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려시대의 홍주성과 흥추읍성

        윤용혁(Yun Yonghyuk)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18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24 No.1

        홍주읍성내 ‘의병공원’ 부지에 이어 추정 객사지, 그리고 북문지 일대에서 고려시대에 조성된 토축성 혹은 건물지가 확인되면서 홍주읍성 이전 단계에 이미 고려시대 토축성이 시설되어 있었다고 파악된다. 즉 고려시대에 홍주의 가 이미 현재의 읍성에 조성되어 있었고, 이를 어느 시기에 석성으로 하여 조선시대 읍성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 의병공원 부지의 토축 유구는 현재 읍성의 남서측 구릉을 중심으로 조성한 작은 규모의 토성이며, 뒤의 고려 홍주성과는 무관한 나말 여초의 유적이다. 운주성주 긍준에 의하여 군사시설 등으로 활용 되었을 기능성이었다. 둘째, 토축성으로서의 홍주성이 조성된 것은 고려 중기(12~13세기)의 일로 생각된다. 월산성 동쪽 기슭에 해당하는 월산리의 건물지는 지방제도의 정비에 따라 처음 운용되었던 관아터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이 치소가 고려 중기에 홍주읍성 구역으로 옮겨졌다는 것이다. 이때 토축의 홍주성이 조성되었는데, 그 시기는 일단 12세기 말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측한다. 셋째, 고려시대 홍주성의 환축 범위는 현재로서 작은 성과 큰 성의, 두 가지 가능성이 모두 있다. 향후 조사에서 이 두 가지 기능성을 모두 감안하면서 사실 관계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다만 필자로서는 뒤의 홍주읍성과 기본적으로 동일 규모, 동일 공간이었을 가능성이 많다는 생각이다. 홍주읍성이 구축된 하천과 구릉의 지형적 조건 때문에 성의 공간 범위가 규정 되었으리라는 것이다. 넷째, 홍주성의 석성으로의 축성은 1377년 이후의 고려 말이라고 생각한다. 우왕 3년(1377) 9윌, 왜구의 침입으로 홍주성이 크게 피해를 보았고, 이에 의하여 기존 토축성으로서의 한계를 절감한 이 석성 개축의 계기가 되었다고 보는 것이다. 조선 초에 석성 개축에 관한 기록이 없는 것은 그것이 전 왕조 고려 말의 일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근거에서 홍주성의 읍성으로의 개축은 1377년 이후 대략 1380년 전후가 아니었을까 추측 한다. 석성 개축 공사에서는 고려시대 토축을 이용하여 공사가 진행되었고, 소설된 인근 미륵사의 석재가 대량으로 옮겨져 축성에 사용되었다.

      • KCI등재

        조선후기 홍주지역 세곡운송과 船價ㆍ後卜 대책

        문광균 조선시대사학회 2015 朝鮮時代史學報 Vol.75 No.-

        Grain transportation of Hongju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operated under the Joun system. After announcing 『Gyeonggeukdaejeon(經國大典)』, grain of Hongju was collected in gongsegojchang of Asan and delivered to the center. But, while 'saseonimun(私船賃運)' was fulfiled instead of the Joun system around the western coast of Chungcheong-do, grain of Hongju was accumulated in Gyeonggangseon and transported. Due to the introudction of saseonimun, ship fare which is rental fee of gyeonggangseon and buga(浮價) which is costs of crewmen's labor on the ship were paid in Hongju. Hongju paid 4 seung per 1 jeonse for the title of buga and 1 seung of hubok(後卜) per 1 seok of daedongmi. The amount was less than 1 dubo per 1 seok in surrounding gun and hyun. Because of the conditions, Hongju area became an object of evasion for Gyeonggang crewmen. As gyunyuk law was conducted in the 26th year of Yeongjo(1750), hubok prepared in Hongju was reduced. Because hubok was reduced, Hongju newly made seolhapgok(舌盒斛), gokja(斛子)[container for grain] of 16 du 5 seung. In other words, they intended not to pay other charge at all by taking jeongse(正稅) of 15 du and japbi(雜費) of 1 du 5 seung into one bowl. However, gyeonggangseonin(京江船人) who were living with hubok didn't want to accumulate grain of Hongju, which measures the quantity by seolhapgok. Due to the phenomenon, Hongju opposed chakseonyuk(捉船役) catching gyeonggangseon which was going to Jeolla-do and Gyeongsang-do to people of 5 do such as wonsan-do, etc. Changseonyeok(捉船役) was threatening lives and living for all of islander and gyeonggangseonin(京江船人). The discussion about the hubok improvement of Hongju started because of the sangern of Lee, Un-dae(李云大) living in Wonsan-do in the 11th year of Jeongjo(1787). In the next year, it was vitalized by the second sangern of Lee, Un-dae and sangern of gyeonggangseonin Kim, Jae-chim(金在深). At first, 'gakbong(各捧)' was suggested as a measure to solve hubok problem. Gakbongan was to abolish existing seolhapgok and collect 15 du and 1 du 5 seung separately. But, gakbong should work 15 du and 1 du 5 seung individually, so collect lots of much grain from people. Government insisted that gakbong(各捧) is tax extortion and chased that hubok problem should be solved by regions. As gakbongan was not accepted, Hongju suggested ‘daemok(給代)’. ‘Geupdae’ was a measure to supplement insufficient hubok(後卜) with other financial resources. It was supervised by Hongjumoksa Lee, Ui-pil(李義弼). And, they discussed with an audit kwon, um(權 ), regulated 『Hongjumokseseonhubokcheombojeolmok(洪州牧稅船後卜添補節目)』 and prepared financial resources which would increase hubok. Bosegungwan(補稅軍官), bosegok(補稅穀), etc. of Hongju were financial resources which increased hubok. And, for the stable operation of hubok, an independent government, bosecheong(補稅廳), was founded. Therefore, hubok problem which was a tough problem of Hongju area in the 18th century was solved. However, as lots of parts of guepdae financial resources were supplemented by hwangok of bosegok(補稅穀) and sikri, hubok of Hongju in the 19th century had another problem. 조선전기 홍주의 세곡운송은 조운제도 아래에서 운영되었다. 『經國大典』이 반포된 이후 홍주의 세곡은 아산 공세곶창에서 수봉하여 중앙으로 상납하였다. 그러나 17세기를 전후하여 충청도 서해안 일대에 ‘私船賃運’이 성행하면서, 홍주의 세곡은 경강선에 적재되어 운송되었다. 사선임운의 도입으로 홍주에서는 경강선의 임대료인 船價와 그 선박에 승선하는 선원의 노동대가인 浮價를 지급하였다. 홍주에는 아산만의 北倉과 천수만의 西倉과 南倉 등 등 총 3곳의 海倉이 있었다. 海三倉의 선가는 효종 2년(1651) 호서대동법 시행 당시 1석당 米 1.5斗를 지급하였ᅌᅳ나, 17세기 후반 서창과 남창은 운항거리가 멀고 항로가 위험하다는 이유로 5승씩 늘어났다. 한편 홍주에서는 부가를 後卜으로 부르고 있었고, 전세는 1석당 米 4승, 대동미는 米 1승을 지급하였다. 이는 인근 군현의 1석당 1두보다 적은 액수였다. 이런 상황에서 영조 26년(1750)에 실시된 균역법은 홍주의 후복을 줄어들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후복이 줄어들자 홍주는 16두 5승짜리 斛子인 舌盒斛을 만들어 대응하였다. 설합곡은 15두의 正稅와 1두 5승의 雜費를 하나의 量器에 담아서 그 이외의 비용을 일체 지급하지 않으려는 목적에서 만들어졌다. 그러나 후복으로 생계를 유지하던 경강선인은 설합곡으로 두량하는 홍주의 세곡을 적재하지 않으려 했다. 세곡운송 기피현상이 발생하자 홍주목에서는 원산도 등 5島民에게 전라도와 경상도로 내려가는 경강선을 붙잡는 捉船役을 부과하였다. 그러나 착선역은 홍주 도민과 경강선인의 갈등만 조장할 뿐 근본적인 대책은 아니었다. 홍주의 후복 문제는 정조 11년(1787) 원산도민 李云大의 상언으로 조정에 알려졌고, 2년에 걸쳐 논의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정조 13년(1789) 『洪州牧稅船後卜添補節目』이 제정되었다. 이 절목의 골자는 補稅軍官과 補稅穀 등을 설치하고, 여기에서 확보된 재원을 토대로 후복가를 증액하는 것이었다. 이 절목의 제정으로 홍주의 전세 후복은 1석당 米 2두 1승, 대동미 후복은 1석당 米 1두 1승으로 증액되었다. 그리고 이 재원을 관리하고 안정적인 후복 운영을 위해 補稅廳이 출범하였다. 이로써 18세기 홍주지역의 난제였던 후복 문제가 일단락되었다. 하지만 급대재원의 대부분이 還穀과 殖利로 마련되었다는 점에서 이 정책은 19세기에 또 다른 문제를 발생시킬 요인을 배태하고 있었다.

      • KCI등재

        수체계가 홍주성의 입지와 공간구조 변천과정에 미친 영향

        이경찬 ( Lee Kyung-chan ),강인애 ( Kang In-ae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20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는 홍주목 읍치 일대의 물(水) 공간과 연계하여 홍주성의 형성·변천과정과 더불어 조선 후기 홍주읍성의 공간구조와 축성방식이 지니는 특성을 해석해보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조선시대 홍주목 읍치 일대의 수체계는 남에서 북으로, 서에서동으로 흐르는 가지형 구조의 자연하도를 기반으로 인공적으로 조성된 성안물길과 연못(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양한 문헌기록, 발굴조사 결과 및 지도자료 등에 대한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수체계가 홍주성의 조영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고려시대 이후 조선 후기에 이르는 홍주성은 큰 위치 변화 없이 금마천과 용봉천을 외수로 삼고 홍성천과 월계천을 중심으로 한 환포형의 지형구조와 하천 합수부의 내측(汭)에 형성된 소규모 침식분지를 이용하여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홍주성의 입지특성은 고대 중국과 한국에서의 물길을 고려한 도시 입지선정 방법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둘째, 홍주성 일대 수체계의 골격을 형성하는 홍성천과 월계천, 소향천 등은 다양한 측면에서 홍주성의 입지와 축성방식, 물 관련시설, 읍성 공간구조 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홍주성 내외부의 미지형구조는 월계천 및 홍성천의 하도특성과 어우러져 홍주성의 토지이용 및 읍치시설 배치형태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홍주읍성에서는 물을 고려한 다양한 비보조치가 이루어졌다. 홍성천과 금마천 사이의 숲 조성, 조선 후기 읍기(邑基)를 방해한다 하여 이루어진 남문 폐쇄 등은 그 대표적인 조치의 일환으로 이해된다. 넷째, 월계천의 영향으로부터 읍성 또는 읍내 시가구역을 보호하기 위하여 일찍부터 성안물길을 설치하여 물길을 분지시키거나 연못(池)을 조성하는 등 인공 배수시설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특히 홍주성의 축성방식과 관련하여 수해로부터 성벽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가 이루어졌다. 고려시대 토성과 일체화된 조선시대 석성 구조, 조선 후기 북문지 일대의 퇴축 성벽, 서벽과 동벽에서 보이는 외벽과 내벽 사이의 석렬이나 와편층을 활용한 성벽 축조방식은 그 대표적인 방법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water system on the location, spatia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Hongju-eupseong, centering on Hongjumok-eupchi.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water system in Hongjumok-eupchi is composed of artificially constructed Seong-an Runnel and ponds based on a branch-shaped natural waterways flowing from south to north and west to east. Compiling the results of various literature records, excavations and analysis of map data, it can be seen that the water system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construction of Hongju-seong. Firstly, Hongju-seong from the Goryeo Dynasty to the late Joseon Dynasty is located using a circular shape of topographical structure and a small erosion basin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Hongseongcheon and Wolgyecheon streams without significant change in location. In particular, Wolgyecheon and Hongseongcheon are natural moats, which are harmonized with Sohyangcheon and riverside topographical structures, affecting the loc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of Hongju-seong, water related facilities, and the spatial structure of eupseong. It is understood that location characteristic of Hongju-seong reflects the urban location structure harmonized with waterways in ancient China and Korea. Secondly in harmony with the water system and topographic structure of Hongju-seong, it is an important factor in deciding the land use of the town, the arrangement of the town hall facilities and inducing various non-subsidiary measure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embankment forest with a secret function and the closure of the south gate. In addition, artificial drainage facilities such as Seongan runnel and ponds are being actively introduced from early on to protect the walls or towns from flooding of Wolgyecheon. Especially there were typical methods for protecting the walls from water damage such as the Joseon Dynasty stone castle structure that was integrated with saturn(soil wall) in the Goryeo Dynasty, retreating wall in the northern gate area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method of constructing wall using korean tile and stone floors between reinforced soil layers in the western and northern wall.

      • KCI등재

        동학농민혁명 희생자와 홍주의사총 관계 연구

        성주현 동학학회 2020 동학학보 Vol.0 No.57

        본고는 동학농민혁명 당시 희생자 현황과 홍주의사총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성리학 이데올로기의 조선 정부에서는 동학농민혁명은 탄압의 대상이었다. 초기 고부기포 당시에는 주도세력은 엄격한 처벌, 일반 참여자는 효유의 대상이었지만, 무장기포 이후에는 토벌의 강경 대응으로 전환되었다. 더욱이 일본의 출병으로 지휘권을 확보한 일본군은 동학농민군을 ‘토벌’의 대상으로 인식됨에 따라 동학농민군의 희생은 크게 늘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전개되었다. 이에 따라 동학농민군을 진압하기 위해 파병된 일본군을 ‘토벌대’라 불렸다. 당시 동학농민군의 희생자에 대한 현황은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밝혀진 바가 없다. 다만 천도교단과 관련된 연구에 의하면 20만 또는 30, 40만 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동학농민혁명과 홍주의사총의 관계는 동학농민혁명과 병오의병 당시의 홍주성 전투의 종합적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첫째 참가 인원수는 동학농민군은 최대 6만 명에서 최소 7천 명이었으며, 의병은 최대 5천 명에서 최소 2백 명, 둘째 희생당한 인원수는 동학농민군은 최소 2백 명이며(홍주성에 압송되어 효수당한 동학농민군 제외) 최대 수천 명 내지 3만 명, 의병은 최소 83명이며 최대 1천여 명, 셋째 전투현장은 동학농민군은 서문과 동문, 그리고 북문을 중심으로 홍주성을 공략하였으며, 의병은 홍주성 안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방어적인 전투를 전개하였다. 그리고 시신 수습 과정에서 동학농민군 시신을 수습한다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의병은 선유사로 파견된 윤시영 홍주군수에 의해 대부분 연고자가 찾아갔으며, 시친자(屍親者)가 없는 경우만 매장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홍주의사총에 묻혀있는 유해는 1906년 의병이기보다는 1894년 홍주성 전투에서 희생당한 동학농민군의 희생자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ctims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the Hongju Righteous Army Tomb. In the Joseon government of Neo-Confucian ideology,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as subject to oppression. At the time of the initial Gobu-Uprising the leadership was subject to strict punishment and general participants were subject to filial piety, but after Moojang-Uprising it was converted into a hard-line response from the punitive force. Furthermore, as the Japanese military, which secured the command due to the dispatch of Japan, was recognized as a target of “punitive” the sacrifice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were inevitably increased. As a result, Japanese troops dispatched to suppress Donghak Peasant were called “a punitive force”. At that time, the current status of the victims of Donghak Peasant Army has not been revealed so far. However, according to a study related to Cheondogyo, it is estimated that there are 200,000 or 300,000 or 400,000 peop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the Hongju Peasant’s Association was examined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Battle of Hongju Castle during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the Righteous army. The first number of participants was up to 60,000 to at least 7,000 in Donghak Peasant Army, up to 5,000 to 200 in righteous army, The second victim was at least 200 Donghak Peasants’ Army (excluding Donghak Peasants Army who were sent to Hongju Castle to be executed), up to thousands to 30,000, at least 82 righteous army soldiers, and up to 1,000 people. At the third battle site, Donghak Peasant Army attacked Hongju Castle, focusing on the west gate, east gate, and north gate, while righteous army fought the Japanese army in Hongju Castle. And it was impossible to recover the body of the Donghak Peasants Army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body. But most of the righteous army ointment was recovered by Hongju County Governor Yoon Si-young, and was buried the People who have nothing to do with the dead. From this point of view, the remains buried in the Hongju Temple were not righteous soldiers in 1906, but rather victims of Donghak Peasant Army who were killed in the 1894 Battle of Hongju Castle.

      • 발굴조사를 통해 본 홍주읍성 북문지 주변 성곽의 구성

        정제원(Jung Jewon),이창호(Lee Changho)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18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24 No.1

        홍성 홍주읍성 북문지 및 주변성곽에 대한 발굴조사는 6차례의 시·발굴조사를 통해 체성 및 옹성의 현황 및 평면구조, 출입시설(문지)등을 확인하였다. 특히 체성부 내측에서 약 250cm 너비의 2열의 석렬이 체성부와 평행하게 전개되고 있고, 토층 역시 기저부 석렬의 중간에 맞추어져 분기되고 있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기존에 고려 시대 토성의 토축부를 굴착하여 조선시대에 석축성으로 수.개축되었음을 알려주는 좋은 사례로 판단된다. 홍주읍성 북문지 주변성곽의 양상을 살펴보면 첫 번째 기저부 석렬 내측으로는 와적열이 체성과 평행하게 조성되어 있는데 이는 토루 내측 와적 지정과 우수의 맹수구 기능을 겸비했던 시설로 추정되며, 고려시대 기단 석축형 판축토성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고려시대 치성으로 판단된다. 두 번째 퇴축성벽이 확인된 부분은 초축성벽의 지대석 및 기단석이 다른 지점에 비하여 심하게 이탈되어 있으며, 이러한 부분은 약 35m정도 확인되었다. 홍주읍성 내 잔존하는 치의 규모와 유사함을 확인 할 수 있다. 세 번째 문지 및 옹성이 위치히는 조사지점 중앙부는 최근까지도 도로로 이용하고 있었으며, 수도관, 광케이블 등이 매설되면서 상당 부분 교란이 진행되었다. 네 번째 출입시설(문지)은 육축 하부에 윗면을 편평하게 다듬은 지대석이 경계에서 확인되고 있으며, 북문 출입시설의 바닥은 너비 4.79m, 길이 5.36m 정도 범위에서 크기 50cm이내의 박석이 바닥에 깔린 상태로 남아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출입시설에 인접한 육축부에서는 체성의 축성이 협축식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채움석의 너비 역시 5.36m정도로 확장되는 양상을 확인 할 수 있다. 문지 중앙을 기준으로 채움석이 확장되는 동-서 폭은 약12m로 개구부의 너비가 평거식 및 홍예식으로 조성되기에 넓은 편이며, 문구부 내측에 수평조성 된 지대석이 확인되지 않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문지의 구성양상은 개거식으로 추정된다.

      • 흥추읍성 성문유적 현황과 북문지 정비·복원방향

        김회정(Kim Hoejung)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18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24 No.1

        본 논문은 기존의 기록자료와 발굴조사 결과를 접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주목해볼 만한 일이라고 할 수는 있겠으나 결정적인 문지의 유구가 교란되어 기대했던 구체적인 결과를 도출하는데 한계가 있었다는 점에서 분명한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특히 북문지 발굴조사 결과가 남문발굴조사 결과에 준하는 만큼만이라도 확인되었다면 하는 아쉬움이 가장 크게 남는다. 그런 관점에서 이번 연구에서 다루지는 하였지만 아직까지 가능성이 조금 남아 있다고 할 수 있다. 바로 도시 공동구 설치공사와 관련된 자료에 대한 추가조사이다. 공사당시 촬영된 현장사진을 확보하여 분석하여 보거나 현장의 공동구를 이전 또는 제거하여 하부를 조사하는 추가발굴도 최후의 수단으로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번 북문지 복원안의 검토와 함께 동일선상에서 지속적으로 홍주읍성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문화재의 복원과 정비가 현재 이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과 충분한 소통을 통해 이뤄질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문화재관리분야 계획수립가로서 특정문화재의 정비계획수립은 역사성의 온전한 보존을 전제로 시의성이 반영되어야 하는 균형잡기가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생각한다. 당해 문화재와 직접적인 이해관계에 있는 지역주민의 의견수렴은 물론 공공재로서 공식적인 관리주체인 지방자치단체의 입장도 고려해야하며, 계획당시의 정책적, 재정적 여건 등 따져보고 결정해야할 것들이 무척 많이 있다. 특히 당해 문화재가 도심에 위치할 경우 지방 중소 도시로서의 도시재생문제와도 연결되어 있어 더욱 복잡하고 난해하다. 시의성이 반영되고 지속적인 변화를 예측하여 그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적절한 주기로 계획을 조정하여 대안을 마련해 나가는 것이 가장 필요한 사항이다. 홍주읍성의 경우 현재의 진행방향과 속도의 관성을 고려하여 성벽의 복원을 통해 먼저 구체적인 공간을 확보하고, 향후에 내부 공해시설에 대해서도 충분한 고민을 통해 정비하여 지역주민과 문화재가 상생하는 지역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印花文土器의 發生과 系譜에 대한 試論

        山本孝文 영남고고학회 2007 嶺南考古學 Vol.- No.41

        In this paper, Silla pottery was divided into four assemblage stages as the premise of the consideration, and it was stated that the appearance of the stamp figured pottery period which can be said the biggest change from the various angles. At first, the various situations that a change of pottery assemblage has happened were confirmed, and was surveyed what kind of possibility could be assumed in case of Silla. A series of change happens in Silla such as the spread of a earthen base mounted bowl, consolidation of the design kind and efficiency of a decorating technique. The various genealogy relations were assumed, that an appearance and the spread of a base mounted bowl were affected by the internal development which start with imitation of a bronze bowl made in Koguryo and the chinaware made in China, and that an appearance of a stamp figure was affected by the decorating technique of chinaware made in China and by original development from the first term pottery assemblage stage in Silla. In particular, Chinese Hong zhou kiln(洪州窯) chinaware with a similar element with Silla pottery was introduced when considering of influence of chinaware made in China, and considered about a presence on its relation. Though a clear conclusion wasn't shown in this essay indicated opportunity of an appearance and a hypothesis of the genealogy, it was pointed out which the fixed relation between the stamp figure and the base mounted bowl would been turning point, a relation with China can't be ignored from a historical background, and a Chinese earthen ware in this time was spread, and new pottery assemblage was formed. 본고에서는 검토의 전제로서 신라토기를 크게 4개의 樣式段階로 구분하고 그 중 가장 큰 변용기라고 할 수 있는 인화문토기 출현기의 상황을 다양한 각도에서 試論的으로 서술하였다. 우선 토기양식의 변화가 일어나는 여러 상황을 확인하고 신라의 경우 어떤 가능성을 상정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신라에서는 인화문토기 출현기에 대부완의 보급, 문양 종류의 집약화, 시문기법의 효율화 등 일련의 변화가 일어난다. 이 중 대부완의 출현과 보급에는 고구려제 청동완의 모방에서 시작된 내부적인 발전과 중국 도자기의 영향을, 인화문의 등장에는 전기양식 단계부터 이어지는 신라의 토기 장식 관념의 독자적 발전과 중국 도자기에 보이는 인화문 및 시문기법의 영향이라는 다양한 계보관계를 상정하였다. 특히 중국 도자기의 영향을 고려하는 데 있어서는 유사한 요소를 가지는 도자기를 생산한 중국 洪州窯 제품을 소개하고 그 有關性 여부를 검토하였다. 인화문토기 출현의 계기와 계보를 가설적으로 제기한 본고에서는 명확한 결론의 제시는 하지 않았으나, 인화문과 대부완의 결합이 일정한 획기가 된 점, 역사적 배경으로 볼 때 중국과의 관계를 도외시할 수 없다는 점, 이 시기 중국의 기물이 樣式傳播되고 새로운 토기양식이 성립된 점 등을 지적하였다.

      • KCI우수등재

        일제시대 洪州邑城의 土地利用 변화에 관한 연구 : 筆地體系및 所有權變化를 중심으로 Focused on Change of Lots System and Ownership

        최상식,한삼건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19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nge of Land Use Pattern of Hongju Eup-sung, where physical factors of the Eup-sung and stigma of Japanese imperialism still remains, through research on change of the lots system and ownership. In the way of dividing of time into four periods(The period of land assessment, 1925, 1933 and 1945) restoring the cadastral maps corresponding to each time and on the basis of the land register records tracing and comparing division of land, change of land classification, connection of ownership, this paper analyzed the process of urbanization of Hongju Eup-sung.

      • KCI등재

        읍성도시 유형별 도시발전 방안 연구 : 진주성?홍주읍성?나주읍성을 중심으로

        이재희(Lee, Jae-Hee),안정근(Ahn, Jung-Geun),정현수(Jung, Hyun-Su) 한국주거환경학회 2015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3 No.2

        Urban decline in Castle towns was generated according to all sorts of regulation in land use, but this phenomenon allows traditional urban features to preserve due to the regulation of land use.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a lot of efforts for tourist resources by restoring the parts of destroyed Eupseongs. In addition, Eupseongs are precious asset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future cities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city identity. Therefore, to suggest desirable development plans, the analysis on castle towns is required in terms of the unique history, culture, tradition, and arts of castle towns.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fferentiated development plans of castle towns, which have performed a central role of the region for a long period of time by classifying types of castle cities with regard to the urban planning and systems, business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and development project around Eupseongs. According to the fortress of physical preservation forms, castle cities are classified into eupseongs, close to the original form, Eupesongs, whose parts are remaining, and Eupseongs, whose sites are only preserved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fortress. This study set target areas; Jinju-Fortress, Hongju-Eupseong and Naju-Eupseong, which represent each type, and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s targeting relevant local residents and experts. First of all, the need for urban development plans according to the types of castle towns was verified through the cross analysis, and second, the variables of major effect were drawn throug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ppointed management would be required for the castle cities, where fortress, which is close to the original form, is still remaining as the urban centers of the self-sufficient historic city on the premise of the preservation of castle cities. Second, the factors of sustainable population influx should be excavated through the cultural industry or the oper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in relation to the historic culture in castle cities, where some parts of the fortress are remaining. Third, in view of the structure of existing urban space, the restoration project of Eupseong is needed in castle cities, whose sites are only preserved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fortress.

      • KCI등재

        천주교 성지에 가려진 내포지방 민중사

        김학로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4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30 No.2

        조선은 1876년 개항 이후 천주교에 대해 종교적 자유를 보장하였다. 이제 어떤 차별과 탄압 없이 천주교를 믿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이후 천주교는 한국 사회 주요 종교가 되었다. 최근 천주교는 초기 천주교인의 희생을 기리고 성역화하려 노력하고 있다. 천주교 박해 과정에서 희생된 사건을 부각하고 희생된 인물을 찾아 성인으로 추대하여 성역화 하려는 것이다. 하지만 이로 인한 사회적 갈등이 심화되는 문제는 피할 수 없다. 충남 서북부의 내포지방은 천주교의 성역화 사업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는 대표적인 지역이다. 내포지방은 외래 문물과 사상에 개방적이어서 역사적으로 불교를 비롯한 각종 사상과 종교의 진입로가 되었다. 천주교 역시 예외가 아니어서 내포지방을 중심으로 정착한 이후 크게 확산되었다. 이에 따라 내포지방 곳곳에는 천주교가 주목하여 성지로 삼으려는 역사 유적이 산재해 있다. 천주교 입장에서는 정착 초기 천주교에 대한 박해로 인해 종교적 자유를 위해 희생된 죽음을 추도하고자 해서 이를 성역화하려 한다. 하지만 성역화하려는 곳이 역사적으로 다른 사건과 인물의 흔적이 더 크고 진하게 남아 있다는 사실 또한 인정해야 한다. 이를 통해 사회적, 문화적, 종교적 갈등을 해소하고 공존과 공영의 길로 나가야 하기 때문이다. 이 글은 천주교가 성역화하려는 내포지방의 역사 유적이 천주교만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곳이 아니라 다양한 사건과 인물이 역사 공간에서 함께 했었던 사실을 밝히려 한다. 구체적인 사례가 홍주읍성, 해미읍성, 합덕성당, 충청수영성이다. 이곳은 천주교만의 역사만 있었던 것이 아니라 비슷한 시기 동학농민혁명과 의병운동 과정에서 수많은 인물이 희생되었던 곳이다. Following the opening of its ports in 1876, the Joseon Dynasty officially granted religious freedom to Catholics, allowing Catholicism to be practiced without discrimination or persecution. Since this pivotal moment, Catholicism has emerged as a significant religion within Korean society.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focused effort within the Catholic Church to commemorate the sacrifices of early Catholics and to elevate these martyrs to sainthood. This initiative seeks to highlight the incidents of persecution faced by early Catholics and to canonize those who were martyred. However, this endeavor has also led to inevitable social conflicts. The Naepo region, located in the northwestern part of South Chungcheong Province, serves as a notable example of the tensions arising from the Catholic Church's sanctuary project. Historically, Naepo has been a region receptive to foreign cultures and ideas, functioning as an entry point for various religions, including Buddhism. Catholicism, which spread significantly after its introduction to the region, is no exception. As a result, numerous historical sites throughout Naepo have drawn the attention of the Catholic Church, which aims to consecrate these sites as holy places. From the Catholic perspective, these sites are envisioned as sanctuaries intended to commemorate those who sacrificed their lives for religious freedom during the early days of Catholicism in the region. However, it is crucial to acknowledge that these locations bear a broader historical significance, encompassing events and figures beyond the Catholic narrative. The challenge lies in addressing the social, cultural, and religious conflicts that arise from this project and in fostering coexistence and mutual prosperity. This paper aims to demonstrate that the historical sites in Naepo, which the Catholic Church seeks to sanctify, are not exclusively linked to Catholic history. Rather, they are spaces that have witnessed a diverse array of events and people. For instance, locations such as Hongju-eupseong, Haemi-eupseong, Hapdeok Cathedral, and Chungcheong Suyeongseong are not only significant in the context of Catholicism but also as sites where many were sacrificed during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the Unknown Righteous Army Soldier Movement, both of which occurred during a similar period. These examples underscore the complex and multilayered history of the Naepo region, a history that must be considered in any efforts to designate these sites as sanctua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