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홍성지역(洪城地域)의 고대사회(古代社會) -지배세력(支配勢力)의 성장(成長)과 변화(變化)를 중심으로-

        양기석 ( Gi Seok Yang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2 백제문화 Vol.1 No.47

        이 논문은 홍성지역이 지역세력으로서의 모습을 갖추기 시작하는 청동기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과정을 거쳐 성장 발전하였으며, 이에 따라 홍성지역을 지배해 간 주도세력들의 변화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홍성지역의 지배세력은 지석묘 사회 마지막 단계에 본격적인 농경생활을 기반으로 형성된 각 지역의 수장층에서 기원한 것으로 보았다. 홍성지역에 지역세력이 성장하게 된 계기는 진국(辰國)에 이어 등장한 마한소국이 탄생하면서부터였다. 이때 홍성지역은 4개의 세력권역으로 설정될 수 있는데, 결성지역 장곡지역 갈산지역 홍성읍지역으로 구분된다. 그 중 결성지역과 장곡지역의 지배세력이 내륙교통과 해상활동을 통해 홍성지역을 주도적으로 영도해 나간것으로 보았다. 백제가 홍성지역에 진출한 시기는 4세기 중반 경으로 보인다. 백제는 서산의 부장리 세력과 홍성의 신금성세력을 통해 태안반도와 홍성 지역에 대한 간접지배방식을 관철하여 이 지역에 대한 해상 지배권과 교역망을확보해 나간 것으로 보았다. 백제가 이처럼 태안반도와 신금성 지역을 중시한 배경은 중국-백제-왜에 연결되는 해상교역권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또한 해안루트를 통한 금강유역과 영산강유역 지배를 관철시키기 위해중간 해상기지의 건설이 필요했던 것이었다. 백제가 멸망하고 부흥운동을 일으킬 때 홍성에 인접한 북부 예산 대흥의 임존성(任存城)이 그 중심지로 부각되었다. 임존성은 부흥운동 초기의 중심지였고, 그 중심적인 활동을 한 사람은 서방령을 역임한 왕족 복신(福信)이었고 흑치상지(黑齒常之)는 그의 지휘하에 부흥운동에 참여한 지도급 인물이었다. 부흥군이 임존성에 웅거한 이유는 첫째 당시 부흥군의 주동 인물인 복신이 서방령(西方領)을 역임하였다는 점, 둘째 임존성이 교통상 관방상의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는 점, 홍성지역이 무기를 만드는데 필요한 전략물자인 철자원과 철기 생산이 가능한 지역이라는 점을 요인으로 들었다. 통일신라시대에 들어와 홍성지역은 행정구역이 개편되었으나, 그 중심세력은 여전히 결성지역의 신금성세력이었다. 통일신라시대 새로운 항로 개척과 항해술 발달에 따른 해상무역의 발달을 그 요인으로 보았다. 그러나 후삼국시대에 들어와 태안반도와 홍성지역의 호족세력들 간에는 세력변화가 나타났다. 그 중 대표적인세력이 결성의 신금성세력, 홍성읍의 긍준세력, 당진 면천의 박술희세력이었다. 그 중 신금성세력은 쇠퇴하고해상교역과 농경 생산의 증대를 배경으로 성장한 박술희세력과 긍준세력이 두각을 나타냈다. 이들은 고려 왕건세력과 관계를 맺고 중앙정부에 진출하였으며, 고려 왕실과 통혼관계를 맺고 뚜렷한 세력기반을 형성하였다. 이런 배경으로 홍성읍의 긍준세력은 차후 홍성지역뿐 아니라 내포지방의 중심세력으로 성장하였음을 밝혔다. This study examines how Hongseong area which began to take shape as the regional power in the bronze period, grew and developed from that bronze period to the Unified Shilla period and identifies what changes the ruling classes underwent through times. The main results of examin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ruling class of Hongseong area seems to have originated from the previous ruling classes formed during the full-fledged agrarian society at the last stage of dolmen society. The birth of small countries of Mahan replacing Jinkuk made Hongseong area a regional power. At that time, Hongseong area was composed of four sub-areas such as Gyulsung, Janggok, Galsan, and Hongseongeup. Among them, the ruling classes of Gyulsung and Janggok seem to have led the Hongseong area through inland and sea trading activities. It seems to be in the middle of fourth century that the Baekje expanded its influence to Hongseong area. Baekje ruled indirectly Taean peninsula and Hongseong area by controling Bujangli group of Seosan and Shingeumseung group of Hongseong. Especially, Baekje seems to have acquired the control over sea trading and trading network within this area. When Baekje started revival movement after its collapse, Imzon Castle of Daeheung in the North Yesan near Hongseong became the center. Imzon Castle was the center of early revival movement. The main personalities of that movement were Bokshin and Heukchisangji. The former was a member of royal family having served the position of Seobangreong and the latter was a member of ruling class participating this movement under Bokshin. In the Unified Shilla, Hongseong area underwent the change in the level of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the ruling class was Shingeumseung group who grew through sea trading. However, in the Post-Three Kingdom period, there was a change in the ruling classes in the Taean Peninsular and Hongseong area. Shingeumseung group faded and Parksulhee group of Dangjin Myuncheon who grew based on sea trading and agricultural production expansion and Geungjun group of Hongseongeup standed out. They made relations with Wanggeon group of Koryo and advanced into central government. They also formed the power base by entering into matrimony with royal families of Koryo.

      • KCI등재

        백제부흥운동기 홍성에 대한 연구

        김영관 ( Young Kwan Kim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2 백제문화 Vol.1 No.47

        이 글은 백제부흥운동기 홍성지방의 역사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아직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홍성지역 고대사 이해의 실마리를 찾기 위한 것이다. 홍주읍성을 주류성이라고 한 『대동지지(大東地志)』의 기록과 홍성과 그 주변의 유적을 통해 백제멸망과 부흥운동을 즈음한 시기 홍성의 역사적 위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홍성지방은『대동지지(大東地志)』에 백제부흥운동의 최대거점이었던 주류성(周留城)이었다는 기록이 나올 정도로 백제부흥운동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홍성이바로 주류성은 아니었다. 홍성은 백제부흥운동의 마지막 거점 임존성(任存城)의 배후지로서 역할을 한 곳이었다. 홍성은 백제의 지방거점 중의 하나인 서방성이 있던 곳으로 백제 서북부지역의 정치, 군사적 요충지였다. 홍성과 그 주변지역은 넓은 평야지대로 농업생산에 유리한 지역이었고, 서해바다의 풍부한 해산물들은 이곳을 경제적으로 풍요롭게 만들었다. 이러한 조건들은 홍성지역이 임존성의 부흥군이 오래도록 활동할 수 있는 든든한 물적 토대가 되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또한, 바다를 통해 어디로든 연결되는 교통요지이자 물산 교역의중심지로서 다른 지역의 부흥운동 거점들과 쉽게 연락할 수 있었고, 부흥운동을 후원하던 고구려, 왜 등과도 연계하기 편리한 곳이었다. 이처럼 홍성은 백제의 정치, 군사, 경제, 교통의 중심지였다. 홍성은 부흥운동이 끝난 뒤에 웅진도독부 소속 7주 중의 하나인 지심주가 설치되었다. 여기서 활약한 백제인으로 난씨(難氏)가 확인된다. 중국에서 발견된 백제유민 난원경(難元慶) 묘지명(墓誌銘)에는 난원경(難元慶)의 조부(祖父)인 난한(難汗)과 부친(父親)인 난무(難武)가 각기 웅진도독부의 장사(長史)와 지심주제군사(支沈州諸軍事) 및 자사(刺史)로 활동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 보아 홍성은 백제 난씨(難氏)의 근거지였을 가능성이 있다.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relatively unexplored ancient history of Hongseong County(洪城郡) in North West Chungnam province, Korea,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history of Hongseong during the Baekje Restoration Movement. Using historical remains in Hongseong area and a geographical text called Daedongjiji(大東地志, Gazetteer of the Great Eastern State) that was compiled by Kim Jeongho in 1860 and recounts the local history of Hongseong and its environs, I argued that Hongseong was a center of the Baekje Restoration Movement following the collapse of the kingdom in 660 CE. According to this text Hongju Town Fortress in Hongseong should be identified with Juryu Fortress(周留城), the largest stronghold of the Movement. However, I suggest that Hongseong was not Juryu Fortress but rather a hinterland of Imjon Fortress(任存城), which was the last foothold of the Movement Hongseong, was the location of Seobang Fortress(西方城), a strategically important location in Northwestern Baekje. Because the Hongseong area was a wide plain and was located a short distance from the West Sea, it benefited economically from both agriculture and the harvesting of sea food. In addition Hongseong was a transportation hub that linked maritime and overland routes to allies Goguryo and Woe (Japan), which supported the Movement. Thus Hongseong was an important center of economic, military, and government activity in Baekje. After the movement ended, Jishim Province(支沈州), one of Seven Provinces belonged to Area Command of Ungjin, was established in Hongseong county and this became home to the Nan clan(難氏) from Baekje. An inscription excavated in Louyang, China about 20 years ago sheds light on the importance of the Baekje Nan clan in Hongseong county, The Epitaph of Nan Wongyeong(難元慶), an immigrant to China, notes that his grandfather Nan Han(難汗) and father Nan Mu(難武) both served as Chief Aide Administrator(長史), Military Commander of Jishim Province(支沈州諸軍事) and Prefect(刺史) of the region lending further weight to the argument that Hongseong was an important center of the Baekje Nan clan.

      • KCI등재

        홍성 지역의 명인 명창과 중고제 판소리의 변모

        최혜진 동아시아고대학회 2020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7

        본 연구는 홍성지역의 판소리 관련 명인, 명창들을 살펴보면서 초기 판소리사의 흐름이 어떻게 변모되고 있는지를 살핀 것이다. 판소리 최초의 광대였던 최선달 (최예운)이 홍성에서 태어나 여생을 마쳤으며, 그 뒤를 이어 중고제의 비조 김성옥 과 그의 가문 사람 즉 김정근-김창룡-김시준 등이 홍성에 본적을 두고 기거, 활동 하였다. 특히 19세기 전반 전기 팔명창 중의 한 사람이었던 정춘풍은 중고제의 또 다른 유파를 생성했던 양반광대로 고창의 신재효와 버금가는 이론과 실력을 자랑 했다. 그의 제자 유공렬이 바로 홍성을 고향으로 두고 은거하였다. 조선 근대 판소 리 명창들의 북반주를 도맡으면서 자신의 춤을 집대성하여 조선전통춤의 아버지 가 된 한성준 역시 홍성에서 태어나 홍성에 묻혀있다. 이들 최예운, 정춘풍과 유공렬, 김창룡 가문, 한성준은 판소리사에서 너무도 중 요한 위상을 가지고 있는 인물들이며, 판소리의 탄생과 발전을 주도해온 인물들이 라 할 수 있다. 중고제에 대한 연구 및 자료는 아직도 발굴 단계에 있고, 18세기에 서 19세기에 이르는 판소리 정립 시기에 대해 많은 부분이 밝혀지지 않았다. 분명한 것은 초창기 판소리가 양반 중심의 문화로 충청,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발달하 기 시작하였으며, 고졸한 정가풍의 판소리가 점차 다양한 음악 예술을 흡수하면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변모를 거듭하였다는 것이다. 현대의 판소리적 정체성은 비교적 근대 1900년대 이후 지역의 명창들이 서울에서 모이고, 남도의 문화를 전폭적으로 흡수하며 이루어진 일이다. 따라서 현재의 판소 리 문화는 남도지역 그것도 전라도 지역에 편향되고 축소되어 있는 것이라 할 수 있 다. 판소리가 가진 상하층을 넘나드는 국민적인 예술성을 가지게 되기까지의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판소리의 생성 경로를 끊임없이 묻고 따져야 한다. 그 시작에 중고제가 있는 것이고, 그러한 점에서 홍성은 매우 중요한 지역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famous Pansori-related masters and masters of the Hongseong area and examines how the trend of Pansori is changing. Choi Sun-dal, the first clown of Pansori, was born in Hongseong and completed his life. Subsequently, Kim Seong-ok and his family members, Kim Jung-geun, Kim Chang-ryong, and Kim Si-jun, who lived and worked in Hongseong. In particular, Chung Chun-pung, one of the first nineteenthcentury 8 master singers, was the Yangban Master singer. His disciple Yoo Gong-ryul retired Hongseong as his hometown. Han Seong-joon, who was the father of Joseon traditional dance by collecting his own dance while performing the northern accompaniment of modern Korean pansori masters, is also born in Hongseong and buried in Hongseong. Choi Ye-woon, Kim Chang-ryong family, Chung Chun-pung, Yu Gong-ryol and Han Sung-joon are the characters who have so important status in Pansori, and they have been leading the birth and development of Pansori. What is clear is that Pansori in the early days began to develop around Chungcheong and Gyeonggi area as a culture centered on upper class, and old school and Junggoje style Pansori gradually transformed into the modern age by absorbing various musical arts. The modern pansori identity was achieved after relatively modern 1900 years when local masters gathered in Seoul. Therefore, the current Pansori culture can be said to be biased and reduced in the southern provinces, as well as in the Jeonla province. In order to solve the question of pansori's national artistry, we must constantly ask and examine the path of the creation of pansori. There is Joonggoje-Pansori at the beginning, and Chungcheong-do is at the center.

      • KCI등재

        홍성군 농요의 음악적 특징 및 문화적 가치

        이성초(Lee, Sung-cho) 한국민요학회 2021 한국민요학 Vol.62 No.-

        본고에서는 홍성군 농요 중 논매기소리를 대상으로 악곡들을 일정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각 악곡별 분포양상 및 음악적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홍성군 농요의 문화적 가치를 생각해보았다. 홍성군에서 조사된 농요는 초벌매기소리, 두벌매기소리, 세벌매기소리, 장원질소리로 구분되며, 초벌매기소리에는 〈얼카덩어리〉, 〈밀가는소리〉, 두벌매기 소리에는 〈수양산계 산타령〉, 세벌매기 소리에는 〈잦은산타령〉, 〈얼카매뚜리〉, 〈술미소리〉, 장원질소리에는 〈장원질소리〉, 〈종헤소리〉, 〈오-소리〉등이 분포한다. 위 악곡들은 3소박 6박과 3소박 4박이 주를 이루고 불규칙 장단이 더러 나타나며, 음조직은 육자백이토리가 가장 많이 분포한다. 육자백이토리 외에는 메나리토리, 육자백이토리+메나리토리의 혼용, 변형 메나리토리, 경토리, 남부경토리 등이 다양하게 분포한다. 홍성군 농요 중 결성면의 농요는 문화재로 지정될 만큼 예술적 수준이 높은 악곡들로 타지역에서는 불리지 않는 독특한 동요들이 분포하여 동요로서의 문화적 가치가 풍부하다. 결성면을 제외한 홍성군의 동요들 또한 타 지역에 비해서 다양한 종류의 농요가 전승된다. 이렇듯 다양한 종류의 농요가 전승되는 점, 타 지역에서는 전승되지 않는 귀한 소리들이 전승되는 점, 이 소리들의 예술적 기량이 높은 점, 보존회를 조직하여 농요를 전승하기 위해 노력하는 점 등이 홍성군 농요의 문화적인 가치를 높여 준다. In this paper, rice-paddy Weeding songs of Hongseong-gun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certain criteria. The patterns apeared in the area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each piece were identified. And Based on this, I thought about the cultural value of Rice-paddy Weeding songs of Hongseong-gun. Rice-paddy Weeding songs of Hongseong-gun divided into Chobeolmagi-sori, Doobulmaegi-sori , sebulmaegi-sori, and Jangwonjil-sori. The above songs mainly consist of 3 sobak(The beats that make up the basic beat) 6 beats and 3 sobak 4 beats, and irregular rhythms appear occasionally. In the tone structure, Yukjabaekitori are the most distributed. Menaritori(mode in Eastern Region Folk Songs), a mixture of Yukjabaekitori(mode in southern Region Folk Songs) + Menaritor, Menaritori, Gyeongtori(mode in Gyeonggi Region Folk Songs), and Nambugyeongtori are diversely distributed. Among the rice-paddy Weeding songs of Hongseong-gun, the rice-paddy Weeding songs of Gyeolseong-myeon are of such high artistic level that they have been designated as cultural properties. Unique rice-paddy Weeding songs that are not sung in other regions are distributed, and cultural values are rich as rice-paddy Weeding songs.

      • KCI등재

        홍성담의 ‘그로테스크 리얼리즘,’ 그 불편함의 미학적 정당성

        최종철(Choi, Jong Chul) 현대미술학회 2016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20 No.2

        본 논문은 한국 민주화 운동의 상징적 인물이자 민중미술의 대표적 작가인 홍성담의 최근작들에 대한 미학적 분석을 목표로 한다. 본 논문의 분석 대상이 되는 홍성담의 최근작들이란 <세월오월>, <골든타임>, <김기종의 칼날>과 같이 최근 사회적 논란의 대상이 되는 그림들이다. 본 논문은 그러나 이러한 그림들이 근거하는 현실 정치의 혼탁한 배경보다, 홍성담의 예술세계를 관류하는 미학적(형식적) 토대에 집중하고자 하며, 이러한 토대를 러시아의 이론가 미하일 바흐친(Mikhail Bakhtin, 1895-1975)의 카니발 이론(carnivalesque)으로부터 정초하고 한다. 르네상스 시대의 소설가 프랑수와 라블레(Francois Rabelais, 1494-1553)에 관한 연구에서 시작된 바흐친의 ‘카니발 이론’은 도스토예프스키 소설의 미학적 근거를 설명하는 틀로 활용되면서 민중성에 근거하는 러시아 문예학의 한 전범이 된다. 바흐친은 특히 민중성의 근원을 중세와 초기 르네상스의 귀족적, 종교적 엄숙주의에 대항하는 민중적 의식(카니발)으로부터 찾고 있으며, 이는 또한 웃음과 조롱, 전복과 격하를 기본으로 하는 ‘그로테스크 리얼리즘’을 통해 실현된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홍성담의 예술세계가 바로 이러한 카니발적 세계관과 양식으로부터 유래하고 있음을 주장할 것이다. 즉, <세월오월>이나 <김기종의 칼날>, <골든타임> 등에서 드러나는 그로테스크한 이미지들과 생물학적 몸의 재현, 권위와 질서에 대한 조롱과 파괴, 그리고 무엇보다 축제에 참여하는 민중의 모습은 동시대의 정치적 현실에 대한 비판적 풍자 형식일 뿐만 아니라, 오랜 역사를 가진 보편적 민중서사의 일부이며, 이를 통해 현실은 카니발의 대화주의와 다성성(polyphony)의 세계 속에서 사유되고 이해된다. 그러나 홍성담의 카니발적 양식은 그것이 역사적 사태들에 직언하는 만큼, 바로 그 역사에 종속될 것인데, 이는 최근 그의 그림들이, 그리고 <민족해방운동사>와 같은 그의 전작들이 처했던 수난(그의 예술의 중요한 몫이기도 한) 속에서 분명해 진다. 요컨대, 홍성담의 근작들은 파국의 카니발을 현시하며 동시에 수난을 예기하는데, 이는 민중의식의 지난한 역사와 궤적을 함께하며 오늘날 민중미술이 처한 위기와 가능성을 동시에 보여준다. 본 논문은 정치적 논란에 의해 가려진 홍성담 예술의 미학적 배경을 재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홍성담의 그림들에 대한 이해는 정치적 판단이 아니라 미학적 판단, 그러나 결국 그림들의 정치적인 태도까지 포괄할 것인, 바로 그러한 미학적 판단의 대상이 되어야 함을 주장할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recent paintings by Hong Sung-Dam, an iconic figure of Korea’s democratic movement and a leading artist of the (Post) Minjung art. In particular, this paper will focus on Hong’s controversial works such as <Sewol Owol (2014)>, <Golden Time 2012>, or <Kim Ki-Jong’s Slashing (2015)> that have stirred fierce debates for the painting’s overlaid political cynicism and hateful depiction of current political leaders. Distanced from the transcendental, abstractive, and minimal currency of the 80s’ mainstream Korean art, Hong’ arts from the outset have always been charged with festivity, utopianism, satirical trope, and grotesque imageries, as a way of vivifying his political consciousness. Moreover, as we can see from his early woodcut prints and large banners, there is always a depiction of people fighting yet harmonizing, furious yet cheerful, wounded yet hopeful. This ambivalence unraveled in secular festivity finds its meaningful analogy to the theory of the carnivalesque/grotesque realism Mikhail Bakhtin articulated in his remarkable study on François Rabelais (Rabelais and His World , 1968). In this study, Bakhtin seeks to recover the revolutionary force of the Renaissance secular culture – the carnival: its laughter, mockeries, abjections, and grotesques, as a way of resisting the aristocratic and religious pressure of the ages. Bakhtin claims that Rablais’ use of grotesque images in 『Gargantua and Pantagruel』 results from this early tradition, and therein prefigures a shift in Russian literature from Tolstoian elitism to Dostoevsky"s polyphony, dialogism. Based on this analogy, this paper will attempt to find the aesthetic essence of Hong’s provocative paintings that are arguably grounded in Bakhtin’s grotesque realism. It is to argue that the destructive impulse in Hong’s art bears no actual political thereat; instead it unfolds a unique expression that constructs dystopia and utopia simultaneously, in order to create a dialogue between ideologies, between classes, between politics and aesthetics, as he envisioned in the ruined yet splendid streets of Gwangju long ago.

      • KCI등재

        3.1운동 공간의 기억과 기념 -홍성지역을 중심으로-

        박경목(Park, Kyung-mok)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1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

        이 논문은 홍성지역을 중심으로 3.1운동이 일어났던 공간의 기억 양상과 기념 형태를 살펴보고, 지속 가능한 기억과 기념의 과제를 도출한 것이다. 홍성에서는 1919년 3월 7일부터 4월 9일까지 34일간 9개 지역에서 19회의 만세운동이 일어났다. 그 현장은 시장, 마을 인근 산, 면사무소 앞 등 주민들의 생활터전이었다. 그날 그곳에 참여한 이들은 「범죄인명부」에서 295명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들 가운데 183명이 독립유공자로 서훈 받았다. 3.1운동의 기억이 아직 온전하지 않은 것이다. 홍성 3.1운동 공간의 기념은 기념비에 의존하고 있다. 199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전 시기에는 노인회 같은 지역 공동체에서 집단기억을 기념하기 위해서, 이후에는 개인에 의해 개인기억을 기념하기 위해서 기념비가 설치되었다. 사회적 기억과 기념의 지속 가능 여부는 지역 공동체의 마을 커뮤니티 유무와 직결된 것이었다. 이에 마을 커뮤니티 형성과 활용을 기억과 기념의 첫 번째 과제로 삼아 ‘금마면 가산리 3.1만세운동 연극’을 예시로 커뮤니티 형성을, 시장 상인연합회의 ‘시장 만세 할인 이벤트’를 예시로 커뮤니티 활용을 살펴보았다. 3.1운동이 마을 단위의 주민 공동체를 중심으로 일어났다는 점에 착안하여 마을과 시장 속 기념도 그에 충실하다면 지속 가능한 것임을 모색한 것이다. 두 번째 과제로 일상 속의 기념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마을 전시관’ 사업과 ‘시장길 만세 발자국’ 설치를 구상해 보았다. 전자는 마을 곳곳을 기억의 공간으로, 후자는 시장을 기념의 공간으로 재구성하는 방안이다. 기억의 확대·재생산을 위해 기념 방식의 다변화를 모색해 보았다. 계층별 기념 프로그램으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3.1운동의 현장을 체험학습의 장소로 활용하거나 사회과 교과목의 정규 과정으로 ‘홍성 3.1운동 현장 탐방’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와 연동하여 ‘홍성 3.1운동’을 주제선택 활동과 동아리 활동 분야의 수업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 성인을 대상으로 평생학습의 차원으로 접근하여 이론강좌와 현장 답사를 병행한 지역 특화 프로그램을 통해 수료자를 지역 3.1운동사 전문가로 양성할 수 있다. 지역 축제와 연계한 관광자원으로의 가능성도 모색해 보았다. ‘홍성역사인물축제’를 홍성 전역으로 확대하여 만세운동의 현장에서 재현, 체험, 연극 등 다양한 콘텐츠를 구성하고, ‘홍성남당항대하축제’와 연계하여 관광객을 대상으로 3.1운동 현장 방문 인증 이벤트를 제시해 보았다. 결국 3.1운동은 지역 공동체가 주도하는 일상 속 기억과 기념 방식의 다변화를 통해 지역사회에 지속 가능한 기억으로 기념될 수 있을 것이다. The current study discussed how the space of 3.1 Movement in 1919 is remembered and commemorated by us. The target area is Hongseong, Chungcheongnam-do. In Hongseong, there were 19 Manse Movements from March 7 to April 9 in 1919. It was very active. The space included everyday places, including markets, hills behind villages, and in front of district offices. The people of Hongseong have installed monuments to commemorate the 3.1 Movement since the 1970s. There are five monuments and one temple in Hongdong-myeon, Geumma-myeon, Gyeolseong-myeon, Janggok-myeon, and Guhang-myeon. These monuments are how the local people remember and commemorate the 3.1 Movement. However, there are no monuments at the 3.1 Movement space that were inside the places of everyday life, such as markets and villages. The villagers are in need of memorial events to remember the past. For the market, the most important space of the 3.1 Movement, I suggested arranging the marks such as small ‘stones’ along the route of Manse parade. Also, program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Manse movements of each village are suggested. The 3.1 Movement will be an ongoing history when the local people remember and commemorate that the space of everyday life used to be the space for the 3.1 Movement.

      • KCI우수등재

        원생대 이후 트라이아스기까지의 남한과 동북아시아의 지구조 진화

        오창환(Chang Whan Oh) 한국암석학회 2012 암석학회지 Vol.21 No.2

        최근 송림 조산운동시기인 트라이아스기에 홍성 지역의 에클로자이트와 경기육괴 내에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충돌 후 화성암이 형성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발견에 의해 1980년대 말에 확인된 남중국판과 북중국판의 충돌대인 트라이아스기 친링-다비-수루 충돌대가 한반도의 홍성 지역으로 연결된 후 양평 지역을 거쳐 오대산 지역으로 연결되는 모델이 제시되었다. 그 이후 충돌대는 일본 서남부의 고생대 섭입 복합체와 북한의 고생대 섭입 복합체인 연변대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다. 이럴 경우 경기육괴는 홍성-양평-오대산 충돌대를 경계로 나뉘어져야하며 충돌대 북부는 북중국판에 남부는 남중국판에 대비될 것이다. 남중국판과 북중국판의 충돌은 페름기에 한반도로부터 시작하여 중국 쪽으로 진행되었으며 트라이아스기 말에 충돌이 완료되었다. 다비-수루-홍성-양평-오대산 충돌대를 따라 동측에서 서측으로 변성조건이 체계적으로 변화한다. 가장 동측에 해당하는 오대산 지역에서는 245-230 Ma 초고온 변성작용이 한반도의 서측에 해당하는 홍성지역에서는 230Ma 고압변성작용이 그리고 중국의 수루, 다비 지역에서는 220Ma의 초고압 변성작용이 일어났다. 충돌대를 따라 나타나는 체계적인 변성조건의 변화는 충돌 전 섭입된 해양지각의 양이 동측에서 서측으로 증가하여 섭입하던 대륙판과 해양판의 분리되는 깊이가 동측에서 서측으로 점차 증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한반도 남부 영남육괴와 남중국판 남부에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페름기-트라이아스기 섭입 관련 화성암은 북중국판과 남중국판의 페름기-트라이아스기 충돌이 남중국판 남쪽 경계부에서의 섭입작용을 시작시켰을 가능성이 있음을 지시한다. 즉 한반도의 송림 조산운동 시기에는 경기육괴지역에서 대륙충돌이 일어나 한반도가 형성되었으며 동시에 대륙충돌에 의해 영남육괴 남측에 섭입대를 형성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홍성-양평-오대산 충돌대를 경계로 하여 경기육괴 북부와 남부는 모두 콜롬비아 초대륙 형성 후기인 1870-1840 Ma에 대륙충돌이나 섭입 작용에 의해 화성 및 변성작용을 강하게 받았다. 옥천 변성대는 중국 남중국판 내에 나타나는 760Ma 경에 형성된 난후아 열곡대에 대비될 수 있으며 그럴 경우 경기육괴 남부와 영남육괴는 각각 남중국판의 북부 양쯔판과 남부 커테시아판에 대비된다. 최근 경기육괴 변성퇴적암, 옥천변성대 등에서 광역적으로 발견되는 실루리아기-데본기의 쇄설성 저어콘은 경기육괴 내에 데본기 혹은 그 이후 고생대 시기의 퇴적암이 존재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홍성과 광천 지역에서 확인된 데본기의 변성작용과 함께 페름기-트라이아스기의 대륙충돌 이전인 고생대 중기에도 경기육괴에 활발한 지구조 운동이 일어났음을 지시한다. Recent studies reveal that eclogite formed in the Hongseong area and post collision igneous rocks occurred throughout the Gyeonggi Massif during the Triassic Songrim Orogeny. These new findings derive the tectonic model in which the Triassic Qinling-Dabie-Sulu collision belt between the North and South China blocks extends into the Hongseong-Yangpyeong-Odesan collision belt in Korea. The belt may be further extended into the late Paleozoic subduction complex in the Yanji belt in North Korea through the Paleozoic subduction complex in the inner part of SW Japan. The collision belt divides the Gyeonggi Massif into two parts; the northern and southern parts can be correlated to the North and South China blocks, respectively. The collision had started from Korea at ca. 250 Ma and propagated to China. The collision completed during late Triassic. The metamorphic conditions systematically change along the collision belt:. ultrahigh temperature metamorphism occurred in the Odesan area at 245-230Ma, highpressure metamorphism in the Hongseong area at 230 Ma and ultra high-pressure metamorphism in the Dabie and Sulu belts. This systematic change may be due to the increase in the depth of slab break-off towards west, which might be related to the increase of the amounts of subducted ocecnic slab towards west. The wide distribution of Permo-Triassic arc-related granitoids in the Yeongnam Massif an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South China block indicate the Permo-Triassic subduction along the southern boundary of the South China block which may be caused by the Permo-Triassic collision between the North and South China blocks. These studies suggest that the Songrim orogeny constructed the Korean Peninsula by continent collision and caused the subduction along the southern margin of the Yeongnam Massif. Both the northern and southern Gyeonggi Massifs had undergone 1870-1840 Ma igneous and metamorphic activities due to continent collision and subduction related to the amalgamation of Colombia Supercontinent. The Okcheon metamorphic belt can be correlated to the Nanhua rift formed at 760 Ma within the South China blocks. In that case, the southern Gyeonggi Massif and Yeongnam Massif can be correlated to the Yangtz and Cathaysia blocks in the South China block, respectively. Recently possible Devonian or late Paleozoic sediments are recognized within the Gyeonggi Massif by finding of Silurian and Devonian detrital zircons. Together with the Devonian metamorphism in the Hongseong and Kwangcheon areas, the possible middle Paleozoic sediments indicate an active tectonic activty within the Gyeonggi Massif during middle Paleozoic before the Permo-Triassic collision.

      • KCI등재후보

        李崇寧 선생의 ‘洪城方言’ 노트에 대하여

        송철의 한국방언학회 2009 방언학 Vol.0 No.9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Hongseong dialect(洪城方言) data collected by professor Sungnyong Lee(李崇寧) in 1950. This data amounts to 39pages of note- book(roughly estimated 1,500 words). The data is transcribed in Hangeul, but sometimes in phonetic symbols when it is impossible to transcribe in Hangeul. The selected items for investgation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items look like to follow Simpei Ogura(小倉進平 1944),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ose of Ogura and those of Lee. Lee collected part names or hyponyms of some items. So Lee's dialect data contains many Hongseong dialect words which are not found in Ogura(1944). Ogura(1944) contains only the dialect forms for each item. Lee occasionally presented declensional forms when it is necessary to expose stem final consonant. e.g. pat(field), pasi(pas +-isubject case marker), pasɨl (pas +-ɨlobject case maker), offered collocatio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some items, mentioned the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or between social groups, and explained the meaning of the special dialect words which are unknown to standard Korean, and so on. Viewed in those points mentioned above, this Hongseong dialect data is excelent one for that day and age in Korea. 이 글의 목적은 지금까지 그 존재가 알려지지 않았던 心岳 李崇寧 선생의 ‘洪城方言’ 자료 노트를 소개하려는 것이다. 이 방언 자료 노트는 1950년에 작성된 것으로 여겨지는데, 대학 노트 39페이지 분량의 홍성방언 자료를 담고 있다. 조사는 이숭녕 선생이 직접 한 것으로 보이며 조사한 자료를 재정리(淸書)한 것이다. 조사항목의 분류는 대체로 小倉進平(1944)를 따른 듯하나 약간의 차이가 없지는 않다. 조사항목도 小倉進平의 것을 참조한 듯하나 그대로 따르지는 않고 어떤 항목을 조사하다가 하위명칭이나 부분명칭이 있을 때에는 확대 심화시켜 조사하였다. 그리하여 다른 방언자료집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많은 홍성방언 단어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 방언 자료가 보여주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조사항목과 관련된 하위명칭이나 부분명칭이 있을 때에는 그것들을 제시하였다. 2) 각 단어의 음장을 충실하게 표시하였다. 3) 부분적이긴 하지만 체언의 어간말음이 무엇인가를 보여주기 위해서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와 결합된 곡용형을 제시하였다. 4) 이 방언의 악센트를 밝혀보려 시도하였다. 5) 조사항목과 관련된 連語 자료도 제시하였다. 6) 방언 내에서의 계층적 차이, 세대 차이 등을 언급하였다. 7) 이 지역 방언의 특이한 단어들에 대해서는 의미풀이를 제시하였다. 8) 많은 양은 아니나 형용사의 활용 패러다임을 효율적으로 제시하였다. 이 방언 자료가 이러한 특징을 가지게 된 것은 조사자가 높은 언어학적 및 국어학적 안목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 아닌가 여겨진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들의 대부분은 그 이전에, 즉 1950년 이전에 공표된 어떤 방언자료(집)에서도 볼 수 없었다는 점에서 이 방언 자료 노트는 한국어 방언학사에서 큰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닌가 여겨진다. 물론 당시까지의 가장 충실한 홍성방언 자료라는 점에서도 의의가 크다. 비록 미리 준비된 질문지에 따라서 조사항목 하나하나를 빈틈없이 조사한 것은 아닌 듯하다든가, 제보자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다든가 하는 등의 아쉬움이 없지는 않지만, 이 방언 자료 노트가 일찍이 공개되었더라면 방언조사의 한 典範이 되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 KCI등재

        소도시 재래시장의 공간분석 - 충남 홍성읍 재래시장을 중심으로 -

        한종구,박동소 한국농촌건축학회 2011 농촌건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Vol.13 No.4

        Activation of conventional market in small town is important in the reinvigoration of local economy as an economical center. The re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is closely related to the fosterage of conventional market. So the local government is trying to activate the market. However, the projects for the activation of conventional market are mostly centered on the modernization of facilities which is carried out at urban districts. Those facilities-centered plans, being carried out at urban district, lack the consideration of the peculiarities of rural districts and the regional conditions of the conventional market in small towns. And some projects for the modernization of facilities produce negative results. Especially the conventional market in small town shows a spatial structure of a five-day market and a market place and it was influenced by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permanent market and periodic market. So analyses on the spatial lay-out and form, store facilities, spatial distribution of types of business, spatial utilization on market place are needed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conventional market. In this context, the study analyzed systematically the space of an old and lagged Hongseong conventional market located in central district of a small town. An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use as a basic data to establish effective space improvement plan for conventional market in small town.

      • KCI등재

        홍성 단층대에서의 전기, 전자 탐사 연구

        권병두,이희순,박계순,오석훈,이춘기,Kwon, Byung-Doo,Lee, Heui-Soon,Park, Gye-Soon,Oh, Seok-Hoon,Lee, Choon-Ki 한국지구과학회 2003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4 No.4

        1978년에 규모 5.0의 지진이 발생한 홍성지역에 발달한 단층대의 전기, 전자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기, 전자 탐사는 최근 토목공사현장에서 단층대 및 파쇄대 등의 연약지반을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널리 쓰이고 있으며 이들 탐사로부터 얻어지는 전기비저항 구조는 연약대의 공간적 분포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홍성지역에 위치한 단층대를 가로질러 쌍극자배열 전기비저항탐사와 MT (Magnetotelluric) 탐사를 실시하였으며 역산을 통해 단층대의 전기비저항의 분포를 추정하였다. MT 탐사는 주단층대를 가로지르는 2.9 km의 측선상의 18측점에서 실시하였으며, 자기쌍극자를 인공 송신원으로 사용하였다 전기탐사는 단층대를 측선의 중앙으로 하여 전극간격이 50 m인 쌍극자배열전기비저항 탐사를 실시하였다. 두 탐사 결과는 예상단층선을 따라 좌우지역의 전기비저항이 서로 다른 양상으로 발달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예상단층선을 따라서는 뚜렷한 저비저항대가 깊게 발달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홍성지역의 단층대에서 낮은 전기비저항분포를 보이는 부분이 수직으로 잘 발달해 있다는 것은 최근에 두 차례의 지진이 발생한 것처럼 이 지역 단층이 활동 중인 단층이라는 사실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 성과는 앞으로 홍성단층 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지진들에 대한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라 기대된다. We have investigated the electric resistivity structure of the fault zone located in the Hongseong area where a big earthquake with M 5.0 occurred in 1978. Usually, Electric and Electromagnetic methods are broadly operated in the field of engineering works since these methods are effective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of geological weak zones - fault or fracture zones. We have conducted the dipole-dipole array resistivity method and MT(magnetotelluric) method and interpreted the resistivity distribution of the fault zone with the aid of various inversion methods. An MT survey was performed at 18 points along a 2.9 km survey line perpendicular to the fault line and a magnetic dipole source was used to enhance the S/N ratio in the high frequency. A Electric dipole-dipole array resistivity survey with the dipole length of 50 meters was carried out perpendicular to the fault. In view of two survey results, the fault marks the boundary between two opposite resistivity structures, especially the low resistivity zone is exhibited deeply through the prospective fault line. The result that the low resistivity zone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ault zone corresponds with the fact that the fault zone of the Hongseong area is active. We expect these result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physical properties of fault zone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