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0~2015년 한복 구성요소 변화연구 - 인터넷신문에 나타난 여자한복 이미지 중심으로 -

        이춘희 ( Lee Choon-hee ),한정민 ( Han Jung-min ),강혜승 ( Kang Hae-se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0 No.-

        2000년 이후 정부의 한복진흥정책과 맞물려 여자한복은 발전 및 변화하였다. 본 연구는 한복산업 활성화, 세계화 도약을 위해 2000년부터 2015년까지 여자 저고리와 치마 중심으로 구성요소 변화를 연구하고자 16년간 인터넷 신문에 나타난 한복 이미지를 파악하여 분석대상 이미지 660점을 추출하였다. 전통한복 중 저고리를 구성하는 길, 깃, 동정, 소매 등과 치마를 구성하는 말기, 폭, 끈 등의 구성요소가 제거되거나 축소 또는 확대되어 변화된 한복을 모던한복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모던한복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한복 유형을 구분하고, 구성요소의 변화와 유형 경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위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질적 조사를 하였으며, 유형을 보수적 모던형과 진보적 모던형 두 가지로 구분하였고, 시기를 3기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미지 분석결과 구성요소 크기변화와 제거는 다른 요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요소를 대체하는 경우와 전통한복을 재해석한 사례가 나타났다. 저고리의 세부적 변화는 길이와 깃, 소매길이와 치마는 주름이 보수적 구성요소의 활용이 강화되었고, 저고리의 패턴 및 암홀과 치마의 길이 및 폭은 진보적 구성요소 활용이 강화되었다. 유형 경향 분석결과 저고리와 치마의 유형은 진보형와 보수형이 서로 교차되어 변화 되었고, 상호 연관성이 있게 조화를 이루며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모던한복 저고리와 치마 구성요소 세부항목별 빈도를 분석하고, 구성요소 변화 특징을 밝혔다. 저고리와 치마의 유형 경향을 시기별로 분석하여 상호연관성을 조명하였다. 2000년 이후 연구 자료가 부족한 시기를 선택하여 시기별 유형 경향을 분석하여 저고리와 치마 유형의 상호 연관성을 조명 한 것에 의의를 둔다. Along with Korean government`s Han-bok Promotion Policy, women`s han-bok developed and changed after year 2000. For han-bok industry`s vitalization and leap to global industry, this study analyzed and extracted 660 images of han-bok to study the changes of components of women`s jeogori and skirt from 2000 to 2015 of Internet newspapers For han-bok industry`s vitalization and leap to global industry, this study analyzed and extracted 660 images of han-bok to study the changes of components of women`s jeogori and skirt from 2000 to 2015 of Internet newspapers. The han-bok which has changes in length of jeogori, collar of jeogori, dongjeong, sleeves that comprise jeogori and malgi that comprise skits was classified as modern han-bo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types of han-bok and discover the changes and trend of component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above, the qualitative survey was conducted by a group of experts. The survey was classified into two types, conservative modern type and progressive modern type. The research was divided into three phases. The result of image analysis shows that the component size variation of han-bok influences on other components, and substitution and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han-bok was shown. The changes of jeogori are length and collar, length of the sleeves and the crease of the skirts showed increase in conservative use of the component. And, pattern of jeogori, armhole, and the length of the skirt showed increase in progressive use of the components. As the result of the trend analysis, it was shown that the changes of conservative type and progressive type of jeogori and skirts intersect with each other. This study analyzed frequency of modern han-bok`s jeogori and skirt components and This study analyzed trends of jeogori and skirt and traced the correlation between trends of them. This study gives significance in showing correlation of jeogori and skirt after 2000, which is the period that lacks data.

      • KCI등재

        한국 복지레짐의 변화에 관한 연구 : Krasner의 레짐이론을 중심으로

        오민수(吳民首),김재일(金宰一) 한국정책과학학회 2007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1 No.2

        지난 수년간 한국 사회의 관심을 가장 많이 받은 건 ‘사회복지’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사회복지는 앞으로도 더욱 전 국민적인 관심을 받을 것이다. 한국은 서구의 복지선진국에 비해 복지규모나 질은 떨어지지만 어느 나라보다도 빠른 제도적 변화를 경험한 나라일 것이다. 그 동안 우리나라의 복지 국가유형을 Esping-Anderson의 복지레짐 유형론을 기준으로 하여 분석한 연구들이 많이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것은 한국의 복지레짐의 유형이 아니라, 한국 복지레짐의 변화의 깊이가 어디까지이며, 어떻게 변화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가이다. 따라서 한국 복지레짐의 변화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서 Krasner의 레짐이론을 활용하여, 레짐의 4가지 구성요소인 원칙, 규범, 규칙, 의사결정절차를 중심으로 의료보험제도를 사례로 분석함으로서 한국의 복지레짐의 변화과정과 변화정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복지레짐의 4가지 구성요소가 모두 변해야 복지레짐이 완전히 변했다고 할 수 있지만 한국의 복지레짐은 변화의 과정에서 레짐의 규칙과 의사결정절차만 변화하였고, 레짐의 원칙과 규범은 건국이후부터 지금까지 변화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Social welfare has been the focal point of policy arena for last several years in Korea. Although Korea still lacks the quality and the quantity of social welfare services in comparison to other developed countries, Korea has been facing a rapid changes in social welfare system. Many researches have applied the Esping-Andersen's welfare state paradigm to analyze the Korean welfare state. Howe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explain the changes in Korean welfare regime. Since the case for analysis needs to be able to make inference to the Korean system as whole, the study evaluated the Korean Health Insurance system which covers virtually entire population. Components for the Krasner's regime theory include principle, norm, regulation, and decision-making process. The Krasner's theory argues that the complete change in welfare regime only occurs when all four components are changed. In Korean case, this study found that only welfare regime regulations and decision-making process are changed, but the principle and norm of the welfare regime stayed the same.

      • KCI등재

        Quelques exemples de ce qui a changé en France

        Jacques Raphanel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08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25 No.-

        프랑스 사회 변화에 대한 이와 같은 견해는 이해, 사유, 의사소통의 방식에 영향을 미쳤던 변화들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변화들은 소비(예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용어)와 초기 경제 시대 사회의 생산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 경제 시대는 아마도 사회가 영국에서 영향을 받은 사회 보장을 통해서든 마르크스주의와 노동조합을 통해서든 피하려고 애썼던 것이다. 보다 가족적인 층위에서 보았을 때, 사회성의 규칙들과 더불어, 공손한 접대에서 부르주아 시대로의 변화가 눈에 띈다. 여기서 그 규칙들은 더이상 개인 상호간의 교환에 지나지 않는 정도로 사라져 버린다. 이렇게 해서 (부분적으로) 용이성이 발견된다. 이는 (로마 연극에서 물려받은) 인물에서 18세기 혁명과 민주주의에 대한 새로운 정치적 개념으로부터 생겨난 현대적 개인으로의 이행을 의미한다. 이런 변화 속에서 우리는 또 다른 변화를 비교해볼 수 있다. 바로 도시 공간의 변화이다. 하인이 사라짐과 동시에 산업화된 분포는 균일화된 주거의 형태로 사회적 분할의 전환을 이끌어냈다. 도시 구역에는 이전의 사회적 혼합이 사라졌다. 마지막으로 기독교 - 혹은 더 일반적으로 보아 종교적 정신(프랑스에서) - 의 점진적 소멸은 현대 사회 구성원들이 수많은 활동으로 이루어낸 인식을 변화시킨다. 왜냐하면 기독교는 실제로 더 이상 옛날에 의거했던 도덕적 기준에서 사회 구성원들을 판단하는데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활동들은 다른 방향을 택하고, 사람들이 신경 쓸수 있는 표현을 변화시킨다.

      • KCI등재

        도시구성요소가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

        권수현(Kwon, Soo-hyun),김승원(Kim, Seung-won),강준모(Kang jun-mo) 한국도시설계학회 2016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기후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지구온난화에 대한 주범이 이산화탄소임이 공식 선언됨에 따라 도시구성요소와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이산화탄소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을 유지 및 관리하기 위한 도시계획 지침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2002년과 2008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부문별로 구분하여 확인한 결과 산업, 상업공공, 수송부문은 증가한 반면 가정과 농업부문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2002년과 2008년을 비교한 결과 2008년에 상업 및 공업지역 밀도의 영향력이 낮아지고 1인당 차량등록수의 영향력이 높아짐에 따라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정책 및 사회 환경의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수도권 5개 지역으로 분류하여 확인한 결과 중부지역은 상업공공부문에서 높은 배출량을 보이며 수도권 서부, 북부, 동부, 남부지역에서 가정, 농업, 산업, 수송부문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중부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각 지역별 뚜렷한 배출 특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고 지역특성에 맞는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대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It has been confirmed that carbon dioxide is a main cause of global warming. This study suggests urban planning guidelines for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sustainable urban environ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urban components and the carbon dioxide affecting climate change. First, the total carbon dioxide emissions in 2002 and in 2008 were categorized as 5 sectors. As results, carbon dioxide emission in industrial sector, commercial and public sector and transportation sector increased whereas that in household sector and agricultural sector decreased. Second, carbon dioxide emission and urban components in 2002 and in 2008 were analyzed using a regression analysis. As results, in 2008, the effect of commercial and industrial area density decreased and the effect of the number of vehicle registration per person increased, indicating carbon dioxide emissions are affected by the changes in policies and social environment. Third, the sector-specific carbon dioxide emissions were classified in 5 metropolitan areas and then analyzed. As results, in central area, commercial and public sector produced the most carbon dioxide; in western, northern, eastern and southern area, household, agriculture, industry and transportation sector produced more carbon dioxide than central area. These results evidently indicate area-specific emission characteristics and thereby the necessity of carbon emission reduction measures.

      • KCI등재

        상호 상관관계가 있는 다중 재료상수의 불확실성에 의한 평면구조의 확률론적 거동

        노혁천,Noh Hyuk-Chun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5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18 No.3

        구조응답에 기여하는 중요성으로 인하여 추계론적 해석에서는 재료탄성계수의 불확실성에 의한 응답변화도에 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추계론적 해석이 의미있는 값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많은 인수에 대한 불확실성을 동시에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재료의 중요한 두 인수인 탄성계수와 포아송비에 나타나는 불확실성을 고려한 추계론적 해석을 위한 정식화를 평면문제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들 두 인수의 함수로 주어지는 구성행렬의 각 요소에 대한 다항식 전개를 채용하였으며, 두 인수의 불확실성에 따라 나타나는 자기 및 상호상관함수는 n-차 모멘트에 대한 일반식을 적용하여 구성하였다. 다항식 전개에 따라 부행렬의 무한합으로 변형된 구성행렬은 계산상의 편의를 위하여 요구되는 정확도 내에서 절삭하여 사용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검증을 위하여 단순 평면구조를 예제로 택하여 해석하었으며, 해석결과는 국부평균법을 채용한 고전적인 몬테카를 해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Due to the importance of the parameter in structural response, the uncertain elastic modulus was located at the center of stochastic analysis, where the response variability caused by the uncertain system parameters is pursued. However when we analyze the so-called stochastic systems, as many parameters as possible must be included in the analysis if we want to obtain the response variability that can reach a true one, even in an approximate sense. In this paper, a formulation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behavior of in-plane structures due to multiple uncertain material parameters, i.e., elastic modulus and Poisson's ratio, is suggested. To this end, the polynomial expansion on the coefficients of constitutive matrix is employed. In constructing the modified auto-and cross-correlation functions, use is made of the general equation for n-th moment. For the computational purpose, the infinite series of stochastic sub-stiffness matrices is truncated preserving required accuracy. To demons4rate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formulation, an exemplary example is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by means of classical Monte Carlo simulation, which is based on the local averaging scheme.

      • KCI등재

        영향변수에 따른 수량변화 분석을 이용한 기본설계단계의 개산견적 모델 개발

        손보식,이현수,김성태,Son, Bo-Sik,Lee, Hyun-Soo,Kim, Sung-Tae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8 No.4

        본 연구는 건축공사 프로젝트의 기본 설계 단계에서의 개산견적 개념모델을 제안하고, 제안된 개산견적 개념을 적용하여 실제 주상복합 건물 프로젝트의 실적자료의 분석을 바탕으로 한 프로토타입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의 건설산업은 급격한 시장 변화와 경쟁 심화의 과정을 겪고 있다. 특히 프로젝트의 조달 방식의 변화와 함께 입찰과 관련한 정보가 부족한 사업초기, 기본설계 단계에서 중요한 의사 결정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의사 결정의 기준이 되는 개산 견적의 중요성이 더욱 증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개산견적 방법을 분석하고 그것을 보완할 수 있는 공사 수량 변화 분석에 기반 한 개산견적 방법을 제안하고 프로토타입을 구축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공종별 공사비 분류체계에 빌딩구성요소(BE)별 및 층별 수량 분류를 추가하고 있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제안 모델을 Q-BASE (Quantity Based Active Schematic Estimating) 모델로 정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conceptual model and prototype that establishes a new approach for building cost estimating in the schematic design phage. This research use the method that analyzes quantity and unit price separately to enhance schematic cost estimating through conducting literature review andi analyzing existing schematic cost estimating methods.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tile concept of cost breakdown structure including two more classifications: building element and floor compared to existing one only classified by trade. Thus, a Quantity Based Active Schematic cost Estimating(Q-BASE) model is developed founded on those two concepts. By applying proposed schematic cost estimating model, historical structure cost of residential complex building project is analyzed, and then, based on this analysis, prototype is implemented.

      • KCI등재

        전략 실행과 변화에 대한 오해

        김언수 한국전략경영학회 2022 전략경영연구 Vol.25 No.3

        “Strategy was good but implementation was bad” may be one of the most common expressions regarding strategy. Is this statement true? This paper posits that this is a wrong statement stemming from a misunderstanding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trategy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as well as the main agents of strategy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This position is derived by revisiting the concept of strategy, focusing on its components and structure. Furthermore, this paper discusses the strategy academic community’s inability to clearly address such misunderstandings. I also trace the root of problem back to our (i.e., academics) own lack of understanding and insight from relatively scant research effort on strategy implementation and change, and think about why that has happened. Finally, this paper offers possible approaches toward pragmatic strategy implementation research which may offer, with authority, useful advice to practicing managers. (입장과 실천) 전략을 연구하고 가르치고 또 실무자들에게 조언을 해 주는 역할을 하는 전략경영학회의 회원들이 전략과 관련하여 실무자들에게서 가장 듣는 말이 아마도 “전략은 좋았는데 실행이 잘 안 됐다”일 것이다. 이 말은 사실인가? 본 연구에서는 이 말은 정확하지 않으며, 전략 수립과 실행의 관계에 대한 오해와 전략 수립과 실행의 주체에 대한 혼란이 이런 표현을 낳는다고 주장한다. 전략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되짚어 봄으로써 이것이 일종의 오해라는 결론에 도달해 본다. 또한, 이러한 오해를 풀어주지 못하는 뿌리에는 전략 실행과 변화에 대한 이해와 통찰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것이 이유이며 왜 전략 수립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지에 대해서 논한다. 마지막으로, 실무자들에게도 유용하며 권위 있는 조언을 가능하게 해 줄 실질적인 전략 실행 연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 어떻게 접근할 수 있을지에 대한 견해도 제시한다.

      • KCI등재

        정책레짐에 관한 이론적 연구

        김길수 ( Kim Gil-soo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1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5 No.2

        정책레짐이론을 활용한 연구는 국제레짐, 도시레짐과 달리 미흡한 편이다. 그 이유로 정책레짐에 대한 합의된 정의가 없어서 연구자마다 이 용어를 달리 사용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레짐이론은 정책의 정치적 국면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 분야에서 레짐의 개념을 적용한 연구경향을 살펴본 후, 문헌연구를 통해 정책레짐의 구성요소, 정책레짐의 변화, 정책레짐이론의 유용성과 한계를 살펴보았다. 정책레짐은 정책패러다임, 권력배열, 제도적 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패러다임의 전환→정당성 위기→권력이동→제도적 장치의 변경을 통해 정책이 변화한다는 것이다. 또한 정책레짐이론은 정책의 정치성을 부각하였기 때문에 기존의 정책이론을 대체하지 않고 보완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정책하위시스템들을 유용하게 구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성은 있으나, 사적 레짐을 설명하지 못하고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한계가 있다. 이 연구를 토대로 실증적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Unlike international regime and urban regime, there are not researches using policy regime theory. For that reason, there is no consensus definition of the policy regime, so it can be said that each researcher uses this term differently. However, the regime theory can be said to be a useful theory for understanding the political aspects of policy. In this study, after examining the research trends in which the concept of the regime was applied in each field, the components of the policy regime, changes factor and process in the policy regime, and the usefulness and limitations of the policy regime theory were examin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policy regime consists of a policy paradigm, power arrangement,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and policy changes through a paradigm shift → a crisis of legitimacy → power transfer → change of institutional arrangements. In addition, the policy regime theory is useful in that it does not replace the existing policy theory and can be used complementarily because it emphasizes the politics of policy, and it is useful in that it can usefully classify policy subsystems. There is a limit to being unclear. I hope that empirical research will be conducted based on this research.

      • KCI우수등재

        텔레비전 정치광고가 후보자 이미지 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탁진영(Jin-Young Tak) 한국언론학회 2006 한국언론학보 Vol.50 No.5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elevision political advertising on voters' candidate image changes based on the experimental study during the 1997 and the 2002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not to find out the effects of whole candidate image, but to find out the effects of respective image components on young voters between the 1997 and the 2002 campaign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changes in candidate image component influenced voters' intention to vote for the advertised candidate and emotional responses to the candidate between the 1997 and the 2002 campaign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factor structures of candidate imag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1997 and the 2002 campaigns. In conclusion, candidate image was proved to be not a static one, but a variable concept in accordance with the lapse of time.

      • KCI우수등재

        국어사의 발전과 과제

        한재영(Han, Jae-young) 국어국문학회 2018 국어국문학 Vol.0 No.184

        본고는 ‘국어사 대계’(가칭, 이후 ‘대계’로 약칭하기로 함)를 준비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국어사 기술의 현황을 돌아보고, ‘대계(大系)’를 집필하게 될 경우에 생각하여 볼 내용들을 점검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되었다. ‘대계’의 얼개를 제시하고, ‘대계’를 준비하면서 취하여야 할 태도와 스스로 유의하여야 할 점들에 관하여 ‘국어사’를 기술하기 위한 영역별․주제별 부분 작업들이 진행될 경우에 유의할 점들을 돌아본 것이다. ‘대계’의 집필을 위하여 먼저 진행한 작업은 다루고자 하는 영역과 주제를 정하는 일이었다. 방법론과 국어사의 여러 문제 그리고 국어사를 집필하기 위한 자료와 관련된 문제라는 점에서 문자와 표기 관련 주제를 ‘대계’의 하위 영역에 넣기로 하였다. 아울러 음운, 문법, 어휘 영역의 하위 분야도 기존 업적에 기대어 정리하여 보았다. 이어 집필 과정에서 염두에 두어야 할 점들을 영역별 사례를 들어 살펴보았다. 먼저 자료의 보완이라고 하는 점에서 고려시대의 이두와 석독구결 자료 목록을 확인하여 검토 과제로 제시하였다. 같은 이유로 그동안 충분한 검토의 대상이 되지 못하였던 근대국어 자료에 관한 관심도 필요한 상황임을 이야기하였다. 보다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먼저 음운론과 관련하여 성조 문제를 생각하여 보았고, 문법론과 관련하여서는 격과 경어법 그리고 시상 문제를 들어서 예로 제시하였다. 변화를 이야기할 경우에는 변화의 시기 파악이 그리 간단한 것이 아님을 이야기 하였고, 체계 변화를 이야기하기 위해서는 제기될 수 있는 문제를 수용할 수 있는 체계 확립을 도모하고 그를 바탕으로 변화를 논의하는 것이 온당할 것이라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기존의 많은 논의에도 불구하고, 선입견이나 편견에서 벗어나야 사실에 가까이 갈 수 있음도 지적하였다. 집필이 마무리된 이후라고 하더라도, 의미있는 국어사의 시대구분 작업은 여전한 과제가 될 것임도 이야기하였다. 영역별․주제별 시대구분의 판단에 활용된 각각의 사건이 가지는 가치판단 작업과 그 과정에서 동의를 구하는 작업 자체가 그리 만만한 일이 아닐 것이기 때문이다. As a first step to prepare an outline with the Korean language history (hereafter, “Outline”), this paper reviews the current literature on the Korean language history and the tasks to be done for developing Outline. We propose the framework for Outline and suggest the attitude that scholars should have throughout the whole period of writing Outline. Firstly, we determine the areas and the topics to be addressed for writing Outline. Since Outline targets to develop a methodology, solve various problems of the Korean language history, and provide with the data to document the Korean language history, we locate the subjects related to the letters and notation the subcategories of Outline. In addition, we, building on prior works, include some part of related fields, such as phonology, grammar, and lexicon, in this paper. Secondly, we give some cautionary notes on authoring the Korean language history with the examples for each area. We begin with reviewing the list of documents of “Idu” and “Gugyeol” in the Goryeo Dynasty of Korea as supplementary material to be included. For the same reason, we ask for scholars’ attention towards data on the modern Korean language, which has not been examined sufficiently.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examines tone in terms of phonology. It also discusses a case, honorific and tense in relation to the grammatical theories. When it comes to changes, we note that distinguishing the timing of the changes is not a simple but a complex task. We propose that scholars better establish the system which embraces the possible problems occurring from the task. Despite the existing discussions around this issue, we point out that new approach, by which scholars can get rid of their prejudices and preconceptions, can get us closer to the truth. Even after the Korean language history is written, a meaningful period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history will be a task for future researchers to continue. This is because both judging the value of each event used for the periodization and making a consensus on the result are deman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