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이 특수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은라,박재국,장지현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ing efficacy in the effects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happiness. [Method] The survey on teacher-student interaction, happiness, and teaching efficacy was conducted with 280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SEM verification, and bootstrapping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Results] First, the levels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happiness, teaching effica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found to be positive, and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confirmed among the three variable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teaching efficacy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s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happines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a practical strategy that can be applied to the school scene, such as various strategies that can improve the level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improve teaching efficacy at the same time, was proposed as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happin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 행복감, 교사효능감 수준을 파악하고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핌으로써 특수교사의 행복감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280명을 대상으로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 행복감, 교사효능감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SEM 검증,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특수교사의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 행복감, 교사효능감 수준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변인 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둘째, 교사효능감은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이 특수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미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특수교사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방안으로써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과 교사효능감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전략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 탐구수업에 나타난 초등학교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패턴 분석

        성경환(Sung kyunghwan),권동택(Kwon dongt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탐구수업에 나타난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새로운 교육적 요구에서 강조하고 있는 교사의 의사소통 역량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방법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다양한 수업방식과 교수 실천에 있어 실제 교실 상황을 분석하는 일은 주로 발문이나 언어적 의사소통 연구에 치중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교사와 학생의 의사소통 과정에서 다양한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의 실증적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탐구수업 관찰 프로토콜(RTOP)과 행동 분석 프로그램(Observer XT)을 활용하였고, 현직 교사 3명의 실제 수업 촬영 영상을 대상으로 상호작용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교사와 학생의 RTOP 분석에서 상호작용 척도 측정결과에서 상호작용 척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탐구수업에서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의 하위 요소 중 정보제공 및 설명시 제스처를 사용하는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수업에서 교사가 중심일 때 보다 학생 중심으로 진행될 때, 교사와 학생의 친밀한 거리, 학생 개개인과의 눈 맞춤 비율이 늘어났고, 학생들의 질문과 요구에 직접적으로 반응하는 행동 패턴이 두드러졌다.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의 수업 영상에서는 학생들을 평가 하거나 피드백 하는 빈도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중요한 정보 제공 시 모두 목소리에 적절한 변화를 주어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현재뿐만 아니라 앞으로 변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 수업에서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더욱 강조되고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나갈 것이라고 볼 때, 새로운 교육적 요구에서 강조하고 있는 교사의 의사소통 역량은 단순한 학생들의 참여의 여부와 활동 의미를 두기보다는 상호작용 시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잘 활용하는 것이 아동들에게 의미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teacher s communication competency, which is emphasized in new educational demands, by analyzing the interactio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patter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inquiry classes. Methods Whil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the analysis of actual classroom situations in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practices has mainly focused on questionnaires and verbal communication studies. We collected and analyzed empirical data on various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To this end, the inquiry class observation protocol (RTOP) and behavior analysis program (Observer XT) were used, and interactio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the actual class footage of three incumbent teachers. Results In the inquiry class where the interaction scale was the highest in the RTOP analysis of teachers and students, the ratio of using gestures for information provision and explanation among the sub-elements of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was also high. When the class was student-centered rather than teacher-centered, the close distance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 and the ratio of eye contact with each student increased, and the behavioral pattern of responding directly to the students questions and demands was prominent. In the classroom video of the teacher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the frequency of evaluating or giving feedback to students was rarely seen, and it was found that all important information was emphasized by changing the voice appropriately. Conclusions Considering that learner-centered classes will be more emphasized and continuously expanded not only in the present but also in the future classes that are expected to change in the future, the teacher s communication competency emphasized in the new educational demands depends on whether or not students simply participate. It suggests that it is meaningful for children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and use it well in interaction, rather than placing the meaning of activities with children.

      • KCI등재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과학 수업 이미지에 나타난 상호작용 분석

        전경문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9 科學敎育硏究誌 Vol.4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acher-students interactions shown in the images of elementary science class by preservice teachers. We applied nine analysis criteria in three domains such as emotional support (climate, regard for student perspectives, teacher sensitivity), classroom organization (instructional learning formats, behavior management, productivity), and instructional support (quality of feedback, language modeling, concept development) in the aspects of positive or negative interactions The results show that majority of student-teachers tended to prefer positive interactions especially regarding instructional learning formats or concept development. For the image of avoided class, they tended to show negative interactions related to instructional learning formats or regard for student perspectives. However, they showed extremely lower frequencies for some categories of negative interactions. Female preservice teachers tended to have slightly higher frequencies for some positive interactions than their counterpart. The findings indicate possible approaches to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further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과학 수업 이미지에 나타난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을 조사하는 것이다. 정서적 지원(분위기, 학생 시각에 대한 관심, 교사 민감도), 수업 조직(교수학습 형식, 행동 조절, 생산성), 학습 지원(피드백의 질, 언어 모델링, 개념 발달)의 3개 영역 총 9개 기준에 의해 긍정적 상호작용과 부정적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상당수 학생들이 교수학습 형식 또는 개념 발달에 해당하는 긍정적 상호작용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기피하는 수업의 경우에는 교수학습 형식 또는 학생 시각에 대한 관심 측면의 부정적 상호작용이 많이 나타났으나, 그 외 매우 낮은 빈도를 보인 상호작용 요소들도 있었다. 그리고 여자 예비교사들이 남자에 비해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약간 더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사전문성에 대한 함의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수학화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 양상과 교사의 담론 구조

        최상호 한국수학교육학회 2020 수학교육 Vol.5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acher's discourse structure of teachers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patter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in the process of mathematization. To achieve this goal, we observed a semester class (44 lessons) of an experienced teacher who had practiced teaching methods for promoting student engagement for more than 20 years. Among them, one lesson case would be match the teacher’s intention and the student’s response and the other one lesson case would be to mismatch between the teacher’s intention and the student’s response was analyzed. In other words, in the process of mathematization based on students' engagement, the intention of the teacher and the reaction of the student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ases where students did not make an error and when they made an error. A methodology used to develop a theory based on data collected through classroom observations(grounded theory). Becau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teacher's discourse structure to help students’ mathematization, observe the teacher's discourse and collect data based on student engagement. Based on the teacher's discourse, conceptualize it as a discourse structure for students to mathematization. As a result, teacher's discourse structure had contributed to the intention of the teacher and the reaction of the student in the process of mathematiza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can help the development of classroom discourse for mathematization by specifying the role of the teacher to help students experience the mathematization process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화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 양상에 따른 교사의 담론 구조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학생들의 참여를 촉진하는 교수법을 20년 이상 실행한 경력 교사의 한 학기 수업 44차시 중에서 수학화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서로 다른 상호작용 양상을 보이는 대표적인 경우 각각 1차시 수업을 비교분석하였다(근거 이론). 분석 결과, 학생들의 참여 양상을 고려한 교사의 담론 구조는 수학화 과정 경험에 도움을 준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학생들과의 상호작용 양상에 따라 수학화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교사의 역할을 구체화함으로써 수학화를 위한 교실 담론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일-삶 균형이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장지현 ( Jang¸ Jihyun ),박재국 ( Park¸ Jaekook ),김은라 ( Kim¸ Eunra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2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nse of efficacy, Work-Life Balance on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to present the future direction of program development to improve teacher’s sense of efficacy, Work-Life Balance, Teacher-Student Interaction. [Method] 251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Results] First, the level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nse of efficacy is positive. Second, the level of Work-Life Bala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is normal. Third, the level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is positive. Fourth, among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Teacher-Student Interac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personal teaching efficacy, which are sub-factors of teacher efficac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we will use it as basic data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the teacher efficacy, work-life balance, and level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of special teachers. Also it can be used as evidence when planning a counseling program for people having difficulties in teacher-student interaction.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