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당한 공동행위 사건에 있어서 과징금 산정기준으로서의 관련매출액 - 연구대상판결 : 대법원 2016. 10. 27. 선고 2015두42817 판결 -

        남윤경 ( Yun-kyung Nam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법학논총 Vol.41 No.1

        독점규제법상 부당한 공동행위를 한 사업자에게 과징금을 부과하기 위하여는 관련매출액에 위반행위의 중대성 정도에 따른 비율을 곱하여 기본 산정기준을 정한 후, 1차·2차 조정을 거쳐 최종적인 부과과징금을 산정하게 된다. 관련매출액을 산정하는 단계를 제외하고는 공정거래위원회의 재량이 개입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그러나 현행 과징금 고시를 포함한 법령에서는 관련매출액의 산정기준마저 여러 가지 불명확한 기준들로 구성되어 있다. 대상판결은 냉연강판을 제조·판매하는 3개사가 담합하였음을 이유로 공정거래위원회가 과징금을 부과한 사안에서 이 중 현대하이스코가 과징금 산정의 기초가 되는 관련매출액의 범위를 줄이기 위하여 다투었지만, 대법원은 공정거래위원회의 입장을 지지하였다. 매출액의 범위에 운송비도 포함되는가. 그리고 임가공거래의 경우 관련매출액을 어떻게 산정해야 할 것인가. 대법원은 사업자의 회계자료를 참고하여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각각의 범위는 행위 유형별로 개별적·구체적으로 판단하고 있다. 과징금은 형사적 제재와는 구별되지만 사업자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는 점을 고려하면 사업자에게 명확성 및 예측가능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과징금의 산정기준을 가능한 한 상세히 규정하여야 한다. 특히 재량이 개입될 수밖에 없는 다른 단계와는 달리 관련매출액을 산정하는 단계만큼은 법정기준에 따라 일률적으로 산정하여야 한다. 관련매출액은 용어 그대로 위반행위와 관련된 매출액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관련매출액의 선정에 위반행위의 죄질이 고려되어서는 안된다. 사업자의 위법성에 따른 조정은 나머지 단계에서 고려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따라서 매출액의 개념을 분명히 하고, 관련매출액에서의 관련되어 있다는 개념을 어느 범위까지 인정할 것인지 등을 구체화한다면 명확성 및 예측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article, the author reviews the cartel case of Hyundai Hysco Company (hereinafter `Hyundai`) under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hereinafter `MRFTA`).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hereinafter `KFTC`) imposed administrative fine against three Cold Rolled Steel manufacturers(including Hyundai). Hyundai brought a law suit to reduce the administrative fine, but the case was dismissed in the Supreme Court decision. The Supreme Court seems to have considered the various factors of the relevant turnover separately and case-specifically in calculating administrative fines. According to MRFTA, the final administrative fines are determined through the adjustment steps and processes after calculating the relevant turnover. Many factors in the adjustment criteria for calculating administrative fines are, however, so vague that there`s a possibility of an arbitrary decision. Considering the strong impact of the administrative fines, the relevant turnover should be calculated consistently, and the criteria for the relevant turnover should be at least clear, objective and foreseeable. It would be enough to consider various aggravating·mitigating circumstances later in the course of the adjustment process. The clear and objective criteria in calculating the relevant turnover will be contribute to maintain their clarity and predictability.

      • KCI등재

        분기간 매출액 변동 행태의 가치관련성

        김경태(Kim Kyung-Tae) 한국공인회계사회 2018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0 No.3

        2012~2014년까지 3년 동안 1,483개 상장사들의 분기 실적을 기초로 한 금융감독원의 분석 결과 에 따르면 상장사들은 전 기간 대비 4분기에 영업이익이 감소하는 반면 매출액은 상대적으로 감소 정도가 작거나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이 밝힌 상기 결과는 4분기, 즉 영업이 익이 감소하는 시기에 매출액은 영업이익의 변화 추세와는 차별적인 행태를 보이고 있는 것을 의미 한다. 매출액의 분기 간 변동 추세가 영업이익이 감소하는 현상과는 상이한 점을 고려할 때 금융감독원의 분석 결과는 분기 및 반기보고서에 대한 검토 등에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기업의 분기 회계정보 중 이익 정보와 관련해서 분기이익의 증가액 비중이 타분기 대비 4분기에 가장 큰 경우에 시장에서 연차이익에 대해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분기별 매출액의 변동은 분기별 이익과 변동 행태가 상이한 동시에 이익조정의 우려가 존재한다는 측면에서 분기별 매출액의 변동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분기별 이익의 변동과 상이한 형태의 매출액 변동 행태가 나타나는 경우를 중심으로 분기별 매출액 변동 행태의 가치관련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총 10년간의 기간을 대상으로 유가증권 시장과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상장사들을 이용하여 실시한 주요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타 회계정보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1~3분기 대비 4분기 매출액 증가에 대하여 시장에서 부정적으로 반응하였다. 둘째, 1~3분기 대비 4분기 매출액 증가 행태에 대한 시장의 부정적인 반응은 해당 기업의 영업이 익이 감소하는 경우에 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에 대하여 1~3분기 대비 4분기 매출액의 증가가 기업 성과의 기간 조정 등으로 인식되며 이러한 부정적인 반응은 기업의 매출액 증가가 영업이익의 변동과는 상이한 경우, 즉 영업이익의 감소 시에 특히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본 연구는 분기별 매출액에 대한 시장의 반응을 보고시점의 매출액 기간 조정의 측면에서 검증하였다. 금융감독원의 분석 결과에서 분기별 영업이익의 변동과는 다른 추세를 보인 매출액 변동과 관련하여 영업이익과 매출액 간의 변화 행태의 차이에 따른 시장 반응을 밝혔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시사점이 있다. Based on the quarterly results of 1,483 listed companies during the three-year period from 2012 to 2014,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FSS) announced that the change of fourth-quarter sales level compared to earlier-quarters sales levels is different from the change of fourth-quarter operating income level compared to earlier-quarters operating income levels. This paper tests the value relevance of temporarily higher sales level. Prior researchers indicate that many earnings manipulations are related to overstated revenue. Especially, the SEC’s findings indicate that 70% of the earnings manipulations are related to overstated revenue and accounting receivable. This paper focuses on value relevance of temporarily higher fourth-quarter sales level compared to earlier-quarters sales levels. This paper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temporarily higher fourth-quarter sales level compared to earlier-quarters sales levels and market response using a total of 15,523 (company/year) sample of listed companies listed on KOSPI and KOSDAQ market for a period of 10 years from 2006 to 2015.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 impact of other accounting information that affects the stock price, temporarily higher fourth-quarter sales level decreases the stock price. Second, lower fourth-quarter operating income level compared to earlier-quarters operating incomes decreases value relevance of higher fourth-quarter sales leve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vestors negatively response to temporarily higher fourth-quarter sales level. This study executes some additional empirical tests using other types of market response variable, temporarily higher sales level variables and the results are robust.

      • KCI등재

        기업가치 평가에서 매출액 정보의 역할

        권대현,박진하 한국기업경영학회 2015 기업경영연구 Vol.22 No.6

        This study examines whether revenue may contain the incremental informativeness beyond earnings in firm valuation. While earnings information has traditionally been important in equity valuation, research on valuation suggests that the value-relevance of earnings has declined over time. Revenue may, however, have information on future earnings and cash flows that is lost when it is aggregated with gains, losses, and expenses into earnings (Chandra and Ro, 2008). In fact, revenue disclosures and forecasts have increased dramatically, and it is now difficult to find an earnings announcement that is not accompanied by a revenue announcement (Edmonds et al., 2013). Earnings is correlated with revenue but it conveys distinct signals of information on firm performance (Jegadeesh and Livnat, 2006). In addition, while earnings, by definition, is a function of revenue and expenses, the former is perceived less noisy and difficult to manipulate. Therefore, as an indicator of persistence and future performance, the role of revenue in firm valuation is receiving attention. In response, researchers have aimed to find alternative accounting measures that reflect firms’ value, and have turned their interest to revenue which is perceived as a key value driver. The literature related to informativeness of revenue usually focuses on analysts’ forecasts. Mest and Plummer(2003) provide evidence that the extent of analysts forecast bias is greater with respect to earnings forecasts than that with respect to sales forecasts. Jegadeesh and Livnat(2006) show that stock prices and analysts’’ forecasts adjust to the information conveyed by revenue over an extended period of approximately six months after quarterly earnings announcements. Rees and Sivaramakrishnan(2007) find significant market penalty for missing analysts’’ revenue forecasts, and further suggest that the market response for missing earnings forecasts is only marginal when revenue forecasts are met. Keung(2010) documents evidence that specific analysts’’ forecasts beyond earnings numbers can be meaningful and supply incremental information to the market. In addition, Ertimur et al.(2003) show that the market reaction to revenue surprises over the years 1996 to 2001 is greater than to expense surprises and that the differential price reaction is associated with relative persistence. Ghosh et al.(2005) find that for a subsample of firms with sustained earnings increases over a five-year period, subgroups with sustained revenue growth are assigned higher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s and exhibit higher earnings persistence and lower susceptibility to earnings management. These extant research suggests revenue to have incremental value relevance beyond earnings. However, there is little study on value relevance of revenue except Chandra and Ro(2008). Chandar and Ro(2008) examine the role of revenue in valuing firms beyond earnings and provide evidence that revenue is relevant. Expanding this study,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revenue is generally value-relevant in Korea.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s of firm’s annual observation, while Chandra and Ro(2008) use firm-quarter observation. This paper also examines hypotheses using the Ohlson’s price model, as well as return model, whereas Chandra and Ro(2008) employ return model only. Our sample consists of 21,409 firm-year observations for the period 1991-2012. All firms are listed on the Korea Exchange. Using this sample, the paper finds that revenue is generally value-relevant as reported in US based studies. This implies that revenue plays a role in equity valuation. Furthermore,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value-relevance of revenu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industry in which the firm belongs to. This study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domestic study on the informativeness of revenue whose subject has not been actively researched. We expect that this study can promote the decomposition of earnings ... 회계이익이 기업가치 평가에 있어서 핵심적인 정보로서의 역할을 해 온 것은 사실이지만, 기업경영환경 및 회계제도 등의 변화에 기인하여 기업가치 평가에서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이 감소하고 있다는 논의들이 존재한다. 이와 관련하여 회계이익 이외에 성과측정지표를 찾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 왔으며, 이중 매출액의 경우 회계이익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이지만 회계이익과는 다른 차별적인 정보적 특성으로 인하여 그 정보적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매출액의 이러한 차별적 특성에 주목하여 기업가치 평가 모형을 이용, 매출액이 회계이익 대비 증분적인 정보성(informativeness)이 있는지 여부에 대해 검증한다. 검증결과 주가모형 그리고 주식수익률 모형을 이용한 분석 모두에서 매출액의 증분적 가치관련성이 존재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산업별로 매출액의 가치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위의 결과가 산업별로 차이가 있음이 관찰되었다. 특징적으로, 첫째, ‘제조업’의 경우 분석모형에 관계없이 매출액의 가치관련성이 보고되었으며, 둘째,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바와 같이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에서도 매출액의 가치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장이 기업의 가치를 평가함에 있어서 회계이익 뿐만 아니라, 회계이익의 요소 중 하나인 매출액 정보도 반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

        입찰 관련 부당공동행위의 관련시장획정 및 관련 매출액 산정

        강우찬 사법발전재단 2015 사법 Vol.1 No.32

        Market Definition Relevant to Bid-Rigging and Setting Fines (Subject case: Supreme Court Decision 2013Du24471 Decided November 27, 2014) Kang, Woo-chan The subject decision held: (a)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 (KFTC) does not always have to undergo full economic analysis such as SSNIP test whenever defining the market for relevant products subject to cartel; but rather, (b) Market may be defined using appropriate means based on such factors as the type and specific content of the cartel at issue, the economic effect that could be inferred from the content itself, and the general transaction realities of the product or services subject to cartel. Further, the subject decision held that even if the KFTC applied those provisions applicable to cartel by specifying the type of act as something else than bid-rigging, fines may be computed by applying provisions on relevant revenues in relation to bid-rigging, when the substance of the act constitutes bid-rigging. The subject decision clarified the purport of precedents holding that hard core cartel such as price-fixing is also subject to relevant market definition. In so doing, the subject decision demonstrates that the market definition regarding cartel in general does not always require strict economic analysis, but may employ appropriate means on a case-by-case basis. Furthermore, in the past, there has been confusion in practice arising from the fact that KFTC tends to apply provisions on bid-rigging in computing relevant revenues, once regulating the cartel in question as price-rigging or market segmentation, even when they could have substantively been deemed bid-rigging. In this regard, the significance of the subject decision is that it put an end to such a controversy by holding that there was no problem in the KFTC’s application of laws and regulations on relevant revenues. 대상판결은, 피고가 부당공동행위의 관련 상품시장을 획정할 때 반드시 실증적인 경제 분석을 거쳐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가 된 공동행위의 유형과 구체적 내용, 그 내용 자체에서 추론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 공동행위의 대상인 상품이나 용역의 일반적인 거래현실 등에 근거하여 그 적절한 방법으로 시장획정을 할 수 있다고 판시하고 있다. 나아가 대상판결은 피고가 부당공동행위의 적용법조를 입찰담합 이외의 행위유형으로 특정하여 적용하였더라도, 행위의 실질이 입찰담합인 경우에는 입찰담합에 관한 관련 매출액 규정을 적용하여 과징금을 산정할 수 있다고 판시하였다. 대상판결은 가격고정 등 경성카르텔에 대하여도 관련시장획정을 해야 한다고 판단한 선례의 취지를 분명히 함으로써, 부당공동행위 일반에 관한 시장획정에 언제나 엄밀한 경제 분석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고, 사안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취할 수 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나아가, 종래에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실질적으로 입찰담합으로 볼 수 있는 행위에 관하여 가격담합 또는 시장분할 등으로 규율한 후 관련 매출액 산정에서는 입찰담합 등에 관한 규정을 적용함으로써 실무상 논란이 있어왔는데, 대상판결은 공정위의 관련 매출액에 관한 법령적용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여 위와 같은 논란을 정리한 점에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규모유통업법상 과징금 산정의 근본 문제

        이봉의 ( Bong Eui Lee ) 한국유통법학회 2016 유통법연구 Vol.3 No.1

        대규모유통업을 비롯한 공정거래분야의 법집행에 있어서 그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금지요건의 적절성 외에도 법위반행위에 대한 실효적 제재가 매우 중요하다. 실효적 제재의 출발점은 사업자가 법위반을 통하여 부당이득을 얻지 못하도록 하는 데에 있고, 이 점은 비록 과징금이 비록 제재적 성격을 아울러 가진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여전히 타당하다. 그러데 법치국가에서의 제재란 동시에 법위반사업자에게 부과되는 과징금이 자신의 책임에 부합하는 수준이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무엇보다 비례되는 과징금이 자신의 책임에 부합하는 수준이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무엇보다 비례원칙을 준수하여야 한다. 그런데 대규모유통업법은 이러한 관점에서 다분히 문제의 소지가 있는 공정거래법상 ``관련매출액``을 수용하면서, 관련납품대금이나 연간임대료 전액을 과징금 부과한도로 규정함으로써 법위반행위 사이의 관련성에 더욱 큰 간극이 발생하게 되었다. 대규모유통업법상 관련납품대금이나 연간임대료란 그 실질에 있어서 각각 수요 또는 공습측면에서 대규모유통업자가 얻게 되는 관련매출액에 해당한다는 점에서 공정거래법상 거래상 지위남용행위의 연장선상에 있는 대규모유통업법 위반행위에 대한하여 과징금 부과한도와 금액산정을 함에 있어서 도 양자 사이에 근본적인 차이를 두어야 할 합리적 근거를 찾기 어렵다. 특히 고시에 따르면 결국 불공정거래행위의 실질을 갖는 행위에 대하여 공정거래법 위반에 비하여 20배 내지 30배에 달하는 부과 기준율을 정하고 있는바, 이러한 태도는 공정거래법상 제재체계와 부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법치행정에 요구되는 비례의 원칙에 비추어 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규모유통업법의 관련 규정을 개정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고, 이울러 시행령과 고시를 공정거래법상 과징금 부과체계와 부합하도록 바꿀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대규모유통업법 위반행위에 대해서 관련납품대금이나 관련임대료의 2%-특별히 동법 위반행위를 보다 무겁게 제재하려는 취지라면5%-이내에서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하고 고시에서는 그 범위 내에서 부과기 준율을 법위반행위의 중대성에 따라 세분하면 될 것이다. 보다 근본적으로 공정거래 법상 과징금 산정기준으로 출발한 동법 시행령의 ``관련매출액`` 기준은 전면적으로 재검토될 필요가 있다. 이때, 법치행정의 기본원리 준수, 공정위의 재량에 대한 적절한 통제, 수법자의 예측가능성 제고, 그리고 부당이득의 충분한 제거 등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To ensure the principle “rule of law” (Rechtsstaatsprinzip) in the enforcement of competition law, not only substantive, but procedural law aspects should be given more attention. Especially, the amount of surcharge imposed should be proportionate to gravity of the challenged infringement and further be equitable compared to penalties for other similar infringements of competition law. In the calculation of surcharge under the Act on the Fair Trade in Large-Scaled Distribution Businesses(hereafter “the Act”)should be critically reviewed. The Act adopts “price of delivered goods” or “annual rents” as criteria for calculating base amount of surcharge, which are sui specie deemed to “related turnover”, the starting point of calculating surcharge for other infringements of competition law in Korea. The Act, however, provides that the upper limit of surcharge shall be the whole amount of “price of delivered goods” or “annual rents” and that base amount of surcharge shall be resulted from that amount ×imposition ratio which represents the gravity of the infringements. The ratio from 20%to 60% excessively high compared to that for infringements of other Korean competition laws which is prescribed between 0.1% to 1%. Justified considering that the illegal acts of large-scaled distribution Businesses are substantively equivalent to the abuse of (trade-specific) superior position of undertakings under the Korean competition law and contradict to the rule of law principles, particular proportionality. Lack or misconception of guiding principles and calculation methods underlies these drawbacks. This article suggest therefore a fundamental change that the limit be 2%(if necessary, 5%) of “price of delivered goods” or “annual rents” and the imposition ratio be accordingly reduced. This would lead to more legal certainty and predictability in imposition process of surcharges.

      • KCI등재

        새로운 수익인식 기준의 도입으로 인한 가치관련 척도의 변화와 실무적 고찰

        김은혜,김현일,김종일 韓國公認會計士會 2005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42 No.-

        기업회계기준서 제4호(수익인식)가 2003회계년도부터 전면 적용이 되었고 다수 기업의 수익인식방법이 총액기준에서 순액기준으로 변경되었다. 수익인식기준의 변경으로 급격한 매출하락을 경험하게 되어 기업가치가 대폭 감소할 것이라는 주장과 매출액의 대폭적인 감소가 예상되지만 이익규모에 영향이 없고 이미 알려진 사항이었기 때문에 기업가치에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두 가지 주장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수익인식기준의 도입과 관련하여 우리나라의 현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회계적 사례 분석과 더불어 수익인식기준을 변경하는 경우 매출액 정보가 과연 시장에 효과를 미치는지, 그리고 매출액정보가 가치관련성이 있는지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수익인식변경으로 인한 매출액 감소로 주가가 하락하였으며, 수익인식 변경여부에 따라 매출액 정보의 가치관련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본시장에서 회계정보 자체만을 유용한 정보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회계정보를 이끌어 내는 기준의 변경 또한 유용한 정보로 받아들여져 기업의 가치를 판단하는데 활용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익인식기준 변경과 함께 대두되던 매출액 감소와 기업가치 변화에 대한 의문에 대한 해답을 실증분석을 통해 제시한 것에 대해 의미가 있으며 회계정보이용자나 회계정책 입안자 또는 수익인식기준 변경 기업의 실무자들 모두에게 유용한 정보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Upon applying Statement of Korea Accounting Standards No.4 of revenue recognition from 2003 fiscal period, revenue is reported on the net basis instead of gross basis. There are arguments for the effect of the standard change that firm value will be declined as a result of the decrease in the sales amounts, and that firm value will not be changed because the decrease in the sales amounts has no effect on the net income and this information is well known in the market.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on (a) the market's response to the change in the revenue recognition, and (b) the value relevance of revenue with the analysis of the some accounting practices upon introducing new revenue recognition standard. Results indicate that the sales decrease by the change in the revenue recognition bring about the share price's decline, and the value relevance of revenue differs depending on reporting on the net basis or the gross basi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apital market rely on not only the accounting information but also the standard change leading the accounting information when valuing firms. Our results give the answer to the relation between the sales decrease upon the change in the revenue recognition and the firm value with the empirical analysis, and are expected to be the useful information for the accounting information users, the accounting policy regulators and the firms with new revenue recognition standard.

      • KCI등재

        부당한 공동행위와 기본과징금의 산정

        황태희 ( Tae Hi Hwang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서울대학교 法學 Vol.50 No.3

        공정거래법 상 과징금의 수준을 결정하는 데에 있어서는 무엇보다 기본과징금의 산정, 즉 관련매출액을 산정하고, 위반행위의 중대성의 정도를 판단하여야 한다. 관련매출액의 수준을 결정함에 있어서는 법 위반행위와 직접 또는 간접적 영향을 받은 관련상품의 범위를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 관련상품은 부당한 공동행위에 있어서 직접 합의의 대상은 되지 않았지만, 대체관계에 있거나, 직접적 대체관계가 없더라도 당해 위반행위로 인하여 시장에서 소비자의 선택권을 제한하거나, 합의의 대상이 된 상품의 가격이 그것과 품질이 다른 상품의 가격 또는 품질의 설정에 영향을 미칠 개연성이 있는 상품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위반행위의 중대성은 위반행위로 인하여 발생한 경쟁질서의 저해 정도, 시장에 미치는 영향 및 그 파급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정하도록 하고 있다. 예측가능성 및 명확성의 측면에서 `영향`과 `중대성`의 두 가지 개념이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며, 과징금 산정에 있어서의 공정위의 재량은 비례원칙에 벗어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Undertakings, who violated the cartel regulation, are deemed to be sentenced surcharges by KFTC. The basic amount of the surcharge is decided according to how much the relevant turnover is and how serious the violation is. As the relevant turnover is defined as the turnover from relevant goods or service which are affected directly or indirectly from the violation, it is consequently very important to specify the scope of the affection in calculating the basic amount of the surcharge. Goods or services that have been the object of the cartel agreement could be classified directly affected from the violation. Whether the goods or services be indirectly affected should be estimated separately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undertaking and consumer, substitutability, infringement of the consumer choice, connection between price and quality among goods and the market situation etc. Also has KFTC exclusively the discretion for sorting the seriousness of the violation. The principle of the proportionality should be strictly observed during the process.

      • KCI등재

        2016년 경제법 중요 판례

        최승재 大韓辯護士協會 2017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64

        In 2016, some noticeable cases are rendered by Korean Courts and Korea Fair Trade Commission in the Antitrust law area. Qualcomm’s Standard Essential Patent case and SK Telecom & CJ Hellovision’s merger case was decided and rendered by the Korean Fair Trade Commission. These cases wil be still in the middle of the debates due to the importance of those cases. Korean Supreme Court also rendered some noticeable cases in 2016. ① Supreme Court 2016. 10. 27. 2015Du42817 decision declared a ruling that related sales has to be decided considering factors such as products and services directly and/or indirectly influenced by and the interchangeability of those goods, trade areas and counter-party of the trade etc. and the decision has to be made individually based upon the fact patterns of each case. ② Supreme Court 2016. 12. 27. 2016Du43282 decision declared that in the case when after the first action made by KFTC, second action considering the leniency is followed, those two action made by the KFTC is individually actionable by the company at stake. ③ In Supreme Court 2016. 4. 12. 2015Du50061, Supreme Court decided that bid rigging itself is per se illegal without having any special circumstances which can justify its act considering the wordings and context, legislative history of it and protection of the process of the bidding together with the protection of the impact of the fair result of the bidding has to be considered in deciding the illegality of the bid rigging activity. In this regard even when no tangible harm to the market is to found, bid rigging can be declared as illegal. ④ In Supreme Court 2016. 4. 12. 2013Du35020, Supreme Court determined that the Fair Trade Act §23 (1) 4) can be applied even when no individual law is to be enacted. This will be the same even after the enactment of some laws regulating the abuse of the dominant position in a transaction in my opinion. ⑤ In Supreme Court 2016. 4. 12. 2013Du35020(so called “Ramen case”), Supreme Court determined that the exchange of the information and same price after the information exchange is not enough to prove the agreement or collusion of fixing the price in the market. In this case Supreme Court applied very strict rule of evidence similar to that of criminal procedure. This case leaves some points to be discussed to the lawyers and professors. 2016년의 공정거래법 관련 판결을 위시한 경제법 분야에서 여러 의미 있는 판결이 선고되었다. ① 공정거래법 위반행위의 과징금 부과를 위한 관련 매출액의 산정과 관련하여 대법원 2016. 10. 27. 선고 2015두42817 판결이 의미를 가진다. 과징금의 부당을 다투는 것은 다수의 담합사건에서 형사사건에서의 양형부당과 같이 빈번히 주장되고 있어 이 점에서 이 판결은 의미가 있다. ② 공동행위자의 자진신고에 따른 감면신청 기각을 다투는 소의 이익에 대한 대법원 2016. 12. 27. 선고 2016두43282 판결도 중요한 판결이라고 본다. 그간 공정거래법 중 절차법에 대한 판결과 연구가 부족하였는데 이런 점에서 의미가 있다. ③ 입찰담합에 관한 공정거래법 제19조 제1항 제8호에서의 경쟁제한성의 판단에 있어 대법원 2016. 4. 12. 선고 2015두50061판결은 입찰담함은 입찰 자체의 경쟁뿐 아니라 입찰에 이르는 과정에서의 경쟁도 함께 보호하려는 데 그 취지가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낙찰가격이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면 그 사실이 바로 경쟁제한성을 인정할 수 있는 기초가 된다고 보았다. ④ 대법원은 2016. 5. 27. 선고 2013두35020판결에서 대규모유통업법이 적용되지 않는 사안에서 공정거래법상 우월한 거래상 지위 남용행위를 적용하여 사안을 해결하였지만 가맹사업법이나 대리점법 등 다수의 거래상 우월한 지위 남용에 대한 개별법이 적용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문제가 되는 행위의 경우 공정거래법과 개별입법이 경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고 본다. ⑤ 대법원은 자진신고가 있었고, 정보교환행위 및 행위의 일치가 있었던 라면 담합 사건(대법원 2016. 1. 14. 선고 2013두26309판결 등, 소위 ‘라면판결’)에서 공정거래법상 부당한 공동행위의 규율대상이 되는 가격결정 및 유지행위에 대한 의사의 합치에 대해서 정보교환행위는 그 자체가 부당한 공동행위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은 별론으로 하고 정보교환행위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가격결정 및 유지행위에 대한 합의가 있다고 볼 수 없다는 엄격한 증거법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 판결은 많은 논란의 대상이 되었고, 이후 공정거래법에서 가장 많은 문제가 되는 부당한 공동행위의 증명과 관련하여 여러 논점을 여전히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공정거래법상 피해 대리변수로서의 관련매출액

        김일중(Kim, Il-joong),전수민(Chun, Soo-min)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성균관법학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be into the critical question of whether the so-called 'affected commerce rule' is used as a proxy for harm in calculating the administrative surcharge. It is well known that most (both in monetary and criminal) sanctions by nature are based on harm in principle. However, as measuring the exact magnitude of harms is difficult,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have tried to find reasonable alternative proxies for calculating the harm. Therefore, if we can prove that other developed countries, which have apparently influenced the legislation or revision of the related substantive laws in Korea, are using a specific penalty (e.g., surcharges or civil fines) as a proxy for harm, then there will be a high likelihood that the same proxy in Korea is in fact being used for the identical purpose. This paper specifically focuses on the Korean Fair Trade Law, the reason being that the imposition of surcharges, both in frequency and scale, has been overwhelming especially in the area of antitrust and unfair trades. The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First, we examine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because the country has deep-rooted history of antitrust laws. They have significantly influenced those of OECD and Korea. According to the United States Sentencing Guidelines, for example, the Department of Justice has employed 20 percent of the volume of affected commerce in lieu of the pecuniary loss. It is estimated that 10 percent for the average gain and another 10 percent for the average loss. Second, we scrutinize the OECD case because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 if indirectly, implied that it adopted the OECD's rationale and practice regarding the rule of measuring harm into the Korean Fair Trade Law. OECD strongly proposes 'affected commerce × x percent (i.e., AC×x%)' as a proxy for harm, the rationale of which is that AC×x% is the simplest form which can approximate the 'unlawful gain' composed of unjust enrichment and any other harmful economic effects together. To summarize, Korea adopted the affected commerce's rule from OECD and United States as mentioned earlier. Also, it is obvious that both use the rule as a proxy for calculating harm. Therefore, one can conclude that it is most probable that the affected commerce rule has practically been used as a proxy for harm in Korea as well. Then, sooner or later it may be possible to calculate harm levels across violation types indeed, and also to mak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operation of administration surcharges. Hopefully, the law-and-economics arguments offered in this paper will, to a non-trivial degree, help the legislature and the judiciary in Korea has a more balanced view concerning the role and operation of the administrative surcharges in the ensuing future.

      • KCI등재

        2017년도 경제법 중요 판례

        최승재 대한변호사협회 2018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73

        A Study on the main cases in Antitrust Law in 2017. In 2017, some noticeable cases are rendered by Korean Courts and Korea Fair Trade Commission in the Antitrust law area. in the area of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7 cases are explained in this paper. ① Supreme Court 2017. 9. 7. 2016Du48447 decision(contract amount in the case of bid rigging), ② Seoul High Court 2017. 5. 31. 2016Nu51599 decision(LNG tank bid rigging case), ③ Supreme Court 2017. 8. 24. 2017Du43159 decision(actual ability of the surcharge). ④ Supreme Court 2017. 1. 12. 2015Du2352 decision(market definition of the relevant market in the cartel case), ⑤ Supreme Court 2017. 9. 7. 2017Da229048 decision(the validity of the contract in violation of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⑥ Seoul High Court 2017. 9. 1. 2017Nu36153 decision(the standard of provision of unfair benefit to the related party by KAL, pending in Supreme Court), ⑦ Supreme Court 2017. 6. 19. 2013Du17435 decision (Resale Price Maintenance and exclusive dealing in the case of open market), A Subcontractor Protection Act related case, Supreme Court 2017. 7. 28. 2017Du41924 decision was noticeable(Subcontractor Protection Act Article 3-4, prohibition of unfair contract), As a Franchise Act related case, Seoul High Court 2017. 8. 17. 2017Nu38630 decision was milestone case in this area. Pizza Hut was the party in this case. Installment Act has Supreme Court 2017. 10. 12. 2017Du51297 decision. 2017년 선고된 판결은 공정거래법을 적용법조로 하는 판결을 포함 하도급법, 가맹사업법, 대규모유통업법 등 경제법 분야에서 여러 의미 있는 판결이 선고되었다. 이 중에서 본고는 공정거래법 관련하여 7개의 판결을 소개한다. ① 입찰담합에서의 계약금액의 해석에 대한 대법원 2017. 9. 7. 선고 2016두48447 판결, ② 서울고등법원 2017. 5. 31. 선고 2016누51599 판결(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비파괴검사용역 입찰담합), ③ 대법원 2017. 8. 24. 선고 2017두43159 판결(과징금에 대한 원고의 현실적 부담능력), ④ 대법원 2017. 1. 12. 선고 2015두2352 판결(부당한 공동행위의 관련시장 획정), ⑤ 대법원 2017. 9. 7. 선고 2017다229048 판결(불공정거래금지 규정 위반행위의 민사적 효력 관련), ⑥ 서울고등법원 2017. 9. 1. 선고 2017누36153 판결(대한항공의 특수관계인에 대한 부당한 이익제공행위, 상고심 진행중), ⑦ 대법원 2017. 6. 19. 선고 2013두17435 판결(인터넷 오픈마켓과 관련한 재판매가격 유지 및 구속조건부 거래행위가 문제된 사건), 하도급법과 관련하여, 대법원 2017. 7. 28. 선고 2017두41924 판결(하도급법 제3조의4에서 규정하고 있는 ‘부당한 특약금지’의 의미)을, 가맹사업법 판결로 서울고등법원 2017. 8. 17. 선고 2017누38630 판결(확정: 한국피자헛 유한회사의 가맹사업법 위반행위, 가맹계약서 기재사항 등)을 소개하고, 할부판매법 판결로 대법원 2017. 10. 12. 선고 2017두51297 판결을 소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