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이론으로서의 문화역사활동이론의 의미와 ‘학습’의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박형민(Hyungmin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학습의 집단적, 역동적 속성을 포착, 분석하기 위한 유용한틀로서 문화역사활동이론이 갖는 학습이론으로서의 면모를 드러내는데 있다. 활동이론에서는 인간의 학습과 그 결과로서의 의식의 발달이 사회문화적 최소 맥락으로 서의 ‘활동(activity)’에 참여함으로써 비롯된다고 보고, 학습과정을 분석하는 최소단위로 ‘활동체계(activity system) 를 제시하고 있다. 활동이론은 인간의 학습을 3가지 수준으로 개념화하고 있으며, 학습주체가 특정 ’활동‘에 참여하면서 그 구성요소 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활동‘과 함께 성장, 변화해 나가는 과정을 포착하는데 있어 유용한 이론적 틀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활동이론이 복잡다단한 학습현상을 이해하는데 있어 보다 정교하고 엄밀한 이론적 도구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3가지 학습수준의 구체적인 발생맥락과 학습수준간 상호관계, 인간의 정신·심리활동과 ’활동‘과의 관계성 등에 대한 심도깊은 이론적 논의와 활동이론을 활용한 실천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plored the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CHAT) as a learning theory and especially examined the concept of activity and learning in the CHAT. CHAT argues that human learning and its result of development of human consciousness takes place as a result of a subject’s participation in the ‘Activity’ as the minimal socio-cultural context of learning and suggests the ‘Activity System’ as a unit of analysis of human learning. CHAT conceptualizes human learning at three levels and emphasizes that the subject(s) in the specific activity and the activity itself grow and change with through dynamic interactions with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activity. In this regard, CHAT is a useful tool for identifying and grasping collective aspects of human learning. However, in order for CHAT to be a more sophisticated and rigorous theoretical tool for understanding the complicated human learning phenomena,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the issues; (1) the occurrence context of three levels of learning in the CHAT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m, (2) the status of human mental and psychological process in the activity system.

      • KCI등재

        사용자 경험 디자인으로의 적용을 위한 활동이론 원리 연구

        강성중(Kang, Sung Jo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3

        디자인 패러다임이 디자인 대상에서 사용자로 변화하면서, 인간의 활동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 체계가 요구되었다. 본 연구는 활동이론의 핵심 원리와 경험디자인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경험디자인 연구에 필요한 인간 활동의 분석을 위한 이론적 체계 구축을 목적으로 하며, 이론 규명을 위한 문헌 중심으로 진행된다. 본 연구에서는 경험디자인에 적용될 수 있는 원리와 사례로 연구 범위를 한정한다. 러시아 심리학에서 시작된 활동이론은 인간의 활동 체계에 대한 구조적 접근을 통해 복잡한 인간의 활동과 사회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활동은 주체-객체 관계의 한 단위이며, 이 사이에 매개물이 존재한다. 활동이론의 핵심이 되는 원리는 객체 지향성, 활동의 위계 구조, 매개, 지속적 발달, 내적 활동과 외적 활동의 구분이다. 이 가운데 활동-행위-동작의 세 단계 위계 원리는 인터랙션의 직무 설계에 적합한 이론 체계이다. 매개는 주체-객체사이의 활동에 사용되는 도구를 지칭하며, 도구를 통한 매개는 인터페이스의 기본 개념에 부합한다. 인간의 활동은 객체를 지향하며, 이는 사회/문화적 상호 작용을 포괄하며 이는 맥락적 디자인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활동의 체계는 도구 매개를 통한 디자인 활동과 사용 활동 분리와 연결이라는 디자인 객체를 재정의한다. 도구의 매개는 사회적 참여 양식까지를 포괄하여 서비스 디자인으로서의 확장을 제시하고 있다. 활동이론의 원리들은 사용자 경험디자인에서의 현상을 이해하는 개략적이고 개념적인 틀로서 유용하며, 사용자의 집합적 직무와 경험디자인에 효과적이다. As design paradigm shifts from objects to users, theories to explain human activities are required. This study aims to build up theoretical framework for User Experience(UX) Design research by exploring relationship between principles of Activity Theory(AT) and UX design. The study is done by literature research focused on AT applied on UX design. AT, originated in Russia psychology, is theory to explain complex human activities and social phenomenon using structural approaches to human activities mechanism. Activity is a basic unit in subject-object relationship, medium is located. Core principles of AT are object-orientedness, hierarchy of activity, mediation, continuous development, duality of inter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Among them three-level hierarchy of activity, activity-actionoperation, is useful to analyze user tasks. Mediation refers to tool between subject and object, is suited for fundamental notions of interface. All human activity is object-orientedness, and it means reciprocal process between subject and object. This principle includes society/culture interaction, which gives a base for contextual design. Activity System re-defines the object of design by separation and connection between design activity and use activity with tool mediation. Tool Meditation suggests service design as social participation format. Principles of AT are broad and conceptual frameworks to understand and analyze phenomenon of UX design.

      • KCI등재

        청소년의 스포츠 활동 참여와 도덕성 발달

        한정선(Han, Jeong-Seo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논총 Vol.35 No.-

        본 논문은 청소년의 도덕성 발달과 스포츠 참여 활동 간 인과관계 설명에 대한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의 적실성과 한계를 살펴본 것이다. Kohlberg의 이론에 따르면 인간의 이성적인 인지능력이 도덕적 판단이나 도덕적 행동에 있어서 중요한 결정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도덕성은 단계별 수준을 거쳐 발달되며, 발달 수준은 크게 전인습 수준, 인습 수준, 후인습 수준 등의 발달 단계별 수준을 가진다. 청소년들은 후인습 수준에서 도덕적 원리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었고, 이 점에서 스포츠 활동 참여는 스포츠가 내포하는 규칙과 정신들 즉, 공정한 경쟁, 승리에 대한 겸손함, 패자에 대한 관용, 패배에 따른 자기 자신의 통제와 반성 등의 도덕성 내면화가 가장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은 사회학습이론이나 정신분석이론보다 청소년의 스포츠 참여활동과 도덕성 발달간의 인과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으로서의 적실성이 있다. 그러나 Kohlberg 이론의 한계는 첫째, 청소년들의 도덕성 발달이 반드시 인습 수준에 따라 높아진다고 볼 수 없고, 이에 따라 스포츠 활동 참여가 반드시 도덕성 발달에 관여한다고 일반화 하여 설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둘째, 청소년의 스포츠 활동 참여와 도덕성 발달 수준을 진단함에 있어서 평정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할 가능성이 있다. 셋째, ‘Heinz 딜레마’에서도 보듯이 청소년이 스포츠 활동에 참여한다고 하더라도 청소년 개인의 도덕적 발달 행동은 상황이나 성격요인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넷째, 후인습적 도덕성과 관련하여 Kohlberg가 주장한 6단계는 도덕성 단계로서 부적합하다. 인습후 수준의 도덕성은 이상적인 도덕발달의 방향으로서 의미가 있을 뿐 스포츠 활동 참여를 통해 청소년의 도덕발달 양상을 진단해 줄 수 있는 틀로서는 한계가 있다. 다섯째, Kohlberg에 의하면 청소년기에는 도덕적 상대주의(moral relativism)가 발전한다. 도덕적 상대주의 발전 시기에 있는 청소년들이 스포츠 활동에 참가함으로써 스포츠의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규칙이나 정신을 도덕성 발달로 내면화 시킬 수 있을지는 불명확하다. 청소년의 스포츠 활동 참여와 도덕성 발달 간의 연구는 그 지평을 넓힐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는 새로운 시각에서 연구가 시도 되어야 한다. 즉 청소년의 도덕성 발달을 설명할 수 있는 사회학습이론이나 정신분석이론 또는 긍정심리학의 측면에서도 스포츠 활동 참여와 도덕성 발달을 비교·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The present study looks into the applicability and limitations of L. Kohlberg"s moral development theory on the cause-effect relationships between juvenile moral development and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According to Kohlberg"s theory, human rational cognitive ability serves as an important decisive factor in moral judgment or behavior. His theory holds that morality is developed through stage-specific levels: pre-conventional, conventional and post-conventional. According to the survey, adolescents could understand moral principles best in the post-conventional level. This means that they could internalize the rules and spirits inherent in sports activities, e.g. fair competition, humbleness towards victory, tolerance towards losers, self-control and self-reflection over defeat. Therefore, Kohlberg"s moral development theory is more applicable to the explanation of the cause-effect relationships between juvenile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and moral development than the social learning theory or the psychoanalysis theory. However, Kohlberg"s theory has its limitations: first, it cannot be said that juvenile moral development is not always enhanced by conventional levels and it cannot be generalized that the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is not always involved in moral development. Second, a rater"s subjective judgment can act as a criterion to diagnose juvenile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and moral development. Third, as seen in "Heinz Dilemma", adolescents" moral development can vary, depending on circumstances or character factors, even though they participate in sports activities. Forth, his six stages relating to post-conventional morality are not appropriate to moral stages. The morality in the post-conventional level is only significant as a direction of ideal moral development, but limited as a framework to diagnose juvenile moral development by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Fifth, Kohlberg argues that moral relativism develops in the adolescent period. It is not clear whether the adolescents in this period can internalize the universe rules or spirits of sports by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It is requir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juvenile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and moral development in new perspective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explain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and moral development in terms of the social learning theory or the psychoanalysis theory or positive psychoanalysis as well.

      • KCI등재

        활동 이론(Activity Theory)을 통한 직업 문식성 교육방안

        정희모 ( Hee Mo Chong ) 한국작문학회 2015 작문연구 Vol.0 No.24

        이 논문의 목적은 직업 문식성교육 방법으로 활동 이론을 소개하고 이를 응용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활동 이론은 특정한 공동체 내에서 인간 행위와 관련된 다양한 요소들의 상호 관계를 파악하는 이론이다. 활동 이론을 사용하면 특정한 상황에서 담화공동체와 장르, 글쓰기의 주체, 글의 목적 등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적인 틀을 얻을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활동 이론이 상황과 맥락을 중시하기 때문에 직업 문식성교육을 학습하는 데도 매우 유용하다고 판단한다. 이미 Kine & Wardle(2005)와 같은 학자들은 직업 문식성교육에 활동 이론을 사용하기를 제안한 바 있다. 이 논문에서는 논의를 발전시켜 활동 이론을 통한 텍스트 분석 방법과 모순 문제의 해결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우선 이 논문에서는 활동 이론의 분석 단위로서 활동 시스템을 소개하고 있다. 활동 시스템은 문식성행위와 관련된 다양한 요소, 즉 주체, 공동체, 규칙, 도구, 역할 배분, 목적(동기)를 분석단위로 삼아 이들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활동 시스템 내에서 세부 요소들의 상호 관계는 문식성행위가 이루어지는 맥락과 환경의 복합성을 보여주기 때문에, 학생들은 직업상황의 수사적 문맥을 경험해 볼 수가 있다. 활동 이론을 통한 직업 문식성교육은 활동 시스템을 통한 텍스트 분석에서부터 시작한다. 학생들은 기존의 여러 다양한 공동체에서 수행했던 텍스트를 활동 시스템에 맞춰서 분석해 봄으로써 텍스트가 작성되는 유형, 무형의 역학 관계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직업 현장에서 텍스트를 작성해야 할 때 활동 시스템을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 자세한 정보를 제공해 받을 수 있다. 학생들이 학교와 다른 공동체의 텍스트를 분석하면서 직업문식성에 대한 대비를 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 활동 이론을 통한 직업 문식성교육에서는 학교 현장과 직업 현장의 차이에서 오는 모순을 극복하는 방법을 배운다. 학생들이 신입자로서 직업 환경에 진입했을 때 가장 많이 겪게 되는 모순은 목적(의도)의 모순과 도구(장르)의 모순, 역할 배분의 모순 등이다. 학생들은 직업 현장에 들어가기 전 이런 모순 상황에 대한 교육을 받고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활동 시스템의 다양한 모순을 접해 보는 것이 이런 교육 과정의 한 방안이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job literacy education methods based on activity theory. Activity theory examined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various elements of human behavior within the community. In particular substances, discourse community, genres, subject of writing and the purpose of writing were analyzed using activity theory. Above all, this study introduced the activity system as an analysis unit of activity theory. There are many factors related to literacy acting in activity system such as subject, community, rules, tools, division of labor and motive. The relationship of these factors showed contexts and the complexity of the setting, which would establish literacy acting. First, we could analyze texts through activity system in job literacy education. Also students can prepare for job literacy by text analyzing in school settings and others job community.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job literacy education it was important that newcomers found and overcame contradictions from the difference between school and professional settings. Students can experience a variety of contradictions such as object, tools, and divisions of labor. They could learn the dynamic interactions of job literacy through activity system.

      • KCI등재

        활동기준회계와 제약자원이론에 의한 연산품 의사결정의 비교분석

        박준완 한국경영교육학회 2010 경영교육연구 Vol.63 No.-

        Activity-based costing and the theory of constraints represent alternative paradigm to traditional cost-based accounting systems. While their objectives are similar, the means used to achieves these objectives and optimal product mixes by these methods differ significantly. Prior researched suggest that the theory of constraints is appropriate for the short run decisions, while Activity-based costing is appropriate for the long run decisions. However, there is no clear-cut demarcation between short-term and long-term deci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joint products decision based on the Activity-based costing and the theory of constraints using numerical example. The study demonstrates that the management's discretion power over labor and overhead resources determines when Activity-based costing and the theory of constraints lead to optimal joint products decision. 본 연구에서는 연산품을 분리점에서 즉시 판매할 것인지 아니면 분리점 이후에 추가 가공한 후에 판매할 것인지에 관한 연산품 의사결정에 대하여 활동기준회계와 제약자원이론에 의한 분석결과를 비교분석하고, 어떤 경우에 어떤 접근방법이 적절한지 예제와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활동기준회계와 제약자원이론에 의한 연산품 최적 제품배합은 분석방법에 따라 달랐다. 둘째, 제품생산에 사용된 자원을 기준으로 측정한 이익, 즉 사용자원기준 이익은 활동기준회계가 제약자원이론보다 높았다. 반면 미사용자원은 활동기준회계가 제약자원이론보다 높아서, 미사용자원의 원가를 고려할 경우에는 활동기준회계가 제약자원이론보다 공급자원기준이익이 더 크게 낮아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공급된 자원 중 미사용자원에 대한 재량권이 높을수록 미사용자원의 원가가 작아지는데, 이 경우에는 활동기준회계에 의해 연산품 추가가공 여부를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기존의 문헌에서 활동기준회계가 장기적 의사결정에 적절하다고 지적과 일치한다.

      • KCI등재후보

        활동이론의 관점에서 바라본 박물관,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학습

        박지연,이수민,이병준 한국문화교육학회 201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6 No.4

        Museum is a medium which communicates with previous generation's experiential memories and present generation's cultural memories. Therefore, the communication is a core task in museum. Museum needs mediums like exhibition and education and we have to discuss how to structuralize these things. The museum communication could be explained through the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CHAT). The CHAT has been developed by several theorists like Vygotsky. Especially, the third generation's CHAT has been developing by Engeström. It is a worthy theoretical structure that can show museum as a messenger of communication in society and its communication problems. This study is based on the CHAT and analyzes museum in a social activity system and activity system in a museum from micro/macro-scopic view. Also, it produces practical models that connect museum with community art field and museum with schools. 박물관은 앞선 세대의 체험적 기억을 현 세대에게 문화적 기억의 형태로 커뮤니케이션하는 매개체이다. 따라서 박물관에서 소통(communication)이라는 개념은 핵심적인 과제일수 밖에 없다. 박물관은 그 자체로 전시와 교육과 같은 매체(medium)를 필요로 하며 이를 어떻게 구조화할 것인가의 문제가 박물관커뮤니케이션의 측면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거시적, 미시적 차원의 박물관커뮤니케이션의 과제는 비고츠키와 여러 이론가들의 연구성과를 정리하고 발전시킨 활동이론에 의해 잘 설명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Y. Engeström에 의해 발전된 제3세대 활동이론은 사회속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의 전달자로서의 박물관과 박물관내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의 문제를 잘 드러낼 수 있는 이론체계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활동이론에 근거하여 거시적·미시적 관점에서 사회활동시스템 속에서의 박물관과 박물관 내에서의 활동시스템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박물관의 커뮤니케이션을 박물관 내부 활동시스템 간의 네트워크 실천, 박물관과 지역의 예술장(藝術場)이 연계된 네트워크 실천과 박물관과 학교가 연계된 네트워크 실천 모형을 구조화하여 제시하려 한다.

      • KCI등재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이론적 발전과 평생교육연구에 주는 시사점

        윤창국(Youn, Changgook),박상옥(Park, Sangok)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평생교육학연구 Vol.18 No.3

        최근 평생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기대가 확산됨에 따라 평생교육분야에서는 다양한 실천적, 정책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평생교육과 관련된 실증연구가 활성화됨에 따라 이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는 작업 역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그 중 학습에 대한 이론적, 체계적 접근 역시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문화역사적 활동이론 형성에 영향을 준 철학적 뿌리와 영향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활동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주요 개념들과 이론적 쟁점은 무엇인가에 대한 분석을 통해 평생교육 연구에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지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은 기호학, 상징적 상호작용, 마르크스주의에 철학적 뿌리를 두고 있으며, 비고츠키, 레온테프, 엥게스트롬에 의해 인간활동의 집단적 성격과 학습을 연결시키면서 다양한 개념과 쟁점을 토대로 발전해오고 있다.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은 기존의 평생교육의 주요 학습이론들과는 달리 학습이 가지고 있는 집단적, 변혁적, 역동적 속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학습에 대한 또 다른 접근방법은 평생교육학에 새로운 시사점을 줄 수 있으며 현장에 대한 접근방법을 확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고 있다. As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lifelong education comes to increase sharply in the society, focus of recent research in lifelong education mainly tend to be on practical and political issues. Though these research trends are important to promote lifelong education, theoretical discussions to support and systematize practical research are also reques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analyze philosophical roots of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CHAT), and critical logic and concepts of CHAT. Through these analysis, this study also suggests implications of CHAT to the academic field of lifelong education. Three philosophical roots such as semiotics, symbolic interactionism, and Marxim strongly provide philosophical base to CHAT and Vygotsky, Leont‘ev, and Engestrom contribute to build up theoretical frameworks of CHAT. Different from other adult learning theories, CHAT focuses on dynamic and collective characteristics of human activities and emphasize the revolutionary and collective nature of learning. As a result, CHAT could contribute to expand the boundary of research on lifelong education and to approach the nature of learning with different perspectives.

      • KCI등재

        수업 개선을 위해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활용한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도재우(Do, Jaewoo),김수진(Kim, Sujin),유미나(Yoo, Mina)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3

        교육현장은 수업 개선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왔다. 수업 개선 방안으로 수업컨설팅, 교사 학습공동체, 수업포트폴리오 등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 활용되고 있다. 국내외 교육 연구자들이 수업 개선을 위한 방안 중 하나로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활용을 제안하고 있다.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은 인간의 활동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이론적 틀을 제시하는 이론으로 특히, 수업 활동을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효과적이다. 국내 교육현장에서도 많은 교육연구자들이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활용하여 수업을 개선해왔다. 본 연구 목적은 수업 개선을 위해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활용한 기존 연구를 수집, 분석하여 수업 개선을 위한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활용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연구방법으로 선택하였다. 분석대상이 될 문헌은 PRISMA 가이드라인을 활용하여 선정하였다. 그 결과 총 33개의 문헌이 수집되었다. 연구진은 수집된 문헌에 대한 질적분석을 통해 수업 개선을 위한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활용방안으로 ① 교수학습전략 적용 과정에 대한 이해를 통한 개선점 도출, ② 수업 실행 과정에 발생하는 모순 파악을 통한 수업 개선점 도출, ③ 학생의 학습활동 참여과정 분석을 통한 학습활동 재설계, ④ 수업도구에 대한 이해와 활용방안 마련, ⑤ 체계적 수업분석 도구로써 활용 가능성 제안, ⑥ 사회문화적 맥락 안에서 교사역량 함양 방안 마련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수업을 개선하고자 하는 교사 또는 학교에게 수업 개선 목적에 따른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활용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The field of education has continued to make efforts to improve classes. As a way to improve classes, various methods such as class consulting,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nd class portfolios are being developed and used. Educational researchers are proposing the use of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CHAT) as another way to improve classes. CHAT is a theory that provide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analyzing human activities, and is especially effective in understanding and analyzing class activities. Many educational researchers in Korea have used CHAT for class impr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and analyze existing research using CHAT to improve classes and explore ways to use CHAT for class improvement. This study adapted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s a research methodology. The literature to be analyzed was selected using PRISMA guidelines. As a result, a total of 33 studies were collected. The researchers identified six ways of improving classes by using CHAT: 1) identifying improvement points by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eaching-learning strategies, 2) improving classes by resolving the contradictions that arise in the teaching process, 3) redesigning learning activities through analysis of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4) developing a strategy to use the class tools by understanding how to use class tools in the course context, 5) suggesting class analysis methods that can be used to understand and improve classes, 6) exploring ways to cultivate teacher competencies in a socio-cultural contex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uggest to teachers and schools that CHAT should be used to help them improve classes.

      • KCI등재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역사적 변천과 그에 대한 비판 고찰 - 해외 문헌을 중심으로

        구유정 ( Koo Yoojeong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연구논총 Vol.42 No.1

        본 연구는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이 현재의 모습으로 발전해온 과정을 살펴보고 그로 인해 발생한 이론의 비판점들에 대한 논의들과 가능성을 정리해봄으로써 향후 연구자들이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에 대한 보다 분명한 이해를 갖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은 인간의 학습현상을 이해하는 최소한의 분석단위로서 활동체계의 모형을 제안하며 국내의 교육학 분야에서도 집단적 학습현상을 이해하는 유용한 분석의 틀로 활용되어 왔다. 국내에 알려진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은 주로 3세대 활동이론 모형을 체계화한 Engestrom의 연구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그 마저도 그가 30여년 전에 제시한 3세대 활동이론 모형을 수용하는데에 머물러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역사적 변천과정과 학문적 뿌리, 그리고 이론을 둘러싼 논쟁에 대한 해외의 문헌들을 고찰함으로써 보다 엄밀하게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변천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aims to present an overview the historicity and critics of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was derived from and inspired by the cultural-historical school of psychology and numerous other studies from different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It continues to evolve. By comprehensively reviewing the global literature, this study will offer researcher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heory. The first chaper explains its historical background. The second part focuses on critics and challenges identified by different scholars, and finally, suggestions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 theory, namely the 4th generation, are introduced.

      • 노인 자원봉사활동 사례를 통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박경아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08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 No.-

        본 연구는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의 의의와 특성,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활동이론, 확산이론, 교환이론으로 설명하고 있는 노인 자원봉사활동과 관련된 이론을 통하여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의 적합성을 설명하였으며, 현재 우리나라에서 활동 중인 노인들의 자원봉사활동의 사례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에 따른 노인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방안을 모색하였다. 현재 우리나라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사례를 통하여 발견된 문제점으로는 크게 다섯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경제적 어려움, 둘째 잠재적 노인 자원봉사자 활용의 소극성, 셋째 자원봉사활동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미흡, 넷째 자원봉사활동의 법적, 제도적 지원체계와 재정지원의 미흡, 다섯째, 자원봉사활동의 체계적인 조직 관리의 미흡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통하여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을 위한 활성화방안으로는 첫 번째, 노인에 대한 의식변화가 우선되어야 하며, 두 번째는 노인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관련법을 제정 및 지속적인 활동의 동기부여 등을 위한 다양한 보상제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마지막으로 노인의 욕구와 특성에 맞는 다양하고 적합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significance, characteristics and need of the aged people’s volunteering activities and explains their adaptabilities through the related theories such as the activity theory, expansion theory and exchange theory, and derives the problems by analyzing the cases of the country’s aged people’s volunteering activities and explores the schemes of revitalization of these volunteering activities. The problems that have been found out through the case studies of the country’s aged people’s volunteering activities are divided broadly into five types: first, the economic difficulties; second, the passiveness of utilizing potential old volunteers third, the inadequacy of diverse programs for volunteering activities; fourth, the inadequacy of legal, institutional supporting systems and of financial support; fifth, the inadequacy of systematic organizational management of volunteering activities. Based on these problems, the schemes to revitalize the age people’s volunteering activitie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n the aged people should be changed. Second, the diverse compensating systems to motivate continuous volunteering activities by enacting laws related to the aged people’s volunteering activities should be established. Finally, the development of the diverse and appropriate programs suitable to the aged people’s need and characteristics is urgently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