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계-우암 계열의 퇴율 읽기와 학단의 분열 -이발(理發) 비판과 심시기(心是氣) 강조의 한계-

        정도원 ( Jeong Do Won ) 한국사상사학회 2015 韓國思想史學 Vol.0 No.51

        본고는 사계와 우암의 주자학 이해가 가지는 특성을, 퇴계와 율곡에 대한 이해를 통해 가늠하고, 이것이 학단 분열로 이어질 수 있는 이유를 밝히고자 한다. 본고는 특히 심학의 측면에서 이 문제에 접근하고자 하는데, 퇴계와 율곡의 갈림이 바로 이 심학 혹은 도학에 뿌리를 두고 있고, 조선후기사상사가 퇴율 심학에 대한 당 시대의 독해 방식과 그에 담긴 역사의식을 분석함으로써 일관되게 설명될 수 있기때문이다. 사회 경제적 맥락에서의 사상 검토 역시 이러한 토대 위에서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고의 기본 관점이다. 율곡이나 고봉은 퇴계의 이학이 “한 마음, 두 근원”을 상정한다고 비판한다. 이때 문제가 되는 것은 이발이 아니라 “호발(互發)”이었다. 그러나 율곡의 적통을 자처하는 사계-우암은 호발이 아닌 “이발(理發)”을 문제 삼는다. 사계-우암은 특히 “무위기유위(理無爲氣有爲)”에 초점을 두고 “심시기(心是氣)”를 주장하는데, 이 논리에서 이발과 그궁극으로서의 “락(樂)”은 인정되지 않으며, “이도(理到)” 역시 부정된다. 이러한 주장의 정당성은 심학적 성과가 아닌 주자 원전과의 대조를 통해 획득하려 하였다. 농암은 이러한 주장이 이(理)의 주재성 혹은 순선(純善)의 내적 근거 약화로 이어진다고 보고, 심시기의 문제를 퇴계의 “심합이기(心合理氣)” 주장으로 보완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호락논쟁은 인성과 물성의 동이를 논의한다고 하지만, 외암과 남당의 논의를 보면 실제 문제가 되는 것은 성(性)으로 표현된 “미발심체(未發心體)”이다. 이는 이 논쟁이 주자가 미발과 성을 “묘(妙)”라는 관점에서 연결한 것을 토대로, 심학과 논리의 틈새에서내면의 순선 혹은 보편적 절대선 근거를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를 따지는 것임을 말한다. 사계-우암 계열의 ‘무위(無爲)의 리(理)’와 심시기 논리로는 이러한 근거 확보가 쉽지 않았다. 그러므로 양쪽 모두 심(心)의 영역에서 리(理)의 근거를 확보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었는데, 이중 호론은 기(氣)의 측면으로 천착해갔고, 낙론은 심시기의명제를 수정하는 방향으로 논의를 전환하였다. 낙론의 전환은 농암에게서 시작되었다. 퇴계 학파의 경우도 성호 같은 이는 호발에 대한 율곡이나 고봉의 비판을 숙고하여 자신의 입론으로 수정하고자 하였는데, 학파에 관계없이 이처럼 상대 입론을 수용하여 자신들의 사고가 가진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는, 이들의 학문이 당파나 논리 차원을 넘어 “계성개학(繼聖開學)”이라는 도학적 소명에 충실하고자 하였던 때문이라 할 수있다. 조선 후기 유학을 당파와 같은 이해(利害) 대립의 산물로만 해석할 수 없는 이유이다. 사회경제적 맥락 혹은 사회문화와의 상관관계역시 이러한 도학의 역사의식을 전제한 바탕에서 분석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This paper tried to inquire why Yulgok School was divided, focusing on their reading Toegye and Yulgok. Yulgok School read the thoughts of Yulgok School in the point of the learning of mind(心 學). The differences of this reading brought the division of schools, not only in Yulgok School but also Toegye School. The division from the reading differentiation may explain the diversity in the later period of Chosun dynasty in the point of relation between philosophy and socioeconomic activities. Yulgok criticized the problem of Toegye philosophy. The core of this criticism was that Toegye thought two minds from separate origins. His heir, Sagye and Uam criticized Yibal(理發; the arouse of noumenon) and asserted ‘Mind is hyle(心是氣).’ They couldn’t believe noumenon(理) can reveal itself. But this thought made their practical energy weak. Nongam modified and corrected this thought, and the result took after Togye’s thought, especially thought of ‘combining the revealing good(理) de proprio motu and hyle(心合理氣)’. Many neo-confucian scholars showed similar pattern for taking universal and absolute origin of the good in one’s own mind. That’s the major cause for school division in the after period of Chosun dynasty, because neo-confucian scholars were more concerned with the holy summon from Confucian tradition than partisan interests or so. They were the Neo-Confucian scholar. Then, why should we translate Neo-Confucianism in the later period of Chosun Dynasty as a conflict of interests?

      • KCI등재

        老莊(노장)과 禪家(선가)의 초월적 수양 공부

        서명석 韓國宗敎敎育學會 2001 宗敎敎育學硏究 Vol.13 No.-

        다음과 같은 정식이 있을 수 있다: <나는 초월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때 초월은 인간의 존재론적인 비약이면서 인식론적인 포월을 의미한다. 이 정식을 염두에 두면서 동양의 전통, 특히 노장(老莊)과 선가(禪家)의 담론 속에서 그것이 공부로서의 인간 초월과 어떻게 협연하는가를 여기서 다루었다. 교육의 주요활동을 배움(學·learning)으로 포착하는 것은 서양이냐 동양이냐를 구분할 필요는 없지만, 배움을 둘러싼 둘 사이의 지평의 결별은 너무나 크다. 먼저, 서양에서 유입된 현대적인 배움(learning)에서는 교육내용에 대한 습득의 활동과 긴밀하게 조응한다. 물론 이 교육내용은 학문의 영역을 구획해내는 <지식의 형식> 담아 교과를 통하여 부활한다. 그러므로 여기서의 배움은 교과에 대한 배움과 동일하다. 그런데 이 배움은 교육내용을 담보하는 <구체적인-내용물-자체에-대한-배움>물학(物學)으로 지탱한다. 허나 동양에서 바라보는 배움의 지평은 달랐다. 여기서 바라보는 배움(學)은 인간의 마음과 그 마음 자체에 대한 연마활동과 만난다. 따라서 배움의 구체적인 양태는 마음이 어떻게 현실의 세계 안에서 작동하며, 그 작동의 실상이 마음을 넘어 인간의 몸에 어떻게 편승하는가를 직시하는 일이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단순한 직시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몸 너머의 존재 승격 그리고 세계관의 변화라는 것으로 압축되었기에 그것은 마음의 질을 다루는 배움이었다. 그럼으로써 이와 같은 배움은 <마음의 형식> 일상 속에서 포착하며 마음 자체를 다잡는 것을 배우는 것이기에 마음속 안으로 직접 들어가서 <마음을-갈고-닦으며-새-마음으로-그-마음을-배양하는-배움>심학(心學)이라는 가닥으로 수렴시켰다. 이런 심학(心學)은 마음 안에서 피고 지는 욕망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다룬다. 즉 동양에서 바라보았던 심학(心學)은 존재의 욕망과 맞닿아 있으면서 욕망의 문제에 일일이 화답하는 것이었다. 물론 이 지형 속에서, <존재는 욕망하며 실존한다, 그러면서 존재는 현존한다.>肩린?인간이 욕망하는 존재이기에 그의 욕망은 수축과 팽창이라는 연동 운동을 할 수밖에 없다. 이 와중에서 욕망의 질서를 규율하고 조정하는 것이 마음의 주체적 몫이다. 하여 마음은 욕망하는 실체이면서 동시에 욕망하는 그 마음을 상위에서 지배하는 또 다른 마음이 있을 수 있다는 전제를 심학(心學) 전통은 받아들인다. 이 마음이 있음으로써 마음 안에서의 초월은 가능하다. 물론 이런 초월은 교육내용이라는 구체물의 세계를 배우는 것에서 일어날 수 없는 것이고, 스스로 주체가 되어 마음 안에서의 마음의-닦음과-배양으로써 일어나는 내재적인 마음의-질적-변환(metanoia)이다. 이것은 존재가 욕망을 독자적으로 주재하고 기획함으로써 존재의 탈바꿈이 마음 안에서 일어날 수 있다는 가정이다. 이것이 동양의 초월적 마음 공부이다. 이 공부는 우리들의 마음 속에서 더 큰 존재를 스스로 만들어 가는 활동과 같다. 그리하여 존재의 첫 명제는 나(我·ego)로부터 출발한다. 왜냐하면 나 곧 무지와 탐욕으로 뒤덮인 자아가 바로 진리를 찾아가는 주체요 또한 진리의 본체이기 때문이다. 이런 무지와 탐욕과 같은 욕망을 담금질함으로써 나를 소멸시키면서 진아(眞我·Self)를 찾아가는 것이 전통 배움인 심학(心學)에서의 초월인 것이다. 더불어 초월이 일어난다는 것은 존재가 뒤바뀌면서 그에 따른 존재의 세계관도 동시에 갱신된다는 것을 함의한다. 이런 공부의 지평을 동양에서는 수양(修養)으로 등록시켜 놓았다. 이 중 노장(老莊)에서의 무위(無爲)와 진아(眞我)의 추구, 그리고 선가(禪家)의 부처 입론과 견성(見性)의 탐구는 이런 마음의 초월 공부와 직접 만난다. 이 속에서 존재는 마음의 초월적 부활을 구체적으로 체험할 수 있을 것이다. 존재의 궁극적 원리 자체가 다함 없이 운동하기 때문에, 우리의 공부도 끝없이 날로 전진한다.―黃宗羲 (道無窮盡 吾之工夫亦日進無彊,『孟子師說)「禹惡旨酒章)) There is such as formula: I transcend, therefore I am. At this point transcendence means ontological leaping and epistemological jumping. Holding this meaning sets, I studied harmony topography between Kung Fu tradition and human transcendence focused on Taoism and Zen Buddhism of eastern tradition. Both West and East emphasized learning of education for long time. But two paradigms of learning differed from educational mind. In West, modern learning corresponds to the accumul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that is, curriculum. In this context, contents are formed through subject-matters constructed by knowledge form of academic area. Therefore modern learning of West accords with learning of subject-matters. It is called Mul-Hak(物-學). This Mul-Hak means the accumulative learning of concrete contents in educational practice. But the learning of eastern tradition ran to special horizon on education. In this text, human learning tackled mind and alchemy of mind and heart. This learning concentrated on mind movement of daily world, and was studied cosmic order of heart and mind by self cultivation. It is called Sim-Hak(心-學). This is Kung Fu tradition of learning in eastern religion and philosophy. This Sim-Hak paradigm is directly treated human desires that cyclically birth and die inside human mind. So Kung Fu of Sim-Hak was connected the problem of desires and it was problem of being to eastern. Because eastern people thought that the quality of being relied on to the quality of desires. In this assumption, human being experiences successive desire movement designed by energy flow of decrease and increase. At this process, human being is emerged coordinator of one's desire for oneself. When human being continue self management and control of own desires, being can transcend lower level toward higher level in self mind. This is transcendental Kung Fu of learning. And, in eastern paradigm, it is called the self cultivation of heart and mind. This is Su-Yang(修-養) Kung-Fu(工-夫). Of course, Taoism and Zen Buddhism have been kept this tradition of Kung Fu. Concretely speaking, Taoism stressed true Self building of mind trough polishing desires. Also, Zen Buddhism accepted discovery of Buddha nature as a apogee of Kung Fu. In this context, true Self building of mind and discovery of Buddha nature is equal to final accomplishment of human transcendence.

      • 水雲心學과 그 展開

        이찬구 한국동학학회 2001 동학연구 Vol.9·10 No.-

        心學이라 하면 성리학에 대한 양명학의 심학을 연상시킬 정도로 동학에서 심학이란 말은 아직까지도 생소하다. 본 논문에서 말하는 심학이란 水雲이 경전상에 두 번 언급한 心學이란 말에 유의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수운의 심학(Suwoon's Mind Learning)은 경신년 사월, 하날님과의 신비체험이라는 역사적 사건에 토대를 두고 있다. 오심즉여심의 심법전수사건은 수운에게 마음의 중요성을 깨닫게 한다. 그 마음자리를 통해 하날님을 만날 수 있고, 그 마음자리는 지공무사하므로 사람이 하날님을 바로 모시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마음수련이 있어야함을 강조한다. 수운의 심학을 한마디로 守心正氣의 심학이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수운의 심학은 해월 최시형 등에게 여러 형태로 수용되어 전개되어 왔다. 이런 과정을 통해 수운심학의 저변을 짐작할 수 있다. 그동안 동학연구에서 수운이 고뇌한 마음의 문제가 소홀히 다루어 온 감이 없지 않다. 이제 수운심학은 동학에서 바른 자리매김이 있어야 할 때이다. 수운심학의 목적은 수심정기로 시천주에 이르는데 있다. 영부와 주문에 의한 수심정기로 시천주에 이르는 수운심학의 심화가 곧 동학의 발전을 가져올 수 있다고 본다. This thesis is aimed at comprehending the meaning of Suwoon's Mind Learning(水運心學). Hanallim(the Heavenly God:天主) is the most important concepts of Tong-hak(Eastern Learning:동학). Suwoon's Mind Learning in Tong-hak is based on the Hanallim. And Suwoon's Mind Learning is exhibited method of 'Serving the Heavenly God'(侍天主).

      • KCI등재후보

        艮齋와 華西學派의 心說論爭의 핵심 쟁점과 그 의미

        장숙필 ( Sook Pil Jang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3 율곡학연구 Vol.27 No.-

        艮齋와 화서학파의 심설논쟁은 리를 중심으로 사고하고 실천하는 것이 올바른 것인지 아니면 절대지선의 리는 바꿀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가변적인 기를 다스려 이 리가 제대로 드러날 수 있게 하는 것이 올바른 것인지를 두고 벌어진 논쟁이라 할 수 있다. 즉 실천과 이론의 통일체로서의 조선유학이 19세기라는 미증유의 격변기에 어떻게 천리를 보존하고 실천할 수 있을 것인가하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 논쟁이었다. 화서학파는 율곡의 ‘심시기’라는 명제가 主氣로 흘러갈 수 있는 위험이 있다고 비판하고 우리 몸의 주재이며 성정을 통섭하는 주체인 심은 리를 주로 하여(主乎理) 봐야하며 이런 측면에서 심은 리라고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반해 간재는 율곡의 ‘심시기’설을 그대로 계승하여 심은 기이며 심 가운데에 내재되어 있는 성이 리라고 주장한다. 물론 둘 다 존재론적으로 심이 이기의 합이라는 것을 동일하게 전제로 하고 있지만, 간재는理無爲氣有爲의 이기관 및 심과 성을대비하면 성은리요 심은 기라는 율곡의 주장에 근거하여 유위한 기는 무위한 리에 근거해야 만이 그 작용이 바름을 잃지 않을 수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주재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일탈하기 쉬운 마음의 자의성을 통제할 것을 역설하는 性師心弟說을 제기하게 된다. 그러나 화서학파인 重菴은 심이 天君으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는 것은 心中의 리에 의해 가능하므로 이 리를 주로 하여 심을 리라고 하여야 만이 主氣의 폐단으로 흘러가지 않게 된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간재는 중암의 주장이야말로 主氣本心之學이며 자신의주장이 진정한 主理本天之學이라 역설하게 된다. 이 논쟁은 당시와 같은 대내외적 위기의 시대속에서 천리의 보존과 실현을 통해 시대적인 난국을 해결하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 것이지만 서로의 수양방법론 및 현실인식의 차이로 인해 결국 합의점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 논쟁은 우리에게 주리, 주기라는 개념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게 하는 계기를 주었으며, 천리의 보존과 실현이라는 성리학적 문제의식에 대한 치열한 탐구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 It is said that the arguments of Clarification of Mind between Kanjae(艮齋) and the Hwaseo School(華西學派) was the controversial of the assessment of the principle(li) and mind. One is claimed that it is the proper approach of thinking and practice alongside with principle whist the other maintained that present the unmovable principle by the movable vital force (qi). The controversial argument was an extension of principle and vital force in mid-Joseon Dynasty. Hwaseo School was criticized that the notion of “the mind is the vital force” of Yulgok have tendency of vital force centralism. To avoid vital force centralism, the mind that is administrator of human nature and emotions that has to be a principle central. Therefore, it is said that the mind is principle. On the contrary, Kanjae was more straightforward to Yulgok`s idea: “the mind is the vital force”. He asserted that the mind is the vital force and the principle is immanence among the vital force of the mind. Both of them are agreed to what the mind is the synthesis of principle and the vital force but the perspectives are different. By Kanjae, he displayed that principle is doing nothing but the vital force is active, subsequently the dichotomy of principle and the vital force deliver the conclusion that of qi have following the li and it is the way not to take a false step. Therefore, the administrative mind have to follow the instruction of li called the formulation of nature is master and the mind is disciple(性師心弟說). However, Jungam(重菴) of Hwaseo School is against the formulation, according to him, the mind is the governor of body due to the li in the center of mind. Therefore, li is the one and in this sense the mind is li to elude the vice of vital force centralism. On the contrary, Kanjaeasserted that Jungam`s notion is not principle centralism but mere vital force centralism, for my theorem is the true meaning of principle central and heaven rooted leaning(主理本天之學). The disputes were initiated that the sense of impending cri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 the devastating situation, they are groping for the solution of keeping of heavenly principle and realization the morality of Confucianism. However, they have failed to reach the agreement due to the difference of ways of cultivation and sense of actual realties. The dispute led us a chance to reevaluate the meaning of principle centralism and vital force centralism. And it is presentation of the endeavors of how to keep of heavenly principle and realization the morality of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scholars.

      • SCOPUSKCI등재

        미온혈 심정지액의 임상적 고찰

        이종국,박승일,조재민,원준호,박묘식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2 No.2

        배경: 심장 수술시 저온 요법은 심근 보호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요소로 인식되었고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여러 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효소기능, 세포막 안정성, 조직의 산소이용, ATP 생성과 이용, 심근세포 보존에 해를 끼치는 등 단점이 있다. 1989년 이러한 단점을 없앤 심장의 전기 기계적 정지, 연속적인 온혈 심정지액의 관류에 의한 정온 호기 상태의 심정지에 기초를 둔 새로운 심근 보호법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연속 온혈 심정지액의 사용에 있어서 적절한 관상정맥동의 주입속도, 압력, 연속 심정지액의 사용시 중단 가능한 시간, 심정지액의 온도 등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어 왔으며 심정지액의 온도를 37$^{\circ}C$, 34$^{\circ}C$, 33$^{\circ}C$ 및 29$^{\circ}C$ 등의 변화를 주어 각각에 대한 연구 보고가 있어 왔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1994년 10월부터 1995년 2월까지 연속 온혈 심정지액을 사용하여 판막수술을 받은 18명의 환자와 1996년 5월부터 1997년 7월까지 연속 미온혈 심정지액을 사용하여 판막수술을 받은 17명의 환자를 임상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저자들의 결과는 심폐기 가동시간, 대동맥 차단시간, 대동맥 차단 해제부터 심폐기 이탈시간, 체외순환중 혈중 최고치 칼륨 농도, 술후 인공호흡기 이탈시간, 술후 1시간 및 12시간 심근 효소 검사, 술후 심근 수축제 및 혈관 확장제의 사용 등에서 양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술중 소변 배출량 및 술후 12시간 동안의 소변량은 연속 온혈 심정지액을 사용한 군에서 많이 배출되었고, 대동맥 차단 해제후 자연 심박 재개율은 연속 온혈 심정지액군에서 높았다. 결론: 이상과 같은 결과들을 통해서 본 교실에서는 성인 심장 판막수술시 연속 미온혈 심정지액을 이용한 방법은 적어도 연속 온혈 심정지액의 심근보호 효과만큼은 얻을 수 있었다. Background: In cardiac surgery, hypothermia is associated with a number of major disadvantage, including its detrimental effects on enzymatic function, energy generation and cellular integrity. Warm cardioplegia with normothermic cardiopulmonary bypass cause three times more incidence of permanent neurologic deficits than the cold crystalloid cardioplegia with hypothermic cardiopulmonary bypass. Interruptions or inadequate distribution of warm cardioplegia may induce anaerobic metabolism and warm ischemic injury. To avoid these problems, tepid blood cardioplegia was recently introduced. Material and Method: To evaluate whether continuous tepid blood cardioplegia is beneficial in clinical practice during valvular surgery, we studied two groups of patients matched by number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Warm group(37$^{\circ}C$) consisted of 18 patients who underwent valvular surgery with continuous warm blood cardioplegia. Tepid group(32$^{\circ}C$) consisted of 17 patients who underwent valvular surgery with continuous tepid blood cardioplegia. Result: Heartbeat in 100% of the patients receiving continuous warm blood cardioplegia and 88.2% of the patients receiving continuous tepid blood cardioplegia converted to normal sinus rhythm spontaneously after removal of the aortic cross clamp.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groups in CPB time, ACC time, the amount of crystalloid cardioplegia used and peak level of potassium. During the operation, the total amount of urine output was more in the warm group than the tepid group(2372${\pm}$243 ml versus 1535${\pm}$130 ml, p<0.01).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roponin T level measured 1hr and 12hrs after the operation. Conclusion: Continuous tepid blood cardioplegia is as safe and effective as continuous warm blood cardioplegia undergoing cardiac valve surgery in myocardial protection.

      • KCI등재

        심재(心齋) 김석익(金錫翼)의 삶과 저술에 대한 일고

        김새미오 ( Saemio Kim ) 영주어문학회 2015 영주어문 Vol.31 No.-

        본고는 제주도 문인인 心齋 金錫翼의 삶과 저술에 대해 규명한 글이다. 본고는 "심재 김석익의 삶 - 『心齋集』의 저술양상 - 『心齋集』에 나타난 저술 의식"으로 구성하여 살펴보았다. 심재는 ``조선-일제강점기-해방기``의 역동기를 살다간 인물이었다. 어려서 할아버지에게 배우다가 이어 유배인이었던 李容鎬에게 수학하였고, 다시 광주에있던 浮海 安秉宅을 찾아가 배웠다. 이후 심재는 ``蘆沙 奇正鎭-松沙 奇宇萬-浮海 安秉宅``의 학맥을 계승하였다. 심재의 삶은 1909년 제주무장항쟁을 계기로 바뀌게 된다. 심재가 기우만의 격서를 전하면서 깊이 관여를 했고, 그의 형인 金錫允도 이 항쟁의 중심에 있었기 때문이다. 거사가 실패로 돌아가자 심재는 집필에 매진하게 된다. 심재의 저술은 조선시대의 문물과 제주도에 관한 제반기록을 정리하였다. 저술에 나타난 심재의 의식은 조선유민의식과 제주에 대한 관심과 애정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심재의 유민의식은 일제에 대한 제주무장항쟁의 실패에서 비롯한 것이었다. 이런 유민의식으로 심재는 조선의 성대했던 기억을 돌아보았다. 제주에 관한 저술은 기존의 시각을 전환하면서 제주에 대한 애정을 담았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의 저술은 몇 구절을 제외하고는 조선시대에 국한되어 있는데, 이는 심재저술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looks into the life and works of Shimjae Kim Seok-Ik by focusing upon the writing styles of Shimjae``s Anthology and Shimjae``s consciousness underlying the Anthology. Shimjae lived through the turmoil periods that cover Chosun, which was perished by the Japanese Occupation and later liberated from the Japan``s rule. As growing up on Jeju Island, he learnt from his grandfather; and afterwards maintained learning from Yee Yong-Ho who exiled to the island. Further he sought learning from Boohae Ahn Byoung-Taek by visiting him in Kwangju. Shimjae later on succeeded the academic linkages that include Nosa Khee Jeong-Jin, Songsa Ki Woo-Man, and Boohae Ahn Byoung-Taek. Shimjae``s life got to change after the uprising movement in Jeju Island that took place in the year 1909. Shimjae was involved deeply in the uprising movement after the event of delivering the urgent notices drafted by Ki Woo-Man. Also, the fact that his brother was at the center of the uprising movement motivated him to get involved in the movement. After the uprising movement went into vain, Shimjae exerted great efforts on writing works. The works of Shimjae are mostly the kinds of handwriting manuscripts except for collected anthologies and sole-authored books. His works concern documenting the artefacts of the Chosun period and diverse facets of Jeju Island. We can conclude that Shimjae``s works reflect his failed consciousness that came from Chosun dynasty having died out by the occupation of Japan and his deep interest in Jeju Island. His failed consciousness of perished Chosun was sparked by the failure of the uprising movement. With bearing the nostalgic, failed consciousness of perished Chosun, he traced back to the memories of the prosperities of Chosun. His works concerning Jeju Island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herish the wholehearted feelings towards the island as transforming previous viewpoints. However, his works except for certain sentences are limited to the Chosun period, which can be considered as limitations of his works.

      • KCI등재

        심부근 안정화 운동이 대학 배구선수의 심부 근 기능과 중심 밸런스에 미치는 영향

        송낙훈 한국스포츠학회 2024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2 No.1

        요약본 연구의 목적은 심부근 안정화 운동이 대학배구선수의 심부 근기능과 중심밸런스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대학배구선수의 스포츠 손상 예방과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수행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C지역과 D지역 대학 배구선수 36명을 비 운동 비교집단(NEG) 12명, 웨이트 운동그룹(WEG) 12명, 심부근 안정화 운동그룹(LEG) 12명으로 무선 할당하여 실험 전과 후 심부근기능과 중심밸런스를 측정하였다. 심부근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은 12주간 진행하였으며, 연구 수행을 통해 얻어진 자료는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 반복측정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은 첫째, 심부근 안정화 운동에 따른 심부근기능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LEG가 WEG와 NEG에 비해 심부근기능의 근파워와 스피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부근 안정화 운동에 따른 중심 밸런스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LEG가 WEG와 NEG에 비해 중심밸런스의 4개 축의 이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심부근 안정화 운동이 대학배구선수의 심부 근기능과 중심밸런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ocal muscle stabilization training on trunk muscular ability and center balance in university volleyball player.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volleyball player at J, C universict, were selected at random and allocated 12 volleyball player each for the Non Exercise group(NEG), Weight Exercise group(WEG), Local Muscle Stabilization Exercise group(LEG) and measured trunk muscular ability and center balance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local muscle stabilization training program for 12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 of trunk muscular ability according to local muscle stabilization training, LEG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NEG and WEG.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 of center balance according to local muscle stabilization training, LEG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NEG and WEG. As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local muscle stabilization training ontrunk muscular ability and center balance in university volleyball player. However, there is a need for more specific exercise programs to be developed for the continual improvement of volleyball performance in volleyball along with further studies to confirm the physiological benefits of those programs.

      • KCI등재후보

        화서 이항로 성리설의 심학적 특징에 관한 시론

        김근호 ( Goun Ho Kim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3 율곡학연구 Vol.26 No.-

        이 논문은 화서 이항로의 성리설을 심학의 관점으로 접근하면서 그 사상적 특징과 동시대 사상사적 의미를 밝힌 것이다. 지금까지 연구에서 그의 성리설은 주로 주로 주리론과 주기론이라는 사상사적 맥락 속에서 연구되고 평가되어 왔다. 이로 인해 19세기에 나타나는 한주학파나 노사학파의 성리설과 함께 강한 주리론적 성향의 성리설로 평가되었고, 그 사상적 특징도 크게 대별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주리론적 성향의 성리학자들이 대체로 마음 심(心)의 문제에 천착하고 있었다. 이에 연구 방법론을 성이학적 심학에서 새롭게 접근할 수 있는지를 시론해 보고, 힘학적 시각의 연구 방법론을 통해 그의 성리설이 가진 특징들과 동시대 사상사적 위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성리학적 심학(心學)의 관점을 연구 방법론으로 삼기 위해 먼저 퇴계 심학을 중심으로 ``성리학적 心學``에 대한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이것을 토대로 ``성리학적 心學``의 영역에서 화서 이항로 성리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율곡학파의 심(心)에 대한 전통적 이해를 새롭게 구축한 ``심합리기 心合理氣``, 이황의 ``리동(理動)``과 유사한 의미맥락이 담겨 있는 ``理體神用``, ``심즉리(心卽理)``로 오해할 수 있는 ``心興理一``, 율곡학의 ``리통기국(理通氣局)``을 계승한 ``理通物局``, 心의 직분(職分)을 사회, 천하로까지 확장하여 직업(職業)과 동일시하는 덕업(德業) 등의 특징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19세기 지성사에 있어서 한주학파나 노사학파와 구별되는 지성사적 면모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성리설의 특징들은 그의 심학에서 구축되었다고 말할 수 있고, 이심학을 토대로 도학(道學) 실천의 정당성과, 덕업으로써 부여된 도학의 의리 실천성을 확보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었다. This paper discusses how Hwaseo`s theory of mind marked and what it based on. His theory is marded by five features in a mind philosophy. ``Mind contains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心合理氣], ``Principle is the substance and it`s function is the initiative against body`` [理體神用], ``unity of mind and principle`` [心興理一], ``all the principle in the world are at bottom one and the initiative of things is restrict by it`s materiale`[理通物局], ``unity of an individual duty of virtue and public morality`` These features of his mind theory show conflicting Yulgok school;[票谷學派]`s traditional views on mind: on the other hand, the disparities in mind theory still exist between Hwaseo`s and Toegye`s mind philosophy. Nevetheless, it is important that most of 19th Neo-Confucianists had met the demands of the times. There were, however, a very distinct difference between Neo-Confucianist and Yangming`s mind theory. Even though, they put their moral faith into social practice as powerful as Yangming`s.

      • KCI등재

        심시기와 율곡철학의 성격 규정 문제

        김경호 한국철학사연구회 2019 한국 철학논집 Vol.0 No.62

        “심시기(心是氣)”로 표현된 율곡적 사유는 율곡철학뿐만 아니라 율곡후학들의 심성론을 이해하는 핵심 명제다. 이 명제는 퇴계의 “심합리기(心合理氣)”나 “리발(理發)”의 문제의식과 대결하면서 변형과 조정의 과정을 거치기도 하는데, 현대에도 율곡철학의 성격 규정과 관련하여 “심시기”는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율곡의 “마음–지각”에 대한 사유를 협애한 틀에서 “지각론”이나 “심기학”으로 규정하는 일부의 주장이 그러한 사례다. 논자는 이 글에서 두 가지 점을 주장할 것이다. 첫째, “심시기”를 제기했던 율곡의 철학적 문제의식은 “심여리일(心與理一)”을 염두에 두면서도 심성의 분리를 상정할 수밖에 없었던 주희의 딜레마에 대한 대안적 이론의 성격을 갖는다. 둘째, 율곡철학을 “성리학”이 아닌 “심기학(心氣學)” 혹은 “지각론(知覺論)”으로 규정하려는 일부 논의는 “율곡학”에 대한 폄하이며, 이러한 시도는 상대적으로 “퇴계학”을 강화하기 위한 은폐된 기획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규범의 근거인 성(性)으로서의 리(理)를 내면에 두면서도, 물리적인 세계에 공존하는 법칙을 예민하게 파악해 낼 것을 강조하는 율곡적 사유지평을 “심기시”를 중심으로 하여 그 의미와 맥락을 탐구한다. 이 논의를 위해 율곡이 제기했던 “합성여기(合性與氣)”, “심성정의일로(心性情意一路)”와 같은 개념을 포함한 심성론을 “마음–지각”의 측면에서 재검토하고, “은유적 사유 이미지(metaphorical image of thought)”를 통해 율곡의 마음에 대한 이해를 조명한다. 율곡의 “심시기”는 “성즉리(性卽理)”를 전제로 하여 마음의 지각과 그 지각의 근간인 리라고 하는 규범성의 원천을 당대의 현실에서 재구축하려 했던 철학적 탐구였다. 이 점에서 심시기 논의는 학술적이면서 동시에 실천적 의미를 갖는다.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