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활동의 사회과학적 지식과 교육목표 영역, 생활주제, 누리과정 내용과의 관계 분석

        박선미 ( Park Seon-mi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7 아동교육 Vol.26 No.1

        본 연구는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활동에 포함된 사회과학적 지식과 생활주제, 교육목표 영역 및 누리과정 내용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3-5세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에 제시된 5,057개 활동을 분석하여 교육목표에 따른 사회과학적 지식, 교육목표의 영역, 누리과정 내용 범주 및 내용을 추출하여 텍스트 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모든 연령에서 사회과학적 지식 중 지역사회 문화와 생활주제 우리나라의 연결 강도가 가장 높은 가운데 우리나라를 제외한 사회과학적 지식과 관련있는 생활주제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지역사회 문화와 우리나라는 연결 중앙성값 역시 가장 높아 누리과정 지도서의 핵심적인 사회과학적 지식과 생활주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든 연령에서 사회과학적 지식 중 지역사회 문화와 교육목표 영역중 태도, 규칙과 기술 간 연결이 매우 높았다. 그러나 강조되는 교육목표의 영역은 연령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지식 관련 교육목표가 강조되고 있었다. 셋째, 사회과학적 지식과 누리과정 내용 간 연결에서는 모든 연령에서 누리과정 내용 범주 중 사회에 관심갖기가 지역사회 관련 사회과학적 지식과 가장 연결 강도가 높았으며 연결 중앙성값 역시 높은 색인어였다. 다만 연령이 높아질수록 사회관계 영역 이외의 누리과정 내용 역시 사회과학적 지식과 연결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사회과학적 지식이 균형있게 포함되도록 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the social scientific knowledge, educational objectives, themes and Nuri curriculum contents of the activities in the teacher`s guidebooks of Nuri curriculum. For this, 5,057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s of Nuri curriculum were investigated and text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the strongest weight between the `community culture` in the social scientific knowledge and `our country` in the themes of all ages, but according to age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themes related to social scientific knowledge except `our country`. In addition, `community culture` and `our country` had the highest degree centrality values. Second, the weight between `community culture` and `attitude` of the educational objective domains, `rules` and `skill` of that were very high of all ages. Bu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highlighted domain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 according to ages. The higher the age, the domain of `knowledge` was more highlighted. Third, there was the strongest weight between `having an interest in the society` of Nuri curriculum contents category and the social scientific knowledge related to `community`, and these two indexes had the highest degree centrality values. But the higher the age, it was shown that the weight between Nuri curriculum contents except those in the domain of `social relation` and social scientific knowledge were high.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basic data for the balanced inclusion of social scientific knowledge of teacher`s guidebooks of Nuri curriculum.

      • KCI등재

        상징화 주기를 통한 아동의 과학적 지식 형성 과정

        장정임,유승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1 교육과학연구 Vol.4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how children form scientific concept within cycles of symbolization activities. It may help find out whether cycles of symbolization an effective way forming scientific concept in children and, based on the findings, suggest teaching activities applicable to the field for teachers and children who have difficulties in learning science. Ethnography was employed for the study method. Data collected during activities, such as participant observation, depth interview, portfolio, pictures, diary, and teacher's journal, were analyzed. scientific concept formed in children through cycles of symbolization. Cycles of symbolization activities helped children, actively revise misconception about science, and increasingly deepen and enlarge scientific concept into higher levels with various schemes. Children also scientific concept repeating and intensifying representation activ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이 상징화 주기를 통하여 과학적 지식을 어떻게 형성해 나가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시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상징화 주기 과정을 통하여 학생들은 과학적 지식을 어떻게 형성해 나가는가? 연구방법은 문화 기술적 연구이며 D광역시 소재의 우주초등학교(가명) 6학년 1개 학급 33명(남18명, 여15명)을 대상으로 2009년 2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수행하였다. 상징화 주기 활동 과정에서 참여관찰, 심층면접, 포트폴리오, 활동 결과물, 사진, 일기, 교사일지 등을 통하여 아동의 과학적 지식 형성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징화 주기를 통해 아동은 교사 및 또래집단과 상호 조정적 협력을 함으로써 과학에 대한 오개념을 능동적으로 수정하였다. 둘째, 다양한 표상활동을 경험하면서 각기 다른 수준과 방법으로 과학적 지식을 점차적으로 심화 및 확대시켜 나갔다. 셋째, 반복되고 심화되는 표상활동을 함으로써 과학적 지식이 내면화 되었다. 본 연구는 상징화 주기가 과연 아동의 과학적 지식 형성에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는지 고찰해 보고 교사들이 현장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수업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과학학습에 어려움을 느끼는 아동 및 교사들에게 교육적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과학적 이해와 과학적 실재론 논쟁

        이병호 한국과학철학회 2024 과학철학 Vol.27 No.1

        과학적 이해의 본성 문제는 과학적 실재론 논쟁과 연관될 수 있다. 과학적 이해에 대한 전통적 견해에 따르면 과학적 이해는 과학적 설명에 대한 지식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과학적 설명은 과학 이론에 근거하며 지식은 참인 믿음을 요구한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전통적 견해가 옳다면, 과학 이론의 참을 믿는 실재론자와 달리 그러한 믿음을 거부하는 반실재론자는 과학적 이해를 획득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최근 박승배(2022)는 그의 과학적 실재론을 지지하는 한 가지 논변으로서 반실재론자는 과학적 이해를 획득할 수 없기에 반실재론이 실재론의 대안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한 바 있다. 구체적으로, 그는 델센(Dellsén 2016, 2017), 데 레흐트(de Regt 2015)에 대항하여 과학적 이해가 정당화, 믿음, 참을 요구한다는 지식주의(epistemism)를 옹호한다. 이 글에서 나는 먼저 지식주의가 과학적 실재론 논쟁에 갖는 함축을 명료화하고, 그의 지식주의 옹호가 (믿음과 정당화와 관련해서) 실패하거나 (참과 관련해서) 결정적이지 않다고 주장한다. The issue of the nature of scientific understanding can be related to the scientific realism debate.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view of scientific understanding, it is knowledge about scientific explanations. Additionally, it is widely accepted that scientific explanations are based on scientific theories, and knowledge requires true belief. Therefore, if the traditional view is correct, the anti-realists, who do not believe in the truth of scientific theories, would be unable to acquire scientific understanding, unlike the realists, who hold such beliefs. In this context, Park (2022) recently supported his scientific realism by arguing that scientific anti-realism cannot serve as an alternative to it because the anti-realists lack scientific understanding. Specifically, he advocates epistemism, which posits that scientific understanding requires justification, belief, and truth, against the views of Dellsén (2016, 2017) and de Regt (2015). In this paper, I first clarify the implications of epistemism for the scientific realism debate and argue that Park’s defense of epistemism is either unsuccessful (regarding belief and justification) or inconclusive (regarding truth).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의 과학교과교육학지식 및 상업화된 프로그램 실시여부에 따른 유아의 과학적 태도

        성영화,이은주,나은숙 한국보육학회 2010 한국보육학회지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how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affected the scientific attitudes of young children and if there are differences i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according to teachers' care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Also, this study focuses on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seeing differences in scientific attitudes of young children between teachers' designing scientific activities based on the curriculum, teaching them and using commercial progra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803 young children and 86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eoul. In order to measure young children' scientific attitudes, the researchers modified the tool was developed by Lee Kyung-Min. Also the researchers used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at was developed Kim Hyun-Jin. The teachers checked the young children' scientific attitudes and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oo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was not differences depending on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but it was differences of teachers' education level. Second, high group of teachers'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an lower group were higher scientific attitudes of young children. Third, group to the center of subject than commercial program were higher in young children' spontaneity and positivity.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경력과 학력에 따라 교사의 과학교과교육학지식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교사의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교사가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직접 과학활동을 고안하여 수업을 실시하는 것과 상업화된 프로그램을 실시하느냐에 따라 유아의 과학적 태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유아과학교육의 방향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서울에 위치한 28곳의 어린이집 교사 86명과 그들이 담당하고 있는 만 3~5세 유아 80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유아교사에게 과학교과교육학지식과 유아의 과학적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은 일원변량분석과 t-test를 하였다. 그 결과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은 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학력에 따라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과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지식에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교사의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이 높은 집단의 유아들이 낮은 집단의 유아들보다 과학적 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주제중심으로 과학활동을 하는 집단의 유아들이 상업화된 프로그램 집단 유아들보다 자발성과 적극성에서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현대교육의 지식관의 문제점 및 대행의 지식관을 통한 극복 가능성 고찰

        김영래(Kim, Young-rae) 대행선연구원 2020 한마음연구 Vol.4 No.-

        본 논문은 현대 한국교육이 성장세대로 하여금 4차 산업혁명시대를 지혜롭고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데에 실패하고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한국교육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먼저 한국교육의 근거가 되고 있는 서구적 지식관의 문제점을 밝혀내고 대행선사의 지식관을 통하여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서 먼저 대표적 서구 지식관을 관조적 지식관, 언어적 지식관, 과학적 지식관, 구성주의 지식관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현대사회에서 언어적, 과학적, 구성주의적 지식관이 대세를 이루면서 서구적 지혜전통을 담지하던 관조적 지식관이 영향력을 상실했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어서 대행선사의 지식관을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본 논문은 대행선사의 지식관이 현대 한국의 학교교육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첫째, 선사의 지식관은 현대적 지식관의 문제점을 명확하게 통찰하게 하며,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준다. 특히 ‘주인공관법’ 수행을 통해 지혜를 증장시킴으로써 지식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해 주며 지식을 지혜로 바꿀 수 있는 길을 보여준다. 둘째, 선사의 지식관은 현대교육에서 결여된 진정한 자기를 발견하여 자유로운 삶을 살도록 이끌어주는 지혜를 증진시킨다. 셋째, 선사의 지식관은 참다운 앎은 행과 분리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지식교육과 인성교육의 통합가능성을 보여준다. 넷째, 선사의 지식관은 공생의 지식관이다. 관법수행을 통해 본래적 자기를 알아가고 세상을 알아갈수록 모든 것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서로 통신하며 살아가고 있음을 알게 된다. 이를 통하여 진정한 더불어 사는 삶이 가능해진다. This paper starts with charging that modern Korean education is failing to guide the new generation to live wisely and happily in this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rst identify the limitations of Western knowledge, which has become the foundation of modern Korean education, and suggest alternatives proposed by Seon Master Daehaeng. I will first analyze four categories of Western knowledge: contemplative, linguistic, scientific, and constructivist. I will then explain my opinion that contemplative knowledge in Western education has lost its influence as linguistic, scientific, and constructivist knowledge have become dominant in modern society. I will then analyze Ven. Daehaeng’s view of knowledge and argue that her view can benefit modern Korean education in the following ways. First, her view of knowledge provides clear insight into the limitations of the modern view of knowledge and also provides direction to overcome them. In particular, expanding one’s wisdom through the practice of 'Contemplating one’s True Self' (主人空觀法) gives us a way to transform knowledge into wisdom, allowing us to escape from traditional stereotypes of what knowledge is. Second, her view of knowledg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wisdom that can be gained in finding one’s true self, something that is lacking in modern education and which can lead to a more fulfilling life. Third, her view is that true knowledge is not separate from human action. Therefore it is possibile to integrate the cultivation of both knowledge and character. Fourth, her view of knowledge emphasizes symbiosis (共生). As we learn about ourselves and the world through the continuous practice of contemplating one’s true self, we find that all things are connected and in constant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is enables us to truly coexist in harmony.

      • KCI등재후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에 대한 지식이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노진형(Roh, Jin Hy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2 No.4

        현대 유아과학교육은 급속하게 변화하는 세계를 살아가는 유아들이 첨단 과학과 기술적 변화에 대처하고 준비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에 따라 과학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역할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에 유아를 가르치게 될 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 과학적 태도, 과학교수 효능감에 대해 알아보고, 과학적 지식이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D시에 소재한 3개의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2학년 학생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고 수거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 점수가 낮고, 과학의 사회적 가치에 대해 어느 정도 인정하나 과학에 대한 흥미는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자신의 교수능력에 대한 신념이 역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적 지식수준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과학적 지식이 과학적 태도 및 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 수준을 높이는 것에 대해 제언하였다 Researchers have proposed that many early childhood teachers do not have adequate knowledge of science and possesss an anxiety. Teachers must understand science concepts themselves and therefore should be formally trained during their science courses especially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is study investigate the scientific knowledge,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The subjects were 220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in science education course for childre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get 41.75 points out of a possible total of 64 points. In their attitudes toward science, especially social value of science were higher than interests in science and perception of science and scientists. And they do not possess positive efficacy in teaching science. Significant different were according to the scientific knowledge level.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who gained higher scores in scientific knowledge have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in teaching science. In conclusio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in this study possessed somewhat limited knowledge, low interests in science and some anxieties toward teaching science. It is needed high quality teacher education courses that would be most effective in improving teachers’ ability in regards to teaching science.

      • KCI등재

        가설 생성 과정에서 의문 상황과 관련된 개념의 인지가 사전 지식의 인지에 미치는 효과

        이창협 ( Chang Hyup Lee ),이효녕 ( Hyo Nyong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1 중등교육연구 Vol.5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의문 상황과 관련된 과학적 개념의 인지가 사전 지식의 인지에 미치는 효과와 ``개념 인지 단계``의 적용이 과학적 개념과 사전 지식의 인지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은 광역시 소재 중학생 68명이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과학적 상황의 의문과 일상적 상황의 의문에서 사전 지식을 인지하는 능력이 같은지를 확인하고, 의문 상황과 관련된 과학 개념의 인지가 사전 지식의 인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실험 집단은 ``개념 인지 단계``를 지도하고 통제 집단은 지도하지 않은 후, 일상적 상황의 의문으로 이루어진 두 번째 검사지를 사용하여 두 집단의 의문 상황에 대한 과학적 개념과 사전 지식을 인지하는 능력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첫 번째 단계의 연구 결과로 대부분의 의문에서 일상적 상황의 의문보다는 과학적 상황의 의문에서 사전 지식을 잘 인지하였고, 학생들이 과학 개념을 인지하는 경우가 과학 개념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보다 사전 지식을 더 잘 인지하였다. 두 번째 단계의 연구 결과로는 ``개념 인지 단계``를 지도한 실험 집단이 의문 상황에 대한 과학적 개념과 사전 지식을 더 잘 인지하였다. 이 연구는 학습자들이 선행 학습된 지식의 인지에 어려움을 겪을 때는 관련된 개념들을 먼저 인지하는 학습 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scientific concepts on the prior knowledge recognition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eaching the concept recognition steps on the recognition of a scientific concept and prior knowledge. The subjects consisted of 68 middle schoolers. The first investigation was designed to identify that the students` ability of recognizing prior knowledge in questions on everyday context is identical to in those on scientific context. and to explore how their recognition of a scientific concept in question situations influences the prior knowledge recognition. As a second step, the experimental group taught concept recognition steps and the control group not taught them. Afterwards, the differences in the two groups` ability to recognize the concept and prior knowledge in the question situations were confirmed by the second inspection composed of the questions on everyday context. The results of first investigation revealed that The pre-existing scientific knowledge is recognized correctly in the questions on scientific context than on everyday context in most of questions and the students who can recognize a scientific concept identify more scientific prior knowledge than those who cannot recognize it. The results of second investigation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taught the concept recognition steps recognizes more scientific concept and more accurately recognizes prior knowledge on the question situation. This investigation suggests that teachers need to help learners develop their learning strategies that they learn relative concepts first when they are conflicted with their prior knowledge.

      • KCI등재

        실행-중심 과학교육을 위한 지식관의 재고와 과학적 모델링의 연관성

        이혜경,이종혁,최진현,김관영,이선경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3 초등과학교육 Vol.42 No.2

        This study explored how scientific practice functions within practice-oriented science education and reviewed modeling as a unit of practice. Beginning with the questions “What is scientific practice and what is the nature of knowledge?” and “How does scientific practice work?” we reconsidered the language-centered view of knowledge and identified its relevance to scientific modeling. First, concentrating on the complexity and nonlinearity of scientific practice, scientific knowledge was considered to be the activity or action itself. We expanded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knowledge beyond the explicit and language-oriented dimension of activity or action to an implicit dimension that encompasses skills, connoisseurship, and judgment. Furthermore, we discussed the nature and meaning of scientific modeling as a unit of practice that accounts for the complexity and nonlinear dynamics of scientific practice; scientific modeling was one such unit that could contain complex practice and nonlinear dynamics. Additionally, the contextual properties and meanings of modeling that function were highlighted. Scientific modeling was understood as the process of mediating or autonomously referencing and adjusting theory and phenomena, including a layered and dynamic construction of related concepts, Elanalogies, metaphors, skills, connoisseurship, and judgments as explicit or implicit knowledge. We suggest that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as practice” should be a concrete modeling activity that is epistemologically and ontologically intertwined with actual science education practices. 본 연구는 실행-기반 과학교육을 위하여, 과학적 실행이 무엇이며 어떻게 작동하는가를 이해하고 실행의 단위로서 모델링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과학적 실행은 무엇이며, 이때 지식은 어떤 특징을가지는가?’와 ‘과학적 실행은 어떻게 작동하는가?’라는 질문을 출발로 하여 언어 중심의 지식관을 재고하고 과학적 실행과 과학적 모델링의 연관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과학적 ‘실행’이 갖는 복잡성과 비선형성에 주목하면서 과학적 지식을 활동이나 행동 그 자체로서 바라보았다. 즉, 언어 중심의명시적 차원을 넘어 솜씨와 감식력 그리고 판단을 포괄하는 암묵적 차원으로 확장하였다. 다음으로, 과학적 실행의 복잡성과 비선형적 역동성을 담아내는 실행의 단위로서 특정 목적과 맥락에서 구체적으로작동하는 모델링의 속성과 의미를 논하고, 구조화된 모델링과 비구조화된 모델링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모델링은 이론과 현상을 매개하거나 혹은 자율적으로 이론을 참조하고 조정하는 과정으로서, 그 내용으로는 명시적 및 암묵적 지식으로서 관련 개념, 비유, 은유, 솜씨, 감식력, 판단 등이 중층적이고 역동적으로 구성되는 과정이다. 최종적으로 ‘과학교과를 실행으로서 가르치고 배우는 것’이 실제 과학교육 현장에서 인식론적이고 존재론적으로 얽힌 구체적인 모델링 활동이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과학적 실행에서의 지식관과 모델링에 관한 논의를 토대로 과학 교수·학습에의 실천적 지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지식사회의 새로운 도전 ‘무지(無知)’:

        김종길(Kim Jong Kil) 동양사회사상학회 2016 사회사상과 문화 Vol.19 No.1

        근대 이후 사회학은 과학지식을 일반 대중의 무지를 바로잡을 수 있는 교정자이자 사회발전의 열쇠로 보고 이에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했다. 반면 무지는 참된 지식으로부터의 일탈 또는 이해관계에 종속된 이데올로기의 변종으로 평가절하되었다. 그런데 계몽주의 이후 광범위하게 확산된 대중의 지식 낙관론과 ‘참된’ 지식에 대한 학계의 갈구가 최근 과학지식의 타당성과 효과성을 둘러싼 논란을 계기로 극적으로 반전되는 양상이다. 오존층파괴, 지구온난화, 유전자조작생명체의 출현과 확산 등에서 보듯 과학적 진보와 과학지식의 유용성에 회의를 품게 하는 생태계 위기의 징후가 뚜렷해지고 있으며, 과학지식이 증가하는 것에 비례하여 무지도 증가하는 역설이 가시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오래전부터 지식사회의 도래를 주창해 온 이들조차도 이 같은 무지 현상의 부상과 확산이 가져올 새로운 도전에 눈을 돌리고 있으며, 더불어, 지식과 길항관계에 있는 무지, 미지, 지식 부재, 불확실성, 비가시성, 프라이버시 등의 가치에 주목하는 이들도 늘어나고 있다. 이 글은 사회학적 무지 연구의 이론적성과와 쟁점을 정리하고 그 현대사회적 의미를 천착하며 향후 논의의 방향을 가늠한다. 연구 결과, 사회학계의 무지 연구는 비밀의 순기능을 발굴한 게오르크 짐멜의 고전적 논의에서부터 현상학적 사회학의 미시적 무지 탐색, 과학사회학과 과학지식사회학 등 분과사회학의 과학적 무지 연구를 거쳐 현재는 이른바 무지의 사회이론 구축이라는 담대한 시도로 나아가고 있다. 이 같은 진화적 궤적을 거치면서 무지는 점차 지식사회학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열쇠 아젠다이자 패러다임 전환을 이끄는 선도 개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Since the beginning of modernity, sociology has constantly emphasized active roles of the scientific knowledge, as a key for social development and progress, in correcting the ignorance of the public. On the other hand, ignorance or non-knowledge has been devalued as deviation from the true knowledge or a variant of ideology dependent on the individual interests. The knowledge optimism of the general public, which has spreaded extensively since the Enlightenment era, and the demand for true knowledge of the academia have recently shown a sign of dramatic reversal largely due to controversy on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the scientific knowledge. It is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that signs of ecological crisis that can aggravate the skepticism on the scientific progress and effectiveness of scientific knowledge, such as depletion of the ozone layer, global warming, the emergence and spread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and the like, has been clearer over time and that the paradox of increasing non-knowledge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of scientific knowledge is becoming visible. Thus, even those who have advocated the emergence of the knowledge society for long are turning to the proliferation of the non-knowledge phenomenon and new challenges that it would bring about. Furthermore, attention to the value and benefits of ignorance, non-knowledge, the unknown, the knowledge absence, invisibility, privacy, which are in antagonistic relations with knowledge, has increased significantly. This article attempts to review various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issues on the non-knowledge, examines their sociological implications, and propose avenues for future discourses. Results indicated that sociological studies of non-knowledge can be traced back to Georg Zimmel s classical discussion on the functions of the secret, which influenced the phenomenological sociologists microscopic study on the world of everyday life, research on non-knowledge in the sociology of science as well as in sociology of scientific knowledge, and, most recently, the attempts to build a social theory of non-knowledge. Through these evolutionary trajectories, non-knowledge is gradually establishing itself not only as a core agenda that opens new horizons, also a key concept that can lead to a paradigm shift in the sociology of knowledge.

      • KCI등재

        자연과학적 지식 탐구를 통한 인간성 함양의 가능성 탐색: 화이트헤드의 유기체철학을 중심으로

        안수진 한국교육철학학회 2023 교육철학연구 Vol.45 No.3

        본 논문의 목적은 ‘자연과학적 지식의 탐구를 통해 인간성을 함양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에 대해, 화이트헤드의 유기체철학을 토대로 답하는 데에 있다. 화이트헤드의 유기체철학에 나타난 현실적 존재와 파악의 개념에 비추어, 자연과학적 지식 탐구가 인간성 함양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드러내려는 것이다. 본 연구는 현실적 존재와 파악의 개념을 살펴보고, 이에 비추어 자연과학적 지식을 탐구하는 일의 성격을 밝히는 순으로 전개되며, 이에 따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적 존재’는 자연의 궁극적 단위에 해당하고, 이러한 현실적 존재의 본질적 특성은 ‘파악’이다. 인간이 자연과학적 지식을 탐구하는 일은 현실적 존재의 파악 행위이다. 둘째, 현실적 존재의 파악 행위는 경험에 해당하는데, 이러한 경험은 벡터적 성격을 지니고 있으므로, 필연적으로 가치가 결부되어 있다. 이는 현실적 존재로서의 인간이 자연현상을 대상으로 삼아 자연과학적 지식을 탐구하는 일은 단순히 물리적 성격만을 지니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 측면도 지니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식의 파악에는 모종의 정서적 느낌이 내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현실적 존재는 생명력을 지니고 있는데, 생명은 자기향유를 통해 과정 속에서 목적을 찾으므로, 현실적 존재의 파악 행위는 그 자체로 목적을 지닌 자기 충족적 행위이다. 즉, 현실적 존재의 파악 행위는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인 인간성 함양을 가능하게 하는 일이다. 이와 같은 본 논문의 해석은 오늘날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간성이 메마르고 있다는 주장에 대해 반론을 제기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인간이 자연과학적 지식을 습득하는 일로서의 경험 이면에는 언제나 정서적 느낌이 있으며, 이러한 정서적 느낌을 토대로 하여 인간성은 고양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자연과학적 지식을 제대로 배운다는 것은 단순한 물리적 사실 세계에 대한 습득이 아니라 그 이면에 내재한 정서적 색조를 통해 도덕적 가치 세계로 진입하는 일이고, 이를 통해 인간성이 함양될 수 있음을 화이트헤드의 유기체철학에 비추어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address the question, "Can the cultivation of humanity be achieved through the exploration of natural scientific knowledge?" based on Whitehead's organic philosophy. It demonstrates that the investigation of natural scientific knowledge, viewed in the light of the concepts of actual entity and prehension found in Whitehead's organic philosophy, can contribute to the cultivation of humanity.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s of actual entity and prehension and, accordingly, elucidates the nature of exploring natural scientific knowledge. First, "actual entity" corresponds to the ultimate units of nature, and its essential characteristic is "prehension." The human pursuit of natural scientific knowledge involves the prehensive act of actual entity. Second, the prehensive act of actual entity pertains to experience, which possesses a vector character and is intrinsically connected to value. This implies that the investigation of natural scientific knowledge by the human as an actual entity involves not only a physical aspect but also a mental dimension, with various emotions and feelings inherent in the prehension of knowledge. Third, actual entity possesses vitality, and life seeks purposes through self-enjoyment within the process. Therefore, the prehensive act of actual entity itself becomes a self-fulfilling act with a purpose. In other words, the prehensive act of actual entity is ultimately capable of fostering humanity, which is the ultimate purpose of education. This interpretation of the paper can serve as theoretical evidence to refute the claim that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leads to the decline of humanity. The acquisition of natural scientific knowledge by humans is always accompanied by underlying emotional tones, and when these emotional tones are properly enjoyed, humanity can flourish. Thus, the proper acquisition of natural scientific knowledge involves not only acquiring facts about the physical world but also entering the moral world through inherent emotional tones, thereby leading to the cultivation of humanity, as confirmed through Whitehead's organic philosop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