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작문 이론의 구체성과 실천성

        정희모 ( Hee Mo Cho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1 한국어문교육 Vol.10 No.-

        이 논문께서는 최근 작문 연구의 추상화 경향을 비판하고, 작문 연구에 교육학적 관심을 되돌릴 필요가 있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최근 작문 연구는 교육학적 담론보다 인문학적 담론에 더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그 때문인지 작문 연구자들은 작문 교육에 대한 탐색보다 작문 현상과 관련된 이데올로기에 대한 탐구나 메타 담론에 대한 탐색에 더 많은 관심을 쏟고 있다. 예를 들어 비판적 문화 안구나 작문의 후기 과정 운동이 바로 이런 특성을 잘 보여준다. 비판적 문화 연구에서는 문화 담론 속에 내재된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폭로하고, 대안적 담론을 작성하는 것을 위주로 한다. 반면에 작문의 후기 과정 운동은 작문 연구에 어떤 체계적 방법이나 중심적 원리를 도입할 수 없다는 관점을 취하면서 작문 과정을 이론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현상을 비판한다. 이와 같은 주장의 밑바탕에 포스트모던의 해체주의 철학이 깔려 있음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이 논문이1서는 이와 같은 추상적 관점을 극복하기 위해 구성주의 관점을 새롭게 정립할 것을 주장한다. 구성주의는 후기 과정 운동과 다르게 주체로서 필자의 의미 생산과 텍스트의 의미 소통을 인정하기 때문에 작문 연구에서 작문 교육의 방향을 살릴 수 있는 길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이 논문에서는 작문 교육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작문 이론을 이론 중심의 패러다임과 교육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나누되 교육 중심의 패러다임을 권장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Recently writing researches are changing gradually in the abstract rather than in the concrete. Therefore this paper was written to criticize recent trends in the writing. In fact wilting research will take more concrete when it is based on the pedagogical point of view. Recent writing research has been more influenced the discourse of the humanities than pedagogical discourse, so writing researchers are more interested in exploration about the ideology and Meta-discourse relating to writing than exploration about writing education. For example, critical cultural studies and post-process movement shows the characteristic of writing research. Critical cultural studies expose dominant ideology including cultural discourse and make out alternative discourse. On the other kinds post process movement oppose to use systematic method and to introduce centered principle in writing research because of the impact of deconstruction. It also criticizes to explain the theory of writing process. In the basis of such arguments, philosophy of deconstruction of postmodern is the background. This paper is to present constructivism newly in order to overcome such as abstractness. Constructivism receives make meaning in text and communicates meaning between texts unlike post process movement. For this reason constructivism can make th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positively in writing research. Therefore this paper will divide the theory of writing into theory-oriented paradigm and education oriented paradigm in order to vitalize writing education research. In addition, it will encourage education-oriented paradigm.

      • KCI등재

        대학생 글쓰기 텍스트에 나타난 오류 양상

        정희모(Chong, Hee-mo),유혜령(Yu, Hye-ryeong) 중앙어문학회 2012 語文論集 Vol.52 No.-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errors and to calculate frequency of erros in 43 texts of college students" writing. The result is that the most frequent errors are "error of the word spacing", "missing constituent of sentence", and "improper choice of words". The erros of the word spacing in students" texts occur mainly in sentences which have noun phrases, modifiers, or bound nouns. The omission of subject is the most frequent error of "the missing constituent of sentence". Through the error of "improper choice of words", we noticed that the college students don"t know differences of basic meaning of words. The other high frequency errors are "errors of highly complicated syntactic structure", surplus of sentence meaning", "errors of punctuation marks" and so on. Of the errors which is ranked in top 10 by error frequency, errors of sentence level, especially grammatical errors frequently occurred in the college students" texts This suggests that teaching of sentence writing, especially teaching of grammar is needed for Korean Students. Also through this analysis, it was found that error frequency per 100 words in Korean texts is much more than in English tex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achers have to teach grammar and orthography regulations in education of writing from middle school period.

      • KCI등재

        기획주제:핵심 의사소통 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 교양교육 발전 방안; 대학 작문 교육과 학술적 글쓰기의 특성

        정희모 ( Hee Mo Chong ) 한국작문학회 2014 작문연구 Vol.0 No.21

        이 연구는 국내 대학 작문 교육에서 학술적 글쓰기 교육에 관한 다양한 논의와 쟁점을 다루고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먼저 국내 대학 작문 교육에서 학술적 글쓰기 교육이 중심 교육으로 등장한 배경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학 작문 교육에서 학술적 글쓰기 교육과 관련하여 고려해 보아야 할 다양한 쟁점들을 함께 검토하고 있다. 쟁점의 내용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러 학자들이 합의할 수 있는 단일한 학술공동체 개념을 만들기 어렵다는 점이 있다. 대학은 다양한 학술공동체가 모여 집합체를 형성하고 있어 단일한 학술적 글쓰기 장르를 찾기가 어렵다. 둘째, 대학 작문 교육에서 수행되는 여러 작업들이 특정한 수사적 목적과 맥락의 구체성 속에 있기 때문에 보편성과 일반성을 가진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셋째, 학술적 글쓰기가 비학술적 글쓰기를 억압하는 현상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대학 작문 교육에서 학술적 글쓰기와 비학술적 글쓰기의 대립은 아직 해결되지 않고 있는 문제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런 학술적 쟁점들에 대한 상세한 논의를 검토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주요 쟁점은 신입생 작문 교육의 학습 전이의 문제이다. 많은 학자들은 신입생 작문 교육에서 다루고 있는 장르들이 실제 개별 전공 영역에서 다루는 장르들과 차이가 있다고 보고 있다. 또 개별 전공 영역의 특정한 수사적 목적과 맥락이 수반되지 않는 학습 전략들과 방법들은 다른 학습영역으로 전이가 되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신입생 작문 교육에서 학습 전이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어떤 교수 학습 전략이나 방법이든 목적과 맥락의 구체성 속에서 생성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This article discusses various issues about academic writing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These issu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very difficult to make a single academic community with every scholars` agreeing with each other. because a university is an aggregation that consists of many different academic communities. Seco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college writing don`t have a common universality and generality because that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classroom have a Particular rhetorical purpose and context. Third, non-academic writing gets suppressed by academic writing. Finally, this article deals with the learning transfer of freshman writing education in the university setting. Many scholars assent that learning strategies and methods that do not exist in the particular rhetorical purpose and context of one major are difficult to transfer into another situation, This article suggests the way of learning transfer in freshman writing education is to make constant use of learning strategies and learning methods in the context and the purpose of particular rhetorical situation.

      • KCI등재

        작문 연구의 방향과 전망 -대학 작문에서 인지적 연구의 필요성과 방향-

        정희모 ( Hee Mo Chong ) 한국작문학회 2013 작문연구 Vol.0 No.18

        이 논문의 목표는 대학 작문 연구의 최근 경향을 분석하고 바람직한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대학 작문 연구는 초기에 대학 교실현장의 작문 교육을 위해 시작되었으며, 언어적 방법과 인지적 방법이 중심을 이루었다. 당시 유행했던 언어적 방법으로는 ‘문장의 생성수사학’, ‘모방훈련’, ‘문장결합교수법’ 등이 있다. 이 방법들은 주로 핵심적 문장을 확장하여 텍스트를 작성하거나 규범적 문장을 모방하는 것으로 지금에서 보면 텍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초보적인 방법이었다. 인지적 방법은 쓰기과정에서 필자의 사고 과정을 탐색하고자 한 방법으로, 쓰기를 문제 해결 과정으로 보았다. 쓰기 과정을 계획하기, 작성하기, 교정하기로 나누어 각 단계에서 작가가 인지 활동을 통해 문제를 풀어나가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했다. 그렇지만 쓰기 과정에 대한 정확한 인지 활동을 자세히이해하기는 어려웠다. 이들 방법들은 1980년대 이후 사회적 관점과 포스트모더니즘의 대두와 함께 차츰 사라졌다. 학문 경향을 반형식주의, 반행동주의, 반경험주의 사조가 주도함에 따라 언어적 방법이나 인지적 방법은 더 이상 주요한 연구방법이 되지 못 했다. 이와 함께 언어적 방법과 인지적 방법은 글쓰기를 너무 단순하고 고정적인 과정으로 보아 연구에 있어 큰 발전이 있기 힘들었다. 이후 대학 작문 연구에서는 비판적 문화 연구와 같은 사회적 관점이 주된 연구 경향이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의 대학 작문 연구에 있어 인지 연구가 무엇보다 필요하다는 관점을 취한다. 작문 연구에서 사회적 관점은 언어가 생성되고 교류되는 환경을 분석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나 작문 교육에는 별다른 도움을 주지 못했다. 인지 연구는 표상차원(문장 수준), 텍스트 차원(텍스트수준), 독자·필자 차원(맥락 수준)에서 폭넓게 필자가 글을 쓰는 사고 과정을 추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문 교육에 무엇이 필요한지, 어떤 교육방법을 써야 할지 판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이전처럼 작문 과정을 단순하고 고정적인 것으로 보지 않고, 매우 복잡하고 폭넓은 과정으로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 제안하고 있는 인지적 방법은 텍스트생성에 관한 인지 연구, 문장 연결에 관한 인지 연구, 텍스트 주제와 구성에 관한 연구, 담화 공동체와 장르 인식이 텍스트 생산에 미치는 연구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college writing research and to show the desirable research of college writing. In the beginning of college writing research, it has been used mainly linguistic methods and cognitive methods. For example, Linguistic methods include Generative rhetoric of sentence, Imitation, and the sentence-combining. In cognitive methods, writing is regarded as a problem-solving process, and it is made up of planning, translating and reviewing. The problem of Linguistic methods and Cognitive methods is that writing process is considered to be fixed and uniformed. Those two methods disappeared as post-modernism and social perspective emerged in the 1980s. The advent of anti-formation, anti-behaviorism and anti-empiricism caused to weaken Linguistic methods and cognitive methods. After the 1980s, critical cultural studies and social perspective became main research trends in writing research. In this study, college writing research needs cognitive research more than anything. In writing education, cognitive research can figure the thinking process of writer through the representation dimension, test dimension and writer-reader dimension. Through that, we will know what is needed in writing education and how to use teaching method.

      • KCI등재

        대학 글쓰기의 교육 목표와 글쓰기 교재

        정희모(Chong Hee-mo) 한국리터러시학회 2010 리터러시 연구 Vol.- No.1

        이 논문에서는 대학 글쓰기 교재의 낙후성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사실때문에 기인한다고 보고 그 대안을 강구한다. 첫째, 대학 글쓰기 교재의 낙후성은 교재의 목표가 불분명한 데서 발생한다. 둘째, 대학 글쓰기 교재의 낙후성은 대학 글쓰기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 두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강구하고 대학 글쓰기 교재의 전망을 살펴보았다. 우선 좋은 교재를 만들기 위해서는 대학 글쓰기 교육의 목표가 뚜렷해야한다. 이 논문에서는 대학 글쓰기 교육의 일반적인 목표로 ‘표현 능력의 신장’과 ‘사고력 신장’에 두고, 이에 대한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목표 설정을 탐색했다. 여기서는 대학 글쓰기 교육의 구체적인 목표로 ‘추상적인 생각에 대해 논쟁하고 평가하는 능력’과 ‘사회적인 주요 담론에 대한 읽기 행위에 참여하고 이에 대한 반응의 글을 쓰는 것’으로 규정했다. 대학 글쓰기 교재에서 교수·학습 활동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중심, 탐구 중심, 활동 중심, 실습 중심의 수업을 지향해야 한다. 강조할 것은 글쓰기 교재가 교수자 입장이 아니라 학습자 중심의 입장을 지녀야 한다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교수·학습 활동을 반영한 교재로 한 학기 전체를 여러 개의 과제로 묶어 내는 연구 프로젝트(research project)식의 모형을 추천한다. 글쓰기 교재는 앞으로 어떤 형식이든지 변화가 불가피하다. 특히 디지털 환경이 교재 형식과 내용을 바꾸기를 요구할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제작되는 글쓰기 교재들은 반드시 디지털 환경을 고려해야 한다. 디지털과 상호소통이 되지 않는 글쓰기 교재는 자리를 잡기가 어렵게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점은 교수자가 학생을 변화시키겠다는 의지나 열정이다. 글쓰기 교재 역시 이런 진정성을 가지고 편찬하면 성공할 수가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plains the low quality of college writing textbooks has two reasons. The first, this is the reason why is the goals of writing textbooks are not clear. The second reason is the lack of knowledge in the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developing good teaching materials, it needs to have the concrete goals in relation to improve of the ability of expression and thinking skills. College writing education needs to form the concrete goals that are the ability to evaluate and to argue about the concreted thinking. Also it sets the specific goals that are to write articles on the reaction about social issues. To reinforce the activitie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writing textbooks, the classes need to organize learner centered. inquiry based, activity centered and field centered. It is very important that writing textbooks have sites not teachers centered but learners centered. For instance there is a research project program that the class consists of several assignments through the one semester in a writing textbook. In particular we prefer this teaching method in class. Writing textbooks will be needed a change in the near future. Expecially in the digital environment it will affect the formats and contents. Therefore writing textbooks should be considered digital environment.

      • KCI등재
      • KCI등재

        활동 이론(Activity Theory)을 통한 직업 문식성 교육방안

        정희모 ( Hee Mo Chong ) 한국작문학회 2015 작문연구 Vol.0 No.24

        이 논문의 목적은 직업 문식성교육 방법으로 활동 이론을 소개하고 이를 응용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활동 이론은 특정한 공동체 내에서 인간 행위와 관련된 다양한 요소들의 상호 관계를 파악하는 이론이다. 활동 이론을 사용하면 특정한 상황에서 담화공동체와 장르, 글쓰기의 주체, 글의 목적 등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적인 틀을 얻을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활동 이론이 상황과 맥락을 중시하기 때문에 직업 문식성교육을 학습하는 데도 매우 유용하다고 판단한다. 이미 Kine & Wardle(2005)와 같은 학자들은 직업 문식성교육에 활동 이론을 사용하기를 제안한 바 있다. 이 논문에서는 논의를 발전시켜 활동 이론을 통한 텍스트 분석 방법과 모순 문제의 해결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우선 이 논문에서는 활동 이론의 분석 단위로서 활동 시스템을 소개하고 있다. 활동 시스템은 문식성행위와 관련된 다양한 요소, 즉 주체, 공동체, 규칙, 도구, 역할 배분, 목적(동기)를 분석단위로 삼아 이들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활동 시스템 내에서 세부 요소들의 상호 관계는 문식성행위가 이루어지는 맥락과 환경의 복합성을 보여주기 때문에, 학생들은 직업상황의 수사적 문맥을 경험해 볼 수가 있다. 활동 이론을 통한 직업 문식성교육은 활동 시스템을 통한 텍스트 분석에서부터 시작한다. 학생들은 기존의 여러 다양한 공동체에서 수행했던 텍스트를 활동 시스템에 맞춰서 분석해 봄으로써 텍스트가 작성되는 유형, 무형의 역학 관계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직업 현장에서 텍스트를 작성해야 할 때 활동 시스템을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 자세한 정보를 제공해 받을 수 있다. 학생들이 학교와 다른 공동체의 텍스트를 분석하면서 직업문식성에 대한 대비를 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 활동 이론을 통한 직업 문식성교육에서는 학교 현장과 직업 현장의 차이에서 오는 모순을 극복하는 방법을 배운다. 학생들이 신입자로서 직업 환경에 진입했을 때 가장 많이 겪게 되는 모순은 목적(의도)의 모순과 도구(장르)의 모순, 역할 배분의 모순 등이다. 학생들은 직업 현장에 들어가기 전 이런 모순 상황에 대한 교육을 받고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활동 시스템의 다양한 모순을 접해 보는 것이 이런 교육 과정의 한 방안이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job literacy education methods based on activity theory. Activity theory examined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various elements of human behavior within the community. In particular substances, discourse community, genres, subject of writing and the purpose of writing were analyzed using activity theory. Above all, this study introduced the activity system as an analysis unit of activity theory. There are many factors related to literacy acting in activity system such as subject, community, rules, tools, division of labor and motive. The relationship of these factors showed contexts and the complexity of the setting, which would establish literacy acting. First, we could analyze texts through activity system in job literacy education. Also students can prepare for job literacy by text analyzing in school settings and others job community.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job literacy education it was important that newcomers found and overcame contradictions from the difference between school and professional settings. Students can experience a variety of contradictions such as object, tools, and divisions of labor. They could learn the dynamic interactions of job literacy through activity system.

      • KCI등재

        대학 이념의 변화와 인문학의 미래

        정희모(Chong, Hee-Mo)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3 철학탐구 Vol.34 No.-

        이 논문은 지적 정보화 시대와 글로벌 경쟁 시대에서 대학의 근본이념을 회복하는 것이 과연 가능한가를 다룬 논문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근대 대학의 이념 체계를 탐구한다. 근대 대학의 이념은 대학의 독립과 자유 교육의 이상을 견지하고 있었다. 대학은 인간 본성이 직접 요구하는 지식, 탐구 자체가 목적인 지식을 추구해야 한다고 본 것이다. 예를 들어 훔볼트(Humbolt)는 직업 교육보다 인간 교육, 차별 교육보다 보통 교육, 대학의 독립과 학문의 자유를 주장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대학 이념은 20세기 들어 기업과 자본의 논리를 받아들임으로써 변화를 겪게 된다. 대학에서는 경쟁의 논리, 자본의 논리가 지배하게 되었다. 대학의 역사와 이념에 대한 고민과 물음이 갑자기 사라졌으며, 대학은 당연히 경쟁과 효율의 실용적인 기관처럼 인식되었다. 이런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인문학의 회복을 위해서 많은 논문들이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 중 가장 많은 논문이 대학의 근본이념을 되돌아 보고 인문학의 정신을 살려야 한다는 내적 다짐을 강조하는 것이다. 그러나 인문학의 회복을 외치는 이런 논문들은 실제 큰 효용성을 가지지 못한다. 대학 경영자가 이를 손쉽게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보다는 인문학의 연구를 진작하여 전문지식을 확보하고 문제 해결을 해 나가는 데 인문학이 어떤 역할과 기능을 하는지 규명할 수 있어야 한다. 최근에는 융?복합 학문이 등장하여 인문과 자연, 사회 과학이 서로 결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리고 있다. 인문학이 추론 과정과 의사 결정 과정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밝힐 수 있다면 지식 정보화 시대에 인문학의 역할을 강화할 수가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이 논문이 제안하는 것은 획일적인 대학 운영과 평가 체계에 대한 비판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대학은 글로벌 경쟁 체제 속에서 다양한 학과들이 단일한 집합체(유니버시티)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평가도 획일화되어 있다. 지식 정보화 사회에는 융?복합 과목과 같이 다양한 과목이 결합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독자적이고 특수적인 과목도 등장한다. 과학기술문명이 확대될수록 종합화도 필요하지만 분권화도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대학 평가는 개별적 특수성을 인정하는 타당한 평가체제로 바뀌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idea of college in information society and era of global competitio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examines the Idea of the university in the 19th century. It constitutes independence of the university and liberal education. University should pursue knowledge of human nature and the knowledge of exploration itself. But the idea of university undergoes changes under the influence of the logic of capitalism. Business and Engineering has become the center of the university and university has been dominated by the logic of competition and capital. As a result, the influence of humanistic education naturally declined in the university. A lot of papers proposed methods to overcome the crisis and environment. Popular methods among them regained the spirit of the idea of university and the humanities in college education. I think these suggestions have less realizability because university administrators will not accept them. But this paper suggests investigation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humanities in information society and the era of global competition. Particularly, the humanities can be combined with other courses through convergence and integration. Therefore doing research on humanities" roles in information society means that it has great value. In addition we must criticize the uniformity and the unitarity of university evaluation. These methods of the evaluation interrupt recovery of the humanities in information society.

      • KCI등재

        페렐만의 보편청중 개념과 작문의 독자 이론 -페렐만(Perelman)과 파크(Park)의 논의를 중심으로-

        정희모 ( Hee Mo Chong ) 한국작문학회 2012 작문연구 Vol.0 No.15

        이 논문은 작문 이론의 관점에서 페렐만(Perelman)의 청중 이론을 분석한 것이다. 페렐만의 청중 이론은 페렐만이 전통적 수사학을 현대사회에 맞게 새롭게 주창한 <신수사학>의 핵심 개념이다. 페렐만은 논증추론의 타당성과 합당성에 대한 근거를 찾기 위해 청중(audience)에 주목했다. 수사학에서 담론의 성공과 실패는 결국 청중을 설득하느냐, 못 하느냐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페렐만의 수사학에서 청중은 가장 중요한 요소에 해당한다. 전통적인 작문 이론은 수사학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이 논문에서는 수사학에서의 청중 개념과 글쓰기에서의 독자 개념에 대해 페렐만과 파크(Park)의 관점을 중심으로 자세히 살펴본다. 작문 이론에서 독자 개념은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전달받는독자 개념’이고, 다른 하나는 ‘호출하는 독자 개념’이다. 전자는 전통적인 수사학적 관점이며, 후자는 수사학적 관점을 비판하고 새롭게 제기된 관점이다. 페렐만은 신수사학 통해 전통적 관점과 결별하고 후자의 관점을 택한다. 다시 말해 청중은 독자 개념과 같이 작가의 주관 속에 호출된 존재로서 관념의 산물이다. 독자는 실재 존재 유무와 상관없이 필자의 의식 속에 상상된 허구의 산물인 것이다. 페렐만의 이런 관점은 전통적 수사학과 결별한 매우 선진적인 것이었다. 파크 역시 독자를 허구적 존재, 즉 호출된 존재로 보았다는 점에서 페렐만과 유사하다. 그러나 청중이나 독자를 규정하는 구체적인 내용에 있어서는 파크는 페렐만과 생각을 달리한다. 페렐만은 보편청중의 개념을 통해 오디언스를 보편적 합리성, 보편적이성의 의미로 사용한다. 그래서 이를 모든 수사적 담론의 이성적 판단근거로 사용했다. 이에 반해 파크는 독자를 보다 구체적인 맥락의 개념으로 파악하고 페렐만의 관점을 추상적이라고 비판한다. 파크는 페렐만의 보편청중 개념이 실제 창작과정에서 구현할 수 없는 주관적, 관념적산물로 인식했던 것이다. 파크처럼 기능면에서 독자를 분석하면 페렐만의 보편청중 개념은 담화공동체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페렐만의 보편청중 개념은 한 시대, 한 집단의 통념과 가치를 대변하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두 사람의 이론을 비교하며 이런 점을 밝히고자 했다. This article is to analyze Perelman``s Audience in writing theory. Perelman`s Audience theory is the key concept of New Rhetoric that Perelman changed traditional rhetoric into the new rhetoric to fit modern society. Perelman emphasized the audience to take the evidence on the validity and rationality in argument inference. The success and failure in rhetoric depends on whether it persuades the audience or not. Therefore the audience is very important in Perelman`s rhetoric. Specifically He think that universal audience is more important than particular audience. Traditional writing theory was heavily influenced by the rhetoric. This article examines Perelman and Park`s point of view in rhetoric`s audience and writing`s audience. Writing`s audience is divided into two ways in writing theory. One is ``audience as addressed`` and the other is ``audience as invoked``. The former is a new viewpoint and the latter is traditional rhetoric. Perelman doesn`t use traditional viewpoints any longer in new rhetoric and chooses the audience as invoked. Generally readers are just fiction that writers make in the imagination. Park believes that the audience as invoked is to be produced in the writing. Namely the readers perform the function of context in writing process. If Perelman sees the audience in the functional aspects, his audience corresponds to discourse community. This article tried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of the two theories from the viewpoint of the audience.

      • KCI등재

        일반 논문 : 대학생 쓰기 교육을 위한 텍스트 특성 비교 -대학생 필자와 전문 필자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정희모 ( Hee Mo Chong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1 국어교육 Vol.0 No.135

        This study was considered to compare the quality of texts written by students with that of experts for college composition. It analyzed the quality of texts of each twenty text of three groups; upper group and lower group of students, and experts group. This study used nine theological Analysis Tools; X1: T-unit numbers, X2: topics of sentence number, X3: whole word numbers, X4: incorrect sentence number/ whole sentence number, X5: cohesive ties number/ whole sentence number, X6: the number of thematic chunks, X7: whole word numbers/ T-unit numbers, X8: T-unit numbers / topics of sentence number, X9 the number of thematic chunks/the number of sentence theme.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there is no difference upper group and lower groups of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students and exper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Kruskal Walls test and Nonparametric Two-Independent-Sample TEST, there are big differences students and experts in X4: incorrect sentence number/whole sentence number, X6: the number of thematic chunks, X9 : the number of thematic chunks/the number of sentence theme. Experts have no incorrect sentences whereas students have a lot of incorrect sentences. the topic of sentence written by experts are connected consistently each other toward The topics of text, but students show the lack of coherent states in it. Therefore in order to write good texts, students should closely connect topics of sentence toward The topics of 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