는 생애사성으로 표현되었다. 연구 결과 노인들은 노인 자서전쓰기를 통하여 노년기를 살아가는 생애사성을 발견해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노인학습자들이 자기성찰과 자기이해 속에서 의식적으로 창출해내도록 지원하는 생애사 학습은 성공적 노화를 위해 자기주도적인 학습방법으로 확산되어야할 것이다.

      • KCI등재

        의미구성학습과 노인자서전쓰기 교육의 의의

        이경희,박성희 한국성인교육학회 2008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의미구성학습론에 근거한 노인자서전쓰기 교육의 의의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의미구성학습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였고, 2007년 1월부터 2개월에 걸쳐 실행된 노인자서전쓰기 교육사례를 분석하여, 의미구성학습의 의의를 도출하였다. 노인교육은 노인 자신이 삶의 경험을 바탕으로 변화하는 외부세계를 역동적으로 해석해 나가는 의미구성학습이 촉진되도록 실행되어야 한다. 의미구성학습에서는 타인과 경험을 공유하는 의미구성을 통하여 새로운 인식을 생산하는 학습을 강조한다. 노인자서전쓰기 교육방법은 노인들이 이러한 학습 환경을 만들어 가도록 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노인자서전쓰기는 학습자들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생산되는 의미구성을 통하여 노인이 잠재력과 능력을 개발하고, 정체성을 확립하며, 행동의 지향성이 발전하도록 촉진한다. 노인의 자아통합을 위한 의미구성학습론을 기반으로 한 노인자서전쓰기 교육은 고령화 사회에서의 평생학습 방법으로 더욱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done to prove meaning of senior-education based on constructive learning theory. Analyzing cases of the autobiographic writing program practiced from January to February 2007, the study drew the significance of the constructive learning theory. The senior education must foster seniors to use their own life experiences to interpret the rapidly transforming outside-world. In this manner, constructive learning emphasizes the learning of new perception through sharing experiences with others. The autobiographic writing method can be useful for the elderly because this method helps to make learning environment better. The autobiographic writing makes it possible for elderly to develop their potential abilities and identities by means of interactive communication with others. Therefore, especially in today's low birthrate and aging society, the autobiographic writing program for the elderly should be more activated in view of lifelong education. By virtue of this program based on constructive learning theory, the elderly can integrate their identities and live their remaining years more successfully.

      • KCI등재

        자서전적 화첩 만들기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요양시설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장명진 한국예술치료학회 2013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는 요양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노인의 자서전적 화첩 만들기를 적용한 집단 미술치료가 그들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진행하였으며 연구대상 은 A요양원에서 본 프로그램 참여에 동의한 노인 7명으로 연구기간은 2012년 1월 20 일부터 2012년 3월 16일까지 주2회 총15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윤진(1982)이 Stone와 Kozma(1980)의 연구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실정에 맞도록 제작한 노인생활만족도척도와 K-HTP를 사전·사후 실시하였 다. K-HTP의 분석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의 주요변화요인인 우울감 저하와 자아 통합감 상승에 대한 상징 표현여부 및 표현정도에 따라 사전·사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자서전적 화첩 만들기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요양 시설 거주 노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인생 회고를 통한 음악 자서전 프로그램이 초고령 노인의 우울감 개선에 미치는 효과

        백유신(Baek, Yu Shin),김수지(Kim, Soo Ji) 한국노인복지학회 2021 노인복지연구 Vol.76 No.2

        본 연구는 인생 회고를 통한 음악 자서전 프로그램이 초고령 노인들의 우울감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8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주 2-3회씩 총 8회기, 개별 세션으로 진행되었고, 실험군 11명과 대조군 10명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통계 처리하였다. 실험군에는 인생 회고를 통한 음악 자서전 프로그램을 시행하였으며, 대조군에는 음악감상 활동을 시행하였다. 음악 자서전 프로그램은 가사집 형태의 결과물 만들기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중재 효과 확인을 위해 사전⋅사후에 단축형 우울 척도와 주관적 건강 상태를 측정하였고, 실험군의 음악 자서전 활동 과정을 관찰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생 회고를 통한 음악 자서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우울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프로그램 참여 과정에서 긍정적 정서를 포함한 자전적 기억을 많이 회상하였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전기 성인기(20-30대)의 기억이 가장 많았고, 특히 우울 점수가 많이 감소한 대상자일수록 노래 선곡의 수와 긍정적 정서의 자전적 기억이 많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생 회고를 통한 음악 자서전 활동이 초고령 노인의 우울감 개선에 효과적인 중재 도구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80세 이상 초고령 노인의 우울감 개선을 중재할 때, 개인의 삶에서 의미 있는 음악의 사용이 중요하다는 점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sical autobiographies through the life review on reducing depressive feelings among the oldest-old. Elderly, aged over 80, participated in a musical autobiography program for 8 sessions. A total of 21 participants was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n=11) and the control group(n=10). The experimental group attended song autobiography through life review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music listening only. Depression scal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scale were us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s a resul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the experimental group’s depression scores. Also elderly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alled more positive emotional autobiographical memory than the control group. The most frequently recalled memories from participants were the ones they experienced during early adulthood (20 - 30s). Overall findings showed that musical experience in association with life events induced one’s positive memory and current emotional change by recalling a memory. In order to manage depressive feelings among elderly over 80s could be managed by emotional memories and active use of musical autobiography should be implemented in elderly care.

      • KCI등재

        노인자서전에 나타난 생애사적 의미

        지행중,박성희,한정란 한국성인교육학회 2012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자서전 쓰기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 학습자들이 작성한 자서전의 내용을 분석하여 이들이 구성하는 생애사를 재구성함으로써 노년기 삶의 의미를 고찰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노인자서전 쓰기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노인 8명의 자서전을 슈체(Schuetze)의 ‘생애사적 발전과정구조’(Prozessstruktur des Lebenslaufs)의 개념에 근거하여 구조적으로 분석하고, 구조적 진술을 체계적으로 연결하여 전체적인 생애사의 틀을 추출하는 분석적 추론의 틀을 도출하였다. 이후 비교분석 단계에서의 생애사적 발전과정구조의 유형 속에서 나타나는 삶의 의미의 변화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아동기는 ‘행복한 어린 시절’로 나타났으나 여성은 관계를, 남성은 타인과 구별되는 자의식 소지, 둘째, 청소년기는 ‘학교교육기회’가 주제화되었으나, 교육 기회는 남성에게는 자신의 발전과정으로, 여성에게는 현모양처를 내면화하는 제도적 역할을 수행하는 고통의 진행, 셋째, 성인기는 결혼과 생계가 주제화되어 여성이 삶의 주체자로 변화하는 생애사적 행위자로 발달, 넷째, 중년기는 여성 취업과 남성 퇴직이 주제화되어, 남성은 고통, 여성은 취업을 통한 자아존중감 향상, 다섯째, 노년기는 거취문제, 자녀갈등을 주제화하고 문제를 인내, 수용 등 통합으로 해결하는 전환과정이 나타났다. 이러한 전환은 자서전 쓰기교육을 통한 생애사성의 발견 또는 인지적 형상의 구성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에게 있어서 자서전 쓰기를 통하여 만들어가는 삶의 의미는 교육을 통하여 자기성장을 체험하고 성취감과 기쁨을 획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old participants' autobiographies in the autobiography-writing education program and to seek the Meaning of their lives in old age by biographical Reconstruction. We have analyzed 8 autobiographies of old adul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on the basis of Schuetze's concept "Prozessstruktur des Lebenslaufs" and have drawn the frames of analytic inference by connecting constructive narrations systematically. And then, we have analyzed the changing process of Meaning of their lives in the categories of developmental constructs of the biograph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① The participants express their childhood as 'happy days'. The old women emphasize the relationship, whereas the old men stress the sense of identity distinguishing from others. ② The theme of adolescence is 'the opportunity of school educations'. That seems to be expressed as 'developmental process' to the old men but as 'suffering process' internalizing the institutional role for good wife and wise mother to the old women. ③ The theme of adulthood is marriage and livinghood. Therefore, the women got to be 'biographical Handlungstraeger' as the subjects of their lives. ④ The main topic in middle age is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due to their new employment for women but suffering from their retirement for men. ⑤ The theme of old age is supporting problem and conflict with children. Those problems are solved by transforming the problems into the integration through patience and acceptance. This transformation shows that the participants succeed in finding 'biographication' and constructing 'kognitive Figure' through the autobiography-writing education program. The old adults experienced growth and acquired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joyfulness by constructing Meaning of their lives through the autobiography-writing education.

      • KCI등재

        노인의 자아통합 향상을 위한 자서전만들기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검증

        오다영,이근매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3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자서전만들기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자아통합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자아통합감 검사 실시 후 선정한 노인 16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A시의 노인복지관에서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게 사전 사후검사를 제외한 주3회, 100분씩 총 13회기를 실시하였다. 효과검증을 위해 양적, 질적분석을 실시하였다.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두 집단 하위요인의 사전-사후-추후 점수에 대한 Friedman 검증과 녹화 기록과 관찰을 통해 회기별 자아통합 변화를 자아통합 하위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서전만들기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노인의 자아통합 향상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자서전만들기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회기별 진행과정에서 노인의 자아통합 향상에 효과적인 변화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자서전만들기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여 고령화사회로 나아가는 현시점에 노인들의 가장중요한 요인인 자아통합을 향상시켜 건강한 삶을 영위하게 도와주는 하나의 방법임을 입증하였다.

      • KCI등재

        자서전 만들기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행복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송은영,전순영 한국미술치료학회 2022 美術治療硏究 Vol.2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group art therapy using the autobiography affects happiness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hospitals. The study was conducted on 12 participants liv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in N district of S City. The selected participants were over 65 years old, and could communicate and participate in program activities. Six of the 12 participants who received below-average scores in the pre-test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six were placed in the control group. From September 2019 to November 2019, the company conducted experimental sessions once a week for 60 minutes, a total of 12 times,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The Happiness Test, and Quality of Life Test were used as research tools, and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in the SPSS 24.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quantitative chan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using autobiograph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happiness of elderly in long-term care hospitals.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using autobiograph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happiness of elderly in long-term care hospitals. Overall, the study show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using autobiography positively affects the improvement of happiness and quality for life of elderly in long-term care hospital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자서전 만들기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행복감과 삶의 질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S시 N구에 소재하는 요양병원에 입원 중인 65세 이상의 노인들 중에서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손 움직임에 문제가 없는 노인분들 중 연구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12명의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그중 사전검사에서 평균 이하의 점수를 받고 프로그램 참여가 가능한 6명은 실험집단으로 6명은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다. 연구기간은 2019년 9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주 1회 60분씩 사전검사․사후검사를 제외하여 총 12회기를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로는 행복감 검사, 삶의 질 검사를 사용하였고, SPSS 24.0 프로그램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s test)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서전 만들기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행복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자서전 만들기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연구결과는 자서전 만들기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행복감과 삶의 질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노래자서전 음악활동이 노인의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

        윤영미,박혜영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8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노래자서전 음악활동이 노인의 자아통합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Y시에 소재한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 16명이며, 실험집단과 대기집단으로 각각 8명씩 무선배치 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인은 노인의 자아통합감으로 현재 생활에 대한 만족, 지혜로운 삶, 생에 대한 태도, 지나온 일생에 대한 수용, 노령과 죽음에 대한 수용의 5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집단에게는 노래자서전 음악활동을 구성하여 주 2회, 50분씩, 총 12회기로 진행하였다. 또한 대기집단에게는 동 시간대에 복지관에서 시행하는 자체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노래자서전 음악활동을 제공한 실험집단이 대기집단에 비해 자아통합감의 전반적인 영역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이는 노래자서전 음악활동이 참여자들로 하여금 과거를 재조명하여 지금 여기에 최선을 다할 수 있도록 하고, 이들에게 미래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을 줌으로써, 자신의 삶 전체를 수용하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ong-autobiography activities influence on the sense of ego-integrity of the elderly. The participants were 16 (randomly assigned 8 in experiment group, 8 in wait-list control group)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in the welfare center for the elderly in Y city.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e study are satisfaction of daily life, life with wisdom, attitude to the life, acceptance of past life, and acceptance of aging and death. The experiment group performed a total of twelve 50-minute sessions of song-autobiography activities for 6 weeks, twice a week, and the wait-list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gram provided by the welfare center during the same time period. As a result, for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experi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overall categories of ego-integrity compared to the wait-list control group. This implies that song-autobiography activities enabled the participants to reaffirm the past and to focus on now and here, and exerted the positive impact on their acceptance of whole lives by providing them with the strength to overcome fear of the future.

      • KCI등재

        노래자서전이 노인의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강경진 ( Kyungjin K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노래자서전이 노인의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K노인요양병원에 장기적으로 입원 중인 65세 이상17명을 대상으로 노래자서전 활동을 8회기(회기별 40분씩)를 실시하였다. 노래자서전 프로그램은 사전 조사를 통해서 10 20 30대에 선호했던 노래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노래자서전 프로그램은 노인 우울을 감소시켰다. 동시에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거의 회상으로 자신이 살아온 인생을 되돌아보게 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사회적으로 고립된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긍정적인 수단이 필요하다. 우리는 음악적 시의성, 음악연상, 가사에 대한 해석 등을 통하여 보다 효과적인 치료적 적용을 기대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s of autobiographical songs on the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e target groups of this study are 17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who were admitted to the K elderly nursing hospital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agreed to receive music therapy. The autobiographical songs were performed for 40 minutes per period with total 8 time periods. The program of autobiographical songs consisted of songs preferred by 10/20/30s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program of autobiographical songs reduces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At the same time, it was found to have improved psychological well-being. It was a past recollection that led him to look back on his life. The follow-up research requires positive means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socially isolated elderly people. We expect more effective therapeutic application through musical timeliness, musical entertainment, interpretation of lyrics,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