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혼여성 간호사의 희망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인관계와 전문직 자아개념을 중심으로

        성경미,이승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11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interpersonal relations,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hope in single female nurses. A surve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219 nurses who work in one of six general hospitals in the large citi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7, 2012 to September 14, 2012.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ith using SPSS Windows 25.0.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hope according to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Participants’ interpersonal relations,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hope were all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r=.26-.45, p<.001).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interpersonal relations,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explained 26.4% of variance in hope levels. Findings from this study should be useful i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promote participants’ hope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본 연구는 미혼여성 간호사의 대인관계능력, 전문직 자아개념 및 희망감의 정도와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대상자의 희망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자료수집은 대도시 6개 종합병원에서 일하는 미혼여성 간호사 219명을 대상으로 2012년 8월 17일부터 2012년 9월 14일까지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Windows 25.0으로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대인관계, 전문직 자아개념, 그리고 희망감의 점수는 차이가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대인관계, 전문직 자아개념, 그리고 희망감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26-.45, p<.00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인관계, 그리고 전문직 자아개념의 희망감에 대한 설명력은 26.4%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사의 대인관계 및 전문직 자아개념과 함께 희망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가 시설모자가정 아동의 자기개념 및 희망감에 미치는 효과

        이은진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7 No.3

        이 연구는 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모자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자기개념 및 희망감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전라북도 W군 OO모자원에 위탁되어 있는 시설모자가정의 아동 10명을 각각 5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초기, 중기, 종결기로 구안하여 20회기를 실시하고 두 집단의 자기개념과 희망감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이훈진, 원호택(1995)이 사용한 자기개념척도와 최동옥(2005)의 연구에서 이용된 희망감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통계분석은 독립표본 t-test를 사용하여 두 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한 다음 사전·사후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Wilcoxon-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시설모자가정 아동의 자기개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시설모자가정 아동의 희망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시설거주 아동이 집단미술활동을 통하여 자기를 지각하고, 자기개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미래에 대한 희망감을 긍정적으로 높여감을 확인하여 심리사회적 적응을 도울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sets forward the effect on a child from his relationship to his mother and investigates the influence this gives to Self-Conception and Optimism in later life. For this study, 10 children were selected from the ○○ mother and son shelter, W-district Jeonlla province with 5 in each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A group art treatment program with a clear beginning, middle, and end was established and the Self-Conception and general levels of Optimism of the two groups was analyzed and the results, compared. The results first shows that the group art treat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a child's Self-Conception through the interaction of mother and son. Second, a group art treatment gives a positive influence to the Optimism levels of a child through his relationship with his mother. The results was compared this foundation encourages a child to perceives himself through the facility of the group art therapy and not only improve Self-Conception but also instill hope for the future.

      • KCI등재

        코로나19를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가 희망감에 미치는 영향

        조명숙(Myeong Suk Cho),양은옥(Eun Ok Y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를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가 희망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희망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프로그램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코로나19를 경험한 N지역 3개 대학의 간호학과 학생을 222명을 대상으로 2021년 6월 10일부터 2021년 8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의 희망감에 자기효능감(r=.702, p<001)과 학업성취도(r=.593, p<.001)는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희망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β=.49, p<.001), 학업성취도(β=.32, p<.001)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으며 변인들의 설명력은 61.0%로 나타났다. 결론 코로나19를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희망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지원과 다양한 수업운영과 교수학습법을 통해 학생들의 자기주도적학습능력을 높이는 방안이 효과적인 전략이 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enhance comprehension of hope in nursing students and develope a program’s foundation data identified the factor of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affecting the hope in nursing students at a college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22 nursing college students experienced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located in N region from June 10 from August 30 in 2021.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positive correlation showed that self-efficacy(r=.702, p<001) and academic achievement(r=.593, p<.001) were associated with the hope of study participants.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hope, self-efficacy(β=.49, p<.001) and academic achievement(β=.32, p<.001).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factors was 61 percent of the total variances. Conclusions This study show that improv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y program support, diverse class operation and teaching-learning method is effective strategy to enhance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improvement hope of nursing students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 희망감과 탄력성에 관한 요인 연구

        황정하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희망감이나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총 685명의 학교 밖 청소년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이들의 희망감과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교 밖 청소년의 희망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청소년의 연령, 삶의 만족도나 자아존중감, 우울,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학교 밖 청소년의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청소년의 연령, 주관적 가정형편, 삶의 만족도나 자아존중감, 그리고 사회적 지지 및 지역사회 환경 등이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희망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이나 삶의 만족도를 개선하거나 이들의 우울수준을 낮출 수 있는 정책적 방안마련이나 이들을 위한 개입 및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들에게 제공될 필요가 있다. 또한, 학교 밖 청소년의 탄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들의 아자존중감이나 삶의 만족도뿐만 아니라 이들의 가족이나 또래친구에 의한 지지나 긍정적인 지역사회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hope and resilience of out-of-school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a total of 685 out-of-school youths distributed nationwide, multiple factors affecting their hope and resilience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adolescent's age, life satisfaction or self-esteem,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out-of-school youth's sense of hope. In addition, as factors affecting the resilience of out-of-school adolescents, it was found that the adolescent's age, subjective household economic circumstances, life satisfaction or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community environment were significant.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hope of out-of-school you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measures or programs that can improve self-esteem or life satisfaction or lower their depression level.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ncrease their resilience, not only their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but also stable supports from their family and peers, and various policy supports that can provide a positive community environment are needed.

      • KCI등재

        노인의 노화태도가 사회적 고립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희망감의 매개효과

        유순정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22 교류분석상담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적 고립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노인의 노화태도와 사회적 고립감의 관계를 규명하고, 희망감이 노인의 노화태도와 사회적 고립감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고자 설계되었다. 본 연구를 수행하고자 2022년 8월 1일부터 30일까지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30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응답이 불성실한 25부를 제외한 275명의 자료를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노화태도는 사회적 고립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노화태도는 희망감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희망감은 노인의 사회적 고립감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희망감은 노인의 노화태도와 사회적 고립감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노인의 사회관계망과 활동적 노화의 관계에서 희망감의 매개효과

        김진영,정원철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23 교류분석상담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노인의 활동적 노화를 위한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노인의 사회관계망과 활동적 노화의 관계를 규명하고, 희망감이 노인의 사회관계망과 활동적 노화의 관계에서 어떠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 40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사회관계망은 활동적 노화에 정적(+) 영향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사회관계망은 희망감에 정적(+)영향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희망감은 노인의 활동적 노화에 정적(+)영향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희망감은 노인의 사회관계망과 활동적 노화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practical measures for active aging of the elderly. Specifically, it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network and active aging of the elderly,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hop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network and active aging of the elderly. In this study, the data collected from 400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using the SPSS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network of the elderly had a positive (+) effect on active aging.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lderly's social network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ir sense of hope. Third, it was found that hope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active aging of the elderly. Fourth, it has been confirmed that hope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social network and active aging.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social welfare intervention measures were proposed.

      • KCI등재

        성장글쓰기가 소아암 환아 어머니의 불안, 무력감, 죄책감, 희망감에 미치는 영향

        정은선(Eunsun Jeong),허정선(Jeongsun Heo),현명호(Myoung-Ho Hyun) 대한스트레스학회 2017 스트레스硏究 Vol.25 No.1

        본 연구는 성장글쓰기 프로그램이 소아암 치료 중에 있는 환아 어머니의 불안, 무력감, 죄책감, 희망감에 미치는 효과를 대기통제 집단과 비교 검증하였다. 국내 병원에서 소아암 치료 중에 있는 환아 어머니 총 28명을 대상으로 성장글쓰기 프로그램을 하는 처지집단에 14명, 통제집단에 14명을 할당하였다. 성장 글쓰기 집단은 총 3회기, 평균 7일 글쓰기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프로그램을 진행한 결과 성장글쓰기 집단은 불안, 죄책감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희망감은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무력감에서는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살피고, 추후 연구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iveness of group growth-writing program on anxiety, powerlessness, hope and guilt of mother with pediatric cancer patient with those of waiting-list control group.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wo groups: a growth-writing group (N=14), a waiting-list control group (N=14). At baseline, post-treatment and follow-up, all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The growth-writing program was delivered in three sessions. As a result, growth-writing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anxiety, guilt and significant increase in hope compared to the waiting-list control group without any activities. However, powerlessness did not have significant change. This study examined that growth-writing could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mothers with the pediatric cancer patient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included.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ADHD 성향과 대인관계스트레스가 무망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

        김민경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11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dentify ADHD traits and interpersonal stress influencing on hopelessness of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160 college students. Data analysis was used by mean, SD,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Deficit attention is highest in ADHD, family relationship stress is highest in prsonal stress. Positive hopefulness is higher than hopelessness. ADHD traits and interpersonal sr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hopelessness. College students’ hopefulness was positively affected by sex, hyperactivity. College students’ positive hopelessness was positively affected by hyperactivity, deficit attention, stress with professor and stress with heterosexual friend. And the findings was provided for the support program on hopelessness regarding to ADHD and interpersonal stress of college students. 본 연구는 대학생의 ADHD 성향과 대인관계스트레스가 무망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160명의 남녀대학생으로 평균과 표준편차, 상관관계와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DHD중에서 부주의 기억문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인관계스트레스에서는 가족관계, 이성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희망감이 부정적 무망감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ADHD 성향과 대인관계스트레스는 무망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과잉활동을 할수록, 충동성이 낮을수록 대학생의 긍정적 희망감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부주의 기억문제가 높을수록, 과잉활동을 할수록, 대인관계스트레스 중 교수와의 관계, 이성과의 관계에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대학생의 무망감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무망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ADHD 성향을 조절하고 대인관계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개입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 심리극 주인공 경험이 자기개념, 희망감 및 치료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이용희(Lee Yong-Hee),김정희(Kim Jung-Hee),박세영(Park Se-Young)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인문학논총 Vol.12 No.1

        본 연구에서는 자기성장 집단을 대상으로 심리극의 주인공 경험 유ㆍ무에 따른 자기개념, 희망감 및 치료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양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심리극 주인공 경험 집단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 자기개념, 희망감 등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반면, 심리극 주인공 미경험 집단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효과는 6주 후 실시한 추적검사에서도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는 이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quantitative research was implemented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s of experiencing psychodrama protagonist on self-concept, hope and therapeutic factors for self-growth group.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is study was 25; 10 experienced psychodrama protagonist. Major results from the quantitative research are as follows : First, group of experiencing psychodrama protagoni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oncept, hop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whereas group of non -experiencing psychodrama protagonis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ose scor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Same results were found in follow-up test which was given six weeks later for the two groups. Second, investigation was made in terms of therapeutic factors, which showed that group of experiencing protagonist significant differences than group of non-experiencing protagonist for therapeutic factors. Results from the qualitative study are as follows : Finally, significance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