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논문 - 도봉 지역의 문화 인물 탐구> 벽초 홍명희의 창동 은둔시절

        강영주 ( Kang Young-zu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17 No.-

        벽초 홍명희는 육당 최남선ㆍ춘원 이광수와 함께 ‘조선 삼재(세 천재)’라 불리우며 신문학 창시자의 한 사람으로 간주되던 인물이다. 그는 식민지시기 최고의 역사소설 『임꺽정』을 쓴 작가이자, 신간회 창립을 주도한 저명한 민족운동가이다. 그런데 최남선과 이광수가 일제 말에 친일을 한 것과 달리, 홍명희는 ‘고절을 지킨 개결한 지사’라는 정평을 얻고 있었다. 이러한 홍명희의 인품과 삶의 자세가 가장 잘 드러나는 것은 일제 말 그의 창동 은둔시절이라 할 수 있다. 홍명희는 1939년 말 경기도 양주군 노해면 창동(현재의 서울 도봉구 창동)으로 이주하여 1945년 8ㆍ15 해방 때까지 은둔생활을 하였다. 창동시절 홍명희는 창씨개명을 하지 않은 것은 물론, 문필활동이나 강연 등으로 친일에 앞장설 것을 강요하는 일제 당국에 맞서 일체의 사회활동을 중단하고 칩거에 들어갔다. 해방 후 홍명희가 남달리 드높은 명망을 누리며 사회활동을 재개할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도 그가 일제 말 창동시절에 지독한 가난과 고독을 감내하며 일제에 대한 타협을 거부하고 끝까지 지조를 지켰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므로 홍명희를 역사의 망각으로부터 불러내어 ‘도봉구의 역사 인물’의 한 사람으로 기억하는 것은 매우 뜻깊은 일이라 생각된다. 일제 말 방학리(방학동)에서 은둔생활을 하며 『정음발달사』를 집필한 그의 장남 홍기문과, 같은 시기 방학리에서 태어나 후일 북에서 『황진이』를 쓴 유명한 작가로 성장한 그의 손자 홍석중도 홍명희와 함께 기억될 만한 인물이다. After surveying the life and literary works of Hong Myong-hee, this study closely examines his life and inner world during his days at Chang-dong in the final years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In addition, it briefly mentions his family, who shared his joys and sorrows during his Chang-dong years, including his eldest son Ki-mun, a renowned Koreanologist, and his grandson Sok-jung, who is active in North Korea as a writer. Hong is a figure who, together with Choe Nam-seon and Yi Gwang-su, was known as the "three geniuses of Korea" in the initial stage of modern Korean literature. Indeed, he was a writer, the author of Limkkokjong, the greatest historical novel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 renowned nationalist activist who led the founding of the organization Shinganhoe. However, while Choe and Yi treacherously collaborated with the Japanese authorities at the end of the colonial era, Hong was seen as an uncorrupt patriot who maintained his integrity and was considered to be a conscientious intellectual. As such, Hong’s character and attitude toward life were exemplified during his days of seclusion in Chang-dong at the end of the colonial period. He was able to resume public life and be respected after 1945 because he maintained his integrity to the end while enduring hardships in Chang-dong in the final years of Japanese rule.

      • KCI등재

        벽초 홍명희의 한시(漢詩)비평 -「역일시화(亦一詩話)」를 중심으로

        한영규 ( Young Gyu Han ) 반교어문학회 2014 泮橋語文硏究 Vol.0 No.36

        이 논문은 홍명희가 1936년 10월 『朝光』지에 발표한 「亦一詩話」를 분석하여, 그가 고려·조선의 한시에 대하여 어떤 비평적 관점을 지녔는지 탐색한 글이다. 그동안 홍명희에 대한 연구는 주로 『임꺽정』을 지은 근대 소설가라는 점에 치중되었다. 그러나 홍명희는 한시와 한문 문장의 창작에 능숙한 한문 지식인으로서의 면모도 지녔다. 실제 그는 20여 편의 한시를 발표하였고 「역일시화」「허난설헌의 시인 가치」등과 같은 역대 한시 비평문을 남겼다. 즉 홍명희는 전통적 한문지식인이면서 근대 소설가라는 두 가지 측면을 지닌 작가라고 할 수 있다. 「역일시화」를 분석한 결과, 세 가지 특징을 규명하였다. 첫째, 홍명희는 대상한시가 언급된 역대 문헌을 최대한 활용하여, 엄밀하게 실증하는 문헌비평 방식을 견지하였다. 여기에서 그가 전통적 한시를 근대적 학문 방법으로 비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홍명희가 주로 비평 대상으로 삼은 한시는 조광조·김인후 등 조선왕조에 절의를 지킨 인물들이었다. 즉 홍명희는 한시 창작자의 사의식(士意識)에 공감하고 이를 널리 알리려는 의도를 지녔다고 할 수 있다. 이 점은 「林巨正」의 반지성주의(反知性主義)와는 상반된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역일시화」의 비평 관점과 소설 「林巨正」의 서술 내용이 매우 긴밀한 연관을 갖는다는 점이다. 특히 조광조·최수성 등 기묘사화(己卯士禍) 관련부분은 두 작품에서 동일한 사료와 시각으로 서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Yeokilsihwa(亦一詩話)」that was presented by Hong, Myung Hee in October 1936 on _Jogwang(朝光)_ magazine to investigate the kinds of critical viewpoint he had on Chinese Poetry. Until now, researches on Hong, Myung Hee have been focused on the fact that he is a novelist of modern times who wrote _Imkeokjeong_. However, Hong, Myung Hee is also known as an intellect in Chinese who is proficient at creating Chinese poems and Chinese sentences. In fact, he published around 20 Chinese poems and left writted critism on Chinese poem as 「Yeokilsihwa(亦一詩話)」and 「Value of a Poet of Huhnanseolheon」. In other words, Hong, Myung Hee is a writer with two aspects of being a traditional intellect in Chinese and a modern novelist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of analyzing 「Yeokilsihwa(亦一詩話)」, three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First, Hong, Myung Hee made the best use of literatures of all time to stick to the literature criticism method that makes strict verification. Secondly, the Chinese poem that Hong, Myung Hee used as the subject of criticism were the characters who were loyal to the Joseon Dynasty as Cho, Kwang Jo and Kim, In Hoo. Thirdly, it was identified that the critical viewpoint of 「Yeokilsihwa(亦一詩話)」and content description of _Imkeokjeong_ are very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 KCI등재후보

        특집 : 식민지 시기 "예술" 개념 수용과 문학장의 변동; 홍명희의 "예술", 개념과 운동의 지반 -일본 경유 톨스토이의 비판적 수용-

        이예안 ( Yea Ann Lee ) 한림과학원 2013 개념과 소통 Vol.0 No.12

        본고는 근대 한국의 예술 개념 수용과 형성을 살펴보기 위한 하나의 시도로서, 메이지 시기 일본에서 ‘인생을 위한 예술’의 주창자로서의 톨스토이 수용을 검토하고 그러한 기반에서 벽초 홍명희가 톨스토이를 어떻게 이해했는지, 그 이해의 변천에 따라 어떠한 예술 개념을 구축했는지 검토한다. 근대 일본의 예술 개념의 형성과 전개를 생각하는 데에는 ‘미술’의 제도화, 정제화와 병행하여 나타난 일본 정부의 ‘미학’에 대한 관심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미’에 대한 관심의 증폭과 더불어 문단에서 예술의 자율성에 관한 논의가 나왔으며, 한편으로 ‘예술을 위한 예술’론이 다른 한편으로는 이에 대한 안티테제로서 톨스토이의 ‘인생을 위한 예술’론이 등장했다. 메이지 전기의 톨스토이 수용은 도쿠토미 로카에 의해 강한 기독교적 색채를 띠게 되는데, 그러한 톨스토이상(像)이 이후 일본의 톨스토이 수용을 특징짓는다. 수용 주체에 따라 크게 종교계, 사회주의사상계, 문학계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일본 톨스토이 수용의 세 측면에 따라 그 각각에 대한 반응으로서 홍명희의 톨스토이 이해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홍명희는 톨스토이에 대해 일본에서 부각된 종교적인 면에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는 한편, 톨스토이사상에 촉발된 일본의 초기 사회주의사상을 접하고 있었지만 그에 대해서는 명확한 비전을 갖고 있지 않았던 듯하다. 또한 동시에 톨스토이 예술론의 의의를 재발견하고 그에 공감했으나, 그 예술론이 지향하는 종교적 측면에는 여전히비판적 시선을 보내고 있다. 홍명희의 이러한 톨스토이에 대한 다층적인 비판은 이어지는 시기에 홍명희를 마르크스주의, 프롤레타리아 예술론으로 견인하는 원동력이 된다. 주목하고 싶은 점은 홍명희가 의거하는 마르크스주의 예술론의 골조에서 레닌에 의해 수정된 톨스토이사상과 마르크스주의의 접합을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레닌 식으로 수정된 톨스토이의 이해에 공감하며 마르크스주의 예술론을 제시했던 것인데, 민족협동전선으로 노선을 변경하면서 그와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톨스토이를 재검토한다. 그렇기에 그는 ‘조선 민족’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공통 기반으로서 또 다른 예술 개념을 모색한다. 여기에서 톨스토이는 한편으로는 ‘러시아 국민 이상’을 리얼리즘 기법을 통해 표현한 ‘예술가’로서 새로이 평가해야 할 대상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조선’의 자장에서 ‘문학’, ‘예술’을 모색할 때 부정된다. 마르크스 사회주의이론에 입각한 프롤레타리아 예술운동에서 한 걸음 물러선 홍명희가 조선의 자장에서 민중·예술·운동을 지향하려 할 때, 톨스토이에 대한 긍정과 부정은 최대치로 교차되면서 그 틈사이로 ‘조선문학’의 여지가 열렸다. 하지만 ‘조선적’인 것은 여전히 기대 지평이며 ‘예술’은 유보되어 있다. As part of an effort to clarify the acceptance and formation of the modern concept of art in Korea, this essay considers, first, how Japan accepted Tolstoy as an advocate of ‘art for life’ in the Meiji period, and then examines how Hong Myeong-hee made use of this in his understanding of Tolstoy and how this influenced his concept of art. In the early Meiji period, the Japanese understanding of Tolstoy became strongly tinged with Christianity through the influence of Tokutomi Roka, and this has characterized the Japanese image of Tolstoy ever since. Tolstoy was assimilated into Japan in three distinct ways by religious, socialist, and literary circles, and this essay considers Hong`s understanding of Tolstoy in terms of these three categories. Hong was quite critical about the religious attitudes prevailing in Japan, while he had no clear vision about the early Japanese socialism inspired by Tolstoy. He rediscovered the significance of Tolstoy`s concept of art and appreciated it, but at the same time, he remained sceptical of its religious aspects. Accordingly, this nuanced critical attitude toward Tolstoy led him to accept the Marxist proletarian concept of art in the following years. Hong initially relied on a conceptual framework of art which was a combination of Marxism with Tolstoyism as revised by Lenin; that is, he adopted a Marxian concept of art while sympathizing with the Tolstoyan stance modified in the style of Lenin. He subsequently came to re-consider Tolstoy, however, by distancing him from Lenin`s ideas, as he changed his views in line with those of the National United Front. He was groping for a different concept of art which could provide a common basis for the entire Joseon people. At this point, Hong considered Tolstoy as an artist who expressed the Russian ideal of ‘the people’ through realism, yet when Hong sought for a new concept of ‘literature’ and ‘art’ relevant to Joseon he had no role for Tolstoy. Then he took a step backward from the proletarian art movement based on Marxian socialism, however, looking for a way to integrate ‘people, art, and movement’ on a national level, and the tension between his positive and negative responses to Tolstoy finally opened a space for “Joseon Literature” to emerge. Hong had still to establish “what is proper and peculiar to Joseon”, however, and his concept of ‘art’ was also not fully formed.

      • KCI등재

        홍명희 <임꺽정>의 전대 야담 수용 양상과 의미

        이승은 한국고소설학회 2023 古小說 硏究 Vol.55 No.-

        As an example of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yadam, this study reveals the aspect and meaning of Hong Myung-hee's <Im Kkeok-jeong> that accepted the previous yadam. Hong Myeong-hee created his works by using historical records and Yadam data as the main material for characters including Lim Kkeok-Jung and their events. In general, in the process of 'rewriting' the yadam to fit the narrative development of <Lim Kkeok-jeong>, it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when the characters and events of the previous yadam are accepted as they are, when the actions and events of the characters are greatly expanded, and the case of transforming and combinging various yadams for the creation of characters. Yadam accepted in this way contributes to creating various elements of the narrative, such as characterization, progress of events, and delivery of historical background. This can be said to be a concrete example of the modern movement and expansion of yadam through the writer Hong Myeong-hee. Hong Myeong-hee wanted to write a authentic Joseon work consistent with Joseon-feeling, and the material of the story he found for this was the yadam of the previous generation. However, he did not seek to reproduce or retrospectively the yadam of the traditional period. Hong Myeong-hee rearranged the characters of previous historical tales to reflect the critical mind of the day, such as criticism of the falsity of class consciousness, or revealed the popular aspect through the expansion of love stories and the depiction of sensational scenes.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in the process of accepting yadam from the previous generation of <Lim Kkeok-jeong>, modern thoughts and expectations of contemporary readers were included. 본고는 야담의 근대적 전환의 한 사례로 홍명희의 <임꺽정>이 전대 야담을 수용한 양상과 그 의미를 밝힌 것이다. 홍명희는 임꺽정을 비롯한 등장인물과 그들이 벌이는 사건을 사료와 함께 야사, 야담 자료를 주된 재료로 하여 작품을 창작하였는데, 본고에서는 이중 야담에 주목하여 수용의 양상을 몇 가지로 나누어 보았다. 전반적으로 야담을 <임꺽정>의 서사 전개에 맞게 ‘다시 쓰기’ 하는 과정에서, 전대 야담의 인물과 사건을 그대로 수용 및 재배치하는 경우, 독립적으로 존재하던 야담을 결합, 변용하여 인물을 창조하는 경우, 나름의 의도에 따라 인물의 행동과 사건을 확장하는 경우가 그것이다. 이렇게 수용된 야담은 인물 형상화, 사건 진행, 역사적 배경의 전달 등 서사의 제 요소를 창출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이는 홍명희라는 작가를 경유한 야담의 근대적 운동과 확장의 구체적 사례라 할 수 있다. 야담은 조선 정조에 일관된, 순 조선 작품을 쓰고자 했던 홍명희에 의해 선택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그가 전통 시기 야담의 재현이나 회고적 정취를 추구한 것은 아니었다. 홍명희는 신분제의 폐해 비판과 같은 당대의 문제의식을 담아내기 위해 전대 야담에 변화를 주거나, 연애담의 확장・선정적인 장면 묘사의 부연 등을 통해 통속적인 면모를 드러내기도 했다. 즉 <임꺽정>은 전대 야담의 수용 과정에서 근대적 사유와 당대 독자의 기대 지평을 담아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東京三才’(洪明熹, 崔南善, 李光洙)를 통해 본 1920년대 ‘문화정치’의 시대

        류시현 (사)한국인물사연구회 2009 한국인물사연구 Vol.12 No.-

        After the March First Movement in 1919, the Japanese Colonialism changed their policy from the militarism to the cultural policy . At that time, Korean nationalists and Socialists established journalistic media such as the vernacular newspapers and magazines and political organizations. I would like to want to read Hong Myung-hwi(1888~1968), Choi Nam-son(1890~1957), Yi Kwang-su (1892~1950)’s activities in 1920s under the cultural policy (Munwha Chungchi). They(Three Korean geniuses) had lived as poet, novelist, publisher, editor, teacher, and historian through their whole life. However, during the 1920s, they had a key role among the leaders of Korean nationalists against the Japan Imperialism. They had a key role in Korean national movement such as Match First Movement in 1919. Because of these activities, Yi Kwang-su left Japan and went Shanghai in China for political struggle. Both Hong Myung-hwi and Choi Nam-son were imprisoned. Frustrated with exile nationalist politics, Yi decided to return to Korea in the spring of 1921. Yi’s returning made an instant sensation. Therefore, in the middle of 1920s, they each others worked in Seoul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However, the Three Korean geniuses became estranged each other because of the different understanding on the socialism and the future of Korean nation. Analyzing these three Korean geniuses in Tokyo will help deepen our understanding of Korean nationalists’ cultural activities in the early 20th century. Moreover, the future work on the Thee Korean geniuses in Tokyo should focus on their thoughts and activities between Japan colonial period and the liberation of Korea. 1900년대 비슷한 시기에 일본 유학을 하고, 유학시절 언론과 문필활동을 활발하게 했던 홍명희, 최남선, 이광수에 대한 조선인 사회에서의 기대감 속에서 이들을 ‘동경삼재’라고 불렸다. 하지만 1920년대 조선 사회에 대한 ‘분열’을 획책했던 일제의 ‘문화정치’ 속에서 이들 ‘동경삼재’는 각기 상이한 정치적 선택을 하게 된다. 이광수는 ‘타협적’ 민족주의자의 일원으로 일제가 ‘허락’하는 범위 안에서의 ‘자치’를 주장하는 방향으로 전환했으며, 최남선은 단군과 ‘불함문화론’ 연구를 통해 일본인 학자의 조선에 관한 연구에 학문적으로 대결하고자 했으나 ‘비정치적’ 학문 연구는 점차 일본 관학자의 입장을 옹호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반면 사회주의 사상 연구와 사상단체 참여에 적극적이었던 홍명희는 ‘비타협적’ 민족주의자의 일원으로 1920년대 후반 민족통일전선의 일환인 신간회 활동에 지도부로 참여했다. 1920년대 ‘동경삼재’의 정치적 선택의 과정을 본고에서는 공간과 사회주의에 관한 입장 차이에서 살펴보고자 했다. ‘동경삼재’는 3·1운동을 전후 한 시기, 당시 민족운동가 일반이 그러했듯이, 망명과 투옥을 경험했다. 이광수는 중국 上海에 가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가해서 그 기관지인 『독립신문』의 책임자를 지냈다. 당시 『독립신문』에 게재된 논설 가운데 상당수가 이광수가 집필한 것이고, 이를 통해 볼 때 상해시절의 이광수는 ‘절대 독립’과 독립전쟁 노선을 지닌 안창호와 입장을 같이 했다. 따라서 귀국 후 이광수가 1920년대 주장한 ‘준비론’, ‘실력양성론’의 입장은 일제의 ‘문화정치’란 시대적 상황의 산물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최남선과 홍명희는 수감생활을 통해 향후 민족운동의 방향성을 재정립하는 계기로 삼았다. 최남선은 수감기간 일제와 학문적 대결을 준비하는 ‘조선학’ 연구의 토대를 구상했고, 홍명희는 출옥 후 언론활동과 함께 민족운동의 가장 선진적인 사상단체에 적극 참여하여 신사상을 학습 소개하고자 했다. 한편 선행 연구에서 주목되었듯이 타협적 민족주의와 비타협적 민족주의 사이의 간극은 사회주의에 관한 인식과 이를 통한 민족통일전선에 관한 입장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그런데 민족주의 계열의 수양동우회 기관지인 『동광』에 지속적으로 사회주의를 소개하는 기사가 연재 혹은 기고되었으며, 1920년대 초반 최남선 역시 잡지 『동명』을 통해 신사상의 일환으로 사회주의 사상의 소개에 적극적이었다. 하지만 1920년대 중반 이후 이광수와 『동광』의 편집진은 민족주의 계열의 ‘정치적’, ‘경제적’ 운동이 침체되는 상황에서 그 원인을 사회주의에서 찾았으며, 최남선은 조선적 특수성을 연구하는 ‘조선학’ 연구에 대비되는 조선인 사회주의자들의 ‘국제주의’를 비판했다. 즉 이광수와 최남선은 당대 조선 사회에서 경쟁 대립해야 하는 볼셰비즘과 조선인 사회주의자의 활동에 대립의 각을 세웠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양자 사이에는 ‘통일전선’에 관한 생각에서 차이를 보였다. 타협적 민족주의의 경향을 지닌 이광수는 통전에 관해 비판적인 입장을 지녔다면 최남선은 통전이 지닌 민족운동에서의 기대 효과를 긍정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이러한 차이가 신간회 활동에 적극 참여했던 홍명희가 비록 정치적 차이가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최남선과 ‘교유관계’를 지속할 수 있 ...

      • KCI등재후보

        東京三才'(洪明熹, 崔南善, 李光洙)를 통해 본 1920년대 '문화정치'의 시대

        류시현(Ryu Si-hyun) 한국인물사연구소 2009 한국인물사연구 Vol.12 No.-

        1900년대 비슷한 시기에 일본 유학을 하고, 유학시절 언론과 문필활동을 활발하게 했던 홍명희, 최남선, 이광수에 대한 조선인 사회에서의 기대감 속에서 이들을 '동경삼재'라고 불렸다. 하지만 1920년대 조선 사회에 대한 '분열'을 획책했던 일제의 '문화정치' 속에서 이들 '동경삼재'는 각기 상이한 정치적 선택을 하게 된다. 이광수는 '타협적' 민족주의자의 일원으로 일제가 '허락'하는 범위 안에서의 '자치'를 주장하는 방향으로 전환했으며, 최남선은 단군과 '불함문화론' 연구를 통해 일본인 학자의 조선에 관한 연구에 학문적으로 대결하고자 했으나 '비정치적' 학문 연구는 점차 일본 관학자의 입장을 옹호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반면 사회주의 사상 연구와 사상단체 참여에 적극적이었던 홍명희는 '비타협적' 민족주의자의 일원으로 1920년대 후반 민족 통일전선의 일환인 신간회 활동에 지도부로 참여했다. 1920년대 '동경삼재'의 정치적 선택의 과정을 본고에서는 공간과 사회주의에 관한 입장 차이에서 살펴보고자 했다. '동경삼재'는 3·1운동을 전후 한 시기, 당시 민족운동가 일반이 그러했듯이, 망명과 투옥을 경험했다. 이광수는 중국 上海에 가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가해서 그 기관지인 『독립신문』의 책임자를 지냈다. 당시 『독립신문』에 게재된 논설 가운데 상당수가 이광수가 집필한 것이고, 이를 통해 볼 때 상해시절의 이광수는 '절대 독립'과 독립전쟁 노선을 지닌 안창호와 입장을 같이 했다. 따라서 귀국 후 이광수가 1920년대 주장한 '준비론', '실력양성론'의 입장은 일제의 '문화정치'란 시대적 상황의 산물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최남선과 홍명희는 수감생활을 통해 향후 민족운동의 방향성을 재정립하는 계기로 삼았다. 최남선은 수감기간 일제와 학문적 대결을 준비하는 '조선학' 연구의 토대를 구상했고, 홍명희는 출옥 후 언론활동과 함께 민족운동의 가장 선진적인 사상단체에 적극 참여하여 신사상을 학습 소개하고자 했다. 한편 선행 연구에서 주목되었듯이 타협적 민족주의와 비타협적 민족주의 사이의 간극은 사회주의에 관한 인식과 이를 통한 민족통일전선에 관한 입장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그런데 민족주의 계열의 수양동우회 기관지인 『동광』에 지속적으로 사회주의를 소개하는 기사가 연재 혹은 기고되었으며, 1920년대 초반 최남선 역시 잡지 『동명』을 통해 신사상의 일환으로 사회주의 사상의 소개에 적극적이었다. 하지만 1920년대 중반 이후 이광수와 『동광』의 편집진은 민족주의 계열의 '정치적', '경제적' 운동이 침체되는 상황에서 그 원인을 사회주의에서 찾았으며, 최남선은 조선적 특수성을 연구하는 '조선학' 연구에 대비되는 조선인 사회주의자들의 '국제주의'를 비판했다. 즉 이광수와 최남선은 당대 조선 사회에서 경쟁 대립해야 하는 볼셰비즘과 조선인 사회주의자의 활동에 대립의 각을 세웠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양자사이에는 '통일전선'에 관한 생각에서 차이를 보였다. 타협적 민족주의의 경향을 지닌 이광수는 통전에 관해 비판적인 입장을 지녔다면 최남선은 통전이 지닌 민족운동에서의 기대 효과를 긍정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이러한 차이가 신간회 활동에 적극 참여했던 홍명희가 비록 정치적 차이가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최남선과 '교유관계'를 지속할 수 있었던 이유가 되었다. After the March First Movement in 1919, the Japanese Colonialism changed their policy from the militarism to the cultural policy. At that time, Korean nationalists and Socialists established journalistic media such as the vernacular newspapers and magazines and political organizations. I would like to want to read Hong Myung-hwi(l888~1968), Choi Nam-son(l890~1957), Yi Kwang-su (1892~1950)'s activities in 1920s under the cultural policy (Munwha Chungchi). They(Three Korean geniuses) had lived as poet, novelist, publisher, editor, teacher, and historian through their whole life. However, during the 1920s, they had a key role among the leaders of Korean nationalists against the Japan Imperialism. They had a key role in Korean national movement such as Match First Movement in 1919. Because of these activities, Yi Kwang-su left Japan and went Shanghai in China for political struggle. Both Hong Myung-hwi and Choi Nam-son were imprisoned. Frustrated with exile nationalist politics, Yi decided to return to Korea in the spring of 1921. Yi's returning made an instant sensation. Therefore, in the middle of 1920s, they each others worked in Seoul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However, the Three Korean geniuses became estranged each other because of the different understanding on the socialism and the future of Korean nation. Analyzing these three Korean geniuses in Tokyo will help deepen our understanding of Korean nationalists' cultural activities in the early 20th century. Moreover, the future work on the Thee Korean geniuses in Tokyo should focus on their thoughts and activities between Japan colonial period and the liberation of Korea.

      • KCI등재

        1920년대 중후반 홍명희의 저술과 편찬 활동 —『학창산화』와 『조선사연구초』를 중심으로—

        류시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99 No.-

        The construction of the ideological and cultural history of the Japanese occupation requires an analysis of the writings published in the media and the books edited and published by writers. Hong Myung-hee’s writing and editorial activities in the mid-to-late 1920s are an important part of the composition of the academic sphere of the time. In 1924-25, he collected his articles published in the Dong-A Ilbo academic section and published them in a book, Hakchangshanhwa in 1926. At the same time, Shin Chae-ho collected his articles published in Dong-A Ilbo in 1924-25 and published Chosunsayungucho in June 1929. Much has been written about Shin Chae-ho and Hong Myung-hee from the perspectives of national movement history, history of ideas, and social history. However, not much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compilation process of Hong Myung-hee’s Hakchangshanhwa and Shin Chae-ho’s Chosunsayungucho in the 1920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Hakchangshanhwa and Chosunsayungucho that Hong Myung-hee wrote and was involved in through the Joseon Book Company.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hanges in the media, especially the reorganization of newspaper articles into books.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tents of popular or ‘ordinary’ knowledge that the newspaper tried to introduce through the editorial process of Chosunsayungucho, focusing on the contents of the Dong-A Ilbo academic arts column. To this end, I examined, first, the system and content of the articles introduced in Dong-A Ilbo as Hakchangshanhwa, second, the category and construction process of the reconstructed Hakchangshanhwa’s ‘knowledge’ published in 1926, and third, the transition of the publication system and content of Shin Chae-ho’s historical articles published in the newspaper in 1924-25 to Chosunsayungucho in 1929, where Hong Myung-hee was the editor. This sheds light on the editorial process and the construction of ‘readers’ in the popular publications of colonial Korea in the 1920s. 일제강점기 사상사⋅문화사의 구성을 위해서는 작가의 언론매체에 게재한 글과 이를 편집해서 출판한 책에 관한 분석이 요구된다. 1920년대 중후반 홍명희의 저술 및 편집자로서의 활동은 당대 학예 영역의 구성에 중요한 부분이 된다. 그는 1924-25년 『동아일보』 학예란에 게재했던 자신의 글을 모아, 1926년에 『학창산화』라는 단행본을 출간했다. 이와 동시에 1924-25년 『동아일보』, 『시대일보』 등에 게재된 신채호의 글을 모아 1929년 6월에 『조선사연구초』를 출간했다. 민족운동사와 사상사 및 사학사의 관점에서 신채호와 홍명희에 관해 많은 연구성과가 축적되었다. 그렇지만 1920년대 홍명희 『학창산화』와 신채호의 『조선사연구초』의 편찬 과정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조선도서주식회사를 통해 출판된 홍명희가 집필하고 관여했던 『학창산화』와 『조선사연구초』를 함께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특히 신문에 연재되었던 글이 책으로 재구성되는 매체의 변화에 주목하였다. 『동아일보』 학예란에 소개된 내용을 중심으로 신문매체를 통해 소개하고자 한 대중 지식 혹은 ‘보통’ 지식의 내용을, 그리고 신문매체에 수록된 신채호의 글이 책 『조선사연구초 으로의 편집 과정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첫째, 『동아일보』「학예란」에 「학창산화」로 소개된 글들의 체계와 내용에 관해, 둘째, 1926년에 출판된 『학창산화』에서 재구성된 ‘지식’의 범주와 구축과정을 셋째, 1924-25년에 신문에 게재된 신채호의 역사 관련 글이 1929년에 홍명희가 편집자로 참여했던 『조선사연구초』로 어떻게 출판 체제와 내용이 전환되는지를 검토했다. 이를 통해 1920년대 식민지 조선 대중 출판물의 편집 과정 및 ‘독자’의 구성 과정을 조망했다.

      • KCI등재

        세계문학과 민족문학 사이 : 식민지 조선에서 번역 주체의 향방, 홍명희의 경우

        손성준(Son, Sung-jun)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코기토 Vol.- No.93

        이 논문은 식민지시기 조선에서 세계문학 수용에 가장 앞장섰던 문인들이 1920년대 중반부터 ‘순조선 것’의 문학적 형상화에 매진하게 된 현상을 홍명희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다. 당시 세계문학 번역의 최종 목표는 조선 독자에게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조선 신문학계의 발전에 있었다. 이는 번역 주체들이 조선문학을 위한 실천을 어떠한 방향으로 심화해 가느냐에 따라 언제든 번역을 멈출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세계문학에 대한 남다른 독서열을 지닌 홍명희는 직접 다양한 작품들을 조선어로 번역하기도 하였다. 그런 그가 번역을 멈춘 후 조선문학에 매진하며 선택한 것은 역사소설 임꺽정의 장기 연재였다. 그의 창작방향은 인물, 묘사, 정조(情調) 등 작품의 모든 요소를 ‘순조선 것’으로 구현하는 데 있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세계문학과 의식적으로 거리를 두는 태도를 취하였다. 다만 이 가시적 불연속성 이면에는 주체의 연속성이 내재해 있었다. 따라서 조선이라는 외장을 걷어내는 순간 거기에는 여전히 세계문학의 유산들이 자리 잡고 있었다. 홍명희가 한때 열독했던 쿠프린의 『결투』, 톨스토이의 『하지 무라트』 등과 『임꺽정』의 유사성은 이 점을 잘 대변한다. 이상은 한국문학사에서 근대의 고전이 된 텍스트들을 새로운 관점으로 연구할 수 있는 단초이기도 하다. This paper studies the works of Hong Myung-hee, who led the translation and acceptance of world literature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 Joseon, focusing on the literary formation of “pure Joseon” from the mid-1920s. The translation of world literature at that time focused on its use as a tool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literature for Joseon, rather than the ultimate goal of introducing it to Joseon readers, for which reason translators stopped translating at any time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y sought to deepen Joseon literature. Hong Myung-hee, who had a special passion for reading world literature, translated various works into Korean. After he stopped translating, he focused on Joseon literature and chose a long-term serialization of the historical novel Lim Kkeok-jeong. His creative direction was to consistently embody Joseon sensitivity, with all the elements of his work intended to be “pure Joseon.” In the process, he sought to exclude world literature. However, behind this visible discontinuity, the continuity of the subject remained, such that if the Joseon elements were removed, the legacy of world literature remained. The similarity between Lim Kkeok-jeong and Kuprin’s Duel and Tolstoy’s Hadji Murat illuminates this point. This means the study about texts that have become modern classic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needs a new perspective.

      • KCI등재

        벽초 홍명희와 漢詩 아비투스

        한영규(Han, Young-gyu) 한국고전번역원 2012 民族文化 Vol.- No.40

        洪命憙(1888~1968)의 생애와 문학에 대해서는 그동안 상당한 연구 성과가 축적되었다. 강영주 교수의 『벽초 홍명희 연구』와 『벽초 홍명희 평전』을 통해 그에 대한 종합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이 이루어졌다. 최근 1920년대의 작품 수편이 새로 발굴되기도 하였다. 한문을 제1의 文語로 하며 성장한 벽초가 한시를 남긴 것은 특별한 일이 아니다. 다만, 한문글쓰기를 스스로 억제하려 한 그의 태도에도 불구하고, 당시의 현실은 여전히 축수시·만시 등 한시의 아비투스를 필요로 하였고, 벽초는 베설·박은식·신규식·여규형 등 사회적 민족적 차원의 기대에 응하여 한시로 만시를 지었다. 또한 정인보·방응모·현상윤 등과 교유하며 한시를 수창하였고, 또 아우 홍성희 등 가족을 그리워하는 정회를 한시에 담아 신문에 발표하였다. 즉 벽초에게 자신의 정회를 표현하는 서정 장르는 곧 한시였다. 해방 이전까지 그는 시조·자유시를 짓지 않은 반면 주로 한시를 지었다. 그런 점에서 벽초의 문필 활동은 漢學의 아비투스 또는 漢文脈의 지속이라는 측면에서 고찰될 필요가 있다. 벽초의 한시 가운데 1930년 서대문형무소에서 지은 5언 100구의 「述懷」는 중요성에 비해 그동안 충분한 분석이 시도되지 못했다. 정인보의 면회를 받고 그 회답의 형식으로 지은 이 시에서 그는 식민지지식인이 걸어야 했던 지난한 역정을 돌이켜보고 비록 몸은 갇혀있지만 독립에 대한 의지는 더 강고해졌음을 표현하였다. 이 시는 긴 편폭에 자신의 생을 성찰하고 속마음을 술회했다는 점에서 벽초의 글 가운데 매우 특별한 서정성을 지니고 있다. 벽초는 해방 1주년을 맞이하여 지은 자유시 「8·15 기념」이 주목된다. 이 시는 필자에 의해 발굴된 것으로, 5연 62구의 긴 편폭에 신탁통치 문제 등 혼란한 해방정국을 시로서 성찰하였다. 벽초는 이 시에서 당시의 한반도를 오랜 병마에서 벗어난 환자에 비유하여, 좌우의 부축을 받지 않고 혼자 걸어가고 싶지만 현실은 남의 힘에 의존하려는 무기력과 광대들 만이 만연해 있다고 가슴 아파하였다. 신탁통치, 단독정부 수립 등 첨예한 사안으로 여론이 분열되던 1946년 8월의 시점에서, 한반도의 진로에 대해 고심하는 민족적 자아의 숨결이 이 시에 담담하게 토로되었다. 그런데 이 「8·15 기념」은 해방을 맞아 지은 「눈문 섞인 노래」와 마찬가지로 자유시로서의 성취는 두드러지지 않는 반면 對句的표현 등 한시의 전통과 일정하게 맥이 닿아있다. 요컨대 벽초의 한시와 자유시의 저류에는 한학의 아비투스가 일정하게 작동하고 있었다. 또한 벽초는 현실 상황에 따라 한시 양식을 능독적으로 제어하는 면모를 지녔다.

      • KCI등재후보

        東京三才'(洪命憙, 崔南善, 李光洙)를 통해본 한말 일제 초 조선의 지성계

        류시현(Ryu Si-Hyun) 한국인물사연구소 2008 한국인물사연구 Vol.10 No.-

        한말시기 '新大韓'을 건설할 주역으로 '新靑年'이 주목되었고, 이들 '신청년'이 국민국가 수립에 기여할 근대적 지식을 얻는 주된 경로는 일본 유학이었다. 실제로 이들은 일본 유학기간에 습득한 근대적 지식을 그들 자신의 실천 활동에서 적용하고자 했고 이와 병행해서 뒷 세대 청년과 소년층에 출판 및 저술활동을 통해 그 내용을 전달하고자 했다. 이들 동경 유학생 가운데 주목받은 3인이 있었고, 이들을 '東京三才'라고 불렀는데, 홍명희, 최남선, 이광수를 가리켰다. '아시아의 런던'이라고 불리던 일본 동경에서 유학했던 이들 3인은 학교 및 서점·도서관 등을 통한 근대의 경험을 바탕으로 귀국 후 다양한 분야에서 조선의 '문명화'를 이루는 영역에서 활동했다. 홍명희는 1888년, 최남선은 1890년, 이광수는 1892년에 태어났으며, 이들 3인은 각각 2살 터울이었다. 비슷한 연배의 이들은 한말 일제 초 일본에 유학을 했던 경험이 동일했으며, 문학의 영역에서 활동을 한 공통분모를 지녔다. 귀국의 시점에서 홍명희는 자연주의 문학 영역에서, 최남선은 역사와 조선문화 영역에서, 이광수는 문학과 사회 평론의 영역에서 장점을 지닌 존재였다. 이들 '동경삼재'의 본격적인 활동은 식민지 상황 속에서 이루어졌다. 귀국과정 및 국내에서의 이들의 활동 폭은 이러한 현실에 의해 제한되거나 굴절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동경삼재'는 일제에 의해 병합된 시기를 전후해서, 자신들의 역할을 스스로 부여하고 교육과 언론 영역에서 활동을 전개했다. 하지만 일본에서 습득한 근대적 사고와 물질적 영역의 성과를 조선에서 실현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이들 동경삼재는 '신경쇠약'에 걸리기도 하고 외국을 '방황'하기도 했다. 아울러 이들은 윗세대의 도움을 받지 못한 존재로서 자신들을 규정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유학시절 경험했던 민족주의적 각성을 토대로, 이들 '동경삼재'는 1919년 전민족적 항일운동인 3·1운동의 과정에서 주역의 역할을 담당했다. The eventual opening of Korea's ports was compelled not by the Western powers but by Japan. Therefore the adoption of Western civilization would come via Japan. At that time, the Korean intellectuals had a question; this is, how to resist Japanese imperialism, and how to adopt aspects of Western civilization while maintaining Korea's distinctiveness from Japan. After the Russo-Japanese War(1904~1905); many Korean new intellectuals studied in Japan Tokyo for Korea's civilization. Among them, there were young men who were called the Thee Korean geniuses in Tokyo. At that time, Tokyo was regarded as the London of Asia. Korean elite, who studied in Tokyo, avidly introduced Western culture and civilization coined the term new cultural movement to describe their activities. I want to read Hong Myung-hwi(1888~1968), Choi Nam-son(1890~1957), Lee Kwang-su (1892-1950)'s activities on Korean civilization and new culture. They had lived as poet, novelist, publisher, editor, teacher, and historian through their whole life. Their hope for new Korea got frustrated by the Japan colonizer. So they experienced wondering in China, neurasthenia and so on. However, they strove to propagate the new culture to Korea society and their efforts were not ignored. They had a key role in Korean national movement such as Match First Movement in 1919. Analyzing these three Korean geniuses in Tokyo will help deepen our understanding of Korean nationalists' cultural activities in the early 20th century. Moreover, the future work on the Thee Korean geniuses in Tokyo should focus on their thoughts and activities between Japan colonial period and the liberation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