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건교사의 학교내 의사결정 참여와 보건교사 효능감 간의 관계 연구

        서희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보건교사의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연구로, 보건교사의 개인특성 중 연령과 직무연수경험 변인 그리고 근무학교 환경 중 학교급과 학교소재지 변인이 보건교사 효능감과 학교내 의사결정 참여 정도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살펴보고, 의사결정 참여 정도와 보건교사 효능감 간의 관련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 소재 초·중·고 학교에 재직 중인 보건교사 118명을 대상으로 보건교사 효능감 검사와 의사결정 참여 정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령이 높은 집단과 직무연수경험이 많은 집단이 보건서비스 효능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중소도시 소재 학교에 근무하는 보건교사가 광역시 소재 학교보다 수업 효능감과 지역사회연계 효능감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연수경험이 많은 집단이 의사결정 참여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보건교사가 중학교, 고등학교 재직 교사보다 의사결정 참여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사결정 참여 정도는 보건교사 전체 효능감, 지역사회연계 효능감, 업무·대인관계 효능감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건교사 전체 효능감에 영향을 미쳤지만 상관 정도와 영향력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건교사의 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효능감이 낮게 나타난 직무영역인 수업, 지역사회연계, 업무·대인관계에 대한 직무연수 프로그램이 강화되고 수업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정책이 필요하며 학교내 의사결정과정에 보건교사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개방적이고 지원적인 학교조직풍토의 조성이 요구된다.

      • KCI등재후보

        초등교사의 ICT 교수효능감과 교사 및 학교 수준 변인의 위계적 관계

        김영흥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1 實科敎育硏究 Vol.27 No.2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ICT 교수효능감과 교사 및 학교 수준 변인의 위계적 관계를 구명하 는 데 목적이 있었으며, 이를 위해 분석대상은 TALIS 2018에 참여한 한국의 149개교의 학교장 과 2,508명의 초등학교 교사로 선정하였으며, 분석 시 이들이 응답한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선 형 모형 분석(HLM)을 실시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α-level)은 5%(α=0.05)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ICT 교수효능감은 평균 3.07(꽤 잘할 수 있 음=3)로 높은 수준이며, 교사양성과정을 통한 ICT 활용 준비도는 평균 2.79(잘 준비됨=3)로 보 통 수준이고, 10명 중 7명의 교사가 ICT 활용과 관련된 전문성 개발 활동에 참여하며, 수업을 위 한 동료교사와의 협력 정도는 평균 10.04로 보통 수준이다. 또한, 이들이 소속된 학교의 교장이 갖는 교사의 수업과 관련한 지도성은 평균 2.76(자주함=3)으로 보통 수준이며, 학교풍토는 평균 3.53(매우 동의함=4)로 혁신친화적이며, 물리적인 ICT 활용 환경 부족에 대한 이슈가 평균 3.35(약간 존재함=3)으로 약간 존재한다. 둘째, 초등교사의 ICT 교수효능감은 교사 개인과 학교 조직의 특성에 영향을 받으며, ICT 교수효능감 차이는 교사 개인 간 차이에 의해 대부분이 설명되 지만, 학교 간 차이에 의해서도 일부 설명된다. 셋째, 초등교사의 ICT 교수효능감은 여성보다 남 성이, 전문대학보다 석사학위를 소지한 교사가 더 높고, 교직경력이 낮을수록, 교사양성과정을 통 한 ICT 활용 준비도가 높을수록, ICT 활용 전문성 개발을 위한 연수에 참여하고, 동료교사와 활 발히 협력할수록 높아진다. 넷째, 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학교의 ICT 활용 환경은 간접적으로 교 사의 ICT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ICT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s-level and school-level variables. For this purpose, the analysis target was selected as the principals of 149 schools in Korea and 2,508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ALIS 2018. Hierarchical linear model analysis(HLM) was performed using the data they responded during the analysis, and the α-level was set to 5%(=0.05). The main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ICT teaching efficacy is high with an average of 3.07, and the level of readiness for using ICT through the teacher training process is average with an average of 2.79, 7 out of 10 teachers participate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related to the use of ICT, and the degree of cooperation with fellow teachers for instruction is average, with an average of 10.04. In addition, the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of the school to which they belong is an average of 2.76, which is average, and the school climate is on average 3.53, which is innovation-friendly. There are a few issues about the lack of ICT utilization environment with an average of 3.35. Seco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ICT teaching efficacy is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teachers and school organizations, and differences in ICT teaching efficacy are mostly explained by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but are partially explained by differences between schools. Third, the ICT teaching 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higher for men than for women, higher for teachers with master's degrees than at junior colleges, and the lower the teaching experience, the higher the readiness to use ICT through the teacher training course, the mor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ICT use. The more you participate in the training for students and actively cooperate with your fellow teachers, the higher the level. Fourth, the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the school's environment for using ICT indirectly affect the teacher's ICT teaching efficacy.

      • KCI등재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에 관한 분석

        박은숙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09 교육연구논총 Vol.30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로서 보육교사의 경력과 학력, 보수교육참여횟수에 따라 교사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 교사효능감에 차이가 있는 직무영역은 어떤 영역인지, 그리고 직무영역간 교사효능감의 상관관계는 어떠한지를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경력과 보수교육참가 횟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학력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직무영역별 교사효능감의 차이는 보육과정직무, 유아생활지도직무, 행사업무, 대인관계직무의 모든 직무영역에서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보수교육참여횟수에 따라서는 보육과정 직무와 유아생활지도 직무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직무영역별 교사효능감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보육과정에 대한 효능감과 유아생활지도에 대한 효능감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행사업무에 대한 효능감과 유아생활지도에 대한 효능감은 다른 직무영역별 상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ild care teachers` efficacy through their teaching experience, their educational backgrounds and the frequency of their attendance to in-service education. Also,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child care teachers` efficacy in each working section has any correlation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achers` efficacy depends on their teaching experience and the frequency of their attendance to in-service education. Second, teachers` efficacy on all working sections depends on their teaching experience. But teachers` efficacy is revealed different especially on edu-care curriculum section and child-guidance section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their attendance to in-service education. Third, teachers` efficacy is revealed to have significant correlationship with educare curriculum section and child-guidance section. But the correlations of teachers` efficacy in activities section and child-guidance section are less significant than others.

      • KCI등재

        통합학급 교사의 정서지능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엄은남,강옥려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8 한국초등교육 Vol.2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qualitative success of inclusive education by examining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eacher’s efficacy of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with high emotional intelligence level and the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with low emotional intelligence. A questionnaire survey concern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er’s efficacy was conducted on 189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of the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d T-test were conducted with the collected data.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re was overall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ir efficacy;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utilization which is a subcategory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personal teacher’s efficacy which is a subcategory of teacher efficacy. Seco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explained the teacher’s efficacy about 11.0%, the general teacher’s efficacy about 3.8%, and the personal teacher’s efficacy about 18.9% respectively. Especially, empathy which is a subcategory of emotional intellig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general teacher efficacy which is a subcategory of teacher efficacy.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efficacy and the personal teacher’s efficacy according to emotional intelligence level (upper and lower) of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Especially, the higher the level of thinking facilitation of the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the higher the general teacher’s efficacy. As it has been shown that the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can raise their teacher’s effica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various approaches are needed to promote the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In addition, each subcategory of emotional intelligence can influence on teacher’s efficacy of the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differently, so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independent view of the subcategories that make up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programs that can develop each subcategory separately. 본 연구는 통합학급 교사의 정서지능이 장애학생 교수에 대한 교사효능감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통합학급 교사의 정서지능 수준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교사효능감이 얼마나 차이가있는지를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여 통합교육의 질적 성공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수집된 자료는 피어슨의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다중선형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t-test 차이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 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효능감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으며, 정서지능 하위영역 중 정서활용과 교사효능감 하위영역 중 개인적 교사효능감이 가장 높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학급 교사의 정서지능은 교사효능감을 약 11.0% 정도 설명하고, 일반적 교사효능감을 약 3.8% 정도, 개인적교사효능감을 약 18.9%정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통합학급 교사의 정서지능 하위영역 중감정이입은 교사효능감 하위영역인 일반적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합학급 교사의 정서지능의 수준의 상하에 따라 교사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은 통계적으로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지능 하위영역 중 사고촉진은 그 수준이 높을수록 일반적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 모두 높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통합학급 교사의 정서지능은 장애학생 교수에 대한 교사효능감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변인으로, 통합학급 교사의정서지능의 다각적인 이해와 연구를 통해 통합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 증진을 위한 적극적 방안을 간구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정서지능의 각 하위영역들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각각 다르다는 점에서 정서지능을 구성하는 하위영역을 독립적으로 바라보는 시각과 각 영역들을 개별적으로 발달시킬수 있는 프로그램의 연구 또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직적응탄력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

        김영한,정균민,이지영,류애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8 No.1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eacher effectiveness on the adaptability of special class teacher ba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ese subjects are 315 special class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addition, through questionnaires,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social support, the impact of the effectiveness of special class teacher teachers on the adaptive resilience of teaching is analyzed. The questionnaire included 25 teacher effectiveness, 37 teaching adaptation flexibility and 24 social suppor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ectiveness, teaching adaptability and social support of special class teachers. In addition,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step selection method, and a Durbin-Watson value indicating the influence between the measurement errors of the dependent variables was obtained to examine the multi-collinearity between the variables. In order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the mediating effect was tested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procedure of the gradual mediating effect. To verify the import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 sobel test was perform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iveness of teachers, the ability of teachers to adapt, and the social support of special class teachers. Secondly, the teacher effectiveness of special class teachers has a direct impact on the adaptability of teaching. Third, the teacher effectiveness of special class teachers has a direct impact on the support of private tutoring. Fourth, the social support of special class teachers directly affects the adaptability of teaching. Fifth, when teacher effectiveness and social support are affected more than the influence of special class teacher effectiveness on teaching flexibility, the adaptive flexibility of teaching adaptation increases. 본 연구는 315명의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효능감이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 교직적응탄력성, 사회적 지지는 서로 정적인 관계가 있다. 즉, 특수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그들의 교직적응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같이 높아진다. 그리고 특수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은 교직적응탄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즉, 특수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그들의 교직적응탄력성이 같이 높아진다. 이는 교사효능감의 하위영역인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일반적 교사효능감이 교직적응탄력성에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특수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사회적 지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일반적 교수효능감이 사회적 지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특수학급 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교직적응탄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인 정책 지지와 교장 지지는 교직적응탄력성에 영향을 준다. 마지막으로 특수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직적응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보다 교사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동시에 영향을 줄 때 종속변인인 교직적응탄력성을 증가시킨다. 즉, 교사효능감과 교직적응탄력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완전매개효과를 가진다.

      • KCI등재후보

        예비 공업교사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과의 상관관계 연구

        이규녀,김소연,박기문 대한공업교육학회 2011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level of key competencies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industrial teachers as related to their personal backgrounds,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variables, key competencies and teaching efficacy. This will be provided as basic resources for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key competencies and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industrial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industrial teachers was found to be above average (M=3.0), and teaching efficacy (M=3.41) was found to be a bit higher than personal teacher efficacy (M=3.28). Upon analyzing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eacher efficacy resulting from background variables, it was found that gender and major had no difference while the effect of school year on teaching efficacy of teacher efficac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the lower regions of key competencies of pre-service industrial teachers all were above the average 3.0. Gender and school year were exhibi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only the global competence of key competenc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gender and major of pre-service industrial teachers had no correlation with teacher efficacy and key competencies. On the other hand, school year variabl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 efficacy (r=.274) and key competencies (r=.168). Lastly, it was found that key competencies and teacher efficacy had positive correlation of r=.475. 이 연구는 예비 공업교사들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이 개인적 배경변인과 관련지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고,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예비 공업교사들의 직업기초능력 이해도와 교사효능감을 신장시키기 위한 예비 교원 양성 프로그램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공업교사의 교사효능감은 모두 보통(M=3.0)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교수효능감(M=3.41)이 개인효능감(M=3.28)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유의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전공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별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교수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 공업교사의 직업기초능력 하위영역은 모두가 평균 3점대로 나타났다. 성별과 학년별은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기초능력의 글로벌 역량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예비 공업교사의 성별과 전공은 교사효능감과 직업기초능력 모두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 변인은 교사효능감(r=.274) 및 직업기초능력(r=.168)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예비 공업교사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은 r=.475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정서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병임 한국보육학회 2014 한국보육학회지 Vol.14 No.3

        The present study was investigated with three main objectives in mind: (1)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teachers efficacy,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f kindergarten teachers (2) to examine that personal backgrounds make differences in their teacher efficacy, emotional labor and burnout. (3) to examine that kindergarten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emotional labor influenced on burnout. The results obtained by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eacher efficac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emotional labor but emotional labor 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relation burnout. (2) Personal background of grade was showed partly significant difference on surface behavior, physical and emotional exhaustion, diminished of personal accomplishment. Personal background of experience was showed partly significant difference on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total teacher efficacy, surface behavior, physical and emotional exhaustion, vocational skepticism and diminished of personal accomplishment. (3) The teachers efficacy explained 7% of the variance in burnout. The surface behavior explained 36% of the variance in physical and emotional exhaustion. The natural and surface behavior explained 21% of the variance in vocational skepticism. Finally, it should be studied continuously to analysis values which affect on kindergarten teachers' burnout. It is expectable to conduct some future research to investigate kindergarten teachers' burnout more deeply. 본 연구는 강원도 지역의 유아교사들을 대상(N=153)으로 교사효능감과 정서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효능감, 정서노동 그리고 소진의 상관관계를 구하였다. 교사효능감과 정서노동에서 일반적 교수효능감은 자연적 행동, 내면적 행동, 정서노동총점과 정적상관을 보였고 개인적 교사효능감은 자연적 행동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교사효능감과 소진의 상관관계에서는 개인적 교사효능감이 신체적정신적 고갈, 무능감, 소진총점과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정서노동과 소진의 상관관계에서 자연적 행동은 직업적회의, 직무환경 불만족과 정적상관을 표면적 행동은 신체적정서적 고갈, 직업적회의, 무능감, 소진총점과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개인변인으로 학력과 경력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학력에 따른 변량분석결과에서 표면적 행동이 전문대졸과 4년대졸 간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고 신체적정서적 고갈, 무능감, 소진총점은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경력에 따른 변량분석결과는 개인적 교사효능감이 3년 이상 6년 미만에서 높게 나타났고 표면적 행동은 3년 미만 경력이 높게 나왔으며 신체적정서적 고갈, 직업적 회의, 무능감 그리고 소진총점은 경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효능감과 정서노동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소진에 대한 교사효능감의 영향력에서는 개인적 교사효능감이 무능감에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정서노동과 소진에 관한 결과에서는 신체적정서적 고갈과 무능감에는 표면적 행동이, 직업적 회에는 표면적 행동과 자연적 행동이, 직무환경 불만족에는 표면적 행동과 내면적 행동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부분에서는 본 연구의 제한점과 유아교사의 소진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개인연수, 사회적 지지자 확보 등을 언급하였다.

      • 영아교사의 일중독과 직무효능감, 행복감에 관한 연구

        김정희 총신대학교 2022 總神大論叢 Vol.42 No.-

        본 연구는 어린이집 영아반에 재직 중인 영아교사의 일중독과 직무효능감, 행복감을 살펴봄으로써, 영아교사의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전략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어린이집 영아교사 232명을 대상으로 일중독과 직무효능감, 행복감 질문지를 통한 조사를 하였다. 결과 처리를 위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t-검증, ANOVA, Scheffé의 사후검증,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일중독의 차이는 연령의 경우 50대 이상이 20대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직무효능감에 있어서는 학력의 경우 행정 및 역량강화에서 대학원재학이상 교사가 고졸, 전문대졸, 4년제 대졸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이직의도는 수업수행 효능감과 일과운영 효능감, 학부모 관계형성 효능감, 행정 및 역량강화 효능감에서 이직의도가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설립유형에서는 보호효능감에서 국공립어린이집이 가정어린이집에 비해 높았다. 행복감에 있어서는 연령의 경우 자기조절 행복에서 20대 보다 40대, 50대 이상 교사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직의도의 경우 외적 행복, 내적 행복, 자기조절 행복 모두에서 이직의도가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영아교사의 일중독과 직무효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한 결과, 직무효능감 요인 중에서 영아교사의 행정 및 역량강화 효능감, 보호효능감 순으로 행복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가 영아를 담당하고 있는 어린이집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직무에 대한 효능감을 높여 내는 방향을 모색함과 동시에 영아교사의 개별 특성에 따른 일중독과 직무효능감, 행복감의 차이를 검토하고 이들을 보다 나은 방향으로 개선하는 측면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초등교사가 지각한 직무환경과 교수효과성 간 관계에서 개인, 집단적 교사효능감의 매개 효과 - 성별 다중집단분석의 적용

        최권,도승이 한국교육학회 2017 敎育學硏究 Vol.55 No.1

        이 연구는 교사가 지각한 직무환경과 교수효과성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교사효능감은 집단적 효능감과 개인적 효능감을 모두 알아보았고 직무환경, 교사효능감, 교수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성별로 집단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자는 담임 또는 교과를 담당하고 있는 전국의 초등학교 교사 416명이고, 자료 분석으로 다중집단 구조모형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환경이 교수효과성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없으나, 집단적 교사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을 통한 간접효과는 유의하였다. 둘째, 집단적 교사효능감이 개인적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직접효과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남교사 경로계수의 크기는 여교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교사의 직무환경이 개인적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집단적 교사효능감이 교수효과성에 미치는 직접효과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여교사의 경로계수에서는 유의미하게 나타났지만 남교사에서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gender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hanging path coefficients in analyzing the effect of teachers' work environment on teaching effectiveness in mediation of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nd personal teacher efficacy.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416 elementary homeroom and subject teachers nationwide. Analysis results of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s according to gender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 effect of job condition on teaching effectiveness showed no significance. But the indirect effect is significant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collective teacher efficiency and personal teacher efficiency. Second, there was a moderation effect in the path from collective teacher efficacy to personal teacher efficac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path coefficients of collective teacher efficacy on personal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gender, and the path coefficient of male teachers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female teacher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aths from teachers' work environment to personal teacher efficacy and the paths from collective teacher efficacy to teaching effectiveness between two groups. Path coefficient of female teac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at of male teachers was not significant.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환경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교사역량의 매개효과와 직급간 다집단 분석

        안도희,김누리 한국교원교육학회 201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1 No.4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직무환경이 교사역량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직․간접효과와 교사역량의 매개효과 그리고 이들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직급(부장교사, 평교 사) 간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분석 대상은 서울․인천․경기에 소재한 초 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375명이다. 본 연구 결과, 직무환경과 교사역량은 교사효능감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교사역량은 직무환경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집단 분석 결과, 직급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의 직급에 관계없이 교사 역량은 직무환경이 긍정적일수록 향상되며, 이는 곧 교사효능감 향상 에 도움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직무환경 또한 직급에 관계없이 교사 효능감 증 진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부장교사와 평교사 모두에게 있어 직무환경이 이들의 교사효능감 증진에 도움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사의 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량이 뒷받침 되어야하며, 교사의 역량 증진을 위해 서는 직무환경이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f work environment, teacher competency on teacher efficacy, and explore multigroup differences of these relations on job position(i.e., head teacher and teacher) in Korean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were 375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Measures of the teacher competency, teacher 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were administered. Teacher competency mediated between work environment and teacher efficacy. As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in job position. Positive work environment increases teacher competency as well as teacher efficacy. Moreover, work environment had positive direct effects on teacher efficacy without differences in job position. To teachers of both position, work environment helps to enhance teacher efficacy. Therefore, to improve teachers' efficacy, teacher competency must be required and to enhance teachers' competency, work environment need to be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