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해외체류경험과 외국어 사용 능력에 따른 문화간 감수성 수준의 차이 (경기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김옥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8 미래청소년학회지 Vol.5 No.1

        The development of ‘global village’ in the 21st century demand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that has depended upon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current figures of intercultural competence of Korean youth measuring intercultural sensitivity. Intercultural Sensitivity Scale(ISS) developed by Chen and Starosta was administered to 310 youth attending University located at Kyunggi province in Korea. Using t-test and ANOVA, the mean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among groups based upon gender, staying experiences of foreign countries, length of stay in foreign countries, level of foreign language proficiency has been analyzed. It found that college students in Kyunggi province showed highist scores in the section of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s in ISS that was composed of five sections; ① interaction engagement, ②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s, ③ interaction confidence, ④ interaction enjoyment, ⑤ interaction attentiveness. It also found that the mean differences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scores among the different groups of foreign language proficiency were meaningful in the section of interaction engagement and interaction confidence. And the mean differences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scores between the groups of having experiences of stay in foreign countries and no experience group of stay were meaningful. Based on these findings researcher discussed the possibile ways to improve intercultural sensitivity for college students and proposed some possible theme for further studies. Potential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s well. 본 연구는 21세기의 세계화된 환경 속에서 청소년들에게 중요하게 요구되는 문화간 감수성을 측정,분석한 연구이다. 청소년의 문화간 감수성은 Chen과 Starosta에 의해 개발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되었으며, 측정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3개 대학의 3학년에 재학 중인 297명의 대학생들이었다. 개인별 특성(성별, 해외체류경험, 체류기간, 외국어 사용능력)에 따른 집단 간의 문화간 감수성 차이를 t 검증과 일원변량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한국청소년들의 문화간 감수성은 문화간 감수성의 5개 영역(상호작용 참여, 문화차이 존중, 상호작용 자신, 상호작용 향유, 상호작용 주의)중 문화차이 존중의 영역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외국어 사용 능력정도는 상호작용 주의영역을 제외한 4개의 영역 일부 문항들에서 유의미한 점수 차이가 나타났으며, 해외 체류경험은 상호작용 참여와 상호작용 자신의 영역의 일부 항목들에서 집단 간 평균점수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해외체류기간과 성별에 따른 문화간 감수성의 차이는 5개의 영역 어디에서도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자는 분석결과를 토대로 외국어 사용능력과 해외체류경험에 따른 문화간 감수성의 차이가 가지는 함의에 대한 논의를 통해 문화간 감수성 증진을 위한 다문화교육의 방향이 다양한 형태의 타문화 접촉 경험을 통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외국어고등학교와 일반계고등학교 학생의 문화간 감수성 비교 연구

        유종열(Yu, Jongyoul)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1 사회과교육 Vol.50 No.3

        본 연구에서는 외국어고등학교와 일반계고등학교 학생들의 문화간 감수성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본 조사 대상자 전체의 문화간 감수성 평균은 5.0 만점에 3.50이었으며, 평균점(3.50)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문화차이 존중도(평균: 3.85)와 상호작용 참여도(평균: 3.55)는 평균보다 높았으나, 상호작용 향유도(평균: 3.45), 상호작용 주의도(평균: 3.41), 그리고 상호작용 자신도(평균: 3.08)는 평균보다 낮았다. 그리고 외국어고등학교 학생들은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보다 문화적 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어고등학교 학생들의 문화간 감수성 평균은 3.59였으며,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문화간 감수성 평균은 3.43이었다. 이 두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다섯 개의 하위 영역별로 살펴본 결과 상호작용 참여도(외국어고: 3.65, 일반계고: 3.46. 유의도: .000), 문화차이 존중도(외국어고: 3.96, 일반계고: 3.77. 유의도 .000), 상호작용 자신도(외국어고: 3.15, 일반계고: 3.02. 유의도: .037), 상호작용 향유도(외국어고: 3.50, 일반계고: 3.33. 유의도: .003)에서 외국어고 학생들이 일반계고 학생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compares intercultural sensitivity between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tudents and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stands relatively high, marking 3.50 out of 5.0. Compared to the average point(3.50),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s’(average 3.85) and ‘Interaction Engagement’ (average 3.55) occupies higher positions than the average, but ‘Interaction Enjoyment’(average 3.45), ‘Interaction Attentiveness’(average 3.41), and ‘Interaction Confidence’(average 3.08) are below the average. In addition,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tudents possess a higher intercultural sensitivity than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tudents shows 3.59 on the average, while that of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marks 3.43. These figures provi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at is,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tudents hold higher places than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in the five subdivisions such as ‘Interaction Engagement’(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3.65, regular high schools: 3.46. p: .00),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s’(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3.96, regular high schools: 3.77. p: .000), ‘Interaction Confidence’(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3.15, regular high schools: 3.02. p: .037), ‘Interaction Enjoyment’(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3.50, regular high schools: 3.33. p: .003)

      • KCI등재

        문화간 감수성 증진 통일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이인정 한국윤리교육학회 2020 윤리교육연구 Vol.0 No.56

        본 연구는 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를 이론적 배경으로 문화간 감 수성 증진을 위한 통일교육 방안을 모색하려는 연구이다. 다문화주의 와 상호문화주의는 기본적으로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고 문화 간 공 존을 도모하려는 입장이다. 상호문화성은 상이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사람들 간의 만남에서 서로의 ‘다름’에 대한 수용 능력이자 경향성으로 서의 ‘문화간 감수성’을 함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같은 관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공평(형평) 교수법 및 문화 감응 교수법을 살펴 보고 분단 한반도에서의 통일교육 적용 가능성을 모색했다. 특히 뱅크 스의 ‘문화개발 유형 단계’를 한반도에 적용하여 통일을 지향하는 문화 간 감수성 유형 특성을 단계별로 제시하고, 단계별 특성 및 자기 성찰 질문의 형태로 정리했다.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to promote intercultural sensitivity based on multiculturalism and interculturalism as a theoretical background. Multiculturalism and interculturalism are basically positions that respect cultural diversity and promote coexistence between cultures. Interculturalism plays an important role in cultivating 'intercultural sensitivity' as a tendency and a capacity to accommodate each other's 'differences' in meetings between people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looked at the equity teaching and the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and sought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to the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on the divided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by applying Banks' ‘Culture Development Type Stage’ to the Korean Peninsula, the characteristics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patterns aimed at peace and reunification were presented in stages, and staged characteristics and self-reflection questions were summarized.

      • KCI등재후보

        고등학교 사회과 다문화 수업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간문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조대훈(Daehoon Jho),이주영(Jooyoung Lee)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교육연구 Vol.52 No.-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방과후 다문화 수업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다문화적 태도, 특히 간문화적 감수성(Intercultural Sensitivity)에 대해 가지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10시간 분량의 다문화 수업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이 다문화 수업 프로그램을 다문화교육에 관심을 가진 서울 소재 사립 고등학교 사회과 교사의 도움을 얻어 개설한 ‘다문화사회 이야기’라는 방과 후 수업에 적용하였다. 연구자가 개발한 다문화 수업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간문화적 태도에 변화를 가져왔는지 알아보기 위해 Hammer, Bennett & Wiseman(2003)의 ‘간문화적 발달 측정 척도(Intercultural Development Inventory, IDI)에 기초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자료 분석 결과, 본 연구에 포함된 간문화적 감수성의 하위 영역 4개 중에서 부정/방어(Denial/Defense), 최소화(Minimization) 및 수용/적응(Acceptance/Adaptation)의 3개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연구자의 다문화 교육 수업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다문화적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다는 점을 보여줌과 동시에, 현행 사회과 교육과정에 적용가능한 다문화 교육과정의 내용과 방법의 개발에 긍정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fter-school multicultural lesson, “The Tales of A Multicultural Society” on students’ intercultural sensitivity. Based on the pedagogical model of multicultural education developed by Jho & Park (2009), “the Tales of A Multicultural Society” consisted of 10 instructional lessons (50 minutes per each) and was implemented in a local private girls’ high school in Seoul. The researchers monitored the entire lesson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elective students. Then, in order to measure students’ intercultural attitudinal change, the Intercultural Development Inventory (IDI) survey of 50 items were administered to 40 students twice, on the first day of the course and 4 week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urse. In sum, the study found that overall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the researchers designed had a statistically positive impact on students’ intercultural sensitivity. The findings of the study request for further research and continuous investment on developing multicultural pedagogical knowledge and strategies.

      • KCI등재

        한ㆍ중 예비교사들의 문화간 감수성 비교연구

        김옥순(Oksoon Kim) 한국비교교육학회 2008 比較敎育硏究 Vol.18 No.1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문화간 감수성을 측정하여 비교한 연구이다. 문화간 감수성이란 다문화적 능력을 갖춘 교사가 되기 위해 필요한 자질로 본 연구에서는 문화간 감수성의 측정을 위해 Chen과 Starosta에 의해 개발된 검사지가 사용되었다. 한국 대학생 301명과 중국 대학생 275명으로 구성된 총 576명을 대상으로 측정한 문화간 감수성의 평균점수를 비교한 결과 한국의 예비교사들의 평균 점수가 중국의 예비교사들에 비해 근소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평균점수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인지는 T-검증을 통해 문화간 감수성의 5개 하위 영역에서 분석하였다.   Recently, "multicultural societ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re the rasing issues in South Korea. Since the population of half Korean and half South-East Asian (Kosian) as well as labors of various nationalities have been dramatically increase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begins to pay attention to children of mixed race and labors of various nationalities. Year of 2007,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has proposed the "Plans for Educational Supporting of a Half Blood Child". There are many argument against the plan. The main critiques to the plan regards to the blurred concep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t has been also criticized that the plan for training teachers to handle the multicultural atmosphere.<BR>  The purpose of study is to provide the current figure of readiness of preservice teachers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South Korea comparing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between South Korea and Chinese. In the study, it has been assumed that preservice teachers in China would be more sensitive than the preservice teachers of Korea to the multicultural environment because they grew up with 56 different ethnic groups. To verify the assumption, researcher measured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301 Korean and 275 Chinese who enrolled in teacher education program of 4 year college.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Scale(ISS) developed by Chen, G.M. and Starosta, W.J. has been used for the measurement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both nations.<BR>  Analyzing the data from the samples of both nations it was foun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in Korea show slightly higher scores than those of China. At the end of study, the researcher made some points relating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in Korea.

      • KCI등재

        다문화 감수성에 기반을 둔 간 문화적 글쓰기 프로그램의 실제 - 2015년 경문고 따봉(따뜻한 봉사활동)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

        박범철 ( Park Bum-chul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6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다문화교육 대상에서 일반적으로 포함되지 않았던 내국인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을 실시하여 다문화 감수성의 증진을 통해 다문화 인식 개선을 할 수 있음을 밝히려는 의도에서 기획되었다. 인권교육과 연계한 다문화 교육을 통해 문화적, 인종적 편견을 극복할 수 있음을 밝히기 위해 학교안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지역사회에 기반을 두고 있는 다문화 교육기관, NGO단체와 연대하여 지역사회주민인 결혼이주민학습자를 대상으로 실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동화주의적인 다문화주의를 드러내고 있는 한국 사회의 다문화인식을 다문화 감수성 증진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였다. 아시아계 결혼 이민자 여성 및 동남아시아 이주노동자 및 아프리카 흑인에 대한 인종차별적인 태도를 한국의 다문화 정책의 한계로 인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적합한 다문화 교육 방안으로 Merryfield의 다문화 교수 전략을 한국 상황에 맞추어 이론적 틀을 제공한 조대훈ㆍ박민정(2009)의 다문화 감수성 증진 수업 모형 가운데 3단계에 해당하는 간문화적 글쓰기 프로그램을 학습자 상황에 맞추어 적용하여 다문화교육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다수자에 의한 소수자 편견과 차별을 지양하고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강조하는 교육을 통해 다문화 감수성을 증진시키고자 했다. 끝으로 학교 안의 다문화 교육이 교과서 안에 머물지 말고 학교를 넘어 지역사회와 연대하는 교육개혁운동으로 확대되어 지역사회 중심의 민주시민교육으로 확대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multicutural education based on human rights education towards Korean students and their parents normally excluded from school multicultural education can enhance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improve awareness of multiculture. And this study also shows that establishing relation between human rights education and awareness of multiculture makes people overcome cultural and racial prejudice. For this, school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in cooperation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organization and NGO based on local society was run. This study tries to solve the unique multicultural phenomena of Korean society based on Assimilation through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severe racial discrimination to Asian married female immigrants, Southeast Asian immigrants and African blacks is defined as the limit of Korean multicultural policy. Intercultural writing is tried as proper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which intends to sublat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towards minority and improve multicultural sensitivity emphasizing human dignit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school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extended to democratic citizen education through education reform movement in cooperation with local society.

      • KCI등재후보

        한국어교육과 다문화교육의 연동 방안

        장미영 국어문학회 2013 국어문학 Vol.54 No.-

        본 연구는 대학에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과 다문화교육을 연동시켜 진행할 수 있는 교수-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그 실천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다문화교육은 대학의 한국어교육 대상자들이 다문화적 감수성을 갖춰 글로벌시대를 헤쳐 나갈 수 있는 새로운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이제 우리 사회의 다문화교육은 가족, 민족, 국가 개념을 의식하는 소속의 논리에서 빠른 속도의 변화와 다양한 문화 접촉 기회의 확대 및 점증하는 복합성 개념에 의거한 도구의 논리를 수용해야 할 때가 되었다.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에는 크게 다음과 같은 목적들이 필요하다. 그것은 첫째, 다양한 역사적 관점의 이해, 둘째, 문화적 의식 함양, 셋째, 간문화적 역량 개발, 넷째, 모든 형태의 편견과 차별에 대해 투쟁하기, 다섯째, 지구의 현 상태와 전 세계적 역동성에 대한 이해 증진, 여섯째, 사회적 행동 기술개발 등이다. 이상 여섯 가지로 정리된 다문화교육과정의 목적들은 개별적으로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서로 중첩되어 있어 각각의 목적들이 서로의 발달과 함께 연동되어야만 성취가 가능하다. 한국어교육에 다문화교육을 연계하기 위해서는 우선 교과과정의 개편이 필요하다. 교과과정은 교육 목표, 교과내용, 교수방법, 교수매체의 4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먼저 교육 목표는 한국어를 배우려는 학습자의 요구에 부응하되, 한국어교육을 통해 한국어만을 습득하게 하는데서 그치지 않도록 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한국어교육의 목표는 한국어를 통해 다문화를 고려하는 상황적 결정 능력을 키우고 다양한 사회참여기술을 익히며 정치적 효율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재 국가별, 민족별로 따로따로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는 상호 배타적 정체성을 지양하는 쪽으로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교과내용면에서는 내용의 주제를 한국적 정황과 문화를 세계에 널리 알리는 것과 함께 다양한 인종, 민족, 문화, 성, 언어, 사회적 계급, 종교, 성적 성향, 신체적 능력, 장애, 다양한 정치적 신념, 개념 등을 포함할 수 있게 한다. 교과내용은 무엇보다도 전세계의 다양한 문화의 가치를 인정하고 그 문화의 다양성을 수용할 수 있는 태도를 기르는 데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더 나아가서 인간의 존엄성이나 인권의 존중, 세계사회에 대한 책임감, 지구환경에 대한 경외감 등을 가질 수 있는 인류보편적인 내용과 함께 문화권간에 서로 공유되는 문화적인 요소가 중요하게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교수방법면에서는 일인교사제도를 지양하고 다문화적 학습자와 함께 하는 팀티칭, 멘토링, ‘제3의 교육공간’ 방법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 교수매체 또한 현행 평면적인 도서 대신 입체적인 도서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어교육과 다문화교육을 연계한다는 것은 특수한 문화권 출신의 학습자가 한국어교육을 통해 다양한 문화권 출신의 사람들과 상호 소통이 원활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결과적으로는 개별자로서의 한 인간이 어떤 문화권에서 삶을 영위하든 적응력을 높이고 나아가 선도적인 행보를 할 수 있도록 자신감을 갖게 하는 것이 될 것이다.

      • KCI등재

        간문화적 감수성 발달이론의 청소년 국민정체성, 고정관념 및 차별, 상호교류행동의지의 구조 관계 검증

        서보람,심임숙,김효일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9 다문화와 평화 Vol.13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national identity on reciprocity willingness of adolescents on the basis of Development Model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Also, this paper analyzes how stereotypes and discrimination mediate between national identity and reciprocity willingness. The research objects are 616 adolescents living in Pyeongtaek cit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has been conducted to examine the suitability of the measurement model. The mediating effects have been verified after analyzing the structural model of the research model. The research output shows that stereotypes and discrimination increase with the increase of the national identity of the adolescent, and stereotypes and discrimination mediate between the national identity and reciprocity willingness. This paper calls on further discussions about the concept of national identity and the necessity for consensus, and it suggests several ways to promot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adolescents. 본 연구는 간문화적 감수성 발달 이론을 토대로 국민정체성이 상호교류행동의지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고정관념 및 차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평택시에 거주하는 616명의 청소년이며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모형의 적합성을 분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모형에 대한 구조모형 분석 후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의 국민정체성이 증가할수록 고정관념 및 차별이 증가했으며, 고정관념 및 차별은 국민정체성과 상호교류행동의지를 완전 매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에 대한 고정관념, 차별적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마련, 국민정체성 개념에 대한 논의 및 합의의 필요성,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에 마련에 대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적 인성 발달 이론에 기반한 다문화 학습 모형 탐색

        은지용 ( Ji Yong Eu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9 시민교육연구 Vol.41 No.1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sign a multicultural learning model through examining multicultural character development theories.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view of multicultural character development theories, we examined three representative multicultural character development theories, which are racial-cultural identity development theory (Sue & Sue), cultural identity development theory (Banks), and intercultural sensitivity development theory (Bennett & Bennett), and the stages of multicultural character development were discussed as follows. That is, although the three multicultural character development theories are partially different from one another in the details, they can give useful implications in formulating a multicultural learning model by showing a series of processes to make learners receive and respect other cultures and ultimately reflect on their own culture and other cultures, starting from cultural toadyism or ethnocentrism, which is a negative idea against the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and gradually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Second, a multicultural learning model was designed based on the multicultural character development theories. Here, the model was divided into the goals of multicultural learning and the methods of multicultural learning. With regard to the goals of multicultural learning,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multicultural character were derived. Multicultural character indicates abilities to understand cultural diversity, attitude of respecting cultural diversity, abilities to put into practice the respectful attitude toward cultural diversity, etc. In addition, with regard to the components of multicultural character, we suggested abilities to understand own culture and other cultures reflectively in the cognitive aspect, attitude of respecting own culture and attitude of selective respect for other cultures, and attitude of respecting universal values of mankind in the emotional aspect, and abilities to put into practice the attitude of selective respect for other cultures, and abilities to cope with and participate in multicultural problems and conflicts in the behavioral aspect. Furthermore, with regard to the methods of multicultural learning, the stages of multicultural learning were presented for minority groups and majority groups. The suggested stages of multicultural learning for minority groups were the stage of `acknowledging cultural toadyism or ethnocentrism,` stage of `recognizing differences between own culture and other cultures,` stage of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own culture and other cultures,` stage of `reflecting on own culture and other cultures,` and stage of `coping with multicultural problems and conflicts.` The stages for majority groups are the stage of `acknowledging ethnocentrism,` stage of recognizing differences between own culture and other cultures,` stage of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other cultures,` stage of `reflecting on own culture and other cultures,` and stage of `coping with multicultural problems and conflicts.` On the other hand, we suggested the core principles of multicultural learning emphasized in the stages of multicultural learning such as the reduction of prejudices against other culture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sympathy, solution of multicultural conflicts and problems, and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of the universal values of mankind. Last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made suggestions as follows on the operation of the multicultural learning model. Firstly, when multicultural learning is executed specifically based on the multicultural learning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various multicultural learning methods, programs, and learning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learners` characteristics, level, learning capacity, learning environment, etc. Secondly, based on the multicultural learning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further research should be made in the field of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regard to specific multicultural learning methods, program execution processes, and the effects of such programs. Lastly, we expect the development of more practically applicable multicultural learning methods and programs through various subsequent studies on the process of multicultural character development in adolescents living in the multicultural situation of Korea.

      • KCI등재

        한국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인식유형

        정지아,부향숙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8 다문화교육연구 Vol.11 No.3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features of typology of international students perception on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aim, this research used Q method, and total of 33 Q sample questions were selected from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 with international students, and newspaper articles. P sample size was 24 respondents. Their perception was assessed in terms of their purpose of studying abroad, cultural sensitivity, intercultural competency, and adaptation. As a result, valid types of perception were categorized into six groups using QUANL PC program. Type 1 was an ‘active adaptors’ who would aggressively get accustomed to Korean culture and even wished to settle in the future despite financial difficulty. Type 2 was relationship-oriented ‘cultural adaptor’ group of students whose primary goal in Korea was to make friends with the Koreans. Type 3 was ‘conscious underachievers’ who were constantly aware of their low proficiency in Korean and mal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Type 4 was ‘settlement goal-setters’ who were unskilled in forming new relationships but had wishes to settle in Korea in the future. Type 5 was ‘total dissatisfaction’ group who were discontent with their academic achievement, relationship, and life as a whole due to difficulties in adapting to a new life setting. Lastly, type 6 was a ‘university-life-specific complaining’ group of students who perceived making friends as a primary goal in life but failed to adjust to the Korean university culture. This research would contribute to policy implication for universities to help international students to adapt more successfully in Korea. Finally, the newly proposed theoretical hypothesis would be contributable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유학 온 외국인유학생들이 주관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대학생활적응의 공통점과 특징을 도출해내어 유형화 하는데 있다. 외국인유학생들의 대학 생활적응은 유학 동기, 문화 감수성, 간문화적 역량, 적응의 관점에서 도출해 볼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 연구 방법으로 Q방법론을 이용하였다. Q표본은 외국인유학생들 심층면담, 기사, 관련 문헌을 통해서 최종 33개의 진술문을 완성하였다. P샘플은 24명의 외국인유학생들로 구성되었고 QUANL PC 프로그램으로 주요인을 분석해 유형을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외국인유학생들의 인식유형은 6가지로 나타났다. 유형1은 경제적 어려움이 있으나 적극적인 한국 문화에 적응하면서 미래에 한국에 정착하고 싶어하는 ‘적극적 적응형’, 유형2는 지리적으로 가까운 한국으로 유학 와서 적극적으로 친구를 사귀는 일을 최우선으로 두는 ‘문화 적응형’이다. 유형3은 공부에 대한 욕구는 많으나 한국어 능력 부족과 학교생활 부적응으로 힘들어하는 ‘학습 부적응 인식형’이었으며, 유형4는 한국에서 취업하고 정착하고자 하나 인간관계에는 미숙한 ‘한국정착 목적형’으로 조사되었다. 유형5는 학교생활, 인간관계, 학업 모두에 적응을 힘들어하고 혼란스러워하는 ‘총체적 불만족형’이며, 유형6은 인간관계가 대학 생활의 목적인데 한국의 대학 문화에는 적응을 힘들어하는 친밀관계를 추구하는 ‘대학문화 부적응형‘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외국인유학생들의 한국에서의 대학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새롭게 제기된 이론적 가설은 후속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