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에서의 국제 원격 화상강의 사례 연구 : 국제 문화이해 인식 및 참여적 수업전략을 중심으로

        서희전 한국문화교육학회 201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6 No.2

        이 연구는 한·일간 국제 원격 화상교육을 실시하고 참여한 학습자 및 교수자들의 반응을 분석하여 국제 원격 화상강의의 장·단점과 국제 문화이해 인식 수준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국제 원격 화상강의의 참여적 수업전략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에 위치한 D대학의 유아교육과 학생 23명, 부산의 D대학 교수 1인, 일본의 G대학 교수 1인, 일본의 J대학 교수 1인, 경기도의 A대학 교수 1인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도구는 국제 원격 화상강의 환경, 설문지, 인터뷰, 채팅로그 분석을 통한 참여관찰을 사용하였으며, 국제 화상강의를 위한 시스템 설치 준비, 원격강의를 위한 수업 설계, 화상시스템 교육 및 테스트과정을 거쳐 영어로 진행하는 2회의 원격 화상강의 수업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학습자들이 인식한 국제 원격 화상강의의 장점으로는 국제화 마인드향상, 전공지식의 습득 및 심화, 영어자신감 향상 등으로 나타났다. 단점 및 개선점으로는 영어의사소통의 어려움, 수업방식의 생소함, 오디오 및 네트워크의 불안정성이 지적되었다.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국제문화이해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격강의에 대한 유용성, 흥미도, 수업 지속성에 높은 만족을 보였으며 학습내용의 이해도에서도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효과적인 국제 원격 화상강의 참여적 수업전략으로 첫째, 화상강의 테크놀로지의 지원이나 교수자의 강의 전문성 뿐만 아니라 수업 전에 학습자 참여를 촉진하는 수업설계 및 상호작용적인 수업 구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격지 강의자, 현지 수업설계자, 온라인 촉진자로 구분되는 원격지와 현지 교수자들의 역할 분담을 통한 수업전략이 제안되었다. 셋째, 화상강의와 함께 온라인 채팅을 통한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 및 몰입 증진 전략이 도출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international distance lectures, investigate the level of global culture awareness, and make suggestions for effective participatory instructional strategies using an international synchronous video lecture system.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wenty three university students of early-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and four instructors (two distance lecturers, a class designer, and a online facilitator) were participated in two classes on December, 2010. Two distant lecturers in Japan taught each class for one hour and half using a video lecture system. Students and instructors used a headset and a web camera each other and they spoke in English in class. The classes were consisted of four instructional phases (Preparation, Introduction, Lecturing & Promoting participation, and Q/A). As the result, learners who attended the classes showed high satisfaction in the usefulness, interest and continuity of distance lectures, and their understanding of lecture contents and the perceived attitude of global cultural awareness also appeared high. Moreover, the participating instructors showed high interest in international distance lectures, and perceived the importance of instructional design promoting learners' participation for effective distance lect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a core factor of success in teaching through a international distance video lecture is instructional design rather than the video lecture system or the instructor's specialty in the contents of teaching. Second, international distance video lectures may be usable as alternatives to English lectures that are performed at universities for enhancing the students' global competence. Lastly, online chatting is a useful supporting tool to promote students' participation in distance video lecture processes.

      • KCI등재

        유아 창의ㆍ인성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서희전,김혜정 한국교원교육학회 201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창의·인성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유아교사의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4개 대도시 지역 소재 22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245명이며, 교사 인식 및 실태 설문지는 3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모두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은 매우 높게 인식하였으나 창의·인성 교육의 실제에 대한 이해도 및 실행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어린이집 교사의 경우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이해도에서 유치원 교사보다 더 높은 인식을 갖고 있는 반면 창의·인성 교육 실행에 대한 만족도는 유치원 교사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임교사에 비해 고경력 교사가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의·인성 교육 실태는 창의성 교육과 인성 교육을 각각 주 1~2회에 실행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창의성 교육의 활동유형으로는 음악 및 미술 등 예술활동, 블럭만들기, 신체표현활동 등 다양한 활동을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성교육의 활동유형으로는 협동학습, 교사의 모델보이기, 역할놀이, 가정연계교육 순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가정연계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교사 전체가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부모교육 방법으로는 가정통신문 활용 및 특강을 제시하였으며, 부모교육 내용으로는 부모의 정서적인 지원 및 수용적 태도, 창의·인성 교육방법, 가정의 창의·인성 교육환경 구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창의·인성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방향 제시와 유아교육 현장의 실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and current state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in young children attending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45 teachers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located at four major cities in Korea.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34 questions on teachers’ perception of needs, factors, and limitations of early childhood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current state of education time and educational activities, family-involved education method and contents,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eachers’ perception with regard to the interest and need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was very high. But their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with the execution of the actual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has been found to be relatively low. Second,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was running on 1-2 times per week in their institution. Moreover, creativity education activities carried out by the teachers were music and fine arts, block building activities,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etc. Activities of character education conduct were collaborative learning, examples in good words and deeds of teachers, role playing, and family-involved education. Third, teachers perceived the need of family involved education highly. Educational method for parents presented teachers’ letters and single-session special lectures for parents. Also, the parents educational program included parents’ emotional support and acceptance attitude,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al method and educational environment.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educational guidelines and practi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activating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협력학습지원 에이전트

        서희전,문경애,Suh Hee-Jeon,Moon Kyung-Ae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2 No.6

        지식기반사회에서 새로운 교육형태로 대두되고 있는 온라인 협력학습은 실제적이고 고차원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며 학습의 몰입을 촉진하는 효과적인 방안으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협력학습은 개인학습과 달리 팀을 구성하여 공동의 목적을 설정하고 과제를 수행하면서 산출물을 생성하는 복잡한 절차를 거치게 되며, 성공적인 협력학습을 위해 협력학습과정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그룹간 상호작용, 학습자료의 공유 촉진 전략이 필요하다. 그러나 교수자가 모든 학습자의 협력활동을 모니터하고 문제점에 대해 적극적인 조언자 역할을 수행하기에 어려운 실정이며, 기존의 협력학습지원 도구만으로는 학생들의 협력활동을 촉진시키기에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협력학습에서의 상호작용을 모니터하고 촉진하기 위해 협력학습지원 에이전트(ECOLA)를 개발하였다. 협력학습지원 에이전트(ECOLA)는 협력학습모델과 협력학습 촉진전략에 기반한 모니터링 에이전트와 촉진자 에이전트로 구현되었다. Online collaborative teaming, which has emerged as a new type of education in knowledge-based society, is being discussed actively in the areas of action learning at companies and project-based learning and inquiry-based learning at schools. It regards as an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learners practical and highly advanced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for stimulating their absorption into learning through pursuing common goals of learning together. Different from individual learning, however, collaborative learning involves complicated processes such as organizing teams, setting common goals, performing tasks and evaluating the outcome of team activities .Thus, it is difficult for a teacher to promote and evaluate the whole process of collaborative learning,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systems to support collaborative learning. Therefore, in order to monitor and promote interaction among learners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learning, the present study developed an extensible collaborative teaming supporting agent (ECOLA)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 스마트활용 숲체험 인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서희전 한국교육공학회 2015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1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방과후과정 유아들의 인성함양을 위한 숲체험 스마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22개 유아교육기관에 재직중인 245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유아 인성교육 방법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조사하였다. 숲체험 스마트 교육이란 학습자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숲체험 현장에서 오감을 통하여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직접 경험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온몸으로 체득되는 학습을 말한다. 숲체험 스마트 교육 활동 절차는 관심갖기, 체험하기, 이해 및 수용하기 과정을 통해 체험을 확장 하도록 구성된다.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조사 연구결과 유아의 인성덕목의 중요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결과는 효/예의, 질서, 정직, 존중, 협력, 배려, 나눔(봉사) 순으로 나타났으며 5점 만점에 모두 3.98~4.37로 모든 덕목을 중요 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인성 지도방법으로는 협동학습, 교사의 말과 행동에서 모델 보이기, 역할놀이, 가정과의 연계교육 실시, 도서 활용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현장학습, 스토리텔링(감동을 주는 이야기), 민주적이고 도덕적인 분위기 교실운영, 토의(도덕적인 상황에 대한 찬반토론), 세대간 지혜 나눔 전문가 활용,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성 교육을 위한 가정연계활동을 위한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결과는 부모의 정서적인 지원 및 수용적 태도가 가장 중요하며, 그 다음으로 인성 교육 방법, 가정의 인성 교육환경 구성, 인성 교육자료 활용, 인성 교육 개념 및 사례가 순으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미래 유아교육을 위한 디지털 공간 혁신사례 분석

        서희전,김동심,박주연,박남수,박창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7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spatial innovation by confirming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space and analyzing actual cases in order to prepare for futur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ethods To this end, a framework for the analysis of digital spatial innov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derived and the best practice cas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analyzed. The digital space innovation analysis framework developed through previous research consists of five elements: connectivity, creativity, autonomy, safety, and aesthetics. One national kindergarten, three private kindergartens, and one private daycare center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commendation of expert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directors and teacher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status of digital spaces. In addition, observations and photographic data through institutional visits and digital education and space innovation data provided by institutio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space for young children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purpose and vision of each institu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ve cases are as follows: construction of a smart daycare center centered on ecological play, space construction for Nuri courses using AI-based technology, convergence space between classrooms and digital media by integrating light and digital, digital environments to improve children's creativity and self-directedness, and flexible connection environment of AI play⋅smart play⋅online play. Moreover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space were described based on connectivity, creativity, autonomy, safety, and aesthetic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three directions were deduced for establishing a digital space: ‘extending beyond the boundaries’, ‘going digital together in play’, and ‘enhancing children's sensibility and sociality’. The importance of teacher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digital space design, quality verification of safe and excellent digital devices and contents for young children, digital competency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ducation community building with a focus on young children were suggested.

      • KCI등재

        보건교사의 학교내 의사결정 참여와 보건교사 효능감 간의 관계 연구

        서희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보건교사의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연구로, 보건교사의 개인특성 중 연령과 직무연수경험 변인 그리고 근무학교 환경 중 학교급과 학교소재지 변인이 보건교사 효능감과 학교내 의사결정 참여 정도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살펴보고, 의사결정 참여 정도와 보건교사 효능감 간의 관련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 소재 초·중·고 학교에 재직 중인 보건교사 118명을 대상으로 보건교사 효능감 검사와 의사결정 참여 정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령이 높은 집단과 직무연수경험이 많은 집단이 보건서비스 효능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중소도시 소재 학교에 근무하는 보건교사가 광역시 소재 학교보다 수업 효능감과 지역사회연계 효능감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연수경험이 많은 집단이 의사결정 참여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보건교사가 중학교, 고등학교 재직 교사보다 의사결정 참여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사결정 참여 정도는 보건교사 전체 효능감, 지역사회연계 효능감, 업무·대인관계 효능감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건교사 전체 효능감에 영향을 미쳤지만 상관 정도와 영향력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건교사의 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효능감이 낮게 나타난 직무영역인 수업, 지역사회연계, 업무·대인관계에 대한 직무연수 프로그램이 강화되고 수업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정책이 필요하며 학교내 의사결정과정에 보건교사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개방적이고 지원적인 학교조직풍토의 조성이 요구된다.

      • KCI등재

        XR 글래스 기반의 원격 협력학습 수업 사례연구

        서희전,박남수,손욱호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2

        In this study, XR glass-based elementary science content was developed as a distance collaborative learning type and applied in clas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social presence, XR usability, learning outcomes according to grade, gender, and learning space, and to explore class participation experience of students and teache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 students (5th and 6th grade) and 1 teacher at N Elementary School. As the research instruments, a questionnaire on variables and an interview questionnaire were used for students and teacher,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erms of social presence, XR usability, and learning outcomes according to grade and gender,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some variables according to learning space. As a result of the students' positive experiences were immersion, social presence, freedom of the body, satisfaction, help with learning.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negative experiences were hand gesture error, XR glasses improvement request, inconsistency of virtual contents, and As a result of the teacher's response, the usability of XR program and the teacher efficacy were found to be high. As for the teacher's positive experiences were feeling like students in the classroom and outside the classroom are teaching in one space, intimacy with distance classroom, active participation attitude. Teacher’s response on improvement were network error and audio quality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basic research for XR glass-based distance collaborative learning, the guidelines of XR glass-based instructional design, and the improvement of XR technology usability. 본 연구는 5G 환경에서의 XR 글래스 기반 초등과학 콘텐츠를 원격 협력학습 유형으로 개발·적용하여 사회적 실재감, XR 사용편의성, 학습성과의 차이를 살펴보고, XR 글래스 기반 협력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자와 교수자의 경험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N초등학교의 5, 6학년 재학생 8명과 교사 1명이며, 연구도구는 학생용과 교사용 설문지와 인터뷰 질문지를 각각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년과 성별에 따른 사회적 실재감, XR 사용편의성, 학습성과 측면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학습공간(교실-원격지)에 따라서는 일부 변인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XR 글래스 기반 협력학습 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경험을 살펴보면, 긍정적 경험으로는 몰입감, 사회적 실재감, 활동성, 만족감, 학습에 대한 도움이 나타났고, 부정적 경험으로는 손 제스처 오류, XR 글래스 개선 요구, 가상콘텐츠의 정합성 불일치, 오디오 품질 문제가 제시되었다. 교사의 설문 응답결과, XR 프로그램 사용성과 교사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수업에 대한 교사의 긍정적인 경험은 교실과 교실 밖 학생들이 하나의 공간에서 수업하는 듯한 느낌, 교실과 원격지 학생들 간의 친밀성 유지, 학생들의 적극적 참여 태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선사항으로는 네트워크 오류와 오디오 품질 문제가 제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XR 글래스 기반 원격 협력학습의 기초연구가 되며, XR 글래스 기반 교수설계를 위한 지침 개발과 XR 기술 사용성 향상을 위한 연구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