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말선초의 불교서사와 유교의 관계

        김진영 어문연구학회 2013 어문연구 Vol.78 No.-

        이 논문은 여말선초 불교서사의 전승양상을 검토한 다음, 불교서사의 전승과 유교의 관계를 문학사적인 측면에서 살펴본 것이다. 첫째, 유교적인 이념이나 강상(綱常)을 담은 불교서사가 여말선초에 집중적으로 전승된 것은 정치나사상적으로 큰 변화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때부터 불교가 지배적인 종교에서 밀리고 신진사대부들이 유교를 앞세워 중세의 통치 질서를 마련하기 시작했다. 이에 불교계에서는 스스로의 입지를 강화하는 치원에서 변화를 모색할 수밖에 없었고, 이것이 불교서사에 유교적인 이념을 담게 된 동인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불교도 유교와 다르지 않음을 항변하면서 위기상황을 타개하고자 한 것이다. 둘째, 여말선초의 불교서사는 작품집과 단독작품으로 전승되었다. 작품집에는 중단편의 불교서사가 다수 이입되어 있다. 이러한 불교서시는 시대상을 반영하여 유교에서 중시하는 내용을 수렴해 놓았다. 단독작품으로 유전된 것도 모두 유교에서 백행의 근원이라고 여기는 효행을 전면에 내세워 다루었다. 셋째, 여말선초 불교서시는 유학자들이 중시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시대상황에 적절히 대응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유교의 득세와 불교의 위기가 불교서사를 발양하는 촉매제가 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불교도 유교와 다르지 않음을 불교서사를 통해 항변한 것이라 하겠다. 불교서사에서 우리의 역사는 물론, 유교의 이념이나 강상을 다룬 것도 바로 그러한 사정 때문이다. 이렇게 내용적인 변화를 모색하다가 조선 후기에 들어와 유교를 더 전격적으로 끌어들이면서 불교소설보다는 유교소설적인 특정이 더 강화된 것이라 하겠다. This thesis is studied about transmission aspects of Buddhism narration i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early chosun dynasty, and the relationship of Buddhism narration's transmission and Confucianism is considered in terms of history of literature. The main cont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ransmission background of Buddhism narration is like that. The Buddhism narration that is contained Confucius ideology or morality is focused in the end of Koryo dynasty and early chosun dynasty. Because this time has some variation of politics or thought. And this time Buddhism is expelled from dominant position, rising nobility pivoted on Confucianism. And with this they made a new ruling order. So in Buddhism they could have changed themselves for their position, this is become the agent that Buddhism narration has Confucius ideology. By so doing, Buddhism protested that they weren't different from Confucianism.. Second, it is considered about transmission aspects of Buddhism narration. First for the transmission, Buddhism narration is distributed various collection of works. In these works, novella and short stories of Buddhism narration are imported. These Buddhism narration reflected the phases of the times, so is came under important contents of Confucianism. Therefore these works are put up the filial behavior that is most important in Confucianism. In the second place, the intervention reason of Confucianism is confirmed in contents of transmission. On investigation of every works, they have Confucian scholar's important contents, so this is right for state of a period. Third, i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early chosun dynasty the ruling ideology is changed Confucianism from Buddhism. Such being the case, Buddhism narration is made for their autogenous power. So Confucianism power and Buddhism crisis are become catalyst that Buddhism narration is raised. To overcome a crisis, Buddhism narration protested that Buddhism didn't differ from Confucianism. This being so, it is treated our history and ideology of Confucianism in Buddhism narration. And this means that Buddhism narration would be greatly diversified. Like this way Buddhism narration is seeking of change, they attracted Confucianism electrically more in latter period chosun dynasty. Therefore Buddhism narration has been strength of Confucianism novel's characteristic.

      • KCI등재

        여말선초녹패(麗末鮮初祿牌)의 제도와 양식

        박성호 ( Sung Ho Park ) 한국고문서학회 2013 古文書硏究 Vol.43 No.-

        高麗와 朝鮮은 官僚制를 기반으로 운영된 국가로서 祿俸制를 시행해 왔다. 지금까지 녹 봉제에 관해서는 여러 연구 성과가 축적되었지만, 녹봉 지급을 위해 발급된 ``祿牌``라는 문 서 자체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본 연구는 녹 패 연구의 범주에서 특별히 고려 말과 조선 초라는 변화의 시기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말선초에 녹봉 및 녹 패 발급을 관장한 官司를 시기별로 규명하였다. 고려 말에는 尙書省右司에서 해당 업무를 맡았고, 1362년(공민왕11) 이후 三司에서, 1401년(태종1) 이 후 司平府에서, 1405년(태종5) 이후 吏曹에서, 1466년(세조12) 이후 吏曹와 兵曹에서 해당 업무를 관장하였다. 둘째, 여말선초 녹패의 문서 양식의 변천을 규명하였다. 여말선초에는 기본적으로 "王命 准賜" 양식의 녹패가 존재하였는데, 공민왕의 反元정책이 시행되던 짧은 기간 동안 "宣命" 양식의 녹패가 일시적으로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왕명준사" 양식의 녹패는 1432 년(세종14) 이후 "奉敎賜" 양식으로 변하였다. 이는 당시 조선의 공문서 양식이 元·明의 문서에 사용되었던 語法을 점차 수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현상으로 보인다. 이후 1466년 (세조12)에 이조와 병조에서 업무를 분장하면서 문서 양식도 "某曹奉敎賜" 형태로 바뀌었 고, 이 양식은 결과적으로 ?經國大典? 祿牌式으로 귀결되었다. 셋째, 당시 녹패에 사용된 印章과 署名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고려말의 녹패에 사용된 인장은 정확히 알 수 없다. 조선초에는 "宣賜之印"이 1432년(세종14)까지 사용되다가 "왕 명준사"를 "봉교사"로 바꾸는 조치와 더불어 인장도 "頒賜之印"으로 바뀌었다. 이후 1466 년(세조12)에 이조와 병조의 업무 분장에 맞춰 인장도 각각 "吏曹之印"과 "兵曹之印"이 사 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여말선초의 녹패에 사용된 관원의 서명 방식을 필자는 着押으로 판단하였다. Goryeo and Joseon are dynasties based on bureaucracy, so they implemented stipend system. Studies on stipend system haven`t so far paid remarkable attention to Nokpae that was issued for stipend. Within the research category of Nokpae, this study had particular interest in and paid attention to the transitional periods of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The key findings at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government officers who were in charge of issuing stipend and Nokpae during the periods of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dynasty. It was confirmed that the task was controlled by SangseoseongUsa during late Goryeo, by Samsa after 1362, by Sapyeongbu after 1401, by Yijo after 1405, and by both Yijo and Byeongjo after 1466 .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d into the transition of Nokpae style. It was assumed that Nokpae in ``Seonmeong`` style was temporarily used during the king Gongmin periods. Nokpae in ``Wangmeongjunsa`` style changed to that in ``Bonggyosa`` style after 1432. In 1466 the control system was divided and shared by Yijo and Byeongjo and thus the document form was also changed to ``Mojobonggyosa`` style. Third, this study reviewed the stamps and signatures used in Nokpae. It is not clear what stamp was used for Nokpae in late Goryeo. In early Joseon, ``Seonsajiin`` had been used until 1432. And it was changed to ``Bansajiin`` along with the change of ``Wangmyeongjunsa`` to ``Bonggyosa``. It is assumed that both ``Yijojiin`` and ``Byeongjojiin`` were used in 1466 when Yijo and Byeongjo divided the task of Nokpae. The author thinks that Chakap (one of traditional signature forms) was used as the signature style of the government officers in charge of Nokpae during the periods of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 KCI등재

        여말선초 시조의 세 가지 국면

        신영명(Shin Young-myoung) 한국시조학회 2008 시조학논총 Vol.29 No.-

        여말선초 시조는 우리 시가사에 있어서 독특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 글은 정병욱의 『시조문학사전』에 기재된 20수 시조를 대상으로, 그것이 가진 세 가지 국면을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첫째, 작가의 진위 문제, 둘째, 정치 담론적 성격, 셋째, 작품의 유형이 각각 그 세 국면이다. 이제 그것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말선초는 시가사상 경기체가와 악장의 시대에 속한다. 그러므로 이 시기 작품은 모두 위작이 된다. 둘째, 여말선초 시조는 17세기 사대부 정치 담론의 장에서 처음 연행된 작품으로 보인다. 셋째, 여말선초 시조는 크게 정치, 애정, 탄로의 세 주제로 나누어진다. 그 가운데 다수를 점하는 17수는 정치 유형의 주제를 다루고 있는데, 이는 다시 충절, 회고, 각세, 개세, 탄세의 하위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Sijo, Korean Verse, which is thought to have been produced in the last years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years of the Joseon Dynasty occupies a peculiar place in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ree major aspects of 20 poems included in Jeong, Beongok's Literary dictionary of Sijo, the first and second of which are to ascertain the authenticity of their authors and political discourses found in them. The last one is to examine types of each individual work. The above three aspec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last years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years of the Joseon Dynasty was the age of Keonggiche-Ga, the representative poetic style of the late Goryeo and Ak-Jang, the representative poetic style of the early Joseon, which means all the poems of Sijo produced in this period can be said to be a forgery. Secondly, the poems of Sijo in the last years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years of the Joseon Dynasty are thought to originally come from political discourses of the gentry in the 17th century. Thirdly, three major themes of the poems of Sijo produced in the last years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years of the Joseon Dynasty are politics, affection and lamentation. 17 poems of those deal with political subjects, which can be sorted into lower types such as loyalty, recollection, awakening the world, rebuilding the world and lamenting the world.

      • KCI등재

        麗末鮮初 朱子學의 전개과정과 시기별 특징

        김기주(金基柱) 한국양명학회 2007 陽明學 Vol.0 No.18

        여말선초 주자학의 전개과정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는 지나치게 단순하거나 획일적이다. 대부분의 관점은 그 전개과정을 과도기 유학과 사화기 유학의 2단계로 구분하거나, 주자학의 수용ㆍ양반사회의 통치이념화ㆍ도덕적 성격의 형성이라는 3단계로 구분하고 그 특징을 논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관점들은 고려 말 주자학 도입의 당위성이나 여말선초 주자학의 전개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자학 이해의 질적 전환, 그리고 훈구파와 사림파의 성격과 퇴계학의 등장배경 등에 대한 적절한 설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시기의 주자학 전개과정을 도입기ㆍ분화기ㆍ대립기ㆍ전환기의 4단계로 구분함으로써, 기존의 시각에서 설명되지 못하였던 각 시기별 특징이나 문제의식뿐만 아니라, 그 지향점을 보다 분명하게 확언하고 있다. 이렇게 4단계로 여말선초 주자학의 전개과정을 개괄할 때, 이 시기 주자학은 윤리규범학 또는 정치적 이념으로부터 인간과 우주 그리고 정치적 이념의 토대를 해명하는 철학으로 전환되는 과정이었다고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여말선초 주자학의 전개과정은 단순히 조선주자학 성립의 전단계 혹은 소화기 정도로 치부될 수 없는 중요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으며, 조선주자학의 본질적 특정과 그 지향점을 결정한 중요한 시기라는 점이 확인된다.

      • KCI등재

        여말선초 경남지역 와요 출토 평기와의 변천양상

        김성진(Kim Sungjin) 한국중세고고학회 2021 한국중세고고학 Vol.- No.10

        여말선초 기와는 평기와의 타날문양을 통해 총 4분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1분기는 이전과 비교해 기존 문양이 계속 사용되나, 집선문이 점점 증가하고, 단순·형식화되며 퇴보되는 양상을 띠며, 문양구성은 일정한 틀 없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2분기는 평기와 단부에 종선문이 부가된 기와가 새롭게 등장하여 기존 기와와 공존하며, 고려시대 대표문양인 어골문이 일부 확인되나 이 분기 이후 대부분 사라지고 사선집선문·방곽집선문 등의 집선문 비율이 높아진다. 문양구성은 2·3단문이 확인된다. 3분기는 평기와의 단부 부가 종선문이 일반화되는 시기로, 직선계 능형집선문·방곽집선문·사선집선문·단사집선문이 유행하며 문양구성은 단독문이 주를 이룬다. 4분기에는 직선계 문양 외에 곡선계 문양도 유입되어 제작되기 시작하며, 조선시대 대표문양인 곡선계 호상집선문이 출현한다. 문양구성은 단독문~3단문까지 확인되나 단독문이 가장 많이 제작된다. 여말선초 전환기의 변화는 단부 부가 종선문 채용, 어골문의 소멸과 신규 집선문의 등장, 단독문 문양구성의 유행, 지하식(터널식)의 기와가마 축조 4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상기 변화양상은 단순히 고려에서 조선으로의 국가전환때문이 아니라 조선이 건국되면서 수공업체계 개편 및 정비가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The roof tile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to the early Joseon Dynasty could be divided into total four periods through the paddle-beat pattern of plain roof tile. In the first period, compared to the past, the existing pattern is continuously used, simplified, and regressed while the multi-line converged pattern is gradually increased. The composition of pattern is variously shown without a certain frame. In the second period, the roof tile with vertical-lined pattern added to the end of plain roof tile newly appears while coexisting with the existing roof tiles. Even though there are some fish-bone patterns which is a representative pattern of the Goryeo Dynasty, most of them disappear after this period. Instead, the percentage of multi-line converged pattern such as multi-diagonal converged pattern and multi-square converged pattern increases. The composition of pattern shows the two/three-layered patterns. In the third period, the vertical-lined pattern added to the end of plain roof tile is generalized. The straight-line rhomboid multi-line converged pattern and mono-multi-line converged pattern are popular. The composition of pattern is dominated by the single pattern. In the fourth period, on top of the straight-line pattern, the curved-line pattern is also introduced and produced. The multi-curve converged arc pattern which is the representative pattern of the Joseon Dynasty appears. The composition of pattern shows all from single pattern to three-layered pattern while the single pattern is produced the most. Such changes in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to the early Joseon Dynasty could be summarized into four kinds such as introduction of vertical-lined pattern added to the end, extinction of fish-bone pattern and appearance of new multi-line converged pattern, popularity of single-pattern composition, and construction of underground(tunnel-type) tile kin, which might be closely related to the handcraft system of the time. After the Joseon Dynasty is founded, the handcraft manufacturing system is reformed. The production of roof tile faces a new aspect when a new government office called ‘Waseo’ is formed and the factory system is modified. In other words, the factor of changes related to roof tile production must be related to the reform and modification of handcraft system.

      • KCI등재

        여말선초 문인들의 개인 문집 간행

        옥영정(Ok, Young Jung) 포은학회 2017 포은학연구 Vol.19 No.-

        이 연구는 여말선초(麗末鮮初)의 시기에 간행된 개인문집 중에서 현존하고 있는 서적을 대상으로 서지학적인 측면에서 다룬 것이다. 국내외에 전해지고 있는 한국고서적에 대한 서지학적인 연구를 기반으로 삼고 그 중에 특히 여말선초에 간행된 문집에 대한 조사와 함께, 해당 서적에 대한 서지적 평가로 판본을 감정하고 간행시기를 확인해본 것이다. 약 21종에 이르는 여말선초의 문집 현존본의 간행은 주관자의 대부분이 혈연관계에 의한 것이 많으며 문집 상호간에도 저작주체간 관련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문집의 간행경향과 인쇄문화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나 초기문집의 현전본이 매우 드물고 그 계통 수립에 필요한 원자료 접근이 매우 제한 되기 때문에 그 구체적 정황을 정리하고 체계적으로 제시하기가 쉽지 않지 만 제한된 여건 속에서 조금씩 진전된 학술적 논의를 위해서라도 새로운 간본을 발굴하고 유형화된 흐름을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초간(初刊) 문집의 기본적인 문제(범주 설정, 간행시점 고증) 에 관한 기초자료의 확보라는 측면에서 1차적 접근을 위한 현존본과 서지적 사항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서 여말 선초에 간행된 문집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과 함께 간행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을 확인해서 그 근거를 마련하였다. 특히 현존본으로 남아 있는 초기 문집의 전승 상황은 연구 기초자료의 확보라는 측면에서 의미를 지닐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bibliographic aspects of existing books among the personal collections published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period of the 14th century. Based on a bibliographic study of Korean books and books published in and out of the country, especially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period, a bibliographic evaluation of the book was conducted to check the edition and check the publication period.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period, about 21 kinds of publications of the present Bible were found to be mostly related by blood relations, and there was a very high correlation between authors. Also, the publishing trends of literature and printing culture are closely related. However, it is not easy to summarize the specific context and present it systematically because it is very rare and the access to the original data necessary for establishing the system is very limited. However, for the academic discussion which progresses gradually in limited circumstances, and to confirm the flow that was typed.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existing bibliographic and bibliographic items for the primary approach in terms of securing the basic data on the basic problems (category setting, publishing point confirmation) of the first periodicals. In order to do this, a brief description of the literary works published in the Goryeo shrine was made, and the contents confirming the period of publication were confirmed and grounds were established. Especially, the status of the early literary works remaining in the existing bibliography can be meaningful in terms of securing the basic data of research.

      • KCI등재

        麗末鮮初 『맹자』이해의 주제와 관심사

        함영대(Ham Young dae) 대동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8 No.-

        There is a need to describe the history of Confucianism no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cept of neo-Confucianism but based on the awareness of issues, that is, from the viewpoint of the matters of interest that invoke subjects and the subject consciousness. It is all the more so in that the subject of analysis will be able to be materialized along with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ontext of interpretation in a more broadened manner. In addition, the thoughts at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period should be understood based on the point of concrete text rather than the perspective of typicality of being an intermediate or transitional period. Against this backdrop, this article has sought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Confucianism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 consciousness and matters of interest based on several key points of Mencius. To the scholars at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Mencius served as a useful scriptural authority in effectively presenting their ideas and thoughts. Mencius became the base of debate on land issues and was also utilized in political issues of implementing compassionate politics and the rule of right. They often used the Mencius’ claims as a vehicle to criticize the absolute power of the Crown. It faithfully quoted the original nature of the Mencius texts with its assertiveness and frequency overwhelming the circumstances in late Joseon dynasty. Unlike this, the subject of cultivating mind and character had already actively utilized the logic of neo-Confucianism. However, its approach was not intended toward further advancing the understanding of the mind in an analytical and detailed manner as demonstrated in the theory of four beginnings or the theory that human being and an animal have the same or different nature in late Joseon Dynasty period. Mostly, the approach was taken to be faithful to the claims of the scripture and to emphasize the practical aspects to some extent. When it comes to the perspectives of the anti-heresy theory, the scholars at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period showed more interest in the anti-heresy nature of Mencius himself. Understanding the preciseness and consistency of the logic requires more examination but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 when the Buddhism exerted its social and ideological influence, the logic of revolution as a social thought held by the anti-heresy theory is still worth attention. It is not aligned with the circumstances in late Joseon Dynasty period challenged by the anti-heresy nature within Confucianism. In conclusion, the analysis on subjects and matters of interest with Mencius serving as a controversial point is effective in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Confucianism at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period and is identified to well serves as a strategic base. The subject awareness and matters of interest in the Mencius’ points were converted to other points as interest in neo-Confucianism deepened and the ideological weight of Confucianism expanded. This will be meaningful as a methodological attempt to capture ideological changes through studies on Confucian Classics. 유학사를 성리학의 개념이 아닌 경전 해석의 대상에 대한 문제의식, 곧 주제와 그러한 주제의식을 견인하는 관심사의 시야에서 서술할 필요가 있다. 분석대상을 구체화 할 수 있으며, 해석의 맥락을 좀 더 폭넓게 비교하고 검토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아울러 여말선초의 사상은 중간기나 과도기라는 전형성의 입장에서 파악될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텍스트의 논점을 바탕으로 그 실제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맹자 의 몇 가지 핵심논점을 기초로 주제의식과 관심사의 입장에서 여말선초의 유학사를 파악하려 했다. 여말선초의 학자들에게 맹자 는 자신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제시하는데 유용한 경전적 전거가 되었다. 맹자 는 토지문제에 대한 중요한 논의의 거점이 되었고, 仁政과 王道의 구현이라는 정치적인 이슈에서도 활용되었다. 그들은 맹자의 주장을 근거로 때로 왕실권력이라는 절대 권력에 대한 비판으로도 적극 활용했다. 그 방식은 대체로 맹자 텍스트의 원천적 성격을 충실하게 원용하는 것으로 그 적극성과 빈도는 조선 후기적 상황을 압도하는 것이다. 심성수양론적인 주제는 이와 달리 성리학의 논리가 이미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다만 그 층차는 조선 후기의 四端七情論이나 人物性同異論과 같이 마음에 대한 이해를 분석적으로 더 한층 진전시킨 분석적이고 세밀한 방식은 아니었다. 대체로 경전의 주장에 충실하고 어느 정도의 실천적 측면을 강조하는 방식이었다. 벽이단의 관점에 있어서 여말 선초의 학자들은 맹자 자체의 벽이단적 성격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접근했다. 그 논리의 정밀함과 정합성 여부는 좀 더 고찰할 필요가 있으나 불교가 여전히 사회적으로 사상적으로 영향력을 지니고 있던 당대 상황을 고려하면 벽이단론이 지니는 사회사상으로 서의 변혁논리는 여전히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이것은 유학 내부의 벽이단론으로 치열하게 전개된 조선 후기적 상황과는 결을 달리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맹자 를 논점으로 하는 주제와 관심사에 대한 분석은 여말선초의 유학사의 단면을 파악하는데 유효하고 전략적인 거점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맹자 의 논점에 대한 주제인식과 관심사는 이후 조선에서 주자학에 대한 관심이 깊어지고, 유학의 사상적 비중이 확장되면서 점차 다른 논점으로 전환된다. 이는 경학 연구를 통해 사상적 변화를 포착하는 방법적 시도로서의 유의미성이 될 터이다.

      • KCI등재

        송당(松堂) 조준(趙浚)의 한시에 나타난 『논어(論語)』 수용과 그 의미

        황명환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4 한국문학연구 Vol.- No.75

        본고는 송당(松堂) 조준(趙浚, 1346~1405)의 한시에 나타난 『논어(論語)』 수용과 그것이 지닌 의미를 밝히고자 마련된 것이다. 송당이 『논어』 수용 한시를 창작할 수 있었던 데에는 여말선초 당시의 학문적 풍토 및 시대적 상황이 많은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 『논어』는 왕실뿐만 아니라 유가 지식인의 필독서였으며, 주로 치국서(治國書) 및 수신서(修身書)로서의 기능을 담당하였다. 또한 공자․주자가 살았던 시기와 여말선초는 ‘국가 존망의 위기 상황’과 ‘도학 전수의 위기의식’이라는 측면에서 유사성을 보였다. 이러한 점들은 송당의 『논어』 수용 한시가 창작되는 데 직간접적인 배경이 되었다. 송당의 한시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논어』 수용은 대부분 출처의식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는 송당이 출처에 대한 고민을 심각하게 해야만 했던 시대를 살다 간 인물이었기 때문이다. 이때 송당의 『논어』 수용 한시가 『논어』가 지닌 양면적 기능을 부각시키고 있다는 점은 주목을 요한다. 즉, 출사에 대한 의지가 나타난 작품은 치국서로서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반면, 퇴처에 대한 소망을 드러낸 작품은 수신서로서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들을 통해 송당의 『논어』 수용 한시가 지닌 의미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가 가능하다. 1) 송당의 『논어』 수용 한시는 혼란기 지식인의 내적 갈등을 드러냄과 동시에, 실제 행적에 대한 명분을 제시하고 있다. 2) 송당의 『논어』 수용 한시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작가의 내적 변화를 반영하고 있기도 하다. This paper was designed to clarify the meaning and acceptance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that appeared in Song-dang Jo-Jun (1346~1405)'s Sino-Korean Poetry. It seems that the academic climate and the situation of the times at the Yeomal-Suncho (麗末鮮初) had a great influence on Song- dang's ability to create Chinese poetry that accepted the Analects of Confucius. At that time, the Analects of Confucius were a must-read for not only the royal family but also Confucian intellectuals, and mainly functioned as a political book and a book for self-discipline. In addition, the period in which Confucius and Zhu-Xi lived and Yeomal-Suncho (麗末鮮初) showed similarities in terms of ‘a crisis of national survival’ and ‘a sense of crisis in the transmission of moral philosophy.’ These factors became the direct and indirect background for the creation of Song-dang's Sino-Korean Poetry that accepted Analects of Confucius. Most of the acceptance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which is prominent in Song-dang's Sino-Korean Poetry, is closely related to political views. This is because the Song-dang lived in a time when it had to seriously think about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is case, the political view of the Song- dang's acceptance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is noteworthy in that it highlights the ambivalent func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other words, works that show a will to enter public office emphasize their role as a book of governance, while works that reveal a desire for retirement emphasize their role as a book of retreat. Through these points, the meaning of Song-dang's Sino-Korean Poetry that accepted the Analects of Confucius can be broadly organized into three categories. 1) Song-dang's Sino-Korean poetry that accepted the Analects of Confucius reveals the internal conflict of intellectuals during the period of turmoil,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justification for their actual actions. 2) Song-dang's Sino-Korean poetry that accepted the Analects of Confucius reflects the author's internal changes over time.

      • KCI등재

        여말선초 서사시 체재 계승 : <月印釋譜>

        신명숙 동양고전학회 2008 東洋古典硏究 Vol.30 No.-

        ≪月印釋譜≫는 세조가 수양대군 시절에 지은 ≪釋譜詳節≫과 세종이 지은 ≪月印千江之曲≫의 合編으로, 세조 5년(1459)에 편찬되었다. ≪석보상절≫과 ≪月印千江之曲≫은 산문 문학과 운문 문학 각각의 위치에서 작품성을 갖추고 있지만, 이 두 작품이 조화를 이룸으로써 상층민과 기층민이 모두 향유할 수 있는 형태인 ≪월인석보≫를 생산할 수 있었다.≪월인석보≫는 표면적으로는 개인적 감회, 통치자의 敎化사업, 한글의 실용성과 가치 검토라는 의도에서 편찬되었지만, 이면적으로는 세종이 이루지 못한 개정 사업을 이루려는 세조의 효심과 조선의 불경을 만들고자 한 주체성, 세조 본인의 崇佛의식, 여말선초 서사시 양식의 계승과 완성이라는 의도를 품고 있다.특히, 이야기 ≪석보상절≫, 노래 ≪월인천강지곡≫을, 합편하여 ≪월인석보≫를 완성함으로써 여말선초 서사시 체재를 계승하고, 한국서사시의 특성을 갖춘 일련의 작품에 계보를 형성한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여말선초 서사시는 운문과 산문의 조화를 통해 서사 대상에 대한 이야기를 전개하고, 객관적인 태도로, 집단의 자긍심을 일깨우고 총체성 회복을 지향하는 특성을 갖추고 있다. 그런데 운문과 산문의 결합이 어떤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 것인지 명확하지 않았다. ≪월인석보≫는 체재 완성의 과정을 알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두 번째 의미가 있다. 운문과 산문의 조화는, 후대 다시 분할되어 서사시는 서사적 성격의 시가작품으로, 산문은 불교계 국문소설로 발전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월인석보≫가 문학사 전개에 일정한 역할을 담당했다고 볼 수 있는 점에 세 번째 의미가 있다. 이런 까닭에 ≪월인석보≫에 대한 문학적 접근이 보다 충실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 KCI등재

        여말선초 노당(蘆堂) 심덕부(沈德符)의 활동과 역사적 의미

        하정승 포은학회 2023 포은학연구 Vol.32 No.-

        심덕부(沈德符: 1328-1401)는 본관은 청송(靑松)이며 자는 득지(得之), 호는 노당(蘆堂) 혹은 허강(虛江)이다. 그는 여말선초 정치사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이다. 조선후기의 학자 이덕무(李德懋)는 그의 저서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에서 고려조와 조선조 양조(兩朝)에서 모두 ‘상신(相臣)’을 역임했던 자는 배극렴(裵克廉: 1325-1392)과 심덕부 단 두 명뿐이라고 언급하였다. 이긍익(李肯翊) 역시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에서 태조조(太祖朝) 상신 5명을 언급하면서 배극렴, 조준(趙浚), 김사형(金士衡), 정도전(鄭道傳)과 더불어 심덕부를 거명하고 있다. 이는 그만큼 여말선초 정치사에서 심덕부의 비중과 역할이 컸음을 말해준다. 심덕부의 정치적 활동은 크게 고려조와 조선조로 나눠볼 수 있으며, 고려조에서의 활동은 음직(蔭職)으로 처음 출사한 이후 우왕대(禑王代)에는 서해도원수(西海道元帥)가 되어 왜구의 침입을 막았고, 특히 1380년의 ‘진포대첩(鎭浦大捷)’에서는 총사령관으로 승리를 이끌었으며, 1388년 요동 출병 때에는 서경도원수(西京都元帥)로서 조민수(曺敏修)가 이끄는 좌군에 속하였는데, 이성계가 위화도(威化島)에서 회군(回軍)할 때 적극 동조하여 이후 정국(政局)의 주요 인물로 부상하였다. 이성계가 소위 ‘우창비왕설(禑昌非王說)’을 내세워 ‘폐가입진(廢假立眞)’을 추진하며 창왕을 몰아내고 공양왕을 옹립할 때 정도전(鄭道傳), 정몽주(鄭夢周)등과 더불어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이른바 ‘흥국사(興國寺) 9공신’의 핵심이었다. 이같은 공로로 그는 공양왕 즉위 이후 문하시중(門下侍中),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 등 최고위 관직을 역임하면서 정계의 핵심으로 활동하였다. 1392년 조선조가 개국한 이후에는 위화도회군을 도왔던 인물들을 봉할 때 ‘회군공신(回軍功臣)’ 1등으로 추록되며, 청성백(靑城伯)에 봉해졌다. 또한 신도궁궐조성도감(新都宮闕造成都監)의 책임자가 되어 한양으로의 천도를 기획하고 신도시 건설을 주관한 이가 심덕부였으며, 태조대에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 영삼사사(領三司事), 정종대에 좌정승(左政丞)을 역임했던 사실은 그가 조선초기 정치사에서도 주요 역할을 맡았음을 말해준다. 그는 정치가로 재임하면서 각종 제도의 개혁을 건의하였는데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관찰사제를 폐지하고 안렴사제를 부활할 것, 제사(諸司)의 사무를 도당(都堂)에 직접 보고하고, 각 관청에서 재정을 집행할 때 도당에 그 결과를 보고하여 도당의 역할을 강화할 것, 자섬저화고(資贍楮貨庫)의 폐지 등을 들 수 있다. 심덕부의 사상과 정치적 활동을 살펴보는 것은 폭풍과도 같았던 여말선초의 역사를 되짚어보는 작업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 시대의 중심에 서있었던 심덕부라는 인물을 통해 미처 놓친 역사적 이면과 총체적 면모를 살피는 것이 심덕부 연구가 갖는 미덕이자 의미일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심덕부의 생애와 성품을 통해 그의 학문적 연원과 사상 형성의 단초(端初)를 고찰하고, 정치적 활동을 고려조와 조선조로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여말선초 정치사에서 차지하는 그의 위상과 그 의미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Sim Deokbu(沈德符: 1328-1401)’s family origin is Cheongsong(靑松), his other names are Deukji(得之), Nodang(蘆堂), Heo Gang(虛江). He is a very important figure in political history of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Dynasty. In his book 'Cheongjanggwan Jeonseo(靑莊館全書)', the scholar Lee Deokmu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stated, “In both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only two individuals, Bae Geukryeom(裵克廉: 1325-1392) and Sim Deokbu, held the position of Chief State Councillor.” Lee Geungik(李肯翊), in the 'Yeonryeosilgisul(燃藜室記述),' also mentioned five Chief State Councillors who served King Taejo, including Bae Geukryeom, Jo Jun , Kim Sahyeong, and Jeong Dojeon, along with Sim Deokbu. This indicates the significant importance and role of Sim Deokbu in political history of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Dynasty. Sim Deokbu's political activitie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he Goryeo period and the Chosun period. Examining his activities during the Goryeo period, he served as the 'Commander of the Western Sea Province,' successfully repelling Japanese invasions. Particularly in the 'Battle of Jinpo(1380),' he led the victory as the overall commander. In 1388, as the 'Commander of the Western Capital Province,' he actively supported Lee Seong-gye's 'Wihwado Rebellion(威化島 回軍)’' and rose to prominence as a key figure in the early Chosun Dynasty. He also planned the relocation of the capital to Hanyang and was in charge of the construction of new cities.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 he held positions such as 'Director of the Ministry of Personnel' and 'Chief of the Three Bureaus,' and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ng, he served as the 'Chief State Councillor of the Left.' This indicates that h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early Chosun political history. Sim Deokbu proposed various reforms during his tenure as a politician. A prime example is the abolition of the Observational Bureau, strengthening the role of the Dodang(都堂), and the abolition of the Jasumjeohwago(資贍楮貨庫). Therefore, examining his ideology and political activities entails a review of the tumultuous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periods. It can be said that understanding Sim Deokbu's life and character, and investigating his scholarly roots and the origins of his ideology, is an essential aspect of exploring the comprehensive aspects of the historical flow through the central figure of that era. In this paper, we seek to shed light on Sim Deokbu's position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political history by examining his life, character, scholarly origins, and the formation of his ideology, differentiating his political activities during the Goryeo and Chosun dynas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