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경청’에 대한 상담학적 고찰

        송동림(Song, Dong Rim)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0 神學展望 Vol.- No.168

        본 연구는 상담 과정에서 상담자의 경청에 대한 부주의로 인해 적지 않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상황을 고려하여 경청에 대해 상담학적인 차원에서 집중적으로 고찰한다. 이는 상담자의 경청 태도에 대한 현실적인 진단뿐만이 아니라 상담자에게 경청의 중요성을 고취시켜 문제를 예방하고, 동시에 경청의 필요성을 강조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상담을 할 수 있도록, 특히 사목 상담자에게 경청의 당위성과 그 방향성을 제시해 보기 위함이다. 전체적인 구조를 보면 먼저 ‘들어가는 말’에서는 상담학 차원에 있어서 경청과 관련된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지만, 많은 경우 부분적으로 고찰되어 다뤄지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전문적인 차원에서의 경청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제2장에서는 상담 과정에 있어서 상담자의 진지한 경청을 방해하는 주요 요인을 다섯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해 본다. 제3장에서는 상담기법으로 매우 효과적인 경청의 자세를 네 가지 측면으로 구분하여 접근해 보고, 특별히 제4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제3장의 상담자의 효과적인 네 가지 경청의 자세를 예수님의 공생활 여정(복음서에서 한 가지 사례씩)에서 찾아보고 이와 연계하여 분석해 본다. 이어 제5장에서는 사목 상담자에게 있어서의 경청의 당위성과 더불어 사목 상담자가 취해야 할 바람직한 경청의 방향성을 제시해 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나가는 말’에서는 사목 상담 차원에서 본고의 주요 내용을 종합하는 것으로 마무리 한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상담학적인 차원에서 볼 때 경청은 상담자에게 상담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매우 중요한 상담 기법이라 할 수 있다. 나아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는 중요한 태도는 말하기가 아니라 듣기라는 견해에서 볼 때, 평소 말하는 이에 대한 진지한 경청은 상담자를 비롯하여 모두에게 상담 문제의 예방과 해결 그리고 인간관계의 개선과 향상을 가져다주는, 누구나가 갖고 있는 삶의 놀라운 자원이라 할 수 있다. 사실 상담자만이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는, 설령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능력은 없다 하더라도 문제로 인한 그 고민을 들어줄 수 있는 능력은 있다. This research studies the ‘ability to listen’ in an indepth manner in counseling sessions. It focuses on situations where by due to negligence of the counselor to ‘listen’ leads to ineffective counseling. It also provides a realistic diagnosis regarding the listening ability of the counselor. Moreover, this research seeks to prevent problems by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the counselors to listen. At the same time, it emphasizes the need for listening to enable even more effective counseling.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the justification and the direction for listening for the pastors who are counselors so that they can counsel effectively. As seen in the introduction, when the overall structure is examined, there are many insights that are related to ‘listening’ that are being researched in the art of counseling. Given the reality today, since this topic is dealt with under various categories, research on ‘listening’ from the professional level is required. Chapter 2 analyzes the key elements that obstruct counselors’ effective listening during the counseling process by classifying them under five aspects or levels. Chapter 3 approaches the classification of the effective ‘listening’ attitude under four angles or aspects when evaluating the method of counseling. Chapter 4 searches for the effective four listening attitudes of the counselors, as examined in Chapter 3 from the point of view of Jesus Christ’s pubic minsistry. (one case each from the New Testament), and by conducting an analysis by linking the both topics. Chapter 5 presents the direction for the ideal listening that the pastors, who serve as counselors, requires, with emphasis on the need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listening’. In the ‘conclusion’, in pertaining to counseling, the key contents of this chapter are summarized. In conclusion, listening is a very important dimension of the counseling method that enables counselors to effectively resolve issues. Listening, not talking is the way to move others. Likewise, it is amazing how ‘listening’ is a great help(resource), not only for the counselors, but for the recipients as well, especially when it comes to preventing and resolving issues, and to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 This is a resource that everyone has. Even when the counselors and others may not have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they have the ability to listen.

      • KCI등재

        시나리오 기반 국어과 경청 교수 학습 모형 연구

        이선영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교육논총 Vol.43 No.4

        이 연구에서는 미래 사회의 핵심 역량인 의사소통 역량 중 하나인 경청하는 태도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주목하여 상황 맥락 기반의 실제적인 경청 교육 모형을 제안하였다. 문헌 검토를 통해 기존의 국어과 경청 교육의 문제점으로 경청 실습 모형의 부재, 상호교섭을 위한 역할 교대의 불균형, 문제해결을 위한 도구적 관점, 구체적 상황 맥락 미흡 등을 들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황 맥락을 강조한 시나리오 기반의 경청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경청을 적극적, 공감적 듣기로 정의하고, 경청이 상호교섭적인 의사소통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경청 상황의 화자, 청자를 경청 대상자와 경청 행위자로 명명하였다. 또한 매순간 일어나는 경청의 섬세한 상호 공감 작용에 주목하여 대화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경청 대상자와 경청 행위자의 역할에 따른 경청 행동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경청 교육의 내용을 구성했다. 그리고 상황맥락을 반영한 실제적인 경청 실습을 위해 시나리오 기반 경청 교육의 내용을 예를 들어 제시했다. 경청 실습 이후의 평가 방안으로 성찰 활동이 가장 적절하다고 보고 경청 활동에 대한 성찰 교육도 강조했다. 이를 종합하여 경청 실습을 위한 사전 준비 단계, 학습자들의 선택을 포함한 경청 실습과 경청 성찰 활동 준비를 위한 자료 분석 단계, 경청 활동 성찰 단계로 나누어 시나리오 기반 경청 교수․학습 모형을 정리했다. 제안한 모형을 기반으로 수업을 실행하고 교수자와 학습자의 실질적 반응과 교육 효과를 측정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Communication competency is important as a core competency in future society. In order to develop communication competency, an attitude of listening to others is necessary and the importance should be further emphasized. so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uncover problems in existing listening education for Good listener. As a result, the problems of Korean language and listening education were 1) absence of a listening practice model, 2) imbalance in role rotation for mutual transaction, 3) instrumental perspective for problem solving, 4) lack of specific situational context. In order to complement these problems, this study proposed a scenario-based listen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at emphasizes situational context. The design principle is as follows. 1) Providing a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where listening can occur, 2) Providing scenarios containing specific situational contexts, 3) Selecting the degree of self-disclosure, for learners to immerse themselves in the situation, 4) Analysis and reflection on discourse text, 5) Learner activities Feedback from the instructor who observed and discovered was presented.

      • KCI등재

        경청ㆍ대화 행위 척도의 개발: 경청하기, 이해 돕는 말하기, 예의 지키기의 차원을 중심으로

        이범준 ( Bumjune Lee ),조성겸 ( Sung Kyum Cho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8 조사연구 Vol.19 No.3

        오늘날 ‘듣기’의 중요성은 폭넓게 인식되고 있지만, ‘경청’을 상호작용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요소로 보고 본격적으로 측정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경청의 관점에서 일상의 소통행위를 평가할 수 있는 경청 대화 행위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어떤 소통행위자가 소통할 때 자신과 다른 참여자의 경청에 기여하는 활동을 경청 대화 행위로 정의하고, 좁은 의미의 경청만이 아니라, 경청을 중심으로, 서로 간의 말하기-듣기가 유기적으로 교환되며 진행하는 데 도움을 주는 행위들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일반 개인 응답자와 사내 근무자를 대상으로 2차례의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경청 대화 행위를 ‘경청하기’, ‘이해 돕는 말하기’, ‘예의 지키기’의 세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구성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세 하위 차원과 기준 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온라인 개인 데이터(N=479)의 경우, 경청 대화 행위의 세 변인들이 ‘경청·대화 결과’, ‘소통의 적절성’, ‘화자의 사교적 매력’, ‘업무적 매력’ 등의 기준 변인들과 모두 예상한 방식의 관계를 보여주었다. 사내 데이터(N=100) 분석결과도 유사하지만, ‘이해 돕는 말하기’가 ‘사교적 매력’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만은 확인되지 않았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경청 대화 척도의 의미와 활용방안, 그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quality listening scale in order to evaluate communicative behaviors in daily life. We defined quality listening as the communicative behaviors contributing to the listening of each of the communicative partners. The quality listening concept measured in this study includes all direct and indirect communicative behaviors. First, we review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listening behaviors and communicative competencies and extracted 26 items that are supposed to measure various dimensions of quality listening. Second, we conducted two surveys: one of general public and the other of employees of a private company.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shows that three factors are important in quality listening: listening well, helping the communicative partner to listen well, and courtesy. The reliability of the items measuring these three factors are 0.89, 0.90, and 0.91, respectively. These three factors explained 36% to 60% of the variance of the outcome variables, which shows the validity of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t follows from these results that listening behavior could be evaluated using the quality listening scale suggested in this study.

      • KCI등재

        ‘적극적으로 경청한다’ 역량의 특성 연구: ICF 코칭 핵심 역량을 중심으로

        원경림 한국코칭학회 2021 코칭연구 Vol.14 No.5

        본 연구는 국제코칭연맹(ICF, International Coaching Federation)에서 제시한 8가지 코칭 핵심 역량 중 ‘적극적으로 경청한다’ 역량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코칭 실행에서 코치가 갖추어야 하는 적극적 경청 역량을 명료하게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극적으로 경청하기 위해서 코치는 언어와 비언어로 표현된 고객의 생각과 감정, 신념과 가치관, 정체성, 욕구, 목적, 목표, 관심, 시각, 상황, 경험 등 시스템 맥락을 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 공감적으로 경청하며 적극적으로 반응하여야 한다. 둘째, 적극적 경청은 패러다임과 관련이 있다. 나 중심 패러다임은 코치가 중심이 되는 코칭으로 이끄는 반면, 상대방 중심 패러다임은 상대방이 주인이 되는 코칭 흐름을 형성하게 된다. 코칭 실행에서 상대방 중심 패러다임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ICF에서 정의하는 ‘적극적으로 경청한다’는 역량의 핵심요소와 실행지침의 개념을 분석하고 코칭에서의 적용점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ICF 핵심 역량 중 적극적으로 경청하는 역량의 특성을 밝히고, 정의와 실행지침이 코칭 실행에서 어떤 방식으로 적용되어야 하는지 방안을 제시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definition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 for the ‘listens actively' competency among the eight core coaching competencies presented by the International Coaching Federation (ICF). To this end, we first discussed that the listening required in the professional practice of coaching needs to be shifted from the self-centered paradigm listening to the other-centered paradigm listening. Second, ICF defines the competency of ‘listens actively' as fully understanding what is being communicated in the context of the customer's system and focusing on what the customer has said and did not say in order to assist the customer's self-expression, have. To clarify what is meant by this definition, it has been stated that understanding what the customer is communicating in the context of a system requires listening holistically. Listening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life trajectory of the customer's past, present, and future, but also the socio-cultural situation. In addition, the ability to form trust with customers is necessary to help customers express themselves. Third, the six implementation guidelines were discussed in detail in order to implement the competency of ‘listens actively'. To this end, the meaning of each execution guideline was interpreted and how it should be implemented in the coaching practice was discussed. This study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coaching competency in that it examines the related points based on various academic grounds to understand the definition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 of the listens actively competency among the new coaching core competencies announced by the ICF, which is considered as basic research data.

      • KCI등재

        경청과 대인관계: 자기감정인식과 공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김요완 한국교육치료학회 2019 교육치료연구 Vol.11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sequenc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 of self and empathy between listen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uch as trust, intimacy and conflict resolution. The survey data of 565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and 50s attending an online university were collected using the scales of SLC, KIMS, IRI and RC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on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ata using SPSS 22.0 and PROCESS macro(Hayes, 2018). A bootstrap approach was used to test the sequenc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 of self and empathy. As a result, first, Listening, emotion awareness of self, empathy, and sub-factor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uch as trust, intimacy, and conflict resolution, were all showed a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 simple mediating path to listening-emotion awareness of self-trus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simple mediating path to listening-empathy-trust and the sequence mediating path to listening-emotion awareness of self-empathy-trus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simple mediating path to listening-emotion awareness of self-intimac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simple mediating path to listening-empathy-intimacy and the sequence mediating path to listening-emotion awareness of self-empathy-intima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Lastly, the simple mediating path to listening-emotion awareness of self-conflict resolu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simple mediating path to listening-empathy-conflict resolution and the sequence mediating path to listening-emotion awareness of self-empathy-conflict resolutio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본 연구는 경청과 대인관계 하위요인인 신뢰감, 친밀감, 갈등해결과의 관계에서, 자기감정인식과 공감의 순차적인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 연구이다. 경청태도검사(SLC), 켄터키마음챙김기술척도(KIMS), 대인관계반응척도(IRI), 대인관계변화척도(RCS)의 척도를 활용하여, 한 온라인 대학교에 재학 중인 20-50대의 성인 대학생 565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22.0과 PROCESS macro(Hayes, 2018)를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매개모형 검증을 하였으며, 부트스트랩 방법을 사용하여 자기감정인식과 공감의 순차적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경청, 자기감정인식, 공감, 대인관계의 하위요인인 신뢰감, 친밀감, 갈등해결은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경청-자기감정인식-신뢰감으로 가는 단순매개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경청-공감-신뢰감으로 가는 단순매개경로와 경청-자기감정인식-공감-신뢰감으로 가는 순차적 매개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경청-자기감정인식-친밀감으로 가는 단순매개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경청-공감-친밀감으로 가는 단순매개경로와, 경청-자기감정인식-공감-친밀감으로 가는 순차적 매개경로는 유의하였다. 넷째, 경청-자기감정인식-갈등해결로 가는 단순매개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경청-공감-갈등해결로 가는 단순매개경로와 경청-자기감정인식-공감-갈등해결로 가는 순차적 매개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추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미술치료에서 경청과 주시의 의미 고찰

        최규진 한국조형교육학회 2014 造形敎育 Vol.0 No.52

        Active listening in psychotherapy is the basic step to accept information and is the most fundamental component to induce the best outcomes in therapeutic session. This research focuses on how art therapy collect information through the act of active listening and gaze. For this, terminology of describing the act of listening (hearing), and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active listening were searched. Based on the classifications of active listening and its intrinsic values in Collins(2006) and Weí́ß, Kleer & Engel(2011), a variety types of active listening and its theoretical backgrounds were found and explained the role of a therapist. Various types of how Art therapy accepts the visual information of an individual has searched to prove how Art therapy could be analogous to active listening in psychotherapy through observation process. Different from traditional studies of psychotherapy, Art therapy can receive both visual and auditory information from an individual.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ed Ansehendes Zuhören; active listening of observing visual outcomes and Zuhörendes Ansehen: observing active listening as a basic technique to collect information. In conclusion, the combined technique of ‘Ansehendes Zuhören’ and ‘Zuhörendes Ansehen’ is an appropriate approach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collecting information in art therapy. Therefore, this research expects to provide a theoretical foundation to understand the attitudes of active listening in accordance with Art therapy. 심리치료에서 경청은 정보를 수용하는 기본적 자세이자 치료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한 토대가 된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미술치료에서 정보를 수용하는 행위인 경청과 주시의 의미를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먼저 듣는 행위를 의미하는 낱말인 청취와 경청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Collins(2006)와 Weiß, Kleer, & Engel(2011)이 분류한 경청의 종류와 이에 내재한 특성을 근거로 다양한 이론적 배경을 가진 심리치료에서 경청의 형태를 살펴보았고 여기서 인지할 수 있는 치료사의 자세와 특징을 설명하였다. 상대적으로 시각적 정보의 수용에 높은 비중을 둔 미술치료에서 심리치료에서의 경청과 유사한 의미는 주시라는 점과 이에 근거한 다양한 미술치료에서의 시각적 정보 수용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전통적 심리치료와는 달리 미술치료에서는 시각적 정보뿐만 아니라 청각적 정보를 전달하는 대상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주시하는 경청’(Ansehendes Zuhören)과 ‘경청하는 주시’(Zuhörendes Ansehen)를 미술치료에서의 기본적 정보 수용의 형태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의 적절한 혼용은 적극적 경청에 상응하는 미술치료에서의 정보를 수용하는 행위로 이해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그리하여 미술치료에 부합되는 적극적 경청의 자세와 태도를 이해하고 이의 특성을 연구하는 데 이바지하는 하나의 이론적 토대로 유의미하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교회의 이웃의 소리경청 및 개선방안 연구 : 선교적 교회의 관점에서

        이병옥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4

        이 연구는 선교적 교회 관점에서 교회의 이웃의 소리경청 및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실 오래 전부터 한국 교회의 대사회적 소통의 부재 또는 일방 적 소통의 문제에 대해서 계속해서 문제 제기가 되어왔지만, 한국 교회의 대사회적 소통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그동안 한국 교회가 세상과의 관계 속에서 선포중심의 일방적 소통을 해왔기에, 이웃과의 소통을 더 잘하기 위해서는 경청중심의 대화적 선 교 패러다임을 필요로 한다. 이런 점에서 선교적 교회론이 적합한데, 왜냐하면 선교적 교회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관계적이고 대화적 선교에 참여하는 것을 교회의 정체성이 자 사명으로 인식하면서 세상과의 관계하는 방식이 쌍방적이고 대화적인 것을 지향하 기 때문이다. 선교적 교회가 일반 교회보다 이웃과 더 잘 소통하고 경청한다는 것을 보여준 한 양적 연구가 있지만, 그 연구는 일반 교회와 선교적 교회가 어떻게 이웃을 경청하고 소통하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제시해주지는 않았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서, 연구자는 구성주의적 사례연구 방법(constructivist case study methodology)을 준용하여 일반 교회와 선교적 교회를 하나씩 선택하고 그들이 이웃의 소리를 어떻게 경청하는지를 연구하였다. 이 과정 속에서 연구자는 둘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주목했다. 여기서 구성주의적 사례연구 방법이란, 사례연구와 구성 주의적 근거이론을 종합한 방법론으로, 사례연구의 틀 안에서 차마즈(Charmaz)의 구 성주의적 근거이론으로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이 연구를 통해서 선교적 교회뿐 만 일반 교회 안에도 이웃의 소리를 경청하는 모습이 있음을 발견했다. 이 연구는 또 한 그들이 이웃의 소리를 경청하는 과정이 단순한 직선적인 과정이 아닌, 복잡하고 다양한 측면을 가지면서도 동시에 통합된 과정임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둘 사이에 차 이점도 발견되었다. 하나님의 선교의 측면에서 선교적 교회는 자신을 일반 교회와는 다르다고 인식했고, 선교를 수행한다는 동기에서 이웃의 소리를 경청하려고 했으며, 이웃의 소리를 경청하는데 있어서 감사하는 태도를 취했다. 그리고 리더십 차원에서 선교적 교회는 담임목사의 역할을 대단히 중요하게 보았고, 내적 소통구조를 만드는 것을 굉장히 강조했다. 또한 하나님의 선교 차원에서 선교적 교회는 새로운 선교적 사건들을 훨씬 더 많이 경험하였다. 따라서 일반교회가 이웃의 소리를 더 잘 경청하 기 위해서는 이런 점들을 개선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달리 말하면, 일반교회 가 이웃의 소리를 더 잘 경청하기 위해서는 선교적 교회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 고, 여기에는 리더십의 변화가 필수적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church’s listening to neighbor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issional church. In fact, for a long time, many problems about the lack of the Korean church’s communication with the world or its unilateral communication have been raised, but its way of communication has not been improved significantly. Since it has made proclamation-centered one-way communication in relation to the world so far, in order to better communicate with neighbors, the church must have a listening-centered dialogical mission paradigm. In this respect, the missional ecclesiology seems appropriate because the missional church aims at relating to the world in an interactive and dialogical manner while regarding its participation in the triune God’s relational and dialogical mission as its identity and calling. There is one quantitative study showing that missional churches communicated better with neighbors and listened to neighbors better than ordinary churches, but the study does not provide specific details on how they did so. Considering the above, by employing a constructivist case study methodology, the researcher selected an ordinary church and a missional church and studied how they listened to their neighbors. In this process, the researcher paid attention to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Here, the constructivist case study methodology is a research method combining case studies as a framework and Charmaz’s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as a tool to analyze the data.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not only the missional church but also the ordinary church listen to the neighbor. This study also suggested that their process of listening to their neighbors is not a simple linear process, but a complex, diverse and integrated process at the same time. However, differences were also found between the two. From the perspective of God’s mission, as compared to the ordinary church, the missional church perceived itself as different from general churches, tried to listen to its neighbors with a motive for carrying out missions, and took an attitude of gratitude in the process. And in terms of leadership, the missional church considered the role of the senior pastor more important than the ordinary church, and put more emphasis on creating an internal communication structure. Also, in light of God’s mission, the missional church experienced much more new missional events.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for the ordinary church to improve these points in order to better listen to its neighbors. Furthermore, to do so, the ordinary church would have to shift to a missional paradigm of mission and church and regard the role of the leadership as crucial in the process.

      • KCI등재후보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지역사회 지원기관의 운영현황 연구

        유진이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원 2020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Vol.5 No.3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이주배경청소년 지원기관의 운영현황을 파악하고, 이주배 경청소년 지원기관의 미래지향적 운영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문헌고찰과 면접 에 의한 해석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특정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레인보우스쿨, 다문화특별학급, 다문화중점학교, 다문화예비학교 등이며, 이주배경청소년 지원 현황을 중심으로 이주배경청소년 지원을 위한 정책방안을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이주배경청소년을 수용할 수 있는 교육기 관 및 시설의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단순한 통계작업으로는 파악할 수 없는 학교 밖 이주배경청소년을 찾아내는 작업이 시급한 과제로 대 두되었으며, 학교 밖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지원제도의 강화와 보다 실효성있는 진로지원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또한 지역내 이주배경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 담당자 및 학교 교사들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한 협의체 구성과 실효 성 있는 교류⸱협력을 위한 방안 마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used an interpretive research metho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operation of organizations related to youths with immigration backgrounds in the local community and to suggest future-oriented management and development plans of organizations supporting youths with immigration backgrounds. The institutions included in the study were the Healthy Families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Multicultural Special Class, Multicultural Critical School, and Multicultural Preparatory School located in P-city, Gyeonggi-do.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expan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facilities capable of accommodating youth from immigration background compared to the population of immigrant background youth residing in local communities. In particular, the task of finding out-of-school youths with immigration backgrounds not found in statistics was identified as an urgent task, and the need for more effective career support along with reinforcement of the support system for youths with immigration backgrounds outside of school was required. In addition, it was proposed to establish a mechanism for reinforc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person in charge of projects and school teachers targeting young people with immigration backgrounds in the hall, and to prepare a plan for exchange and cooperation.

      • KCI등재

        자가 경청 평가지를 활용한 대학 교양발표 수업 사례 연구

        김지현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3 교양학연구 Vol.- No.24

        이 연구는 대학생의 경청에 대한 인식 제고와 효과적인 발표 학습을 위하여 대학 교양발표 수업에서 자가 경청 평가지를 활용하여, 수업에 실제로 적용한 후 교육적 의의를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대학 교양발표 수업에서는 발표 말하기 수행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발표를 듣는 청중이 적극적인 청자로서 역할을 수행해야만 발표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말하기’에 비해 ‘듣기’는 소통 만족도에 기여하는 바가 더 크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23년 1학기 K 대학의 <프레젠테이션 글쓰기> 수업에서 발표 수행과 관련한 전반적인 교수와 더불어 청자의 태도와 발표 듣기에 대해 교수한 후, 동료 학습자의 발표 듣기 중 ‘자가 경청 평가지’를 활용하여 청자인 학습자의 경청 능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자가 경청 평가지에 대한 학습자 의견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발표 수업 현장에서는 학습자들이 자가 경청 평가지를 통해서 학습자들이 동료 발표자의 발표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학습자들도 자가 경청 평가지를 통해 자신의 듣기 태도가 변화하였고, 발표를 집중해서 들었다는 의견을 주었다. 또한, 자가 경청 평가지가 학습자들에게 적극적인 담화 참여자의 역할을 부여하고, 자신의 발표로 적용할 수 있게 도와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자가 경청 평가지를 통해 발표 교육이 말하기 능력뿐만 아니라 듣기 능력을 함께 신장시켜야 한다는 점을 피력하며 대학 교양발표 수업에서의 듣기 교육과 경청 연구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

      • KCI등재

        관리자의 경청 유형이 부하 직원의 신뢰와 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은,류춘렬 한국소통학회 2013 한국소통학보 Vol.22 No.-

        이 논문은 조직 소통에서 경청을 주제로 연구하였다. 와츤, 바커, 위버(Watson, Barker,& Weaver, 1995)의 4가지 경청 유형인 사람지향, 내용지향, 시간지향, 그리고 행동지향 유형을 공기업과 민간기업 직원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관리자(팀장)와 부하직원(팀원)을 쌍으로 조사하여 관리자 자신이 측정한 관리자의 경청 유형과 부하직원이 인식한 관리자의 경청 유형을 독립변인으로 하였으며, 부하직원이 보유한 관리자에 대한 신뢰와 수용을 종속변인으로 하였다. 조사 결과, 관리자의 경청 유형에 대하여 관리자와 부하직원의 인식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차이는 네 가지 유형에서 모두 나타났다. 관리자들은 자신의 사람지향 성향을 높게 평가하고 부하직원은 관리자의 행동지향 성향을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했다. 각 유형에서 관리자와 부하직원 인식의 상관관계는 없거나 낮게 나타났다. 관리자의 경청 유형은 부하직원이 가진 관리자에 대한 신뢰와 수용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부하직원이 인식한 관리자의 유형은 신뢰와 수용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하직원의 인식 중에서 사람지향과 내용지향 경청 유형은 신뢰와 수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행동지향은 공기업에서는 신뢰에, 민간기업에서는 수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지향은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manager’s listen preference style on subordinator’s trust on and acceptance of his orher manager. Public and private enterprises have been surveyed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of 662 employees including team leaders and team members. This study uses Watson, Barker, & Weaver’s(1995) four styles; people-oriented, content-oriented, time-oriented, and action-oriented one. The results are as follow: ①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manager’s recognition and subordinator’s recognition on the manager’s listening preference style. There were little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② Manager’s listening preference style recognized by subordinators has effects on trust and acceptance. These effects appear for styles of people-oriented, content-oriented, and action-oriented one in both public and private enterpri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