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학술지를 통해 본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최근 5년간을 중심으로

        강홍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3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일본수학교육학회에서 발행하는 초등수학교육에 관한 학술지 ‘산수교육’을 통하여 학술지의 구성, 게재된 초등수학 관련 논문의 개요를 파악하여 정통적 초등수학교육 학술지인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에 시사점을 주기 위함이다.

      • KCI등재후보

        우리 나라 초등교육의 변천과정과 현황문제 및 과제

        조연순,우재경 한국초등교육학회 2002 초등교육연구 Vol.15 No.2

        초등교육은 '의무교육'이고 '보통교육'이라는 보편 타당성의 논리에 가리워져서 그 역사에 비추어 볼 때 초등교육의 정체성은 아직 확립되지 못한 채, 국가의 정책에 따라 그 방향이 정해지고 있다. 초등교육은 어떤 목적을 갖고, 어떤 내용과 방법으로, 그리로 누구에 의해 이러한 것들이 계획되고 실천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본 논문은 우리 나라 초등교육의 효시인 조선시대 서당교육부터 시작하여 개화기와 일제시대, 미군정기, 정부수립이후의 초등교육은 어떠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역사적인1 맥락 속에서 다음과 같은 현황문제들을 논의하였다. 1) 초등교육의 목적 및 역할로서 '기초교육'의 의미', 2) '교과활동'과 '특별할동', '재량활동'으로 구분하는 현행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의 문제, 3) 지나치게 잘게 쪼개져 있는 활동중심 교과내용 구성의 문제, 4) ICT의 지나친 강조로 획일화되고 있는 초등 교수-학습방법의 문제, 5) 더하기식으로 나열되고 있는 중앙과 지역 행정 기판의 역할과 기능의 분리문제.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향후 과제들을 제시하였다. Elementary education has been conceptualized as 'compulsory' and 'general' education for all the people in this country, Therefore, most of the policies of elementary education have been decided by the government so far However, for the children who should survive in the new millennium, the goals and objectives, the contents and methods of elementary education should be reconsidered. As starting work for the above goals, this paper traces the history of Korean elementary education beginning from 'Seodang education' in the Lee dynasty through the age of Enlightenment and Japanese occupation,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on,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Korean government. Then the following current problems are identified and discussed: 1) the vague meaning of 'elementary' as a goal of elementary education 2) the problem of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 which is divided into 'subjects activities','special activities' and 'arbitrary activities' 3) the problem of activity-based contents of subjects which are split into small pieces 4) the problem of teaching method which is enforced by ICT excessively 5) the problem of administration bureau's role which is indifferent between central and local. Finally, some tasks for the future are sugges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elementary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후보

        개화후기(1906~1910) 초등교육의 성격 탐구

        조연순 ( Jo Yeon Sun ),정혜영 ( Jeong Hye Yeong ),김정준 ( Kim Jeong Jun ),김형숙 ( Kim Hyeong Su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3 초등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근대초등교육이 제도적으로 증등교육으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한 개화후기 초등교육의 성격을 탐색함으로써 초등교육의 본질적 특성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화후기의 사회적 상황과 교육적 요구, 초등학교의 교육목적, 교과과정과 교육내용, 교육방법과 평가, 초등교원 양성과 임용과정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당시 초등교육의 성격이 어떠했는지 규명하였다. 개화후기의 관·공립학교는 일제의 식민지화를 위한 준비교육의 장이 되었으며 사립학교는 통감부의 교육정책에 저항하고 민족교육, 애국인재 양성의 역할을 하였다. 이 당시 공·사립 학교는 초등교육의 특성인 아동 중심적 교육을 실천하기보다는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간 형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열악한 시대적 상황 가운데서도 이 시기의 초등교육은 제도적으로나 교과과정 면에서 중등교육과 분리되어 분화·발전함으로써 한국 초등교육의 공교육화에 기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essential nature and its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education during the latter period of the Enlightenment, 1906-1910, focusing on the areas of social background, educational needs, educational purposes, school curricular,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and teacher education system.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laws and government documents, newspapers, and educational journals that were amended and published during the period were analyzed Comparing to the beginning period of the Enlightenment(1880-1905) that the idea of elementary education had not developed, this study showed that the last five years of the Enlightenment period were identified as an initial stage that the modern meaning of elementary education was systematically split up and specified from the meaning of the secondary education. Thus, the ideas of elementary education and elementary curricular were differentiated from the early-child or secondary ones for the first time, and its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ary education were identified, developed, and refined. However Korean elementary education in that period, showed two contrasting tendencies according to the bodies of foundation. The public elementary schools during the period were used for strengthening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over Korea, whereas the private ones were mainly emphasized on educating nationalists and patriots who would resist against Japan, though the educational resistances from the private sector were soon eradicated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lthough the idea of the child-centered education was introduced, but had not implemented yet to both public and private schools.

      • KCI등재

        독일'초등학교교육학(Grundschulpadagogik)'의 학문적 성격 : 한국 초등교육학 정립에 주는 시사 Die Bedeutungen und Aufgaben der ' Grundschulpadagogik ' in Korea

        정혜영 한국초등교육학회 2001 초등교육연구 Vol.14 No.3

        이 논문에서는 초등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은 그 대상인 초등학교를 명확하게 드러내어 '초등학교 교육학'으로 규정 지음으로써 확보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 독일의 '초등학교교육학'의 학문적 성격을 고찰하고, 그것이 한국 초등교육학 정립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독일의 '초등학교교육학'은 교육개혁의 맥락 속에서 '학교교육학'의 부분영역으로 성립되었으며. '기초단계 교육학'과 '초등학교 교수학'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학문적 독자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초등학교교육학'의 연구영역들로서 초등학교이론, 초등학교 수업이론, 초등학교 특수적인 교육내용, 교사에 관련된 이론 등이 제시되었으며, 연구방법으로서 비교연구방법, 역사연구방법, 정신과학적-해석학적 연구방법, 경험적 연구방법, 행위적 연구방법 등이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독일의 '초등학교교육학'이 한국 초등교육학 정립 및 초등교사 양성교육 실제에 주는 의미와 과제가 시사되었다. Seit einigen Jahren wird die Diskussion u¨ber die Eigensta¨ndlichkeit der Grundschulerziehung vielfach entwickelt. Fu¨r die Feststellung der Eigensta¨ndlichkeit der Grundschulerziehung wird zuna¨chst eine theoretische Grundlage fu¨r die Grundschule gefordert, dafu¨r ist es notwendig, eine wissenschaftliche Disziplin u¨ber die Grundschule zu feststellen. In Deutschland wird schon die Theorie der Grundschule als ein selbststa¨ndliches Forschungsgebiet mit dem Namen der 'Grundschulpa¨dagogik' festgestellt. Das Ziel dieser Arbeit ist es, den wissenschaftlichen Charakter der 'Grundschulpa¨dagogik' von Deutschland zu betrachten and die Bedeutungen and Aufgaben der Grundschulpa¨dagogik in Korea zu vorstellen. Diese Arbeit besteht aus den vier Kapiteln, in denen die Entstehungskontext und erziehungswissenschaftlicher Standort der 'Grundschulpa¨dagogik', die wissenschaftliche Eigensta¨ndigkeit der 'Grundschulpa¨dagogik', die Gegenstandsbereiche und die Forschungsmethoden mit den deutschsprachlichen Fachliteraturen untersucht werden. Zum Schluβ habe ich die Bedeutungen and Aufgaben der Grundschulpa¨dagogik in Korea mit der Theorie der 'Grundschulpa¨dagogik' von Deutschland vorgestellt.

      • 주제발표 : 초등도덕교육 I·II 운영사례와 제언

        차미란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

        한국의 교육대학교에서 ``초등도덕교육``(또는 ``초등도덕과교육``)은 교육대학교 재학생이 수강해야 할 필수 과목으로서, 2학년에서 ``초등도덕교육Ⅰ``, 3학년에서 ``초등도덕교육Ⅱ``를 수강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교과교육 분야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겠지만, ``초등도덕교육Ⅰ``은 초등 도덕교육 분야의 이론적 기초를 다루고, ``초등도덕교육Ⅱ``에서는 초등학교 바른 생활 및 도덕과의 수업과 학습지도에 필요한 실제적 기술과 전문적 능력을 기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최근 강화되고 있는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표준화 방안은 강의 목표나 방향뿐만 아니라, 주별 강의 주제와 내용의 표준안을 개발하여 적용하도록 권고하는 수준에까지 이르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지난 수년간 강의를 담당해 온 ``초등도덕교육Ⅰ, Ⅱ`` 강좌의 운영 사례를 보고함으로써 도덕교육 이론의 핵심 내용을 확인하고 초등 도덕과교육의 운영 원리를 확립하기 위한 학술적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를 통하여 초등도덕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초등과학교육 학술지 논문의 결론 구조 분석

        김민재,김동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2 초등과학교육 Vol.41 No.1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lusions” section of a thesis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nd presents a conclusion model that can be used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journal published by the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ssociation, the conclusion section was analyzed on the four-year academic papers published. First, the title of the concluding chapter and the number of conclusions frequently used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were identified. Results showed that most commonly used title for the conclusion section was “Conclusion and Suggestion,” and the length of the section was 85.4 lines or 2.1 pages.. The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clusions of elementary science journals in sentence units, we found stages as a kind of semantic unit frequently used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papers. Further, we obtained that these stages are often us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stages. Finally, a conclusion template for papers commonly used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was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when drafting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papers. Furthermore, specific thesis regarding education plans and educational materials might be prepared for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graduate students based on the present results. 본 연구는 초등 과학 교육 분야 논문에서 ‘결론’ 부분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초등 과학교육 분야에서 통용될 수 있는 결론 모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초등 과학 교육 학회에서 발간되는 ‘초등과학교육’ 학술지에 게재된 4개년간의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결론 부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과학 교육 분야에서 자주 사용되는 결론 장의 제목과 결론의 분량을 파악하였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결론 장의 제목은 ‘결론 및 제언’ 이였다. 결론 분량의 경우 평균 85.4줄로 분석되었으며 이를 ‘쪽’ 단위로 분석하였을 경우 평균 2.1쪽의 분량으로 집계되었다. 둘째, 초등과학교육 학술지논문 결론의 내용을 문장단위로 분석한 결과 초등 과학 교육 분야 논문에서 자주 사용되는 일종의 의미 구성단위로서의 단계들을 발견하였고 이러한 단계들이 특정 단계와 연결되어 구조를 이루며 사용되는 경우가 빈번함을 발견하였다. 셋째,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과학 교육 분야에서 통용될 수 있는 논문의 결론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 과학 교육논문 작성 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과자료를 바탕으로 초등 과학 교육 분야 교육대학원생을 위한 구체적인 논문 작성 교육 방안과 교육자료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초등교육 미래 비전에 비추어본 초등교원 양성 교육 개편 방향

        박남기 ( Nam Gi Park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1 초등교육연구 Vol.24 No.3

        이 논문에서는 초등교원 양성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주어진 미래로서가 아니라 시대와 환경의 변화에 부응하면서 우리가 바라는 미래, 즉 블루오션을 만들어가기 위해 미래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상은 무엇인지, 이러한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 필요한 초등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어떠할지를 예측해보고, 이러한 인재상과 요구를 바탕으로 미래 초등교육의 목표를 추출해본다. 이어 제시된 초등교육 목표를 달성하며 필요한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 미래 초등교사가 해야 할 역할은 무엇인지, 마지막으로 그러한 교사를 길러내기 위해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은 어떠한 방향으로 바뀌어야 할지를 분석·제시한다. 이 논문이 밝힌 미래 초등교육의 목표는, 개개인의 잠재력을 발굴·육성하는 개별화된 맞춤형 초등교육, 자기 주도적 학습력을 갖춘 창의적 인재 육성, 열린 세계관과 유연한 적응력을 갖춘 가슴 따스한 에코 지구인 육성, 행복한 삶의 공간으로서의 초등교육 등이다. 미래 초등교사의 역할은 맞춤형 교육자·안내자·조력자, 진로지도자, 네트워크 활용 전문가, 학부모 교육 주도자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suggest the directions to reorganize the present elementary teacher training program. This research takes into account projections of future elementary schools based on social demands and how to meet its needs. In addition, roles of teachers will be examined and redirected in teacher training programs that are provided by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The goals of futur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are individualized-child center approach as in seeking ways to maximize a child`s potential, educating students to become self-directed and creative, raising students` eco-global consciousness, receptive and adaptable to new ideas and most important concern for global citizens.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schools should become a thriving and welcoming place. The roles of teachers will be enhanced to become experts in implementing individualized-child center education, career guidance and motivator, specialists in social networking and leader of parent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ICT 활용교육'과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연계성 및 개선방안 연구 : 초등교사 인식중심으로

        이미자,송지은 한국초등교육학회 2002 초등교육연구 Vol.15 No.1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은 최근까지 5, 6 학년 대상으로 컴퓨터 소양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7차 교육과정에서는, 지금까지의 컴퓨터 소양교육 중심에서 벗어나 교수 학습 과정에 컴퓨터 활용교육을 더욱 강조한다. 이러한 교육방침에 따라 7차 교육과정은 2001년부터 초등학교 모든 국민기본공통과목 교수 학습 과정에 10% 이상 'ICT활용교육'을 필수화하였다. 따라서 초등교사를 양성하는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은 이러한 초등교육과정 변화와 이에 따른 초등학교 현장의 요구를 분석하고 이를 충실히 반영한 교육과정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ICT활용교육 필수화에 따른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실제 초등학교 현장 교사들 중심으로 ICT활용교육 실태를 조사하고, 또한 이러한 초등 ICT활용교육 변화와 교육대학교 교육과점과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광주광역시, 경기도 지역에서 무선표집된 초등교사 316명이었다. 측정도구는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SAS 프로그램으로 각 문항별 빈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선 초등교사들이 ICT활용교육의 필요성은 높게 인식하고 있으나 ICT활용교육 방법에 대한 이해가 매우 부족하였고 이에 따른 교사들의 ICT 활용 능력 함양이 중요한 과제로 지적되었다. 또한 ICT활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현장과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연계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교육대학교 ICT 관련교육은 ICT소양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교수 학습과정에서의 ICT활용교육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초등학교 ICT활용교육과 교육대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초등학교 ICT활용교육에 대한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개선을 위해 무엇보다 다양한 ICT활용 교수 학습방법에 관한 교육내용을 강화 또는 이러한 과목을 신설하여야 한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Until recently, elementary school computer education had been implemented as computer literacy education for 5th - 6th children. According to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computer education is extended from computer literacy education to computer application education in classroom. The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mposes that it is mandatory for teachers to implemen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for at least 10% of instructional process for all of the fundamental curriculum subje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to make change the curriculum in order to prepare students to have appropriate ability adapting the computer education policy change in elementary school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been implementing the ICT application education, to evaluate the relevancy of the curriculum of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for ICT application education, and to provide curriculum improvement strategies for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316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om 34 different schools located in Seoul, Gwangju, and Kyunggi province. The participants have less than 5 years teaching experiences after graduating from one of the 11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The research tool was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for the study. This study used SAS program to analyze the data. The frequency of each questionnaire items was analyzed and the variance among subjects groups was analyzed using for x^2 for a few selective survey i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think the ICT Application Education is very important and necessary for elementary education in 21st century information age. However, they have lack of ability to implement ICT Application Education in classroom instructional process. Second,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relevancy between elementary school ICT application education and the curriculum of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is relatively low. The curriculum of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emphasizes mainly ICT literacy education, but rarely ICT application education yet. Third, most teachers suggested that the curriculum in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should include the educational program for the ICT Application Education.

      •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목표에 관한 고찰 - 20세기 말 개정된 교육과정 및 해설서를 중심으로 -

        임문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05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9 No.2

        이 연구는 20세기 말 거의 같은 시기에 개정된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그 해설서를 비교하여, 차후 한국의 교육과정과 해설서 개발에 도움을 얻기 위함이다. 첫째로, 한국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은 학문의 체계와 학습의 우열 및 발전 의지를, 일본은 수학의 일상생활에의 적용과 수학 학습의 즐거움을 중시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로, 일본의 산수과 교육과정 해설서는 한국에 비해, 교육과정의 개정에 초점을 맞추어 산수과 목표를 세분하여 구체적으로 해설하고 있다. 각 내용 영역에 대한 전체적 목표를 진술하고 학년별 내용의 관련을 표로 만들어 제시한 것은 좋은 점으로 생각된다. 끝으로, 일본은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해설서의 학년별 목표에서, 교육과정에 제시된 산수과의 목표를 일관성있게 반영하면서 큰 틀만을 개략하고 있는데. 이는 교과서 제작에서 융통성과 창작성 발휘를 기대하는 배려로 생각할 수 있다. In this study I compared Korea's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nd its handbook with Japan's curriculum and its handbook. Based on that work, I induced some suggestions which is useful to develop mathematics curriculum in the future. First, the purposes of Korea's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focused on the system of mathematics, scholastic ability and learning volition. On the other hand, Japan's curriculum concentrated on the utility of mathematics in daily life and the motive of learning mathematics. Secondly, purposes of mathematics education written in Japan's curriculum handbook, differing from Korea's, are closely divided into concrete items. Finally, purpose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each grade, written in Japan's curriculum handbook, are presented in outlined form according to general purpose of mathematics curriculum. The merit of this way is that the researcher could display flexibilities and creativities in making mathematics textbo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